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 단백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 단백질은 생물체의 생존에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백질이다. 세포막과의 결합 방식에 따라 내재성 막 단백질과 외재성 막 단백질로 분류되며, 막 수용체, 수송 단백질, 효소, 세포 부착 분자 등의 역할을 한다. 막 단백질은 게놈의 20~30%를 차지하며, 심혈관 질환, 알츠하이머병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있다. 막 단백질의 구조 생물학 연구는 X선 결정 구조 분석, NMR, 전자 현미경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막 단백질 정제에는 세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이 사용된다. 또한, 수송체 분류 데이터베이스(TCDB), OPM, PDBTM 등과 같은 관련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

2. 기능

막 단백질은 생물체의 생존에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2]


  • 막 수용체 단백질은 세포의 세포질 내부 환경과 세포 외부 공간 외부 환경 사이의 신호를 전달한다.
  • 수송 단백질분자이온을 막을 가로질러 이동시킨다. 이들은 수송체 분류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 효소는 산화환원효소, 전이효소 또는 가수분해효소와 같은 많은 활성을 가질 수 있다.[3]
  • 세포 부착 분자는 세포가 서로를 식별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있다.

3. 종류

막 단백질은 세포막과의 결합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단일위치 막 단백질과 세포막 간의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 개략도: 1. 막 평면에 평행한 양쪽성 α-나선에 의한 상호작용(평면 내 막 나선) 2. 소수성 루프에 의한 상호작용 3. 공유 결합된 막 지질에 의한 상호작용(''지질화'') 4. 막 지질과의 정전기적 또는 이온 결합 (''예'' 칼슘 이온을 통해)

  • 내재성 막 단백질: 막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도데실황산나트륨 등의 계면활성제나 비극성 용매를 사용해야 분리할 수 있다. 막 관통 단백질과 일회 막 관통 단백질이 여기에 속한다.
  • 외재성 막 단백질: 소수성 상호작용이나 정전기적 상호작용 등 공유 결합 이외의 힘으로 일시적으로 결합하며, 고농도 염을 포함한 극성 용매로 분리할 수 있다.


내재성 및 외재성 막 단백질 모두 번역 후 변형을 통해 지방산, 페닐기 사슬,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 등이 부가되어 지질 이중층에 연결되기도 한다.

폴리펩타이드 독소, 항균 펩타이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등은 별도의 범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들은 수용성이지만 지질 이중층과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막 관통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21] 비리보솜 펩타이드와 같이 막과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단백질도 존재한다.[22][23]

3. 1. 내재성 막 단백질 (Integral Membrane Proteins)

내재성 막 단백질은 막에 영구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단백질이다. 이러한 단백질은 세제, 비극성 용매, 또는 때로는 변성제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막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20] 아직 기능적으로 특성화되지 않은 이러한 유형의 단백질의 한 예가 SMIM23이다. 이들은 인지질 이중층과의 관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막 관통 단백질 (Integral polytopic proteins): 적어도 한 번 막을 가로지르는 내재성 막 단백질이다. 이러한 단백질은 서로 다른 막횡단 토폴로지를 가질 수 있으며,[4][5] 두 가지 구조 중 하나를 가진다.
  • 모든 유형의 생물막에 존재하는 helix bundle 단백질.
  • 그람 음성 세균의 세균 외막과 미토콘드리아엽록체의 외막에서만 발견되는 beta barrel 단백질.[6]
  • 내재성 단일체 단백질 (Integral monotopic proteins): 막의 한쪽 면에만 부착되고 전체를 가로지르지 않는 내재성 막 단백질이다.


막 단백질의 개략적인 표현: 1. 단일 막횡단 α-나선 (2중 토픽 막 단백질) 2. 다중 토픽 막횡단 α-나선형 단백질 3. 다중 토픽 막횡단 β-시트 단백질
막은 옅은 갈색으로 표시된다.


막 단백질은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2]

  • 막 수용체 단백질은 세포의 세포질 내부 환경과 세포 외부 공간 외부 환경 사이의 신호를 전달한다.
  • 수송 단백질은 분자와 이온을 막을 가로질러 이동시킨다. 이들은 수송체 분류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 효소는 산화환원효소, 전이효소 또는 가수분해효소와 같은 많은 활성을 가질 수 있다.[3]
  • 세포 부착 분자는 세포가 서로를 식별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단백질이 있다.


단백질 서열의 소수성 분석을 사용하여 막 내 단백질의 위치를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다. 즉, 소수성 아미노산 서열의 위치를 예측하는 것이다.

3. 2. 외재성 막 단백질 (Peripheral Membrane Proteins)

외재성 막 단백질은 소수성 상호작용, 정전기적 결합과 다른 비공유 상호작용에 의해 인지질 이중층 혹은 내재성 막 단백질에 일시적으로 부착된다.[20] 높은 pH 또는 높은 염 농도를 갖는 용액과 같은 극성 시약을 처리하면 해리된다.

내재성 막 단백질과 외재성 막 단백질은 지방산, 프레닐 사슬, 글리코실포스파티딜이노시톨(GPI) 등이 부가되는 번역 후 변형을 통해 인지질 이중층에 고정될 수 있다.[20]

3. 3. 기타 막 관련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독소, 콜리신이나 용혈소와 같은 많은 항균 펩타이드, 그리고 세포자멸사에 관여하는 특정 단백질은 때때로 별도의 범주로 간주된다. 이러한 단백질은 수용성이지만, 지질 이중층과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α 나선 또는 β 배럴 구조를 가진 막 관통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21]

4. 막 단백질의 구조 생물학

막 단백질의 구조 연구는 X선 결정 구조 분석, 핵자기 공명(NMR), 전자 현미경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막 단백질은 일반적인 단백질과 달리 구조 분석이 매우 어렵다. 특히 X선 결정 구조 분석법을 사용할 때 막 단백질을 결정화하는 과정이 까다롭다. 이를 위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막 단백질을 가용화해야 하는데, 이 조건 설정과 계면활성제 존재 하에서의 결정화는 매우 섬세한 작업이 필요하다.[24]

지질 큐빅상법(LCP법)이나 HiLiDe법, Bicelle법 등은 막 단백질 결정화에 유용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지질 큐빅상법은 1996년 Landau와 Rosenbusch에 의해 제안되었으며[24], Kobilka 등의 그룹이 β2 아드레날린 수용체와 G 단백질의 복합체를 이 방법으로 결정화하여 구조를 해석한 사례는 큰 성과로 꼽힌다.[25]

이화학연구소의 요코야마 시게유키 등은 2009년에 대장균 유래의 CECF법의 무세포 단백질 합성계를 이용하여 막 단백질을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26] 이후, 계면활성제에 의한 가용화를 거치지 않고 시료를 고농도로 생성할 수 있는 가용성 막 절편법(S-MF법)이 개발되었다.[27]

X선 결정 구조 해석법 외에도 분자동력학법을 비롯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나 하이드로패시 분석을 통해 구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막 단백질 가용화에 성공하여 안정적으로 정제할 수 있다면, 전자 스핀 공명법 등으로도 구조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전자 스핀 공명법에서는 스핀 라벨이라고 불리는 반응성이 낮은 라디칼을 막 단백질에 도입하여 라디칼 간 거리를 얻고, 이를 통해 저분해능이지만 입체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4. 1. X선 결정 구조 분석

X선 결정 구조 해석법은 구조 해석 중에서도 가장 정확하게 입체 구조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X선 회절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양질의 결정을 얻을 수만 있다면, 이론상으로는 해석할 수 있는 분자량에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X선 구조 해석법은 단백질의 결정화, X선 회절 데이터의 수집, 전자 밀도 계산, 분자 구조 모델의 구축과 정밀화라는 4단계로 이루어진다.

4. 2. 핵자기 공명 (NMR)

NMR법의 가장 큰 장점은 목적 분자를 용액 상태에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용액 상태에서의 분석은 분자의 환경 변화에 대한 거동을 관찰할 수 있게 해주며, 구조의 온도 의존성, pH 의존성, 농도 의존성 등을 조사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분자량이 60kDa(킬로달톤)까지의 생체 고분자밖에 분석할 수 없다는 점 등이 있지만, 기술 혁신으로 제한이 완화되고 있다. NMR을 이용한 단백질의 입체 구조 분석은 먼저 유전 공학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대량 발현계와 대량 정제계를 확립한다. 다음으로 NMR 측정용 샘플을 조정하고, 아미노산의 동정과 연쇄 귀속을 수행한다. 그 다음 핵간 거리 정보와 이면각 정보를 수집하여 이차 구조를 추정하고 입체 구조 계산을 수행한다.

4. 3. 전자 현미경

전자 현미경에는 주로 두 가지 구조 해석법이 있다. 하나는 전자선 결정법이라고도 불리는 2차원 결정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높은 분해능으로 입체 구조 결정을 할 수 있지만, 2차원 결정(단분자막 구조)을 만들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단입자 해석법으로, 단백질 분자상을 다수 개별적으로 수집하여 통계 평균을 내어 해석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전자 현미경에서는 전자선에 의한 단백질의 물리적 손상이 큰 문제가 되므로, 시료를 극저온으로 만들어 측정을 수행한다.[24][25][26][27]

4. 4. 기타 방법

분자 치환법은 구조가 비슷한 단백질 분자의 구조 데이터를 이용하여 목적 단백질의 위상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중원자 동형 치환법은 결정화 실험을 통해 얻어진 원래의 결정과 이를 중원자로 치환한 결정의 회절 강도의 차이로부터 위상을 구하는 방법이며, 비슷한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경우에 사용한다. 이상 분산법 또한 비슷한 구조가 밝혀지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이다.[1]

5. 게놈과 막 단백질

게놈은 특정 생물종이나 유기체의 유전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DNA 세트이다. 많은 유전자에서 전체 유전체의 20~30%가 막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10][11] 예를 들어, ''대장균''의 약 4,200개 단백질 중 약 1,000개가 막 단백질로 추정되며, 이 중 600개가 막에 존재한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12] 인간의 경우, 현재 인간 게놈의 30%가 막 단백질을 암호화한다고 추정된다.[13] 막 단백질은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게놈 연구를 통해 막 단백질의 기능과 진화를 이해할 수 있다.

6. 질병과 막 단백질

막 단백질은 현대 제약 의약품의 50% 이상에서 생물학적 표적으로 작용한다.[1] 심혈관 질환, 알츠하이머병, 낭성 섬유증 등이 막 단백질과 관련된 대표적인 질병이다.[13]

7. 막 단백질의 정제

막 단백질은 모든 생물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단백질 과학자들에게 막 단백질 정제는 역사적으로나 현재나 여전히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2008년에는 150개의 고유한 막 단백질 구조가 공개되었고,[14] 2019년까지 50개의 인간 막 단백질 구조만 밝혀졌다.[13] 이와 대조적으로, 전체 단백질의 약 25%가 막 단백질이다.[15] 막 단백질의 소수성 표면은 구조적, 기능적 특성 분석을 어렵게 만든다.[13][16] 세제는 막 단백질을 수용성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세제가 단백질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13] 또한, 특정 소수성 아미노산을 친수성 아미노산으로 바꾸는 단백질 서열 조작을 통해 막 단백질을 수용성으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전체 전하를 변경하면서 2차 구조를 유지하도록 주의해야 한다.[13]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는 막 단백질 정제의 가장 좋은 해결책 중 하나이다. 폴리히스티딘 태그는 막 단백질 정제에 널리 사용되는 태그이며,[17] 로1D4 태그도 대체 태그로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18][19]

8. 관련 데이터베이스

다음은 막 단백질의 구조, 기능, 분류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요 데이터베이스들이다.

데이터베이스 이름설명
TCDB막 수송 단백질의 포괄적인 분류[1]
[https://opm.phar.umich.edu/ 막 단백질의 배향(OPM) 데이터베이스]지질 이중층에 배열된 적분 막 단백질 및 말초 막 단백질의 3D 구조[2]
[https://pdbtm.unitmp.org/ 막 단백질의 단백질 데이터 뱅크]지질 이중층에 대략적으로 배열된 막 단백질의 3D 모델[3]
TransportDBTIGR의 수송체에 대한 유전체학 중심 데이터베이스[4]
[http://www.mpdb.tcd.ie/ 막 PDB]결정화 조건에 중점을 둔 적분 막 단백질과 소수성 펩타이드의 3D 구조 데이터베이스[5]
[http://blanco.biomol.uci.edu/mpstruc/ Mpstruc 데이터베이스]단백질 데이터 뱅크에서 선택된 막 단백질의 큐레이션된 목록[6]
[http://memprotmd.bioch.ox.ac.uk/home/ MemProtMD]거친 입자 모델링 분자 역학으로 시뮬레이션된 막 단백질 구조의 데이터베이스[7]
막 단백질체 데이터베이스여러 모델 유기체에서 2가 단백질에 대한 정보 제공[8]


참조

[1] 논문 How many drug targets are there? 2006-12
[2] 논문 Mapping the human membrane proteome: a majority of the human membrane protein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 and evolutionary origin 2009-08
[3] 논문 The substitution of Arg149 with Cys fixes the melibiose transporter in an inward-open conformation 2013-08
[4] 논문 Membrane-protein topology 2006-12
[5] 서적 Cell and Molecular Biology: Concepts and Experiment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10-11-13
[6] 논문 Assembly of β-barrel proteins into bacterial outer membranes 2014-08
[7] 논문 Charged residues next to transmembrane regions revisited: "Positive-inside rule" is complemented by the "negative inside depletion/outside enrichment rule" 2017-07
[8] 논문 Structure of the alternative complex III in a supercomplex with cytochrome oxidase 2018-05
[9] 논문 SCOP2 prototype: a new approach to protein structure mining 2014-01
[10] 논문 Dissecting the Structure of Membrane Proteins http://www.genengnew[...] 2015-10-01
[11] 논문 Predicting transmembrane protein topology with a hidden Markov model: application to complete genomes https://pdfs.semanti[...] 2001-01
[12] 논문 Global topology analysis of the Escherichia coli inner membrane proteome 2005-05
[13] 논문 Elucidating the Structure of Membrane Proteins Future Science
[14] 논문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membrane protein crystallography 2008-10
[15] 논문 Predicting transmembrane protein topology with a hidden Markov model: application to complete genomes https://pdfs.semanti[...] 2001-01
[16] 논문 Membrane proteins: always an insoluble problem? 2016-06
[17] 논문 Genetic Approach to Facilitate Purification of Recombinant Proteins with a Novel Metal Chelate Adsorbent 1988-11
[18] 논문 Expression, surface immobil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nctional recombinant cannabinoid receptor CB2 2013-10
[19] 논문 Large-scale production and study of a synthetic G protein-coupled receptor: human olfactory receptor 17-4 2009-07
[20] 문서 JST科学技術用語日英対訳辞書
[21] 논문 Amphitropic proteins: regulation by reversible membrane interactions (review)
[22] 웹사이트 Crystallography Department, Birkbeck College - Peptaibol Database http://www.cryst.bbk[...] 2007-12-18
[23] 웹사이트 Orientations of Proteins in Membranes (OPM) database http://opm.phar.umic[...] 2007-12-18
[24] 간행물 Proc Natl Acad Sci U S A. 1996 Dec 10;93(25):14532-5.
[25] 간행물 Nature. 2011 Jul 19;477(7366):549-55.
[26] 간행물 Protein Sci. 2009 Oct 18(10) 2160-71.
[27] 간행물 Sci Rep. 2016 Jul 28 6 3044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