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매자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자나무는 한국 고유종으로,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온대 기후 지역에 분포하는 낙엽성 관목이다. 키는 2m를 넘지 않으며, 5월에 샛노란 꽃이 피고 9월에 붉은색 열매가 맺힌다. 민간에서는 옷감 염료로 사용되었고, 전통적으로 소화 불량이나 안질환 치료에 사용되었다. 매자나무는 베르베린 성분을 함유하여 항균,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뿌리와 줄기는 약재로 사용된다. 열매는 잼이나 젤리로 가공되지만 다량 섭취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자나무속 - 매발톱나무
    매발톱나무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4~5월에 노란색 꽃이 피고 10월에 붉은 열매를 맺으며 대한민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고 잎겨드랑이에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1899년 기재된 식물 - 스테비아
    스테비아는 남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식물로, 스테비오사이드 성분 덕분에 천연 감미료로 사용되며 설탕보다 훨씬 단맛이 강하고 혈당 조절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 식품 및 음료의 설탕 대체재로 활용된다.
  • 1899년 기재된 식물 - 백당나무
    백당나무는 동아시아 북동부에 자생하는 낙엽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흰색 꽃과 붉은 열매가 특징이며 약용으로도 쓰이는 다양한 변종과 품종이 있는 식물이다.
  • 한국의 고유종 식물 - 개나리
    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종으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약재로 사용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 한국의 고유종 식물 - 만리화
    만리화는 현재 주제가 특정되지 않아 추가적인 정보 제공이나 요약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매자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매자나무
매자나무
학명Berberis koreana
명명자Palib. (1899)
매자나무속
매자나무
멸종 위기 등급LC (최소 관심)
멸종 위기 등급 기준IUCN3.1
멸종 위기 등급 참고Kim, H., Kim, Y.-S. & Son, S.-W. 2017. Berberis korean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e.T97529851A104406703.
크기1.5 m
생물 분류
식물계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2. 분포

매자나무는 한국 고유종이다. 매자나무속(Berberis)은 북아메리카유라시아의 온대 기후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8] 매자나무는 미국 버몬트주의 몇몇 지역에서 귀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3. 생태

매자나무는 내한성이 강한 낙엽 관목으로, 영하 15°C까지 견딜 수 있다. 배수가 잘 되거나 습한 토양 등 다양한 토양에서 자랄 수 있다. 햇볕이 잘 드는 곳이나 부분적인 그늘을 좋아하지만, 완전한 그늘은 선호하지 않는다.[3] 5월경에는 작고 노란 꽃이 총상꽃차례로 피며, 9월경에는 붉은색의 둥근 열매가 열린다.

3. 1. 형태

매자나무는 갈잎 떨기나무로 다 자라도 키가 2미터를 넘지 않는다. 홈이 많이 파인 잔가지가 많이 나고 1센티미터가 채 되지 않는 가시가 달렸다. 가지의 마디마다 대여섯 장씩 모여 나는 잎은 달걀 모양이며 가죽질이고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잎 뒷면에는 주름이 많다. 가을이 되면 잎은 자줏빛으로 아름답게 물든다.

잎은 어긋나며 단순하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짙은 녹색에서 중간 녹색을 띤다. 깃털 모양의 잎맥을 가지며, 가장자리는 매끄럽고 길이는 2.5cm에서 7.6cm이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며 붉은색 작은 가지에 총상화서를 이룬다.

꽃은 길이가 약 5.1mm이며, 덩어리를 이루어 피어나며 봄에 개화할 때 노란색을 띤다. 6개의 노란색 꽃받침, 6개의 수술, 그리고 노란색에서 짙은 주황색-붉은색을 띌 수 있는 6개의 꽃잎을 가지고 있다. 가을과 겨울에 5.1mm에서 7.6mm 크기의 달걀 모양의 붉은색에서 자주색 열매를 맺는다.[3] 1~10개의 씨앗을 가지며, 씨앗의 색깔은 황갈색에서 적갈색 또는 검은색이다.

4. 유사종

당매자나무(''B. poiretii'')와 매발톱나무(''B. amurensis'')는 매자나무와 유사하다. 당매자나무는 꽃차례에 달리는 꽃의 수가 적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어 구분할 수 있고, 매발톱나무는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더 규칙적이고 세 갈래로 갈라진 가시의 길이가 1cm~2cm로 매우 날카롭다. 연밥매자나무(''B. koreana var. ellipsoideda'' Nakai)는 변종으로 열매가 긴 타원형이고 가시가 3~7개로 갈라진다.

5. 쓰임새

민간에서는 매자나무를 삶아 노란색 옷감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전통적으로 소화 불량이나 안질환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열매는 식용이 가능하지만 신맛이 강해 주로 잼이나 젤리로 가공된다.[8][4]

5. 1. 약용

매자나무에는 베르베린(berberine) 등 알칼로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장염, 이질, 설사 등에 약으로 쓴다.[9] 뿌리와 줄기는 ‘소벽’(小檗)이라 부르며 약으로 쓴다. 성미는 쓰며(苦), 따뜻하다(寒).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습기를 제거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있다. 소변을 통하게 하여 통증을 멈추게 하며, 기를 소통시키고 혈(血)을 조화롭게 하여 순리대로 기능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10]

다른 ''매자나무'' 종의 뿌리는 아메리카 원주민과 정착민들이 위장 장애, 출혈, 결핵 및 눈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했다.[8] ''매자나무''가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4][5]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매자나무'' 줄기에서 합성된 화합물이 인간 종양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피부 흑색종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7]

5. 2. 주의사항

매자나무 열매는 먹을 수 있지만 시큼하며 주로 잼과 젤리에 사용된다.[8][4] 하지만, 다량의 매자나무 열매를 섭취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8]

몇몇 매자나무속 종에는 알칼로이드인 베르베린, 카나딘, 콜룸바민, 코리팔민, 자트로리진, 팔마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알칼로이드는 화학 구조가 매우 유사하지만,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다. 프로토베르베린은 평활근을 이완시키고 전반적인 혈압을 감소시킨다. 고용량의 베르베린은 발작을 일으키고 효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자나무는 메스꺼움, 구토, 설사를 포함한 심각한 소화관 자극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생명을 위협하지 않으며 치료가 가능하다.[8]

참조

[1] 간행물 "''Berberis koreana''" 2017
[2]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http://bonap.net/Map[...]
[3] 웹사이트 Shrubs: Berberis koreana http://www.ces.ncsu.[...]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2012-07-02
[4] 웹사이트 Berberis koreana - Palibin. http://www.pfaf.org/[...] Plants for a Future
[5] 서적 Collins Alternative Health Guide https://books.google[...] Harper Collins
[6] 논문 Bioactivity-guided isolation of cytotoxic triterpenoids from the trunk of Berberis koreana 2010-03-15
[7] 논문 Biphenyls from 2009-11-30
[8] 서적 Toxic Plants of North America Iowa State University Press
[9] 뉴스 매자나무, 항산화 작용 월등...강력한 천연항생제 효능 http://www.ilyoweekl[...] 2014-02-23
[10] 웹인용 소벽(小檗)D http://www.koreantk.[...] 특허청 2007-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