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랴오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랴오향은 타이완 윈린 현 북서부에 위치한 향으로, 북쪽으로는 줘수이시를 경계로 장화 현, 남쪽으로는 신후웨이시를 경계로 타이시 향, 둥스 향, 바오중 향과 접한다. 2023년 2월 기준 49,298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면적은 80.1668 km²이다. 한족 이주 전에는 원주민의 활동 지역이었으며, 해풍항을 중심으로 발전하다가 하천 퇴적으로 인해 마이랴오로 상업 중심지가 이동했다. 1946년 룬베이 향에서 분리되어 마이랴오향이 성립되었으며, 현재는 포모사 마이랴오 정유 공장과 마이랴오 발전소, 자이 버스 노선, 17번 및 61번 성도 등의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공번사, 영안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윈린현의 행정 구역 - 더우류시
    더우류시는 중화민국 윈린 현의 행정과 입법 중심지인 현할시로, 아열대 기후와 비옥한 토양을 바탕으로 농업과 공업이 발달했으며 다양한 축제와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 윈린현의 행정 구역 - 후웨이진
    후웨이진은 대만 윈린현에 위치한 도시로, 제당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후웨이 제당 공장, 후웨이 철교 등의 관광지가 있으며 일본 오마정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마이랴오향 - [지명]에 관한 문서

2. 지리

마이랴오 향은 윈린현의 북서부에 위치한다. 2023년 2월 기준 인구는 49,298명이며[2], 면적은 80.1668km2이다. 북쪽은 줘수이시(濁水渓)를 사이에 두고 장화 현 다청 향과 접하고, 남쪽은 신후웨이시(新虎尾溪)를 사이에 두고 타이시 향, 둥스 향 및 바오중 향과 접한다. 동쪽으로는 룬베이 향과 접하며, 서쪽은 타이완 해협에 면하고 있다. 연안부는 대륙붕이 펼쳐져 해양 자원이 풍부하고 어업 발전에 유리한 환경이다.

마이랴오 해안 지역 지도 (1944년)

3. 역사

마이랴오향의 역사는 대만 원주민인 화안야족의 활동 시기부터 시작된다. 청나라 통치 시기 한족 이주민들이 들어와 초기에는 '해풍항'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상업 중심지가 현재의 마이랴오 지역으로 옮겨왔다. 이 시기 보리와 밀의 집산지였던 것에서 '맥료'(麥寮)라는 지명이 유래했다. 1887년 대만성과 운림현 설치 이후 행정 구역 변화를 겪었으며, 일제 강점기에는 1920년 지방 제도 개혁으로 대남주 호미군 륜배장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46년에는 룬베이 향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마이랴오향'이 되었고, 1950년 운림현이 신설되면서 현재와 같이 운림현 소속이 되었다.

3. 1. 한족 이주 이전

맥료향은 한족이 이주하기 전에는 화안야족 남사 및 묘아간사의 활동 범위였다.

3. 2. 한족 이주와 발전

한족이 대만으로 이주하기 전, 마이랴오향 지역은 원주민인 화안야족의 남사(南社) 및 묘아간사(貓兒干社) 부족의 활동 영역이었다. 한족에 의한 대만 개발이 시작되면서 초기에는 '해풍항'(海豐港)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졌고, 청나라 강희 연간(1662년~1722년)에는 연안 무역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로 발전했다.

'해풍항'은 『대만부지』(臺灣府志)라는 기록에는 '해방항'(海防港)으로 적혀 있다. 1730년에는 진(陳), 장(張), 석(石) 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마이랴오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732년 무렵에는 섬 내부 무역의 거점으로 번성했으며, 항구의 수심이 깊어 배들이 피난하기 좋은 피난항으로서의 역할도 했다. 이 시기에는 상점들이 발달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건륭 연간(1736년~1795년) 말부터 가경 초년(1796년~1820년)에 걸쳐서는 중국 천주(泉州) 출신 사람들에 의해 교두(橋頭), 사륜후(四崙後), 시착료(施厝寮), 뢰착(雷厝), 허착(許厝) 등의 지역이 개척되었다. 건륭 중기에 하천 정비 사업으로 신호미계가 만들어졌을 때 발생한 홍수로 인해 해풍항은 큰 피해를 입었고, 이후 상업의 중심지는 북서쪽에 위치한 '맥료'(麥寮) 지역으로 옮겨갔다. 당시 맥료는 신호미계 하구에 위치하고 항만이 있어 중국 대륙과의 무역선이 모여들었다. 또한 이 지역에서 보리와 밀이 많이 생산되어 그 집산지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맥자료'(麥仔簝)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후 하천에서 밀려온 흙과 모래가 쌓여 항구가 막히자, '맥자료'는 점차 지역 전체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사용되었고, 후에 '맥료'(麥寮)로 표기가 바뀌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887년, 대만성이 설치되고 동시에 운림현이 생기면서, 마이랴오 지역은 대만성 대만부 운림현 해풍항보(海豐港堡) 및 포서서보(布嶼西堡) 흥화착장(興化厝庄)에 속하게 되었다. 당시 해풍보는 현재의 대서향 전역, 동세향의 동세착, 우포두, 하허착료 지역과, 마이랴오향의 흥화착을 제외한 나머지 전역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었다. 1888년에는 해풍항보에서 '항'(港) 자를 빼고 '해풍보'(海豐堡)라고 부르게 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인 1909년 10월, 대만의 지방 제도가 개편되어 12개의 청(廳)이 설치되자, 마이랴오 지역은 흥화착장이 가의청(嘉義廳) 서라지청(西螺支廳) 륜배구(崙背區)에, 그 외 지역은 가의청 서라지청 맥료구(麥寮區)로 나뉘었다. 맥료구의 행정 중심지(구역소)는 해풍보 맥료장(麥寮庄)에 설치되었고, 해풍보 내의 맥료장, 사륜후장, 교두장, 뢰착장, 시착료장, 허착료장을 관할했다. 1920년에는 더 큰 규모의 지방 제도 개혁이 이루어져 행정 구역이 5주(州) 2청으로 재편되었다. 이때 청은 주로, 지청은 군(郡) 또는 시(市)로 바뀌었고, '맥료'(麥簝)는 쓰기 쉬운 글자인 '맥료'(麥寮)로 바뀌어 대남주 호미군(虎尾郡) 륜배장(崙背庄)의 일부가 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대남주가 대남현으로 개칭되고, 군(郡)은 구(區)로, 장(庄)은 향(鄉) 또는 진(鎮)으로 변경되면서, 마이랴오 지역은 대남현 후웨이구(虎尾區) 륜배향(崙背鄉) 소속의 '맥료'(麥寮)로 개편되었으며, 동시에 남촌(南村)과 북촌(北村)으로 나뉘었다. 당시 마이랴오는 륜배향의 중심지에서 10km 이상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주민들 사이에서 독립적인 향으로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커졌다. 결국 1946년에 륜배향에서 분리되어 '마이랴오향'(麥寮鄉)이 정식으로 성립되었다. 1950년 운림현이 신설되면서, 기존 대남현에 속했던 후웨이(虎尾), 베이강(北港), 둥스(東石) 3개 구가 운림현으로 편입되었고, 마이랴오향도 운림현 소속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3. 청나라 통치 시기

한족이 들어오기 전, 마이랴오향 지역은 화안야족의 남사(南社) 및 묘아간사(貓兒干社) 부족의 활동 범위였다.[1] 청나라대만을 통치하기 시작하면서 한족에 의한 개발이 시작되었고, 초기에는 '해풍항'(海豐港)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해풍항은 『대만부지』(臺灣府志)에서 '해방항'(海防港)으로 기록되기도 했다.[1] 강희 연간(1662년~1722년)에는 해풍항이 연안 무역의 중요한 거점 중 하나로 발전했다.[1]

1730년에는 진(陳), 장(張), 석(石)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마이랴오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1] 1732년 무렵 해풍항은 대만 섬 내 무역의 거점으로 번성했으며, 항구 수심이 깊어 배들이 피난하기 좋은 피난항으로서의 역할도 했다. 이 시기에는 상점들도 발달했다.[1] 건륭 연간(1736년~1795년) 말부터 가경 연간(1796년~1820년) 초에 걸쳐서는 천주 출신 사람들이 교두(橋頭), 사륜후(四崙後), 시착료(施厝寮), 뢰착(雷厝), 허착(許厝) 등의 지역을 개척해 나갔다.[1]

건륭 중기에 하천 정비 사업으로 신호미계(新虎尾溪)가 만들어졌는데, 이때 발생한 홍수로 해풍항은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사건 이후 상업의 중심지는 북서쪽에 위치한 마이랴오 지역으로 옮겨갔다.[1] 당시 마이랴오는 신호미계 하구에 위치하고 항만이 있어 중국 대륙과의 무역선이 모여들었다. 또한 이 지역에서 보리와 밀이 많이 생산되어 그 집산지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맥자료'(麥仔寮, 보리 움막)라고 불리게 되었다.[1] 이후 하천 퇴적물로 항구가 점차 막히면서 '맥자료'는 지역 전체를 가리키는 지명이 되었고, '맥료가'(麥寮街)를 거쳐 현재의 '맥료'(麥寮)라는 이름으로 굳어졌다.[1]

1887년, 대만성이 설치되고 동시에 운림현이 신설되자, 마이랴오 지역은 대만성 대만부 운림현 해풍항보(海豐港堡) 및 포서서보(布嶼西堡) 흥화착장(興化厝庄)에 속하게 되었다.[1] 당시 해풍보는 현재의 대서향 전역, 동세향의 동세착, 우포두, 하허착료 지역과 마이랴오향의 흥화착을 제외한 전역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었다.[1] 1888년에는 해풍항보에서 '항'(港) 자를 빼고 '해풍보'(海豐堡)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3. 4. 일제강점기

1895년부터 시작된 일제강점기 동안 마이랴오 지역에도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1909년 10월, 대만총독부는 지방 제도를 개혁하여 대만 전역에 12개 청(廳)을 설치했다.[1] 이때 마이랴오 지역은 대부분 자이청(嘉義廳) 서뤄지청(西螺支廳) 마이랴오구(麥寮區)에 속하게 되었고, 흥화랴오장(興化寮庄)만이 룬베이구(崙背區)에 편입되었다.[1] 마이랴오구의 구역소(區役所, 오늘날의 구청에 해당)는 하이펑보(海豐堡) 마이랴오장(麥寮庄)에 설치되었으며, 하이펑보 내의 마이랴오장, 스룬허우장(四崙後庄), 차오터우장(橋頭庄), 레이춰장(雷厝庄), 스춰랴오장(施厝寮庄), 쉬춰랴오장(許厝寮庄)을 관할했다.[1]

이후 1920년에 더 큰 규모의 지방 제도 개편이 시행되어, 기존의 청(廳)과 지청(支廳)을 각각 주(州)와 군(郡)/시(市)로 바꾸는 5주 2청 제도가 도입되었다.[1] 이 개편으로 마이랴오(麥寮)라는 지명 표기가 유지되었으며[1], 행정 구역상으로는 다이난주(臺南州) 고비군(虎尾郡) 룬베이장(崙背庄)에 속하게 되었다.[1] 이러한 행정 체제는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이어졌다.

3. 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대만의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대남주는 대남현으로, 군(郡)은 구(區)로, 장(庄)은 향진(鄉鎮)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당시 '륜배장 맥료'였던 이곳은 '대남현 호미구 륜배향 맥료'로 개칭되었으며, 동시에 남촌과 북촌으로 나뉘었다. 당시 맥료 지역은 룬베이 향의 중심지에서 10km 이상 떨어져 있어 행정적으로 불편함이 있었고, 이로 인해 독자적인 향(鄉)으로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결국 1946년에 룬베이 향에서 분리되어 마이랴오 향(麥寮鄉|마이랴오샹중국어)이 정식으로 성립되었다. 이후 1950년에는 운림현이 새롭게 설치되면서, 기존 대남현에 속했던 호미(虎尾), 북항(北港) 등 3개 구(區)가 운림현으로 이관되었다. 마이랴오 향 역시 이때 운림현 소속으로 변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4. 행정 구역

wikitext

리(里)
삼성리三盛村중국어·중흥리中興村중국어·후안리後安村중국어·해풍리海豊村중국어·맥진리麦津村중국어·맥풍리麦豊村중국어·와요리瓦磘村중국어·륜후리崙後村중국어·흥화리興華村중국어·시착리施厝村중국어·교두리橋頭村중국어·뢰착리雷厝村중국어·신길리新吉村중국어


5. 경제

마이랴오향의 주요 산업은 하루 40만 배럴의 원유를 처리하는 정유 공장인 포모사 마이랴오 정유 공장이다. 이 정유 공장은 향 내의 항구를 통해 상품을 수출한다. 연안부는 대륙붕이 펼쳐져 해양 자원이 풍부하여 어업 발전에 유리한 환경이기도 하다.


  • 마이랴오 발전소
  • 마이랴오 정유 공장

6. 교육

윈린 마이랴오 국민소학교 양저 분교

  • 윈린현립 마이랴오 국민중학교
  • 윈린현립 마이랴오 국민소학교
  • 윈린현립 챠오토우 국민소학교
  • 윈린현립 밍리 국민소학교
  • 윈린현립 싱화 국민소학교
  • 윈린현립 펑안 국민소학교

7. 교통

wikitext

종류노선명기타
자이 버스 로고
자이 버스
7701 자이-마이랴오
성도17번 성도
성도61번 성도


8. 관광

양조영안궁

  • 공번사
  • 영안사
  • 맥료공범궁
  • 교두태안궁
  • 맥료진남궁
  • 탁수계 습지
  • 후안복흥궁
  • 사륜후북현궁

9. 유명 출신 인물


  • 쉬리밍, 가오슝 시장 대행 (2018)

참조

[1] 웹사이트 Talking About Mailiao http://www.mlvillage[...] 2016-05-31
[2] 웹사이트 雲林縣戶政入口資訊網-統計資訊-鄉鎮市人口數 https://household.yu[...] 2022-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