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츠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츠야는 물고기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에서 유래된 힌두교 신으로, 비슈누의 첫 번째 아바타로 묘사된다. 마츠야 신화는 베다 시대부터 존재하며, 홍수에서 마누를 구원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다. 이 신화에서 마츠야는 마누에게 홍수를 경고하고 배를 만들어 생존을 돕는 구원자 역할을 한다. 마츠야는 다르마를 수호하고 약자를 보호하는 상징으로, 힌두교의 다양한 경전과 푸라나에서 언급되며, 비슈누의 다샤바타라 목록에서 첫 번째로 꼽힌다. 마츠야는 일반적으로 물고기 또는 인간과 물고기의 혼합 형태로 묘사되며, 숭배는 널리 퍼져 있지는 않지만, 비슈누 신앙의 중요한 부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비다인 - 칸나다인
칸나다인은 인도 카르나타카 주에 거주하며 칸나다어를 사용하는 드라비다 민족으로, 다양한 예술과 전통을 통해 칸나다어와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다. - 드라비다인 - 케랄라주
케랄라주는 인도 남서부의 락샤드위프 해와 서고츠 산맥 사이에 있는 주로서, 기원전 3000년부터 향신료 무역 중심지였으며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높은 문해율, 다양한 문화유산으로 알려져 있다. - 전설의 물고기 - 마카라
마카라는 힌두교와 불교 예술에서 물과 풍요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신화 속 혼종 동물로, 다양한 동물 신체 부위의 결합으로 묘사되며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 전설의 물고기 - 시 비숍
시 비숍은 16세기 유럽에 알려진 기괴한 해양 생물로, 물고기 몸에 주교의 모습을 하고 폴란드-독일 해역 등에서 포획되었다는 기록과 삽화가 남아 있으며, 그 정체는 가시상어 등으로 추정된다.
| 마츠야 | |
|---|---|
| 개요 | |
![]() | |
| 이름 | 마츠야 |
| 데바나가리 문자 | मत्स्य |
| 로마자 표기 | Matsya |
| 의미 | 물고기 |
| 관련 | 비슈누의 아바타라 |
| 역할 | |
| 소속 | 다샤바타라 |
| 배우자 | 락슈미 |
| 무기 | 수다르샤나 차크라, 카우모다키 |
| 만트라 | 옴 나모 바가바테 마츠야 데바야 |
| 축제 | 마츠야 자얀티 |
| 다샤바타라 순서 | |
| 이전 | - |
| 다음 | 쿠르마 |
2. 어원
마츠야라는 신의 이름은 "물고기"를 의미하는 मत्स्य|마츠야sa에서 유래되었다.[6] 모니에르-윌리엄스와 R. 프랑코는 "물고기"를 의미하는 ''matsa''와 ''matsya''라는 단어가 모두 "기뻐하다, 즐거워하다, 환호하다, 기뻐하다 또는 열광하다"를 의미하는 어근 ''mad''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한다. 따라서 matsya는 "기쁜 자"를 의미한다.[7][8][9] 산스크리트어 문법학자이자 어원학자인 야스카(기원전 600년경) 역시 물고기가 서로 잡아먹는 것을 기뻐하기 때문에 ''matsya''로 알려져 있다고 언급한다. 야스카는 또한 ''matsya''의 다른 어원으로 "물에서 떠다니다"를 제시하며, 이는 어근 ''syand''(떠다니다)와 ''madhu''(물)에서 파생되었다고 말한다.[10] 산스크리트어 단어 ''matsya''는 프라크리트어 ''maccha''("물고기")와 동계어이다.[11]
샤타파타 브라마나(야주르 베다) 1.8.1절은 마츠야와 힌두교 홍수 신화를 언급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이 초기 문헌에서 마츠야는 특정 신과 연결되지 않는다.[12]
3. 신화와 경전
이 전설에 따르면, 입법자이자 조상 왕인 마누가 어느 날 몸을 씻으려고 가져온 물에 작은 물고기가 있었다. 물고기는 마누에게 자신을 보호해 주면 다가올 홍수에서 구해 주겠다고 약속한다. 마누는 약속을 받아들여 물고기를 키우다 바다로 보냈고, 물고기는 대홍수 시기를 알리며 배를 만들어 뿔에 묶으라고 한다. 예언된 날 마누는 배를 묶어 물고기와 함께 히말라야 산맥으로 피신한다. 살아남은 마누는 고행과 희생을 통해 생명을 다시 일으키고, 여신 이다와 함께 인간 종족을 시작한다.[13][14]
베다 이야기는 상징적이다. "물고기의 법칙"처럼 약육강식 상황을 암시하며, 마누의 다르마적 보호로 작은 물고기는 성장해 모든 존재를 구한다. 마누의 배는 파괴를 막는 구원 수단이며, 산은 해방의 문을 상징한다.[13][14]
3. 1. 베다 시대의 기원

''샤타파타 브라마나''(Shatapatha Brahmana, ''야주르 베다'')의 1.8.1절은 마츠야와 힌두교의 홍수 신화를 언급하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는 물고기 마츠야를 다른 특정 신과 연관시키지 않는다.
이 전설의 중심 인물은 물고기(마츠야)와 마누이다. 마누는 입법자이자 조상 왕으로 묘사된다. 어느 날, 마누가 몸을 씻기 위해 가져온 물에 작은 물고기가 한 마리 있었다. 물고기는 더 큰 물고기에게 삼켜질까 두려워 마누에게 자신을 보호해달라고 간청하며, 그 대가로 임박한 홍수로부터 마누를 구출하겠다고 약속한다. 마누는 요청을 받아들여 물고기를 물이 담긴 항아리에 넣고 키웠다. 이후 물고기가 자유롭게 자랄 수 있도록 물이 가득한 도랑을 준비하여 옮겼다. 물고기가 충분히 커지자 마누는 바다로 옮겼다.[13] 물고기는 감사를 표하며 대홍수의 시기를 알리고, 그 날까지 뿔에 묶을 수 있는 배를 지으라고 요청한다.
예언된 날, 마누는 배를 가지고 물고기를 찾아가고, 파괴적인 홍수가 닥쳐온다. 마누는 배를 물고기의 뿔에 묶고, 물고기는 마누와 함께 배를 북쪽 산(히말라야 산맥)의 높은 지대로 옮긴다. 유일한 생존자인 마누는 고행과 야즈나(희생)를 통해 생명을 재건한다. 여신 이다가 희생에서 나타나 마누와 함께 인간 종족을 시작한다.[14]
베다 이야기는 상징적이다. 작은 물고기는 "정글의 법칙"과 유사한 인도의 "물고기의 법칙"을, 즉 작고 약한 것은 크고 강한 것에 의해 잡아먹히는 상황을 암시한다.[13]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입법자이자 왕인 마누의 다르마적 보호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나중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마누는 보호를 제공하고, 작은 물고기는 커져서 궁극적으로 모든 존재를 구한다. 마누가 구원자 물고기의 도움을 받기 위해 지은 배는 완전한 파괴를 막고 인간 구원의 수단이 되며, 산은 궁극적인 피난처와 해방으로 가는 문을 나타낸다.[14] 에드워드 워시번 홉킨스는 마누가 물고기를 죽음으로부터 구하는 호의에 대해 물고기가 보답한다고 제안한다.[13]
3. 2. 대홍수에서 마누의 구원자
마하바라타에서 마츠야는 브라흐마와 동일시되며, 마누에게 현자와 곡물을 함께 데려오라고 요청하는 내용이 추가된다.[13][19] 마츠야 푸라나에서는 마츠야가 비슈누와 동일시되며, 마누는 말라야 산맥(남인도 케랄라)에서 고행을 통해 브라흐마의 축복을 받는다. 마츠야는 마누에게 칼파의 종말과 대홍수를 경고하고, 신들이 선물한 배에 모든 생물과 씨앗을 싣도록 한다. 마누는 우주 뱀 셰샤를 물고기의 뿔에 묶고, 마츠야는 배를 이끌며 마누에게 가르침을 전한다.[23][24] 가루다 푸라나와 링가 푸라나에서도 마츠야가 마누를 대홍수에서 구원하는 이야기가 간략하게 언급된다.
3. 3. 베다의 구원자
바가바타 푸라나(Bhagavata Purana)에는 마츠야 이야기에 다른 내용이 추가되었다. 칼파(kalpa)가 끝날 때, 악마 하야그리바(말 목)는 잠자는 브라흐마의 하품에서 나오는 베다(Vedas)를 훔친다. 비슈누는 이 사실을 알고 작은 ''사파리'' 물고기, 즉 마츠야 아바타르의 모습으로 지상에 내려온다. 어느 날, 드라비다(Dravida) 왕 사트야브라타가 타밀 나두의 크리타말라 강에서 의식을 위해 물을 뜨다가 작은 물고기를 발견한다. 물고기는 왕에게 보호를 요청하고, 왕은 물고기를 항아리, 우물, 수조를 거쳐 바다로 옮겨 키운다. 마츠야는 곧 비슈누임을 밝히고, 왕에게 7일 후 대홍수가 닥칠 것을 알린다. 왕은 현자들과 함께 배에 오르고, 마츠야는 악마를 죽이고 베다를 브라흐마에게 돌려준다. 사트야브라타는 바이바스바타 마누(Vaivasvata Manu)가 된다.[25]
아그니 푸라나(Agni Purana)도 크리타말라 강을 배경으로 마츠야가 하야그리바에게서 베다를 구출하는 비슷한 이야기를 전하며, 마하바라타(Mahabharata)처럼 바이바스바타 마누가 모든 씨앗과 현자들을 모으는 것을 언급한다. 또한 ''마츠야 푸라나''의 내용을 덧붙인다.[26]
바라하 푸라나(Varaha Purana)에서는 브라흐마 대신 나리야나(비슈누)가 창조신이다. 나리야나는 우주 물에 잠긴 베다를 구하기 위해 물고기 모습으로 나타난다.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나리야나가 라사탈라(Rasatala)(저승)에서 베다를 가져와 브라흐마에게 준다.
가루다 푸라나(Garuda Purana)는 마츠야가 하야그리바를 죽이고 베다와 마누를 구출했다고 하며, 다른 이야기에서는 비슈누가 마츠야로서 세 번째 마누인 우타마 시대에 악마 프랄람바를 죽였다고 한다. 나라디야 푸라나(Naradiya Purana)는 하야그리바가 브라흐마에게서 베다를 빼앗자 비슈누가 마츠야로 변신해 악마를 죽이고 베다를 되찾는다고 하며, 이 사건은 바다리 숲에서 일어났다고 한다. 시바 푸라나(Shiva Purana)는 비슈누가 마츠야로서 사트야브라타 왕을 통해 베다를 구하고 ''프랄라야''의 바다를 헤엄쳤다고 찬양한다.
파드마 푸라나(Padma Purana)는 마누 대신 현자 카샤파(Kashyapa)가 등장하며, 홍수 없이 마츠야-비슈누가 악마 샹카를 죽인다. 마츠야-비슈누는 현자들에게 물에서 베다를 모아 프라야그에서 브라흐마에게 바치라고 명령한다. 스칸다 푸라나(Skanda Purana)의 ''카르티카암사-마하트미야''는 마츠야가 아수라(asura) 샹카를 죽이는 이야기를 전한다. 샹카는 바다의 아들로, 신들의 힘을 빼앗고 비슈누가 잠든 사이 브라흐마에게서 베다를 훔친다. 비슈누는 프라보디니 에카다시(Prabodhini Ekadashi)에 깨어나 물고기 모습으로 악마를 죽인다. 현자들은 바다에서 흩어진 베다를 모은다.
''파드마 푸라나''의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악마 마카라가 브라흐마에게서 베다를 훔쳐 우주 바다에 숨기자, 비슈누가 마츠야로 변신해 악마를 죽인다. 현자 비야사(Vyasa)가 베다를 재편집하고, 베다는 브라흐마에게 돌아간다.
브라흐마 푸라나(Brahma Purana)는 비슈누가 베다를 구하기 위해 로히타 물고기 모습으로 저승에 있었다고 한다. 크리슈나(Krishna) 중심의 브라마바이바르타 푸라나(Brahmavaivarta Purana)는 마츠야가 크리슈나의 아바타르이며, 베다와 브라만(현자)의 보호자이자 왕에게 지식을 전달했다고 찬양한다.
''스칸다 푸라나''의 ''푸루쇼타마-크세트라-마하트미야''는 다마나카라는 약초의 기원과 관련해 다마나카라는 악마를 비슈누가 마츠야로 변신해 죽이고, 악마는 향기로운 허브로 변했다고 전한다.
3. 4. 아바타 목록에서의 위치
마츠야는 일반적으로 비슈누의 첫 번째 아바타로 기록되며, 특히 다샤바타라(비슈누의 10대 아바타) 목록에서 그렇다. 그러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 일부 목록에는 마츠야가 첫 번째로 언급되지 않으며, 이후 텍스트에서 마츠야를 첫 번째 아바타로 언급하기 시작했다.[1]
''가루다 푸라나'' 목록에서 마츠야는 첫 번째로 언급된다.[1] ''링가 푸라나'', ''나라다 푸라나'', ''시바 푸라나'', ''바라하 푸라나'', ''파드마 푸라나'', ''스칸다 푸라나''에서도 마츠야를 10개의 고전 아바타 중 첫 번째로 언급한다.[1]
''바가바타 푸라나''와 ''가루다 푸라나''는 마츠야를 22개의 아바타 중 10번째로 여기며, 그를 "세상의 지지자"로 묘사한다.[1]
''스칸다 푸라나''의 ''Ayidhya-Mahatmya''는 비슈누의 12개의 아바타를 언급하며, 마츠야는 두 번째 아바타로 묘사된다.[1] 마츠야는 브라흐마의 날(''프라라야'')의 끝에서 마누, 식물 등을 배처럼 지탱한다고 한다.[1]
4. 상징과 의미
마츠야는 지구상의 첫 번째 존재인 수생 생물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0][23] 마누의 배는 모크샤 (구원)를 나타내며, 히말라야는 지상과 구원의 땅 사이의 경계를 나타낸다. 마츠야의 보호는 희생을 통해 구원에 이르는 길을 보여준다. 마츠야 신화는 강자로부터 약자를 보호하고 다르마를 지키는 이상적인 왕의 역할을 강조한다. 또한, 악마에게서 베다를 되찾는 이야기는 다르마가 위협받을 때 비슈누가 현세의 왕과 협력하여 다르마를 수호함을 보여준다. 일설에는 마누의 배와 물고기가 각각 큰곰자리와 작은곰자리의 별자리를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다.[23]
5. 도상학
마츠야는 일반적으로 동물 의인화된 물고기 형태와 인간형 형태, 두 가지로 묘사된다. ''아그니 푸라나''에서는 마츠야를 동물 형태로 묘사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23] ''비슈누 다르모타라 푸라나''에서는 뿔이 있는 물고기로 묘사할 것을 권장한다.[24]
인간형 마츠야는 상반신이 네 팔을 가진 인간이고 하반신은 물고기이다. 상반신은 비슈누와 유사하며, 비슈누가 착용하는 전통적인 장식품과 ''키리타-무쿠타''(원뿔형 왕관)를 착용한다. 두 손에는 비슈누의 무기인 ''수다르샤나 차크라''(원반)와 ''샹카''(소라)를 들고 있으며, 다른 두 손은 숭배자에게 은혜를 베푸는 ''바라다무드라''와 보호를 확신시키는 ''아바야무드라'' 자세를 취한다.[23] 가다(철퇴)와 연꽃 등 비슈누의 네 가지 속성을 모두 갖춘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23]
일부 묘사에서는 비슈누처럼 네 손에 차크라와 샹카를 들고, 앞의 두 손에는 칼과 베다를 상징하는 책을 든 모습으로 나타난다. 팔꿈치 위에는 ''앙가바스트라''가 걸쳐져 있고, 엉덩이는 ''도티''로 덮여 있다.[28] 드물게 하반신이 인간이고 상체(또는 얼굴)만 물고기인 경우도 있는데, 소마나타푸라의 체나케사바 사원 부조에서 이러한 모습이 발견된다.[29]
마츠야는 혼자 묘사되거나, 샹카수라라는 악마와 싸우거나 악마를 죽이는 모습으로 묘사될 수 있다. 이들은 바다에서 묘사되며, 브라흐마나 베다를 상징하는 사본, 또는 네 명의 남자가 배경에 함께 묘사되기도 한다.[28] 마누와 일곱 현자가 탄 배를 끄는 물고기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6. 갤러리
참조
[1]
서적
Matsya mahāpurāṇa: An exhaustive introduction, Sanskrit text, English translation, scholarly notes and index of verses
https://books.google[...]
Parimal Publications
2022-07-10
[2]
서적
Class and Religion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07
[3]
서적
Symbols of the Eternal Doctrine: From Shamballa to Paradise
https://books.google[...]
Theosophy Trust Books
2007
[4]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4-04-18
[5]
서적
The Development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Madathil Mammen Ninan
2008-06-23
[6]
서적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s Altindoarischen
Carl Winter Universitätsverlag
[7]
백과사전
matsya/matsa
https://www.sanskrit[...]
2020-09-26
[8]
서적
Comparative etymological Dictionary of classical Indo-European languages: Indo-European - Sanskrit - Greek - Latin
https://books.google[...]
Rendich Franco
2013-12-14
[9]
백과사전
mad
https://www.sanskrit[...]
2020-09-26
[10]
서적
The Nighantu and the Nirukta
https://archive.org/[...]
Delhi Motilal Banarsidass
1967
[11]
백과사전
maccha
https://www.sanskrit[...]
2020-09-26
[12]
서적
Hindu Myth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3]
서적
The Myths and Gods of India: The Classic Work on Hindu Polytheism from the Princeton Bollingen Series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14]
웹사이트
Satapatha Brahmana Part 1 (SBE12): First Kânda: I, 8, 1. Eighth Adhyâya. First Brâhmana
https://www.sacred-t[...]
2019-12-28
[15]
서적
Classical Hinduism
https://books.google[...]
Gregorian Biblical BookShop
1982
[16]
서적
Hymns Of The Atharva-veda
http://archive.org/d[...]
Motilal Banarsidas
[17]
문서
Vishnu as Matsya
http://collections.v[...]
1860-1870
[18]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Markandeya-Samasya Parva: Section CLXXXVI
https://www.sacred-t[...]
2020-01-12
[19]
서적
The cult of Draupadī: Mythologie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
서적
Querying the Medieval: Texts and the History of Practices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history of Puranas
https://books.google[...]
Bharatiya Kala
[22]
서적
Matsya mahāpurāṇa : an exhaustive introduction, Sanskrit text, English translation, scholarly notes and index of verses
https://www.worldcat[...]
Parimal Publications
2007
[23]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2011
[24]
서적
The Strides of Vishnu: Hindu Culture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5]
문서
Rao
[26]
문서
Rao
[27]
서적
THE SKANDA-PURANA PART. 7
http://archive.org/d[...]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VT. LTD, DELHI
1951
[28]
서적
South Indian Paintings: A Catalogue of the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books.google[...]
Mapin Publishing Pvt Ltd
2010
[29]
웹사이트
Ancient India
http://www.art-and-a[...]
2013-01-13
[30]
문서
Krishna
[31]
간행물
Matsya Jayanti 2021: Date, time, significance, puja, fast
https://www.indiatod[...]
2021-06-05
[32]
논문
Reconstructing Identities and Situating Themselves in History : A Preliminary Note on the Meenas of Jaipur Locality
[33]
뉴스
मीनेष जयंती:मीणा समाज ने मनाई भगवान मीनेष जयंती
https://www.bhaskar.[...]
2021-06-05
[34]
웹사이트
मिनेष जयंती पर मीणा समाज ने निकाली भव्य शोभायात्रा
https://www.patrika.[...]
2019-04-08
[35]
서적
The Jagannatha Temple at Puri: Its Architecture, Art, and Cult
https://books.google[...]
BRILL
1993
[36]
웹사이트
Machhenarayan fair put off this year due to COVID-19
https://risingnepald[...]
2020-09-11
[37]
서적
Matsya mahāpurāṇa: An exhaustive introduction, Sanskrit text, English translation, scholarly notes and index of verses
https://books.google[...]
Parimal Publications
2022-07-10
[38]
서적
Class and Religion in Ancient India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07
[39]
서적
Symbols of the Eternal Doctrine: From Shamballa to Paradise
https://books.google[...]
Theosophy Trust Books
2007
[40]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4-04-18
[41]
서적
The Development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Madathil Mammen Ninan
2008-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