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포청년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포청년역은 1939년 2월 1일 강계~만포 간 만포선 개통과 함께 만포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조선총독부 철도국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해방 이후 현재의 이름을 얻었다. 1980년대 만포선 전철화, 1988년 북부선 개통으로 분기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평양발 급행 열차와 압록강 건너 지안역으로 가는 국제 열차가 운행된다. 만포와 해주 간 급행 열차, 만포와 함흥, 장연 간 준급행 열차, 다양한 통근 열차도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포시 - 자강삼강역
    자강삼강역은 1959년 개통되어 운봉선의 일부였으나, 1988년 북부선에 흡수되었으며 과거 운봉댐 건설 당시 중국 측 건설 현장까지 지선이 건설되기도 했다.
  • 만포시 - 메이지 철로
    메이지 철도는 일본 메이지 시대에 건설된 철도 노선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1872년 도쿄 철도 개통을 시작으로 관동 철도, 일본 철도 등 다양한 노선이 건설되어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 자강도의 철도역 - 문악역
    문악역은 1959년 혜산에서 만포에 이르는 운봉선과 함께 개통되었으며, 1988년 운봉선의 대부분이 북부선에 흡수되었다.
  • 자강도의 철도역 - 십리동역
    십리동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북부선에 있는 역으로, 과거 옥동역으로 불리며 운봉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나 이후 북부선에 흡수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운흥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평양역
    평양역은 1906년 경의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1958년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양식으로 재건되었으며, 북한 철도의 중심지로서 여러 노선이 지나고 베이징행 국제 열차도 운행하며, 남북통일 이후 한반도 북부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포청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만포청년역
만포청년역 (중국 지안에서 촬영)
주소만포시, 자강도
역명
한국어 표기만포청년역
로마자 표기Manpo Cheongnyeon-yeok
일본어 표기満浦青年駅 (만포 청년 역)
노선 정보
노선만포선
북부내륙선
역 구조지상역
개업일1939년 2월 1일
이전 명칭조선총독부 철도
전철화 여부Yes (전철화)
소유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인접역
북부내륙선이전 역: 차가평
다음 역: 문악
만포선이전 역: 건하
다음 역: 집안 (국제선, 폐지) , (국내선) 곤하
운하 지선이전 역: 궈
다음 역:
기타 정보

2. 연혁

1939년 2월 1일: 강계~만포 간 만포선 개통과 함께 만포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

2. 1. 일제강점기

1939년 2월 1일 : 강계~만포 간 만포선 개통과 함께 만포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 같은 해 10월 1일 만포 압록강교량(지안 압록강 국경 철도 대교)이 완성되면서 남만주철도와 연결되었고, 평양역에서 만포선을 경유하여 길림까지 가는 열차가 운행되었다.[2]

2. 2. 해방 이후

1939년 2월 1일 만포선 전 구간 개통과 함께 '''만포역'''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 같은 해 10월 1일에는 만포 압록강교량(지안 압록강 국경 철도 대교)이 완공되어 남만주철도와 연결되었고, 평양역에서 만포선을 거쳐 길림까지 가는 열차가 운행되었다.[2]

해방 이후 '''만포청년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0년대 만포선 전철화가 완료되었고, 1988년 8월 북부선이 개통되어 분기역이 되었다. 현재 평양급행열차와 압록강 건너편 지안역 발 객화 혼합 국제 열차가 하루 1회 왕복 운행되고 있다.

3. 노선 정보

만포청년역은 만포선북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역이다.

1939년 2월 1일 강계~만포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1] 10월 1일에는 만포 압록강교량(지안 압록강 국경 철도 대교)이 완공되어 남만주철도와 연결되었다. 이를 통해 평양역에서 만포선을 거쳐 길림까지 가는 열차가 운행되었다.

1980년대 만포선이 전철화되었고, 1988년 8월 북부선이 개통되어 만포청년역은 분기역이 되었다. 현재 평양역에서 출발하는 급행 열차와 압록강 건너편 지안역을 오가는 객화 혼합 국제 열차(하루 1왕복)가 운행되고 있다.

4. 역 목록

영업 거리 (km)강계 기점
영업 거리 (km)만포청년 종점
영업 거리 (km)비고만포청년297.847.50.0북부내륙선 분기[1]건하294.544.2시중291.541.2안찬288.738.4쌍부285.735.4곡하282.732.4강계279.829.5공인243.124.8부지239.321.0신청235.517.2성간231.413.1중성간228.610.3쌍방동224.15.8화암221.43.1전천218.30.0운송213.9창평211.1리만207.6고인203.7진평199.1연목194.7개고청년191.4동신184.7초상181.9청하178.6희천청년174.6부성168.6묘향산165.4북신현160.6신흥동154.9어룡151.7구장청년152.0람전142.7자작138.6봉천134.7원리129.6개천129.6천동121.4룡원리116.7각암113.4중평108.3순천0.0


5. 운행 계통

만포청년역과 해주 사이를 운행하는 급행 여객 열차가 있으며, 만포와 함흥 사이, 만포와 장연 사이에 2개의 준급행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1] 또한 다양한 통근 열차도 운행된다.[2]

만포에서 지안으로 가는 국제 여객 열차는 매일 국경을 넘는 화물 열차에 객차 1량이 연결된 형태로 운행된다. 이 열차는 중국에서 온 조선족을 제외한 외국인은 이용할 수 없다.

평양에서 출발하는 급행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압록강 건너편 지안역에서 화물 열차에 객차 1량을 연결한 객화 혼합 국제 열차가 하루 1왕복 운행되고 있다.

6. 북부내륙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에서 관리하는 북부내륙선은 만포청년역을 기점으로 혜산청년역까지 이어진다.

6. 1. 북부내륙선 역 목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철 북부내륙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명구간
만포청년만포청년 - 혜산청년
차가평''
문악''
연포''
림토''
창골''
십리동''
자강삼강''
송삼''
상풍강''
운봉''
구중''
자성''
사향''
귀인''
전평''
리평''
화평''
송덕폐역
회중''
룡출''
영저폐역
월탄''
회양''
로탄''
죽전''
오구비''
두지''
포평청년''
무창''
라죽''
대응''
후주청년''
송전''
강하''
신파청년''
민탕''
량강신상''
풍양''
상대''
인산''
삼수청년''
관평폐역
신장폐역
늪평''
강구''
혜산청년''


참조

[1] 서적 将軍様の鉄道 (Shōgun-sama no Tetsudō)
[2] 웹사이트 북부 철길 건설 http://terms.naver.c[...]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