마에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에모는 노키아가 개발한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 운영 체제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작업 표시줄, 메뉴 표시줄, 상태 표시줄, 홈 앱으로 구성되었으며, 터치 스크린, 방향 패드 등을 통해 조작할 수 있다. 초기 버전은 OS2005, OS2006, OS2007, OS2008이 있으며, Maemo 5 버전부터는 파노라마 데스크톱 인터페이스를 제공했다. 마에모는 소프트웨어 설치 및 업데이트를 지원하며, 다양한 미디어 형식을 지원한다. 소프트웨어 개발은 C, Java, Python 등으로 가능하며, SDK를 통해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마에모는 노키아 N900, N9 등에서 사용되었으며, MeeGo, Harmattan, Mer, Qt 등의 파생 운영 체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베디드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임베디드 리눅스 배포판 - OpenWrt
OpenWrt는 무선 라우터와 같은 임베디드 장치용 리눅스 기반 자유 소프트웨어 펌웨어로, opkg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한 기능 확장과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며 LEDE 포크 프로젝트와의 재통합을 거쳐 발전해왔다. - 데비안 기반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데비안 기반 리눅스 배포판 - MX 리눅스
MX 리눅스는 MEPIS 커뮤니티와 antiX 개발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사용자 중심의 MX 도구 모음과 시스템 백업 및 복구 기능인 MX 스냅샷을 제공하며 Xfce, KDE Plasma, Fluxbox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최신 하드웨어 지원 AHS 버전을 제공한다. - 모바일 운영체제 - 윈도우 모바일
윈도우 모바일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Windows CE 기반의 모바일 운영 체제로, 데스크톱 Windows와 유사한 기능과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했으며, 2010년 윈도우 폰으로 대체되었다. - 모바일 운영체제 - BREW
퀄컴이 개발한 BREW는 퀄컴 칩셋을 사용하는 피처폰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지원하는 무선 장치용 플랫폼이었으나,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사용이 줄어들고 개발자 페이지가 종료되었다.
마에모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웹사이트 | maemo.org |
제작자 | 노키아 |
개발자 | 노키아 |
계열 | 리눅스 (유닉스 계열) |
소스 모델 | 대부분 오픈 소스이며, 필수적인 사유 구성 요소 포함 |
최신 릴리스 버전 | 5.0 PR 1.3.1 |
최신 릴리스 날짜 | 2011년 11월 1일 |
프로그래밍 언어 | C, C++, 모노 C# |
타겟 마케팅 | 알 수 없음 |
언어 | 다국어 지원 |
커널 종류 | 리눅스 커널 |
사용자 영역 | GNU |
사용자 인터페이스 | Hildon UI |
지원 플랫폼 | ARM 아키텍처 |
라이선스 | 혼합된 미지정 오픈 소스 및 사유 라이선스 |
작동 상태 | MeeGo로 대체되어 종료되었으나, Maemo Leste를 통해 커뮤니티 지원 이용 가능 |
업데이트 방식 | APT 및 플래싱 |
패키지 관리자 | dpkg |
추가 정보 | |
상표 | Maemo 상표 정보 |
종료 이유 | 노키아 CEO 스티븐 엘롭의 '불타는 플랫폼' 메모 |
역사 | 노키아 Maemo 및 MeeGo 이야기 |
Maemo 및 MeeGo 이야기 | 노키아 MeeGo 이야기 |
정의 | Maemo OS 정의 |
Hildon 재단 | Hildon Foundation |
Maemo.Org 서비스 마이그레이션 지원 | 노키아, Maemo.Org 서비스 마이그레이션 지원 제공 |
TMO 포럼 기증 | TMO 포럼, Hildon Foundation에 기증 |
Maemo Leste | Maemo Leste |
2. 사용자 인터페이스
마에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버전에 따라 발전하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해왔다. 초기 버전인 마에모 4(OS2008)까지는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설정에 접근하는 중심점 역할을 하는 '홈' 화면을 기반으로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었다.[11][93] 이 시기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 방향 패드, 선택 버튼 및 별도의 뒤로 가기, 메뉴, 홈 버튼을 통해 조작했으며, 노키아 N810과 같은 일부 기기에서는 필기 인식, 화면 키보드, 또는 하드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도 지원했다.[11][93]
마에모 5 버전부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큰 변화가 있었다.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가 위젯, 바로 가기, 배경화면 등을 자유롭게 배치하고 꾸밀 수 있는 4개의 홈 화면을 제공하는 '파노라마 데스크톱'의 도입이다.[12][13] 또한, 애플의 Mac OS X에 있는 Exposé 기능과 유사한 '대시보드' 기능이 추가되어, 실행 중인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한눈에 확인하고 쉽게 전환하거나 종료할 수 있게 되었다.[14][15]
이 외에도 마에모는 모질라 기반의 MicroB 웹 브라우저를 통한 웹 서핑(어도비 플래시 지원 포함),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및 `apt-get`을 통한 소프트웨어 설치/관리, USB 연결을 통한 PC와의 데이터 동기화 기능 등을 제공했다.[16][94]
2. 1. OS2005–OS2008
마에모 4 (OS2008) 버전까지, 마에모의 기본 화면은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설정에 접근할 수 있는 중심점인 '홈' 화면으로 구성되었다. 홈 화면은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나뉘었다.[11][93]- 작업 표시줄: 화면 왼쪽 가장자리에 세로로 위치하며, 기본적으로 웹 브라우저, 통신 기능, 애플리케이션 메뉴 바로 가기 등이 포함되었다. 타사 플러그인을 통해 즐겨찾기나 명령 메뉴 등을 추가하여 수정할 수 있었다.
- 메뉴 표시줄: 화면 상단 왼쪽에 위치하며,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이름과 창 제목을 표시했다. 또한 파일, 편집, 보기, 도구 등 애플리케이션의 메뉴에 접근하는 통로 역할을 했다.
- 상태 표시줄: 화면 상단 오른쪽에 위치하며, 배터리 잔량, 무선 네트워크 연결 상태, 볼륨, 블루투스 상태, 화면 밝기 등의 아이콘을 표시했다. 작업 표시줄처럼 타사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었다.
- 홈 앱릿 영역: 화면의 나머지 넓은 공간을 차지하며, 애플의 대시보드 위젯과 유사하게 각종 정보를 표시하거나 애플리케이션 바로 가기 역할을 하는 작은 프로그램(앱릿)들을 배치할 수 있었다. 기본적으로 RSS 리더, 인터넷 라디오 플레이어, 구글 검색창, 연락처 목록 등이 제공되었으며, 타사 플러그인을 통해 다양한 앱릿을 추가할 수 있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터치 스크린, 방향 패드, 선택 버튼을 통해 조작했으며, 별도의 뒤로 가기, 메뉴, 홈 버튼이 제공되었다. N810과 같은 기기에서는 필기 인식, 두 가지 크기의 화면 키보드, 또는 하드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도 지원했다.[11][93]
2005년 11월 노키아 770과 함께 출시된 OS2005는 첫 번째 버전으로, 최초의 인터넷 태블릿 운영체제였다. 이 버전에는 오페라 웹 브라우저, 플래시 6, 기본적인 이메일 및 RSS 클라이언트, 오디오 및 비디오 플레이어, PDF 및 이미지 뷰어, 그래픽 기반의 패키지 관리 도구("Application manager"), 그리고 몇 가지 간단한 게임과 유틸리티가 포함되어 있었다.[39]
OS2006은 2006년 5월 16일에 발표되어[40] 같은 해 6월에 노키아 770용으로 정식 출시되었다.[41] 이 업데이트는 전반적인 성능과 안정성을 개선했으며, 구글 토크 클라이언트 내장, 새로워진 인터페이스 디자인, 전체 화면 크기의 손가락 입력용 키보드 추가 등의 변화가 있었다. 다만, API와 시스템 구조가 크게 변경되어 기존 애플리케이션은 OS2006 환경에 맞게 다시 컴파일해야 했다. 이 버전은 노키아 770을 위한 마지막 공식 지원 버전이 되었다. 기술적으로는 최대 2GB 용량의 RS-MMC 메모리 카드(FAT 형식) 지원이 추가되었고, 리눅스 커널은 OMAP 플랫폼 관련 패치가 적용된 2.6.16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커널 선점 기술이 도입되었다.
OS2007은 2007년 1월 8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07에서 노키아 N800과 함께 공개되었다. 이 버전은 운영체제 전반에 걸쳐 상당한 버그 수정과 성능 향상이 이루어졌으며, 업데이트된 버전의 오페라 웹 브라우저와 Adobe Flash Player 7, 개선된 인터페이스, 그리고 다양한 API 및 라이브러리 업데이트를 포함했다.
OS2008은 2007년 11월 노키아 N810과 함께 출시된 마에모 4 버전이다. 리눅스 커널 2.6.21 버전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의 오페라 브라우저를 대체하는 모질라 기반의 새로운 웹 브라우저 MicroB를 탑재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Samba 파일 공유 기능이 통합되었고, Windows Media Player 형식 파일과 H.264 비디오 코덱 지원이 추가되었다. USB 장치 지원이 개선되었으며[42][43],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손가락 터치 조작에 더 편리하도록 점진적인 개선이 이루어졌다.[44] 동적 주파수 스케일링 기술(165 MHz와 400 MHz 사이에서 CPU 속도 조절)이 구현되어 노키아 N800 대비 약 70 MHz의 성능 향상을 가져왔다.[45] OS2008에 포함된 MicroB 웹 브라우저는 어도비 플래시를 완전하게 지원했으며, 800×480 해상도의 화면에서 대부분의 웹 페이지를 가로 스크롤 없이 볼 수 있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RSS 피드나 이메일을 내려받고, 작업 완료 후 자동으로 연결을 끊는 기능도 제공했다.[94] 소프트웨어 설치 및 제거는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여러 소프트웨어 저장소를 등록하여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 USB 케이블로 PC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하거나, 기기를 일반적인 이동식 저장 장치처럼 사용하여 파일을 관리하는 것도 가능했다.[94]
2. 2. Maemo 5 (Fremantle)
마에모 5는 프레멘틀(Fremantle)이라는 코드명으로도 알려져 있으며,[46] 노키아 N900에 기본으로 탑재된 운영 체제이다. 이 버전은 이전 마에모 버전들과 비교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크게 개선되었는데, 특히 손가락 터치 조작에 더 편리하고 일관성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51]
마에모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파노라마 데스크톱: 사용자가 위젯 추가/제거, 이동, 배경 변경, 애플리케이션/연락처 바로 가기 설정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4개의 홈 화면을 제공한다.[12][13] 배경 화면을 손가락으로 좌우로 밀어 다른 홈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 대시보드: 화면 왼쪽 상단 아이콘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애플의 Mac OS X에 있는 Exposé 기능과 유사하게 현재 실행 중인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보기 형태로 보여준다.[14][15] 사용자는 미리 보기 창을 탭하여 앱을 전체 화면으로 전환하거나, 미리 보기 창 우측 상단의 'X' 표시를 탭하여 앱을 종료할 수 있다.
- 애플리케이션 실행기: 설치된 모든 앱을 실행할 수 있는 메뉴로, 대시보드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작업이 없을 때는 왼쪽 상단 아이콘을 탭하면 대시보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앱 실행기가 나타난다.[14][15]

기술적으로 마에모 5는 여러 중요한 변화를 포함한다. 기존의 KDrive 대신 Xorg 기반의 X-서버를 사용하며,[51][52] Tracker 검색 시스템, PulseAudio 오디오 서버(ESD 대체), OHM 하드웨어 관리 데몬, gUPnP UPnP 프레임워크, 향상된 위치 정보 프레임워크, Upstart 초기화 시스템 등을 새롭게 도입했다.[53][54] 또한 Gecko 렌더링 엔진, BlueZ 블루투스 스택, gstreamer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OpenMAX 포함), GTK+ 위젯 툴킷, Telepathy 실시간 통신 프레임워크 등 기존 기술들도 업데이트되었다.[53][54]
마에모 5는 새로운 하드웨어인 노키아 N900과 함께 출시되었다. N900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OMAP3 SoC를 탑재하고 HSPA 통신 모뎀과 HD급 카메라를 갖추어 처리 속도, 3D 그래픽 가속, 미디어 재생 능력 면에서 상당한 성능 향상을 이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하드웨어 의존성 때문에 노키아는 마에모 5를 이전 모델인 N800/N810에서는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기로 결정했다.[55] 이에 대한 대안으로, N800 및 N810을 포함한 모바일 기기를 위한 완전한 오픈 소스 운영 체제를 제공하기 위해 마에모의 변종인 Mer 프로젝트가 시작되기도 했다.[56]
마에모 5는 모질라 기반의 MicroB 웹 브라우저를 내장하고 있으며, 어도비 플래시를 완전하게 지원한다.[59] 800x480 해상도를 지원하여 많은 웹 페이지를 가로 스크롤 없이 볼 수 있다. 또한, 등록된 무선 네트워크(Wi-Fi)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RSS 피드나 이메일을 다운로드하고 필요 없을 때는 자동으로 연결을 해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16][94]
소프트웨어 설치 및 관리는 명령줄 기반의 `apt-get` 클라이언트 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애플리케이션 관리자를 통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저장소를 추가하여 소프트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는 USB 케이블을 통해 PC와 동기화할 수 있으며, 기기의 저장 공간은 표준 이동식 저장 장치처럼 접근하여 파일을 관리할 수 있다.[16][94]
다른 스마트폰 운영 체제와 달리, 마에모 5는 사용자가 비교적 쉽게 시스템의 최고 관리자 권한(루트 액세스)을 얻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rootsh'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만으로 루트 권한 획득이 가능하며,[57] 별도의 탈옥 과정 없이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영국의 이동통신사 보다폰은 일부 기능이 제한된 자체 버전의 마에모 5를 탑재하여 출시하기도 했으나, 사용자가 원할 경우 일반적인 글로벌 버전으로 운영 체제를 변경(플래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에모 5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분류 | 애플리케이션 |
---|---|
웹 | 마에모 브라우저 (모질라 기반 웹 브라우저, 어도비 플래시 9.4 지원[59]), RSS 리더 |
전화 | 전화 애플리케이션 |
VoIP | SIP, 스카이프[60] |
대화 | IM 채팅 및 SMS (MMS 미지원)[61] |
미디어 | 카메라, 사진, 미디어 플레이어 |
생산성 | 이메일, 캘린더, PDF 리더, 연락처 |
지도 | Ovi 맵 (GPS 활용 위치 찾기, 검색, 경로 계획) |
유틸리티 | 시계, 메모, 계산기, 스케치 |
시스템 도구 | 파일 관리자,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다운로드용), 위젯 |
게임 | 바운스, 체스, 블록, 마블, 마작 |
마에모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운영체제이다. 사용자는 마에모를 통해 인터넷 웹 브라우징을 이용하고, 음악이나 동영상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기기의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키아는 마에모 5의 애플리케이션 생태계 확장에 오픈 소스 커뮤니티의 역할이 클 것으로 기대했다.[62] 실제로 런던에서 열린 onedotzero 페스티벌에서는 디자이너, 예술가, 해커 등을 대상으로 "N900을 당신이 좋아하는 무언가에 연결하라"는 주제로 PUSH N900이라는 콘테스트를 개최하기도 했다.[63] 이러한 노력 덕분에, 서드파티 개발자들에 의해 1,500개 이상의 추가 애플리케이션(대부분 무료)이 개발되어 제공되었다.[64]
2011년 11월 2일, 노키아 N900 사용자를 대상으로 OTA(Over-the-Air) 방식의 업데이트(버전 21.2011.38-1.002)가 배포되었다.[17] 이 업데이트는 주로 보안 관련 수정 사항을 포함했으며, 노키아가 공식적으로 제공한 마지막 마에모 5 업데이트로 여겨진다. 이후 마에모 5의 추가적인 개발 및 업데이트는 Maemo-CSSU(Community SSU)와 같은 커뮤니티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18]
3. 기능
3. 1. 업데이트
마에모 기기는 USB를 통해 컴퓨터를 사용하여 간단한 플래싱 방식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마에모 4.1 버전(코드명 디아블로, Diablo) 이후부터는 "원활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Seamless Software Update, SSU) 기능이 도입되었다. SSU는 고급 패키징 도구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기기를 완전히 초기화(플래싱)하지 않고도 "무선"으로 운영체제를 점진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이었다.[19] 물론, 기존의 플래싱 방식도 여전히 사용 가능하며, 이는 컴퓨터의 하드 드라이브를 포맷하고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하는 것과 유사하게 깨끗한 상태에서 설치를 시작하는 방법이다.[20]
디아블로는 2008년 6월에 출시된 OS2008 기능 업데이트(마에모 4.1)의 코드명이다.[46][47] SSU 기능의 도입은 디아블로의 주요 개선 사항 중 하나였다. 이전 마에모 버전에서는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할 때마다 기기 전체를 초기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SSU는 이러한 플래시 기반 업그레이드 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무선"으로 편리하게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한, SSU 도입으로 인해 운영체제 전체 업데이트와 개별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가 분리되어, 노키아는 개별 프로그램들을 이전보다 더 자주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되었다.[50] 디아블로에는 SSU 외에도 내장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개선, 기본 메일 클라이언트 Modest 추가, MicroB 웹 브라우저 성능 개선(게코 엔진 기반) 등의 변화가 있었다.[48][49] 또한 노키아 N810 WiMAX 에디션을 위한 와이맥스 스택 구현도 포함되었다.
첫 번째 SSU 업데이트는 2008년 8월 11일에 배포되었으며, 이 업데이트를 통해 디아블로는 버전 4.2008.30-2로 개선되었다. 주요 내용은 MicroB 브라우저, Modest 메일 클라이언트, 연결 프레임워크 업데이트 및 기타 사소한 버그 수정이었다.
3. 2. 보안
모바일 보안 관련 내용도 참고할 수 있다.
개발자를 위한 빠른 시작 가이드에서는 마에모 보안이 무선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와 같은 원격 공격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둔다고 설명한다. 또한 마에모의 루트 계정은 기본 비밀번호가 간단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사용자: gainroot, 비밀번호: rootme), 원격 액세스를 활성화하기 전에 반드시 변경해야 한다고 경고한다.[21]
마에모는 무단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숫자 보안 코드를 사용한다. 이 코드는 장치의 컨트롤과 디스플레이를 잠그는 데 사용되며, 루트 비밀번호와는 별도로 관리된다.[22]
4.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마에모는 데비안 리눅스 배포판을 모바일 장치에 맞게 수정한 버전을 기반으로 한다.[23][95]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는 X 윈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Xomap과 Matchbox 윈도우 매니저를 사용한다. GUI 구성 요소로는 GTK+ 툴킷과 Hildon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젯 및 API가 채택되었다.[24][95]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인 데비안에서 사용되는 GNU 코어 유틸리티 대신 임베디드 및 모바일 장치에 최적화된 BusyBox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메모리 사용량과 저장 공간 요구 사항을 줄였지만, 일부 기능은 제한된다.[25][96]
사운드 시스템은 ESD를 기본 사운드 서버로 사용하며, 내장된 미디어 플레이어는 GStreamer 프레임워크를 통해 사운드 및 동영상 재생을 처리한다. GStreamer가 지원하는 미디어 형식은 Maemo SDK의 스크래치박스 환경에서 GStreamer 플러그인을 컴파일하여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gg 형식 지원이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되었으며,[26][97] 구글이 발표한 WebM 및 VP8 코덱과 같은 실험적인 기능도 포함되었다.[27] 타사 미디어 플레이어는 GStreamer에 직접 접근하거나 "osso-media-server"를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다.
윈도우 관리는 Matchbox 윈도우 매니저가 담당한다. Matchbox는 화면에 한 번에 하나의 창만 표시하도록 제한하는데, 이는 화면 크기가 작은 모바일 장치에서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설계이다(Ubuntu Netbook Edition도 유사한 방식을 사용했다).
마에모는 리눅스 커널과 여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지만, 일부 구성 요소는 폐쇄 소스로 남아 있다. 여기에는 특정 상태 표시줄 및 작업 표시줄 애플릿(예: 디스플레이 밝기 조절 애플릿), 일부 응용 프로그램, 그리고 통신 및 전원 관리에 관련된 일부 시스템 데몬 등이 포함된다.[28]
5. 소프트웨어
마에모 기기는 USB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하여 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하거나 새로 설치(플래싱)할 수 있다. 디아블로(마에모 4.1) 버전부터는 "원활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SSU) 기능이 도입되어, 전체 시스템을 새로 설치하지 않고도 고급 패키징 도구(APT)를 이용해 무선으로 운영체제를 점진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19] 물론, PC의 하드 드라이브를 포맷하고 운영 체제를 새로 설치하는 것처럼, 플래싱을 통해 초기 상태로 되돌리는 방법도 여전히 사용할 수 있다.[20]
마에모는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다양한 공식 및 커뮤니티 소프트웨어 저장소에서 추가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아 설치할 수 있다. 설치는 내장된 패키지 관리 시스템인 '애플리케이션 관리자'를 이용하거나, 고급 패키징 도구(APT) 및 dpkg 명령어를 통해 .deb 파일을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모질라 기반의 마이크로B 웹 브라우저,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플레이어, Gizmo5, Skype 등이 포함된다.
5. 1. 주요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
리눅스 기반의 자유 소프트웨어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라는 마에모의 특징 덕분에, 기존 리눅스용 응용 소프트웨어를 마에모 환경으로 포팅하는 작업이 비교적 수월하다.[2] 이러한 개방성 덕분에 많은 서드 파티 개발자들이 마에모용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개발하거나 다른 플랫폼의 프로그램을 이식했다. 마에모 전용으로 새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도 있지만, 상당수는 기존 리눅스 프로그램을 이식한 것이다. 서드 파티 개발자들이 만든 1,50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64] 대부분은 무료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주요 서드 파티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플레이어, 인터넷 도구, 오피스 프로그램, 메신저,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주요 목록은 아래와 같다.
분야 | 애플리케이션 |
---|---|
미디어 플레이어 | MPlayer, Canola |
인터넷 | Claws Mail, Modest, Midori, 모바일 파이어폭스, Opera Mobile |
오피스 애플리케이션 | Gnumeric (스프레드시트), Abiword (워드 프로세서) |
인스턴트 메신저 | Pidgin |
VoIP | Gizmo5, Skype |
게임 | The Battle for Wesnoth, Wormux, 둠, Angry Birds, ScummVM (게임 에뮬레이터, Beneath a Steel Sky 포함)[31] |
기타 | FBReader (전자책 리더), GPE (OpenSync 호환 PIM), rdesktop (RDP 원격 접속), Rhapsody (구독 음악 서비스, 미국 한정), Free42 (HP-42S 계산기 에뮬레이터), Monsoon HAVA (TV 시청 및 제어), Navit (GPS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Vagalume (Last.fm 플레이어), VNC, Wayfinder (GPS 내비게이션 소프트웨어), gPodder (팟캐스트 클라이언트) |
커뮤니티에서 개발하고 노키아가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프레맨틀 스타(Fremantle Star)' 애플리케이션도 있다. 대표적으로 게임 에뮬레이터인 ScummVM과 모질라 파이어폭스 기반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 Fennec이 있다.[30][32]
마에모의 또 다른 특징은 ARM 기반의 데비안 배포판 전체를 일반 마에모 애플리케이션처럼 설치할 수 있다는 점이다.[2][99]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OpenOffice.org, 모질라 파이어폭스, Java, GNOME이나 LXDE 같은 데스크톱 환경 등 데비안 저장소에 있는 수천 개의 방대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마에모 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다.[2] maemo-optify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데비안 ARM 패키지를 마에모 환경에 맞게 수정하여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33] 이처럼 별다른 수정 없이 방대한 리눅스 패키지를 실행할 수 있다는 점은 마에모가 안드로이드나 webOS 같은 다른 리눅스 기반 모바일 운영 체제와 차별화되는 중요한 특징이다.[2]
5. 2. 미디어 지원
마에모는 다양한 미디어 형식을 지원한다. 다른 미디어 유형, 예를 들어 오디오 형식인 Ogg/Vorbis는 커뮤니티 플러그인을 통해 추가할 수 있다.지원하는 주요 미디어 형식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지원 형식 |
---|---|
비디오 | MPEG-1, MPEG-4 ASP (H.263), RealVideo, AVI, 3GP |
오디오/재생 목록 | MP3, RealAudio, MPEG-4, AAC, WAV, AMP, MP2, AMR, AWB, M4A, WMA, Ogg/Vorbis (애드온 패키지 필요), M3U, PLS |
이미지/애니메이션 | JPEG, GIF, BMP, TIFF, PNG, SVG, ICO |
텍스트/레이아웃 | 텍스트 파일, PDF, HTML |
6. 소프트웨어 개발
마에모 SDK를 이용하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다. 지원하는 언어로는 C, Java(Jalimo JVM 사용)[34][100], Python, Ruby, Mono, Vala, Perl, Pascal, C++ 등이 있다.[36]
개발 환경으로는 데비안 기반의 Scratchbox 교차 컴파일 툴킷을 제공한다.[35][97] Scratchbox는 개발 작업을 위한 샌드박스 환경을 만들어주며, QEMU를 사용하여 ARM 프로세서를 에뮬레이트하거나 sbrsh를 통해 원격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Scratchbox 호환 루트스트랩은 x86과 ARM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대부분의 개발과 디버깅은 x86 환경에서 진행하고 최종 패키징만 ARM용으로 수행할 수 있다.[35][97]
마에모 5 버전부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해 GTK+를 공식적으로 지원했으며, Qt 라이브러리는 커뮤니티 지원 형태로 제공되었다. 하지만 이후 Harmattan 릴리스에서는 Qt가 기본 라이브러리로 채택되고 GTK+는 커뮤니티 지원으로 변경되었다.[36]
개발 관련 튜토리얼이나 Qt 개발에 대한 정보는 노키아 개발자 위키 커뮤니티에서 찾아볼 수 있다.
7. 하드웨어
마에모 운영 체제는 노키아 인터넷 태블릿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 기기들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의 OMAP ARM 아키텍처 기반 시스템 온 칩(SoC)을 탑재했으며, 큰 화면과 확장 가능한 내부 저장 공간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사양은 당시 노키아의 고급형 스마트폰 라인업인 N 시리즈 및 E 시리즈와 매우 비슷하다.[37][101]
마에모는 특정 하드웨어에 맞춰 고도로 최적화되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인터넷 태블릿 외의 다른 기기에서 작동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운영 체제의 핵심적인 부분 중 독점적이지 않은 요소들과 일부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데비안 리눅스용으로 꾸준히 패키징되고 있으며,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는 이론적으로 더 넓은 범위의 하드웨어에서 마에모의 일부 기능을 활용할 가능성을 열어준다.[38][102]
노키아는 노키아 N900과 노키아 N9 모델에서 마에모 운영 체제를 탑재하여 출시했다.
8. 버전 역사
마에모 운영체제는 2005년 노키아 770과 함께 출시된 OS2005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업데이트를 거듭하며 발전해왔다.[39] 이후 OS2006[40][41], OS2007, OS2008[42] 버전이 차례로 공개되면서 성능 향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 새로운 기능 추가 등이 이루어졌다. 특히 OS2008은 모질라 기반의 MicroB 웹 브라우저를 도입했으며[42][43], 이후 '디아블로(Diablo)' 업데이트(마에모 4.1)를 통해 기기 초기화 없이 운영체제 업데이트가 가능한 SSU(Seamless Software Update) 기능을 처음 선보였다.[46][47][50]
노키아 N900의 기본 운영체제로 탑재된 Maemo 5(코드명 프레멘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대폭 개선하여 손가락 터치 조작에 더 편리해졌으며, 여러 개의 홈 화면을 관리하는 '파노라마 데스크톱' 기능을 도입했다.[12][13][46] 또한 Xorg 기반의 X-서버[51][52], PulseAudio 사운드 시스템[53] 등 새로운 기술들을 적용하여 시스템 전반을 현대화했다. 어도비 플래시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59] 등 다양한 기본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했으며, 커뮤니티를 통해 1500개 이상의 추가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기도 했다.[64] 노키아의 공식 지원은 2011년 보안 업데이트를 마지막으로 종료되었으나[17], 이후 Maemo-CSSU 프로젝트를 통해 커뮤니티 주도로 개발이 이어졌다.[18]
현재는 Maemo Leste 프로젝트를 통해 마에모를 현대적인 리눅스 배포판(Devuan) 기반으로 재구축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8. 1. 코드명
마에모의 코드명은 바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최신 릴리스인 "Fremantle"은 프리맨틀 닥터(Fremantle Doctor)를 지칭하는데, 이는 서호주 해안 남서부 지역의 여름철 오후에 발생하는 시원한 해풍을 가리키는 서호주 방언이다.운영체제 | 버전 | 코드명 | 빌드 식별자 | 출시일 | 최초 출시 기기 | 비고 | 지원 기기 |
---|---|---|---|---|---|---|---|
OS2005 | 1.1 | - | 2.2005.45-1 | 2005년 11월 | 770 | 770 | |
3.2005.51-13 | 2005년 12월 | 770 | |||||
5.2006.13-7 | 2006년 4월 | 770 | |||||
OS2006 | 2.0 | Mistral | 0.2006.22-21 | 2006년 5월 | 베타 릴리스 | 770 | |
1.2006.26-8 | 2006년 5월 | 770 | |||||
2.1 | Scirocco | 2.2006.39-14 | 2006년 11월 | 770 | |||
2.2 | Gregale | 3.2006.49-2 | 2007년 1월 | 770 | 770 | ||
OS2007 | 3.0 | Bora | 2.2006.51-6 | 2007년 1월 | N800 | 770*, N800 | |
3.1 | 3.2007.10-7 | 2007년 3월 | 770*, N800 | ||||
3.2 | 4.2007.26-8 | 2007년 7월 | 770*, N800 | ||||
4.2007.38-2 | 2007년 10월 | SDHC 손상 수정 | 770*, N800 | ||||
OS2008 | 4.0 | Chinook | 1.2007.42-18 | 2007년 11월 | N810 | (N810 전용) | N810 |
1.2007.42-19 | 2007년 11월 | 커널 업그레이드만 (N810 전용) | N810 | ||||
1.2007.44-4 | 2007년 11월 | 베타 릴리스 (N800 전용) | N800 | ||||
2.2007.50-2 | 2007년 11월 | 770*, N800, N810 | |||||
2.2007.51-3 | 2008년 1월 | NOLO(노키아 부트로더) 업그레이드만 | 770*, N800, N810 | ||||
4.1 | Diablo | 4.2008.23-14 | 2008년 6월 | SSU (원활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지원 추가 | N800, N810 | ||
4.2008.30-2 | 2008년 8월 | 첫 번째 SSU 업데이트 | N800, N810 | ||||
4.2008.36-5 | 2008년 9월 | N800, N810 | |||||
5.2008.43-7 | 2008년 12월 | N800, N810 | |||||
Maemo 5 | 5.0 | Fremantle | 1.2009.42-11 | 2009년 11월 | N900 |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Qt 라이브러리 번들 (PR1.2), 스타일러스 사용보다는 손가락 사용에 중점 | N900 |
1.2009.44-1 | 2010년 1월 | 2.2009.51-1 펌웨어 준비 릴리스, OTA(Over-the-air)로만 1.2009.42-11 사용자에게 릴리스 | N900 | ||||
2.2009.51-1 | 2010년 1월 | PR1.1로도 알려짐.[87] | N900 | ||||
3.2010.02-8 | 2010년 2월 | PR1.2 펌웨어 준비 릴리스. PR1.1.1로도 알려짐.[88] | N900 | ||||
10.2010.12-9 | 2010년 5월 | PR1.2, 홍콩 전용, 중국어 입력 방식,[89] 중국어 입력 지원.[90] | N900 | ||||
10.2010.19-1 | 2010년 5월 | PR1.2, Skype 및 Google 영상 통화, Facebook IM 채팅, 개선된 지도, 세로 보기, 향상된 이메일,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Qt 4.6[90] | N900 | ||||
20.2010.36-2 | 2010년 10월 25일 | PR1.3, Qt 4.7.0, 전체 OVI-Suite 지원, MeeGo용 kexec 패치가 있는 업데이트된 커널, 버그 수정. | N900 | ||||
21.2011.38-1 | 2011년 10월 26일 | PR1.3.1, DigiNotar 문제 및 제어판 애플릿 보안 문제 해결 | N900 | ||||
MeeGo | 1.0 | Arlington | 1.0 | 2010년 5월 26일 | 주로 넷북 릴리스; 모바일 기기(노키아 N900)용으로 코드 드롭만 릴리스됨. | N900 등 | |
1.1 | Irvine | 1.1 | 2010년 10월 28일 | 핸드셋 UX로 터치 기반 장치 지원 제안[91] | Aava 및 노키아 N900 | ||
1.2 | Harmattan | 1.2011.34-2 | 2011년 5월 19일 | N950 |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Qt 라이브러리 번들, MeeGo로의 전환 시작, MeeGo 라이브러리 포함, 하지만 코어 시스템은 Maemo. | N9, N950 |
- *: 해커 에디션, 노키아에서 출시했지만 커뮤니티에서 유지 관리. 주로 개발자들이 구형 하드웨어를 사용하면서 프로그램을 계속 개발하기 위해 사용함.
8. 2. 주요 버전
thumb마에모의 첫 버전으로, 2005년 11월 노키아 770과 함께 출시되었다. 인터넷 태블릿을 위한 최초의 운영체제였다. 주요 기능으로는 오페라 웹 브라우저, 플래시 6 지원, 기본적인 이메일 및 RSS 클라이언트, 오디오 및 비디오 플레이어, PDF 및 이미지 뷰어, 그리고 'Application manager'라는 이름의 패키지 관리자 프론트엔드 등이 포함되었다. 간단한 게임과 유틸리티도 함께 제공되었다.[39]
thumb
2006년 5월 16일 발표되었고, 같은 해 6월에 정식 출시되었다.[40][41] 이 버전은 성능과 안정성이 향상되었으며, 구글 토크 클라이언트가 내장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새로워졌다. 또한 전체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손가락 키보드가 추가되었다. 다만, API와 아키텍처가 크게 변경되어 기존 애플리케이션은 이 버전에 맞게 다시 컴파일해야 했다. OS2006은 노키아 770을 위한 마지막 공식 지원 버전이다. 리눅스 커널은 2.6.16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2GB RS-MMC 카드(FAT 형식)를 지원하게 되었다.
2007년 1월 라스베이거스 CES에서 노키아 N800과 함께 공개되었다. 버그 수정과 성능 향상에 중점을 두었으며, 업데이트된 오페라 웹 브라우저와 Adobe Flash Player 7, 개선된 인터페이스, 다양한 API 및 라이브러리 업데이트가 포함되었다.
2007년 11월 노키아 N810과 함께 출시되었다. 리눅스 2.6.21 커널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 오페라 브라우저를 대체하는 모질라 기반의 새로운 웹 브라우저 MicroB를 탑재했다. Samba 파일 공유 기능이 통합되었고,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형식과 H.264 코덱 지원이 추가되었다. USB 장치 지원도 개선되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손가락 사용에 더 편리하도록 개선되었다.[42][43][44] 또한, 동적 주파수 스케일링 기술이 도입되어 N800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45]
=== 디아블로 (Diablo) ===
디아블로는 OS2008의 기능 업데이트(마에모 4.1)로, 2008년 6월에 출시되었다.[46][47] 가장 큰 특징은 SSU(Seamless Software Update) 기능의 도입이다. SSU는 기기를 초기화하지 않고도 운영체제를 점진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으로, 이전 버전들의 플래시 기반 업데이트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했다.[50] 이를 통해 노키아는 개별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더 자주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외에도 내장 애플리케이션 관리자가 크게 개선되었고, 기본 메일 클라이언트로 Modest가 추가되었으며, MicroB 브라우저의 성능과 인터페이스도 개선되었다.[48][49] 또한, N810 WiMAX 에디션을 위한 와이맥스 스택 구현도 포함되었다. 첫 SSU 업데이트는 2008년 8월에 배포되었다.
프레멘틀(Fremantle)이라는 코드명으로도 알려진 마에모 5는 노키아 N900의 기본 운영체제이다.[46] 이 버전은 이전 버전에 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크게 개선되어 손가락 터치 조작에 더욱 최적화되었고 일관성이 높아졌다. X-서버는 기존의 KDrive 대신 Xorg 기반으로 변경되었다.[51][5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주요 특징은 '파노라마 데스크톱'이라 불리는 4개의 사용자 정의 가능한 홈 화면이다. 사용자는 위젯을 추가/제거하거나 이동하고, 배경화면을 변경하며, 애플리케이션 및 연락처 바로 가기를 설정할 수 있다.[12][13] 화면을 가로로 밀어 다른 홈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실행 중인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한눈에 보여주는 '대시보드' 기능도 추가되었는데, 이는 애플의 Mac OS X 운영체제의 Exposé 기능과 유사하다.[14][15]
기술적으로는 Tracker 검색 시스템, PulseAudio 사운드 서버(ESD 대체), OHM 하드웨어 관리 데몬, gUPnP UPnP 프레임워크, 향상된 위치 정보 프레임워크, Upstart 시스템 초기화 데몬 등 여러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었다. Gecko 렌더링 엔진, BlueZ 블루투스 스택, GStreamer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OpenMAX 포함), GTK+ 그래픽 툴킷, Telepathy 통신 프레임워크 등 기존 기술들도 업데이트되었다.[53][54]
마에모 5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OMAP3 SoC를 탑재하고 HSPA 모뎀과 HD 카메라를 갖춘 노키아 N900과 함께 출시되어 속도, 3D 그래픽 가속, 미디어 재생 능력에서 상당한 개선을 이루었다. 하지만 하드웨어 호환성 문제로 인해 이전 모델인 N800/N810에서는 공식적으로 지원되지 않았다.[55]
마에모 5에는 모질라 기반의 웹 브라우저(어도비 플래시 9.4 지원[59]), 전화, VoIP(SIP, 스카이프[60]), IM 및 SMS[61], 미디어(카메라, 사진, 미디어 플레이어), 생산성(이메일, 캘린더, PDF 리더, 연락처), Ovi 맵, 유틸리티(시계, 메모, 계산기, 스케치), 시스템 도구(파일 관리자,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위젯), 게임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본 탑재되었다.
노키아는 마에모 5의 애플리케이션 생태계 확장을 위해 오픈 소스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했으며,[62] 실제로 150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타사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64]
마에모 5는 사용자가 별도의 탈옥 과정 없이 터미널 명령을 통해 쉽게 루트 권한을 얻을 수 있다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57]
노키아가 제공한 마지막 공식 업데이트는 2011년 11월에 배포된 버전 21.2011.38-1 (PR1.3.1)이며, 주로 보안 관련 수정 사항을 포함했다.[17] 이후 마에모 5의 추가 개발은 Maemo-CSSU 프로젝트를 통해 커뮤니티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18]
''Maemo Leste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Maemo Leste는 현재 개발 중인 운영체제로, Maemo 5를 현대화하고 오픈 소스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Devuan 리눅스 배포판과 메인라인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하며, "신뢰성에 중점을 둔 독립적인 모바일 운영 체제"를 지향한다.[65] 첫 번째 공식 이미지는 2018년 2월에 공개되었다.[66]
Maemo Leste는 Nokia N900, Motorola Droid 4, PinePhone 등 다양한 기기를 지원하며, 전화 통화 및 SMS 메시지 기능도 구현되었다.[67] 업스트림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여 기능과 보안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Maemo 5(Fremantle)에 포함되었던 일부 비공개 소스 구성 요소들을 오픈 소스로 재구현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개발은 전적으로 커뮤니티에 의해 이루어지며, 개발자들은 Libera Chat IRC 네트워크의 #maemo-leste 채널에서 활동하고 있다. 프로젝트 웹사이트는 [https://maemo-leste.github.io/]이다.
=== 버전 요약 ===
마에모의 코드명은 주로 바람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예를 들어, 마에모 5의 코드명 "Fremantle"은 서호주 해안 지역에서 여름 오후에 부는 시원한 바닷바람인 프리맨틀 닥터(Fremantle Doctor)를 의미한다.
버전 | 코드명 | 빌드 식별자 | 출시일 | 최초 출시 기기 | 비고 | 지원 기기 | |
---|---|---|---|---|---|---|---|
OS2005 | 1.1 | - | 2.2005.45-1 | 2005년 11월 | 770 | 770 | |
3.2005.51-13 | 2005년 12월 | 770 | |||||
5.2006.13-7 | 2006년 4월 | 770 | |||||
OS2006 | 2.0 | Mistral | 0.2006.22-21 | 2006년 5월 | 베타 릴리스 | 770 | |
1.2006.26-8 | 2006년 5월 | 770 | |||||
2.1 | Scirocco | 2.2006.39-14 | 2006년 11월 | 770 | |||
2.2 | Gregale | 3.2006.49-2 | 2007년 1월 | 770 | 770 | ||
OS2007 | 3.0 | Bora | 2.2006.51-6 | 2007년 1월 | N800 | 770*, N800 | |
3.1 | 3.2007.10-7 | 2007년 3월 | 770*, N800 | ||||
3.2 | 4.2007.26-8 | 2007년 7월 | 770*, N800 | ||||
4.2007.38-2 | 2007년 10월 | SDHC 손상 수정 | 770*, N800 | ||||
OS2008 | 4.0 | Chinook | 1.2007.42-18 | 2007년 11월 | N810 | (N810 전용) | N810 |
1.2007.42-19 | 2007년 11월 | 커널 업그레이드만 (N810 전용) | N810 | ||||
1.2007.44-4 | 2007년 11월 | 베타 릴리스 (N800 전용) | N800 | ||||
2.2007.50-2 | 2007년 11월 | 770*, N800, N810 | |||||
2.2007.51-3 | 2008년 1월 | NOLO(노키아 부트로더) 업그레이드만 | 770*, N800, N810 | ||||
4.1 | Diablo | 4.2008.23-14 | 2008년 6월 | SSU (원활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지원 추가 | N800, N810 | ||
4.2008.30-2 | 2008년 8월 | 첫 번째 SSU 업데이트 | N800, N810 | ||||
4.2008.36-5 | 2008년 9월 | N800, N810 | |||||
5.2008.43-7 | 2008년 12월 | N800, N810 | |||||
Maemo 5 | 5.0 | Fremantle | 1.2009.42-11 | 2009년 11월 | N900 |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Qt 라이브러리 번들 (PR1.2), 스타일러스 사용보다는 손가락 사용에 중점 | N900 |
1.2009.44-1 | 2010년 1월 | 2.2009.51-1 펌웨어 준비 릴리스, OTA(Over-the-air)로만 1.2009.42-11 사용자에게 릴리스 | N900 | ||||
2.2009.51-1 | 2010년 1월 | PR1.1로도 알려짐.[87] | N900 | ||||
3.2010.02-8 | 2010년 2월 | PR1.2 펌웨어 준비 릴리스. PR1.1.1로도 알려짐.[88] | N900 | ||||
10.2010.12-9 | 2010년 5월 | PR1.2, 홍콩 전용, 중국어 입력 방식,[89] 중국어 입력 지원.[90] | N900 | ||||
10.2010.19-1 | 2010년 5월 | PR1.2, Skype 및 Google 영상 통화, Facebook IM 채팅, 개선된 지도, 세로 보기, 향상된 이메일,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Qt 4.6[90] | N900 | ||||
20.2010.36-2 | 2010년 10월 25일 | PR1.3, Qt 4.7.0, 전체 OVI-Suite 지원, MeeGo용 kexec 패치가 있는 업데이트된 커널, 버그 수정. | N900 | ||||
21.2011.38-1 | 2011년 10월 26일 | PR1.3.1, DigiNotar 문제 및 제어판 애플릿 보안 문제 해결 | N900 | ||||
MeeGo | 1.0 | Arlington | 1.0 | 2010년 5월 26일 | 주로 넷북 릴리스; 모바일 기기(노키아 N900)용으로 코드 드롭만 릴리스됨. | N900 등 | |
1.1 | Irvine | 1.1 | 2010년 10월 28일 | 핸드셋 UX로 터치 기반 장치 지원 제안[91] | Aava 및 노키아 N900 | ||
1.2 | Harmattan | 1.2011.34-2 | 2011년 5월 19일 | N950 | 공식적으로 지원되는 Qt 라이브러리 번들, MeeGo로의 전환 시작, MeeGo 라이브러리 포함, 하지만 코어 시스템은 Maemo. | N9, N950 |
9. 파생 버전
(내용 없음)
9. 1. MeeGo
MeeGo 코드 베이스가 공개되고 노키아가 MeeGo를 탑재한 N9을 출시하면서, 기존 마에모 기기(N800, N810, N900)에 MeeGo를 이식하려는 커뮤니티 중심의 노력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N800 및 N810 기기[76][77]와 N900[78]에 MeeGo를 이식하려는 프로젝트들이 진행되었다.9. 2. Harmattan
Harmattan은 원래 노키아에서 개발한 과도기적인 운영 체제로, 노키아의 Maemo와 MeeGo 프로젝트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할 예정이었다.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해 여전히 APT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지만,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시스템의 주요 부분은 개선되거나 처음부터 다시 작성되었고, 일부는 MeeGo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재구성되었다. 기존의 GTK+/Hildon 대신 Qt 라이브러리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며, 화면 가장자리에서 스와이프하는 제스처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방식을 도입했다.[79][80] 원래 MeeGo 프로젝트에 문제가 발생하자, 노키아는 Harmattan의 이름을 MeeGo/Harmattan으로 변경하고 이 운영체제를 탑재한 N9을 출시했다.9. 3. Mer
Mer는 모바일 및 임베디드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는 완전한 자유-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배포판이다. 처음에는 Maemo를 공개적으로 재구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후 MeeGo 도구를 기반으로 재구성되었다.9. 4. Qt
2008년 1월, 노키아는 Qt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개발사인 트롤테크를 인수하는 절차를 시작했다. 이후 노키아는 2008년 4분기까지 Qt 라이브러리를 마에모에 번들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GTK와 같이 플랫폼별 사용자 인터페이스(Hildon)를 적용하지 않고 제공될 예정이어서, Qt 애플리케이션은 기존 Hildon 기반 GTK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81][82] 이러한 변화는 개발자들이 Qt 애플리케이션을 마에모 플랫폼으로 더 쉽게 옮길 수 있게 하고, 사용자들에게는 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S60 기기에서도 Qt를 지원하게 되면, 마에모와 S60 두 플랫폼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83][84] 하지만 이러한 발표에 대해 개발자 커뮤니티에서는 찬반 양론이 있었다.[85][86]10. Maemo Summit
2008년과 2009년, Maemo 개발자와 사용자들이 모이는 Maemo Summit이 열렸다. 이 행사는 무료로 등록할 수 있었으며, 참가자들에게는 배지와 Maemo 티셔츠가 제공되었다.
2009년 Maemo Summit은 10월 9일 암스테르담에서 개최되었다.[92] 행사 첫날은 노키아 관련 발표가 있었고, 나머지 이틀은 커뮤니티 기여에 초점을 맞추었다. 약 400명의 개발자가 이 회의에 참석했으며, 노키아는 행사 기간 동안 독립 개발자들에게 300대의 N900 기기를 제공했다.
2009년 Maemo Summit은 MeeGo가 출시된 이후 마지막으로 개최된 행사가 되었다. 이후 이 행사는 MeeGo Conference로 대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remantle closed packages
http://wiki.maemo.or[...]
Mæmo
2013-06-10
[2]
웹사이트
Trademark
http://maemo.org/leg[...]
Maemo
2009-08-29
[3]
뉴스
Full Text: Nokia CEO Stephen Elop's 'Burning Platform' Memo
http://blogs.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1-02-09
[4]
뉴스
The story of Nokia's Maemo and MeeGo
https://www.osnews.c[...]
OS News
2012-10-11
[5]
간행물
The story of Nokia MeeGo
http://taskumuro.com[...]
2012-10-11
[6]
웹사이트
Maemo OS - definition - GSMArena.com
https://m.gsmarena.c[...]
2024-09-11
[7]
간행물
Hildon Foundation
http://hildonfoundat[...]
2013-07-13
[8]
간행물
Tizen Experts
Meego experts
2013-07-13
[9]
간행물
Board: TMO forums donated to Hildon Foundation
http://maemo.org/com[...]
Maemo
2013-07-13
[10]
웹사이트
Maemo Leste - Maemo Leste
https://maemo-leste.[...]
2020-05-23
[11]
웹사이트
Nokia N800 INTERNET tablet • reghardware
http://www.reghardwa[...]
Reghardware.co.uk
2011-12-16
[12]
웹사이트
Flickr Photo Download: My Nokia #N900 Panoramic Desktop
https://www.flickr.c[...]
Flickr.com
2010-01-01
[13]
웹사이트
Panorama desktops
http://maemo.nokia.c[...]
maemo.nokia.com
2009-09-16
[14]
Youtube
YouTube – Nokia N900 hands-on
https://www.youtube.[...]
YouTube, LLC
2009-09-16
[15]
Youtube
YouTube – Hands-on with Nokia N900
https://www.youtube.[...]
YouTube, LLC
2009-09-16
[16]
웹사이트
Ars Technica review of the N800
https://arstechnica.[...]
Arstechnica.com
2010-12-08
[17]
문서
Announcement - PR1.3.1 official security update - maemo.org - Talk
http://talk.maemo.or[...]
Talk.maemo.org
2013-07-13
[18]
문서
Community SSU - maemo.org wiki
http://wiki.maemo.or[...]
Wiki.maemo.org
2013-07-13
[19]
웹사이트
"It's Official N810 WiMAX Announced"
http://www.internett[...]
Internettablettalk.com
2010-12-08
[20]
웹사이트
Nokia and Maemo in the new GNOME mobile context
http://www.slideshar[...]
2008-04-28
[21]
웹사이트
maemo 4 Quick Start Guide
http://maemo.org/dev[...]
Nokia
2011-04-16
[22]
웹사이트
Internet Tablet OS 2008 edition User Guide
http://nds1.nokia.co[...]
Nokia
2009-06-24
[23]
웹사이트
Getting Started
http://maemo.org/mae[...]
Nokia
2008-08-15
[24]
웹사이트
What is Maemo?
http://maemo.org/mae[...]
Nokia
2008-08-14
[25]
간행물
Re: Systemtap testsuite report for arm architecture
http://sources.redha[...]
2008-04-28
[26]
간행물
4.x
http://maemo.org/dev[...]
Maemo
[27]
웹사이트
N900 and Maemo5 playing vp8/webm live stream
http://zaheer.merali[...]
Merali
2010-12-08
[28]
간행물
Freeing
http://wiki.maemo.or[...]
Maemo
[29]
간행물
N810 Specifications
Nokia
[30]
웹사이트
Fremantle Stars
http://wiki.maemo.or[...]
Nokia
2009-09-16
[31]
웹사이트
ScummVM
http://maemo.org/dow[...]
Maemo
2010-07-14
[32]
간행물
Fennec
https://wiki.mozilla[...]
Mozilla
[33]
웹사이트
README – maemo-optify in Maemo Application Framework
http://gitorious.org[...]
Shortcut AS
2009-09-17
[34]
웹사이트
Maemo – Jalimo
http://wiki.evolvis.[...]
Wiki.evolvis.org
2010-12-08
[35]
웹사이트
Overview of the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using the maemo SDK environment
http://maemo.org/mae[...]
[36]
웹사이트
Maemo Harmattan Qt And More
http://www.slideshar[...]
SlideShare Inc.
2009-07-04
[37]
웹사이트
Device Specifications
http://www.forum.nok[...]
Forum.nokia.com
2010-12-01
[38]
웹사이트
Debian Maemo packaging team
http://wiki.debian.o[...]
Wiki.debian.org
2009-03-16
[39]
웹사이트
770 Device Profile
http://linuxdevices.[...]
[40]
웹사이트
Nokia – The Nokia 770 Internet Tablet adds Internet calls and Instant Messaging support
http://press.nokia.c[...]
Press.nokia.com
2006-05-16
[41]
웹사이트
Nokia 770 Tablet 'OS 2006' arrives
http://www.linuxdevi[...]
[42]
article
USB in OS2008
http://w.ibrado.org/[...]
Ibrado
[43]
Web log
Forum: USB On-The-Go
http://blogs.forum.n[...]
Nokia
[44]
웹사이트
N810: OS2008 features
http://europe.nokia.[...]
Nokia
[45]
mailing list
Developers, Frequencies scaling with OS2008
http://lists.maemo.o[...]
Maemo
[46]
웹사이트
Codenames
http://wiki.maemo.or[...]
Maemo
2008-06-25
[47]
웹사이트
OS2008 Feature Upgrade: reflash your tablet (for the last time?)
http://maemo.org/new[...]
Maemo
2010-12-08
[48]
웹사이트
What do we know about Diablo (Maemo 4.1)
http://www.internett[...]
2008-04-28
[49]
웹사이트
A not so modest update to email is coming
http://www.maemoapps[...]
2008-04-28
[50]
웹사이트
Interview with Urho Konttori
http://www.nseries.c[...]
N series
2010-12-08
[51]
웹사이트
No consistency on scrolling/scrollbars in bundled OS2008 applications
https://bugs.maemo.o[...]
Maemo
2011-12-16
[52]
웹사이트
Mouse support (Bluetooth and on 770 USB support)
https://bugs.maemo.o[...]
Maemo
2011-12-16
[53]
웹사이트
OSiM Maemo Developer Session
http://www.internett[...]
Internet tablet talk
2010-12-08
[54]
wiki
Fremantle
https://wiki.maemo.o[...]
Maemo
2011-12-16
[55]
웹사이트
Comment
http://talk.maemo.or[...]
Maemo
2010-12-08
[56]
Web log
Mer – a Mobile Linux Distribution
http://mer-project.b[...]
2009-11-10
[57]
웹사이트
Root access
http://wiki.maemo.or[...]
Mæmo
2013-06-10
[58]
Web log
Software freedom lovers: here comes Maemo 5
http://flors.wordpre[...]
WordPress
2009-09-16
[59]
웹사이트
Software: Browser
http://maemo.nokia.c[...]
Nokia
2010-01-01
[60]
웹사이트
Software: Phone
http://maemo.nokia.c[...]
Nokia
2009-09-16
[61]
웹사이트
Now it's official: Maemo 5 and the N900 launch!
http://talk.maemo.or[...]
Nokia
2009-09-18
[62]
Youtube
YouTube – Who will create applications for Nokia N900?
https://www.youtube.[...]
Google
2009-09-16
[63]
웹사이트
What is PUSH N900
http://blogs.nokia.c[...]
Nokia
2009-09-16
[64]
웹사이트
Complete Maemo 5 Software Directory
http://my-maemo.com/[...]
My Maemo
2011-12-16
[65]
웹사이트
NLnet Maemo Leste
https://nlnet.nl/pro[...]
2024-01-05
[66]
웹사이트
Maemo Leste - Standing on the shoulders of giants - Maemo Leste
https://maemo-leste.[...]
[67]
웹사이트
Maemo Leste - Five year anniversary and Chimaera release
https://maemo-leste.[...]
2024-01-05
[68]
문서
We're getting some feedback .. and we've got a plan now
http://jaaksi.blogsp[...]
[69]
문서
First release of OS 2007 / 770 hacker edition out
http://www.notacloud[...]
[70]
문서
Internet Tablet Hacker Edition pushed at Chinook level
http://maemo.org/new[...]
[71]
웹사이트
KDE/Koffice Install made easy for everyone
http://www.internett[...]
Internettablettalk.com
2010-12-08
[72]
웹사이트
OPENBOX-ROX Now Available
http://www.internett[...]
Internettablettalk.com
2010-12-08
[73]
웹사이트
XFCE Available
http://www.internett[...]
Internettablettalk.com
2010-12-08
[74]
웹사이트
Why Not Skip Ahead? (KDE4 for ITs)
http://geekpenguin.b[...]
Geekpenguin.blogspot.com
2008-04-22
[75]
웹사이트
Easy Debian moves to Extras
http://qole.blogspot[...]
2008-10-12
[76]
웹사이트
MeeGo hardware adaptation for N8x0 – maemo.org – Talk
http://talk.maemo.or[...]
Talk.maemo.org
2010-07-14
[77]
웹사이트
Unofficial MeeGo hardware adaptation for Nokia N8x0
http://forum.meego.c[...]
meego.com
[78]
웹사이트
Brief status of 'MeeGo to N900' project – maemo.org – Talk
http://talk.maemo.or[...]
Talk.maemo.org
2010-04-22
[79]
웹사이트
Maemo Harmattan Qt and More
http://www.slideshar[...]
Slideshare.net
2009-07-04
[80]
웹사이트
Bug 1046 – RFE: Power Management Profiles (AC/Battery, Timed, Environment and screen saver)
https://bugs.maemo.o[...]
Bugs.maemo.org
2011-12-16
[81]
웹사이트
Qt to be supported in addition to GTK+
http://maemo.org/new[...]
2008-04-15
[82]
웹사이트
CTIA and Qt
http://jaaksi.blogsp[...]
2008-04-14
[83]
웹사이트
Gnomes, trolls and the Maemo lands
http://flors.wordpre[...]
2008-01-29
[84]
웹사이트
Nokia Internet Tablets get Ubuntu and Qt
https://arstechnica.[...]
2008-04-23
[85]
웹사이트
digesting the Trolltech acquisition
http://www.kdedevelo[...]
2008-01-28
[86]
웹사이트
Trolltech, Linux, Open Source, the future?
http://blogs.forum.n[...]
2008-02-03
[87]
웹사이트
Maemo 5/PR1.1
http://wiki.maemo.or[...]
Maemo
2010-07-14
[88]
웹사이트
Maemo 5/PR1.1.1
http://wiki.maemo.or[...]
Maemo
2010-07-14
[89]
웹사이트
The N900 (With PR 1.2) Launches in Hong Kong with an Awesome Promo Video
http://maemocentral.[...]
Maemo Central
2010-04-30
[90]
웹사이트
Maemo 5/PR1.2
http://wiki.maemo.or[...]
Maemo
2010-07-14
[91]
웹사이트
MeeGo v1.0 Core Software Platform & Netbook User Experience project release
http://meego.com/com[...]
Meego.com
2010-12-08
[92]
웹사이트
Summit
http://wiki.maemo.or[...]
Maemo
2009-10-09
[93]
뉴스
Register Hardware review of the N800
http://www.reghardwa[...]
[94]
뉴스
Ars Technica review of the N800
http://arstechnica.c[...]
[95]
웹사이트
maemo Technology Overview - Maemo Platform Overview
http://maemo.org/dev[...]
Nokia Corporation
2009-06-08
[96]
간행물
Re: Systemtap testsuite report for arm architecture
http://sources.redha[...]
2008-04-01
[97]
문서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for maemo SDK
http://maemo.org/dev[...]
[98]
문서
List of bundled applications
http://nokia.us/A462[...]
[99]
웹사이트
Easy Debian moves to Extras
https://qole.blogspo[...]
2008-10-12
[100]
문서
Maemo - Jalimo
http://wiki.evolvis.[...]
[101]
문서
Device Specifications
http://www.forum.nok[...]
[102]
문서
Debian Maemo packaging team
http://wiki.debian.o[...]
[103]
wiki
Fremantle closed packages
http://wiki.maemo.or[...]
Mæmo
2013-06-10
[104]
웹인용
Maemo Trademark
http://maemo.org/leg[...]
Maemo.org
2008-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