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하디 보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하디 보이스 경(1931–2023)은 뉴질랜드의 변호사, 법관, 그리고 제16대 뉴질랜드 총독이었다. 그는 1931년 웰링턴에서 태어나 빅토리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변호사로 경력을 시작하여 아버지의 법률 회사에서 파트너로 일했다. 1980년 뉴질랜드 고등 법원 판사가 되었고, 1989년 뉴질랜드 항소 법원 판사로 승진, 1996년에는 뉴질랜드 총독으로 임명되어 2001년까지 재임했다. 총독 재임 기간 동안 그는 헌법적, 의례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남태평양 지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했다. 퇴임 후에는 키리바시 항소 법원 판사로 활동했으며, 2023년 와이카나에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울프슨 칼리지 교수 - 키리 테 카나와
키리 테 카나와는 뉴질랜드 출신의 세계적인 소프라노 가수로, 메조소프라노에서 소프라노로 전향하여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세계적인 오페라 극장에서 활동했고, 찰스 3세와 다이애나 스펜서의 결혼식 축가, 그래미상 수상 등으로 유명하며, 오페라 은퇴 후에도 콘서트, 리사이틀, 젊은 음악가 육성 등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뉴질랜드의 군주주의자 - 러셀 크로
러셀 크로는 뉴질랜드 태생으로 호주 국적을 가진 배우, 음악가, 영화 감독이며, 2000년 영화 《글래디에이터》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록 밴드 활동과 영화 감독 데뷔, 럭비 리그 팀 공동 구단주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지만, 논란 또한 끊이지 않는다. - 뉴질랜드의 군주주의자 - 크리스토퍼 럭슨
크리스토퍼 럭슨은 2023년부터 뉴질랜드의 총리를 역임하고 있으며, 유니레버와 에어뉴질랜드 CEO를 거쳐 2020년 국회의원에 당선된 사회 보수주의 성향의 정치인이다. - 뉴질랜드의 정치인 - 데이비드 롱이
뉴질랜드의 제32대 총리이자 노동당 당수였던 데이비드 롱은 급진적인 경제 개혁인 로저노믹스를 단행하고 강력한 반핵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동성애 법 개혁 및 마오리어 공식 언어 지정 등 사회 개혁에도 힘썼다. - 뉴질랜드의 정치인 - 주디스 콜린스
주디스 콜린스는 뉴질랜드의 변호사 출신 정치인으로, 국민당 소속 국회의원으로서 여러 장관직을 거쳤으며, 2020년에는 국민당 당수를 역임했으나, 2023년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하여 7개 부처 장관직을 동시에 맡았다.
마이클 하디 보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더 라이트 아너러블 |
이름 | 마이클 하디 보이스 경 |
출생일 | 1931년 10월 6일 |
출생지 | 뉴질랜드 웰링턴 |
사망일 | 2023년 12월 29일 |
사망지 | 와이카나에 |
친척 | 레지널드 하디 보이스 (아버지) |
직업 | 변호사, 판사 |
정치 경력 | |
직위 | 뉴질랜드의 총독 |
대수 | 17대 |
임기 시작 | 1996년 3월 21일 |
임기 종료 | 2001년 3월 21일 |
총리 | 짐 볼저 제니 시플리 헬렌 클라크 |
군주 | 엘리자베스 2세 |
이전 총독 | 데임 캐서린 티자드 |
다음 총독 | 데임 실비아 카트라이트 |
2. 초기 생애 및 가족
하디 보이스는 1931년 웰링턴에서 태어나 웰링턴 칼리지를 졸업하고, 1954년 빅토리아 대학교에서 문학사 및 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 1957년 옥타비우스 해드필드의 증손녀인 메리 조라브와 결혼하여 두 아들과 두 딸을 두었다.[1][4]
2. 1. 출생 및 가계
하디 보이스는 1931년 웰링턴에서 에디스 메이 (결혼 전 성은 베넷)와 레지널드 하디 보이스(1903–1970)의 아들로 태어났다.[1] 아버지 레지널드 하디 보이스는 변호사였으며, 후에 최고 법원 판사가 되었다.[2][3] 하디 보이스는 하타이타이 학교와 웰링턴 칼리지를 거쳐 1954년 빅토리아 대학교에서 문학사 및 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 1957년에는 옥타비우스 해드필드의 증손녀인 메리 조라브와 결혼했으며,[1][4] 슬하에 두 아들과 두 딸을 두었다.[1]2. 2. 학창 시절
하디 보이스는 1931년 웰링턴에서 에디스 메이(결혼 전 성은 베넷)와 레지널드 하디 보이스(1903–1970)의 아들로 태어났다.[1][2] 아버지 레지널드 하디 보이스는 변호사였으며, 나중에는 최고 법원 판사가 되었다.[2][3] 하디 보이스는 하타이타이 학교와 웰링턴 칼리지를 거쳐 1954년 빅토리아 대학교에서 문학사 및 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1] 1957년 옥타비우스 해드필드의 증손녀인 메리 조라브와 결혼했으며,[1][4] 슬하에 두 아들과 두 딸을 두었다.[1]2. 3. 결혼 및 자녀
하디 보이스는 1957년 옥타비우스 해드필드의 증손녀인 메리 조라브와 결혼했다.[1][4] 슬하에 두 아들과 두 딸을 두었다.[1]3. 법조 경력
하디 보이스는 변호사로서 부친의 법률 회사에서 파트너로 일했으며, 이후 뉴질랜드 고등 법원 및 뉴질랜드 항소 법원 판사, 영국 추밀원 위원 등을 역임하며 법조 경력을 쌓았다.[1][6]
3. 1. 변호사 시절
하디 보이스는 부친의 법률 회사에서 파트너 변호사로 일했으며, 이후 이 회사는 스콧 하디 보이스 앤 모리슨으로 개명되었다.[1] 그는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웰링턴 지방 법원 변호사 협의회에서 활동했고, 1979년에는 회장을 역임했다. 또한 1976년부터 1979년까지 뉴질랜드 법률 협회 협의회에서도 활동했다. 뉴질랜드 법률 협회에서는 법률 지원 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1978년에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5]3. 2. 판사 시절
하디 보이스는 1980년 뉴질랜드 고등 법원의 판사가 되었다(1980년 이전에는 대법원이었으며, 그는 부친이 근무했던 법원에서 재판을 진행했다).[6] 1989년에는 뉴질랜드 항소 법원으로 승진했으며, 영국 추밀원 의원이 되었다.[6] 1994년에는 그레이스 인의 명예 벤처로 선출되었으며, 1995년에는 울프슨 칼리지, 케임브리지의 명예 펠로우가 되었다.[7] 그는 울프슨의 객원 연구원이기도 했다.[7]1980년 뉴질랜드 고등 법원 판사에 임명되었다. 1989년 뉴질랜드 항소 법원 판사, 추밀원 위원에 임명되었다. 1995년 법조 대학원 평의원에 임명되었다. 1996년 새해 훈장 (뉴질랜드)에서 성 미카엘 및 성 조지 훈장의 기사 대십자 훈장을 받았다.[7]
4. 뉴질랜드 총독
1996년 3월 21일, 하디 보이스는 짐 볼저 총리의 지명으로 엘리자베스 2세 뉴질랜드 여왕에 의해 뉴질랜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996년 총선은 최초의 혼합식 비례대표제(MMP) 선거가 될 것이었으므로, 헌법에 대한 이해가 있는 변호사의 임명이 바람직했다.[5][8]
1996년 여왕 생일 서훈에서 뉴질랜드 공로 훈장 기사단 대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1996년 4월에는 예루살렘 성 요한 기사단 기사로 임명되었다.[11][12]
4. 1. 임명 배경
1996년 3월 21일, 하디 보이스는 짐 볼저 총리의 조언에 따라 엘리자베스 2세 뉴질랜드 여왕에 의해 뉴질랜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다가오는 1996년 총선은 최초의 혼합식 비례대표제(MMP) 선거가 될 것이었으므로, 헌법에 대한 이해가 있는 변호사의 임명이 바람직했다.[5][8] 볼저는 당시 의회에 대표성을 가진 모든 정당 대표들에게 통보하여 폭넓은 초당적 지지를 확보했다. 이후의 임명에서는 다른 정당 대표들에게 발표 직전에 통보하거나, 아예 통보하지 않았다.[9]1996년 5월, MMP 도입 직전, 하디 보이스는 선거 결과가 불분명할 경우 자신의 역할이 제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정부를 이끌 사람이 누구인지를 개인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선출된 정치인들의 조언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10]
4. 2. 헌법적 역할
1996년 3월 21일, 하디 보이스는 총리 짐 볼저의 조언에 따라 뉴질랜드 여왕인 엘리자베스 2세에 의해 뉴질랜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다가오는 1996년 총선은 최초의 혼합식 비례대표제(MMP) 선거가 될 것이었기 때문에, 헌법에 대한 이해가 있는 변호사의 임명이 바람직했다.[5][8] 볼저는 당시 의회에 대표성을 가진 모든 정당 대표들에게 통보하여 폭넓은 초당적 지지를 확보했다. 이후의 임명에서는, 다른 정당 대표들에게 발표 직전에, 혹은 전혀 통보되지 않았다.[9]1996년 5월, MMP 도입 직전, 하디 보이스는 선거 결과가 불분명할 경우 자신의 역할이 제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정부를 이끌 사람이 누구인지를 개인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선출된 정치인들의 조언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10]
총독으로서 하디 보이스는 뉴질랜드의 관례에 따라 헌법적, 의례적, 그리고 사회적 기능을 수행했다. 헌법적 임무에는 각 의회 회기 시작 시 의회 소집, 이러한 개회식의 일부로서 총리의 어좌 연설 전달, 의회에서 통과된 법안에 서명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의례적 임무에는 왕실 훈장 수여와 임기 종료 시 의회를 휴회시키는 것이 포함되었다. 사회적 임무에는 국가의 많은 단체들을 후원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5]
4. 3. 주요 활동
1996년 3월 21일, 하디 보이스는 짐 볼저 총리의 조언에 따라 엘리자베스 2세 뉴질랜드 여왕에 의해 뉴질랜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곧 있을 1996년 총선은 최초의 혼합식 비례대표제(MMP) 선거였기 때문에, 헌법에 대한 이해가 있는 변호사의 임명이 바람직했다.[5][8] 볼저는 당시 의회에 대표성을 가진 모든 정당 대표들에게 통보하여 폭넓은 초당적 지지를 확보했다.[9]1996년 5월, MMP 도입 직전, 하디 보이스는 선거 결과가 불분명할 경우 자신의 역할이 제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정부를 이끌 사람이 누구인지를 개인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선출된 정치인들의 조언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10]
1996년 여왕 생일 서훈에서, 하디 보이스는 최초로 뉴질랜드 공로 훈장 기사단 대십자 훈장을 받았다.[11] 그는 또한 1996년 4월에 예루살렘 성 요한 기사단 기사로 임명되었다.[12]
1996년, 그는 청소년부 장관 데보라 모리스가 젊은이들이 피임 도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여 논란이 되었다.[13] 2001년에는 클라크 노동 정부가 왕립 뉴질랜드 공군의 공중 방어 부대를 폐지한 것에 대해 암묵적인 비판을 가하여 또 다른 논란을 일으켰다.[13]
총독으로서 하디 보이스는 뉴질랜드의 관례에 따라 헌법적, 의례적, 그리고 사회적 기능을 수행했다. 헌법적 임무에는 각 의회 회기 시작 시 의회 소집, 총리의 어좌 연설 전달, 의회에서 통과된 법안에 서명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의례적 임무에는 왕실 훈장 수여와 임기 종료 시 의회를 휴회시키는 것이 포함되었다. 사회적 임무에는 국가의 많은 단체들을 후원하는 것이 포함되었다.[15]
하디 보이스는 니우에, 토켈라우, 쿡 제도(그는 총독으로 재임)는 물론 통가, 사모아, 피지, 누벨칼레도니,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를 방문하며 남태평양 지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했다. 뉴칼레도니아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방문은 뉴질랜드 총독으로서는 처음이었다.[16] 하디 보이스는 1999년 APEC 오클랜드 정상 회담 기간 동안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을 주최했으며,[17] NATO 창설 50주년을 기념하는 워싱턴 행사에서 뉴질랜드를 대표했다. 그는 2000년 11월 중국을 공식 방문했다.[16]
2001년 3월 21일 임기가 종료되자, 마이클 경과 레이디 하디 보이스는 모두 여왕 봉사 훈장의 추가 동반자가 되었다.[18]
4. 4. 논란
1996년, 하디 보이스는 청소년부 장관 데보라 모리스가 젊은이들이 피임 도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여 논란이 되었다.[13] 2001년에는 클라크 노동 정부가 왕립 뉴질랜드 공군의 공중 방어 부대를 폐지한 것에 대해 암묵적으로 비판하여 또 다른 논란을 일으켰다.[13]4. 5. 퇴임
1996년 총선은 최초의 혼합식 비례대표제 (MMP) 선거였기 때문에, 헌법에 대한 이해가 있는 변호사의 임명이 바람직했다.[5][8] 1996년 5월, MMP 도입 직전, 하디 보이스는 선거 결과가 불분명할 경우 자신의 역할이 제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정부를 이끌 사람이 누구인지를 개인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선출된 정치인들의 조언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10]1996년, 그는 청소년부 장관 데보라 모리스가 젊은이들이 피임 도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여 논란이 일었다.[13] 이후 2001년, 그는 클라크 노동 정부가 왕립 뉴질랜드 공군의 공중 방어 부대를 폐지한 것에 대해 암묵적인 비판을 가하여 또 다른 논란이 일었다.[13]
하디 보이스는 니우에, 토켈라우, 쿡 제도(그는 총독으로 재임)는 물론 통가, 사모아, 피지, 뉴칼레도니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등 남태평양 지역을 광범위하게 여행했다. 뉴칼레도니아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방문은 뉴질랜드 총독으로서는 처음이었다.[16] 1999년 APEC 오클랜드 정상 회담 기간 동안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을 주최했으며,[17] NATO 창설 50주년을 기념하는 워싱턴 행사에서 뉴질랜드를 대표했다. 2000년 11월에는 중국을 공식 방문했다.[16]
2001년 3월 21일 임기가 종료되자, 마이클 경과 레이디 하디 보이스는 모두 여왕 봉사 훈장의 추가 동반자가 되었다.[18]
5. 퇴임 이후
뉴질랜드 총독에서 퇴임한 후, 하디 보이스는 키리바시 항소 법원의 판사로 활동했다.[19] 그는 와이카나에에서 은퇴 생활을 하며 카파누이 학교의 문해력 프로그램에 참여했다.[19]
2004년, 하디 보이스는 뉴질랜드의 공화국 전환에 반대하며 인터뷰에서 "고장난 데가 없으면 고칠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다.[20]
하디 보이스는 2023년 12월 29일 와이카나에에서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9][21][22] 그의 아내 메리 하디 보이스 부인은 2024년 6월 26일, 와이카나에에서 사망했다.[23]
6. 사망
마이클 하디 보이스는 2023년 12월 29일 와이카나에에서 9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9][21][22] 그의 아내 메리 하디 보이스 부인은 2024년 6월 26일, 역시 와이카나에에서 사망했다.[23]
7. 서훈
1931년 10월 6일 웰링턴에서 태어났다. 웰링턴의 명문 고등학교인 웰링턴 칼리지를 졸업한 후 빅토리아 대학교 웰링턴에 진학하여 문학사 및 법학사 학위를 취득했다.[1]
대학교 졸업 후 변호사가 되었으며, 이후 뉴질랜드 고등 법원에서 근무했다.[1]
1980년 뉴질랜드 고등 법원 판사에 임명되었다. 1989년 항소 법원 판사, 추밀원 위원에 임명되었다. 1995년 법조 대학원 평의원에 임명되었다.[1]
케임브리지 대학교 울프슨 칼리지 객원 펠로우를 거쳐 1995년 명예 펠로우에 임명되었다.[1]
1996년 3월 당시 짐 볼저 총리의 지명을 받아 제17대 뉴질랜드 총독에 취임했다. 1997년 빅토리아 대학교 웰링턴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3월 총독에서 퇴임했다. 같은 해 여왕 공로 훈장을 수여받았다.[1]
총독 퇴임 후 키리바시 고등 법원 판사에 취임했다.[1]
2023년 12월 29일 사망했다. 향년 92세.[1]
8. 문장
마이클 하디 보이스는 2000년 2월 8일 문장원으로부터 문장을 수여받았다.[24][25]
8. 1. 구성
마이클 하디 보이스 경은 2000년 2월 8일 문장원으로부터 생애 지지자를 포함한 문장을 수여받았다.[24][25] 문장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관(Crest): 통나무 위에 가로로 놓인 뉴질랜드 종조가 부리 안에 금색(Or (heraldry)) 닻(Anchor#Anchor as symbol)을 물고 있다.
- 방패(Escutcheon): 두 개의 은색(Argent) 수직 띠(Pale (heraldry)) 사이에 적색(Gules) 바탕에 금색(Or) 굽은 십자(Cross pattée#Variants)가 있고, 각 팔에 적색(Gules) 별(Star (heraldry))이 있으며, 금색(Or) 상단(Chief (heraldry))에 성 에드워드 왕관(St Edward's Crown)과 두 개의 온전한 가발(Court dress)이 있다.
- 지지자(Supporters): 양쪽에 웨카(Weka)가 있다.
- 표어(Motto): Certus et Constansla (확실하고 꾸준함 - 보이스 여단(Boys' Brigade)과 관련)
참조
[1]
서적
Who's Who in New Zealand, 1991
https://books.google[...]
Octopus
[2]
서적
Who's Who in New Zealand, 1961
A.H. & A.W. Reed
[3]
뉴스
Wedding
https://paperspast.n[...]
2024-01-02
[4]
간행물
The governor general and a Primitive Methodist heritage
https://docplayer.ne[...]
2024-01-02
[5]
간행물
Chief Justice pays tribute to Sir Michael Hardie Boys
https://www.courtsof[...]
Chief Justice of New Zealand
2023-12-30
[6]
문서
"Appointments to the Privy Council"
1989-09-14
[7]
뉴스
1995-12-30
[8]
웹사이트
The Rt Hon Sir Michael Hardie Boys, GNZM, GCMG, QSO
https://gg.govt.nz/b[...]
Governor-General of New Zealand
2023-12-30
[9]
서적
The Governors: New Zealand's Governors and Governors-General
http://www.otago.ac.[...]
Otago University Press
2006
[10]
강연
The Role of the Governor-General under MMP
1996-05-24
[11]
웹사이트
Queen's Birthday honours list 1996
https://dpmc.govt.nz[...]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2020-07-20
[12]
뉴스
1996-04-03
[13]
문서
The Governors, New Zealand Governors and Governors-General
Otago University Press
2006-10
[14]
웹사이트
The Queen's visits to New Zealand
https://gg.govt.nz/o[...]
Government House
2024-01-05
[15]
백과사전
Governors and governors-general
https://teara.govt.n[...]
2016-09-28
[16]
강연
PM's address at State farewell for Sir Michael and Lady Hardie Boys
https://www.beehive.[...]
2001-03-21
[17]
웹사이트
President's Trip to New Zealand for APEC Leaders Meeting and State Visit
https://clintonwhite[...]
2024-11-30
[18]
웹사이트
Special Honours Lists – issued 20 and 21 March 2001
https://dpmc.govt.nz[...]
Department of the Prime Minister and Cabinet
2020-07-20
[19]
뉴스
Sir Michael Hardie Boys, former Governor-General, dies
https://www.thepress[...]
2023-12-30
[20]
뉴스
Ditch Queen, say former Governors-General: New Zealand Herald
https://www.nzherald[...]
2004-11-14
[21]
뉴스
Former Governor-General Sir Michael Hardie Boys dies
https://www.rnz.co.n[...]
2023-12-30
[22]
뉴스
Sir Michael Hardie Boys
https://www.legacy.c[...]
2024-01-01
[23]
뉴스
Lady Hardie Boys obituary
https://www.legacy.c[...]
2024-07-01
[24]
문서
TRANSCRIPT OF EXTRACT FROM THE RECORDS OF THE COLLEGE OF ARMS – Grants 166/110 – Grant of Arms, Crest and Supporters to Sir Michael Hardie Boys
College of Arms
[25]
웹사이트
New Zealand elements
https://gg.govt.nz/g[...]
2023-10-26
[26]
웹사이트
Sir Michael Hardie Boys, former Governor-General, dies
https://www.thepress[...]
2023-12-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