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막스 아이팅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스 아이팅곤은 리투아니아 출신의 유대인으로, 정신분석학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그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취리히의 부르크홀즐리 정신병원에서 인턴으로 근무하며 오이겐 블로일러의 영향을 받아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학설에 심취했다. 1908년 프로이트와 5주간의 분석을 받았으며, 이는 최초의 훈련 분석으로 평가받는다. 베를린에서 정신분석 활동을 시작하여, 1920년 카를 아브라함과 함께 세계 최초의 정신분석 종합병원을 설립했다. 국제정신분석학회(IPA) 비서와 국제 훈련 위원회(ITC) 회장을 역임하며 정신분석 훈련의 국제 표준을 확립했다. 1933년 나치즘을 피해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하여 팔레스타인 정신분석 협회를 설립했으나, NKVD 암살 작전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1943년 예루살렘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계 독일인 - 에른스트 루비치
    독일 태생 미국 영화감독 에른스트 루비치는 독일에서 배우 겸 감독으로 활동하며 국제적 명성을 얻은 후 할리우드로 건너가 세련된 코미디 영화들을 연출하며 "루비치 터치"라는 독자적인 스타일을 확립, 영화 예술에 기여한 공로로 아카데미 공로상을 수상하고 후대 감독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의 심리학자 - 사비나 시필레인
    사비나 시필레인은 러시아 출신의 정신분석학자이자 의사로, 정신분석학 초기 발전에 기여했으며 카를 융과의 관계, 정신분열증 환자 언어 연구, 여성 심리 및 아동 분석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나 나치 독일군에 의해 학살당했고 최근에는 페미니즘 관점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 러시아의 심리학자 - 알렉산더 루리아
    알렉산더 루리아는 소비에트 연방의 심리학자, 의사, 신경심리학자로 레프 비고츠키의 문화-역사 심리학 발전에 기여하고 뇌 손상 연구를 통해 신경심리학을 확립했으며, 다문화주의, 언어 실어증, 전두엽 연구 등 다양한 업적과 임상 신경심리학 발전에 기여한 '인간의 고위 피질 기능', '기억술사의 마음' 등의 주요 저서를 남겼다.
  • 벨라루스 유대인 - 이츠하크 샤미르
    이츠하크 샤미르는 이스라엘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 총리를 역임했으며, 시온주의 운동 참여, 레히 지도자 활동, 모사드 활동, 크네세트 의원 및 외무장관 역임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고, 총리 재임 중에는 팔레스타인 문제에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소련 및 에티오피아 유대인 이민을 추진했다.
  • 벨라루스 유대인 - 조레스 알표로프
    조레스 알페로프는 소련과 러시아의 물리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반도체 이종구조 연구로 200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반도체 레이저 개발에 기여하고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 요페 물리기술연구소 소장, 국가두마 의원 등을 역임하며 과학 및 정치 분야에서 활동했다.
막스 아이팅곤
기본 정보
막스 아이팅곤
막스 아이팅곤
출생1881년 6월 26일
사망1943년 7월 30일 (향년 62세)
국적독일
직업의사, 정신분석가
교육
학력의학 박사
경력
분야정신분석학
영향지그문트 프로이트, 카를 아브라함

2. 생애

제1차 세계 대전 중 아이팅곤은 오스트리아 시민권을 얻어 군의관으로 참전, 최면을 사용하여 전쟁 외상을 겪는 군인들을 치료했다. 종전 후 베를린에 정착한 그는 프로이트의 초청으로 비밀 정신분석 위원회에 합류했다.[4] 1920년 카를 아브라함, 에른스트 심멜과 함께 베를린에 정신분석 종합병원을 설립하고, 국제정신분석학 출판사 고문으로 활동하며 경영에 참여, 사재를 지원하기도 했다. 그러나 1932년 출판사가 도산 위기에 처하면서 지원을 중단했다.[2]

1925년 바트 호름부르크 회의에서 아이팅곤은 베를린의 정신분석 훈련 시스템을 국제 훈련 위원회(ITC) 산하 국제 표준으로 제안, ITC 회장으로 임명되어 1943년 사망할 때까지 재직했다.[1]

1913년 모스크바 예술 극장 배우 미라 야코블레나 라이고로드스키와 결혼했다.[2]

대공황으로 가업이 어려워지자, 아이팅곤은 생계를 위해 환자를 진료해야 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아이팅곤은 부유한 리투아니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당시 제정 러시아의 모길료프에서 성공한 모피 상인 차임 아이팅곤의 아들이었다. 그가 12세였을 때 가족은 라이프치히로 이사했다.[1] 그는 사립 학교와 할레, 하이델베르크,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공부했는데, 신칸트주의의 헤르만 코헨 밑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1902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1]

논문을 완성하기 전에 아이팅곤은 1898년부터 오이겐 블로일러가, 1900년부터는 카를 융이 일하던 취리히의 부르크홀즐리 정신병원에서 인턴으로 일했다. 1907년 블로일러는 아이팅곤을 프로이트를 만나게 하기 위해 보냈고, 1908-1909년에는 5주 동안 프로이트와 분석을 받았다. "이것이 진정 최초의 훈련 분석이었다!"[3] 그는 카를 융의 도움을 받아 '간질 발작이 정신 연상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을 완성하고 베를린에 정착했다. 1913년에는 모스크바 예술 극장의 배우인 미라 야코블레나 라이고로드스키와 결혼했다.[2]

1938년 여름에 파리를 방문했을 때, 심각한 심장 발작을 일으켰고, 이후 건강을 회복하지 못했다. 그는 예루살렘에서 사망했을 때, 62세였다.

2. 2. 정신분석학과의 만남

아이팅곤은 스승 오이겐 블로일러의 영향으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학설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블로일러와 융이 창설한 정신분석학 서클에 참가했다. 1907년 초, 블로일러는 아이팅곤을 프로이트에게 보내 처음으로 만나게 했다. 이후 아이팅곤은 에서 Psychologischen Mittwoch-Gesellschaft (수요일 심리학 협회)의 회원이 되었다.[3] 1908년에서 1909년 사이에는 5주 동안 프로이트와 분석을 받았다. 어니스트 존스는 훗날 이를 "정신분석학 사상 최초의 훈련 분석"이라고 불렀다. 이 분석은 그와 프로이트가 비엔나 거리를 저녁 산책하는 동안 이루어졌으며, 5주에서 6주 동안 지속되었다.[3]

학위 취득 후, 1909년베를린으로 이주하여 헤르만 오펜하임의 병원에서 신경학 훈련을 받았다.[2] 1911년에는 정신분석의로 개업했다. 이 시기부터 베를린의 정신분석가 협회에서 유력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초창기 정신분석학에 대한 그의 공헌은 학문적인 성격보다는 오히려 조직 운영자로서의 기여가 컸다. 또한, 스승 프로이트의 학설에 대한 충성심은 문인들 중에서도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융이 국제정신분석학회(IPA)를 탈퇴한 후, 아이팅곤은 동 협회의 비서 역할을 이어받았다. 1920년, 베를린에서 카를 아브라함과 함께 세계 최초의 정신분석 종합병원을 설립했다. 이를 통해, 1918년에 프로이트가 IPA 부다페스트 회의에서 제시한 "만인에게 열린 정신분석학"이라는 이념을 현실화했다.[2] 1922년 아이팅곤의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이 훈련 과정이 공식화되었다.

2. 3. 베를린에서의 활동

1909년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헤르만 오펜하임의 병원에서 신경학 훈련을 받았다.[2] 같은 해에 프로이트에게서 받은 훈련 분석은, 나중에 어니스트 존스가 "정신분석학 사상 최초의 훈련 분석"이라고 불렀다.[3] 이 분석은 그와 프로이트가 비엔나 거리를 저녁 산책하는 동안 이루어졌으며, 5주에서 6주 동안 지속되었다.

1911년에 정신분석의로 개업했다. 이 시기부터 베를린의 정신분석가 협회에서 유력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초창기 정신분석학에 대한 그의 공헌은 학문적인 성격보다는 조직 운영자로서의 기여가 컸다. 또한, 프로이트의 학설에 대한 충성심은 문인들 중에서도 뛰어났다고 전해진다.

국제정신분석학회(IPA)를 탈퇴한 후, 아이팅곤은 협회의 비서 역할을 이어받았다. 1920년 베를린에서 카를 아브라함과 함께 세계 최초의 정신분석 종합병원을 설립하여, 1918년 프로이트가 IPA 부다페스트 회의에서 제시한 "만인에게 열린 정신분석학"이라는 이념을 현실화했다.[5] 1920년 국제정신분석학 출판사 설립 후에는 고문으로 참여했고, 이후 경영에 관여하여 사재로 지원하기도 했지만, 1932년 도산 위기에 처해 손을 뗄 수밖에 없었다.

1924년 여름, 프로이트와 결별한 오토 랑크의 후임으로, 샨도르 라도, 샨도르 페렌치와 함께 'Internationalen Zeitschrift für Psychoanalyse'(정신분석학 국제 잡지)의 편집자로 임명되었다. 1925년 아브라함이 요절한 후에는 IPA 및 베를린 정신분석가 협회의 지도자가 되었다.

후진 분석가들을 육성하고자 국제 훈련 위원회(ITC)를 설립한 것도 아이팅곤의 업적이다. 그는 IPA 내부에서 베를린 학파의 패권을 확립하려 했지만, 뉴욕 정신분석가 협회의 반발로 좌절되었다. 대공황으로 가업이 기울면서, 정신분석학 운동에 대한 출자를 지속하기 어려워져 운동 내부에서 영향력이 쇠퇴했다. 국제정신분석학 출판사가 프로이트의 아들 마르틴의 지도 하에 들어가고, 정신분석학 국제 잡지의 편집부가 베를린에서 비엔나로 옮겨진 것이 이를 상징한다. IPA 이사장 지위를 떠나야 했던 아이팅곤은 ITC와 베를린 협회 의장 자리를 간신히 지켰지만, 나치 대두로 이마저 내놓고 1933년 독일을 떠나 예루살렘으로 이주했다.[2]

2. 4. 팔레스타인으로의 이주와 죽음

1932년 아이팅곤은 뇌 혈전증을 앓았다. 프로이트의 조언에 따라 1933년 9월 독일을 떠나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했다.[2] 1934년 그는 예루살렘에 팔레스타인 정신분석 협회를 설립했다. 그러나 프로이트의 추천에도 불구하고 그는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에서 정신분석학 교수를 얻지 못했다.[2]

1943년 7월 30일 아이팅곤은 예루살렘에서 사망했으며, 스쿠푸스 산에 묻혔다.[1]

3. 업적

막스 아이팅곤은 정신분석학 분야에서 다양한 학문적, 조직적 업적을 남겼다. 학문적으로는 '지니어스, 재능, 그리고 정신분석', '신과 아버지', '잘못 읽기의 사례', '정신분석 운동에 관하여', '비전문가 분석 문제에 대한 결론', '정신분석의 새벽' 등 여러 논문을 저술했다.

조직 운영 측면에서 아이팅곤의 기여는 다음과 같다.


  • 1920년 카를 아브라함과 함께 베를린에 세계 최초의 정신분석 종합병원을 설립하여, 1918년 프로이트가 제시한 "만인에게 열린 정신분석학"이라는 이념을 현실화했다.
  • 1920년 국제정신분석학 출판사 설립 후 고문으로 참여했고, 이후 경영에도 관여하며 사재로 지원했으나, 1932년 출판사 도산 위기로 손을 떼야 했다.
  • 1924년 여름 오토 랑크의 후임으로 샨도르 라도, 샨도르 페렌치와 함께 '정신분석학 국제 잡지' 편집자로 임명되었다.
  • 1925년 아브라함 사후 국제정신분석학회(IPA) 및 베를린 정신분석가 협회 지도자가 되었다.
  • 후진 분석가 육성을 위해 국제 훈련 위원회(ITC)를 설립했다.

4. 저서

막스 아이팅곤의 저서 목록
제목출판 연도비고
지니어스, 재능, 그리고 정신분석1912년정신분석학 중앙지 2권, 539–540쪽
신과 아버지1914년이마고 3권, 90–93쪽
잘못 읽기의 사례1915년국제 정신분석 저널 3권, 349–350쪽
정신분석 운동에 관하여1922년국제 정신분석 저널 8권, 103–106쪽
베를린 정신분석 폴리클리닉 보고서1923년국제 정신분석 협회 회보 4권, 254쪽
비전문가 분석 문제에 대한 결론1927년국제 정신분석 저널 8권, 399–401쪽
마리엔바드 회의 보고서1937년국제 정신분석 저널 18권, 351쪽
정신분석의 새벽1950년M. 울프 편집, 막스 아이팅곤: 추모, 예루살렘: 이스라엘 정신분석학회


참조

[1] 서적 'Max Eitingon (1881–1943): The Organization of Psychoanalytic Training' Transaction Publishers 1995
[2] 간행물 Max Eitingon http://www.answers.c[...]
[3] 인용 1957
[4] 뉴스 Hit Men, Freudians and Furrier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0-07-23
[5] 인용 1937
[6] 인용 1922
[7] 뉴스 Intellectuals and Assassins – Annals of Stalin's Killerati New York Times Book Review 1988-01-24
[8] 뉴스 The Mystery of Max Eitingon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1988-04-14
[9] 뉴스 "'The Mystery of Max Eitingon': An Exchange"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1988-06-16
[10] 뉴스 'The mystery of Max Eitingon' http://www.nybooks.c[...] 1988-04-14
[11] 뉴스 Max Eitingon: another view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8-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