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텐스 정리는 소수와 관련된 세 개의 정리로 구성되며, 소수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제1정리는 소수 p에 대해 ∑(log p)/p를 log n으로 근사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제2정리는 소수 p에 대해 ∑1/p를 log log n으로 근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3정리는 소수 p에 대해 ∏(1 - 1/p)를 log n으로 근사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와 관련이 있다. 각 정리는 란다우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되며, 메르텐스 제2정리와 제3정리에서는 부호 변화에 대한 연구 결과도 제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소수에 관한 정리 - 산술의 기본 정리 산술의 기본 정리는 1보다 큰 모든 양의 정수를 소수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정리이다.
소수에 관한 정리 - 소수 정리 소수 정리는 소수 계량 함수 π(x)와 함수 x / ln x의 비율이 x가 무한히 커질수록 1에 수렴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소수의 분포에 대한 점근적 법칙이다.
로빈의 이러한 결과는 소수 정리와 관련된 함수 의 차이가 무한히 자주 부호를 바꾼다는 리틀우드의 유명한 정리와 유사하다. (는 소수 계량 함수, 는 로그 적분 함수이다.) 하지만 메르텐스 제2정리와 제3정리의 경우, 스큐어스 수 (를 만족하는 첫 번째 자연수 의 상한)와 같은 구체적인 부호 변경 지점에 대한 결과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부등식의 좌변과 우변을 각각 정리하여 \sum_{p\leq n}\frac{\log p}{p}에 대한 상계와 하계를 유도할 수 있다. 상계 유도:좌변 부등식 \sum_{p\leq n}\log p\left(\frac{n}{p}-1\right)\leq \log n! 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체비쇼프 함수의 초등적인 평가에 의해 제1 체비쇼프 함수 \theta(n) = \sum_{p\leq n}\log p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theta(n) = \sum_{p\leq n}\log p < 2n\log 2
또한, 팩토리얼의 증가 정도에 대한 근사식 (스털링 공식보다 약하지만 유도하기 쉬운 형태)은 다음과 같다.
: \log n! = \sum_{k=1}^n \log k = n\log n - n + O(\log n)
이 두 결과를 위 부등식에 대입하면,
: \sum_{p\leq n}\frac{\log p}{p} \leq \frac{1}{n} (n\log n - n + O(\log n) + 2n\log 2) = \log n - 1 + 2\log 2 + O(\frac{\log n}{n})
따라서 충분히 큰 n에 대해 \sum_{p\leq n}\frac{\log p}{p} \leq \log n + C_1 를 만족하는 상수 C_1 (예: 2\log 2 - 1 + \epsilon)이 존재한다. 하계 유도:원래 부등식의 우변 \log n! < \sum_{p\leq n}\frac{n\log p}{p-1} 을 이용한다.
: \log n! < n \sum_{p\leq n}\frac{\log p}{p-1} = n \sum_{p\leq n}\frac{\log p}{p} + n \sum_{p\leq n}\frac{\log p}{p(p-1)}
여기서 \sum_{p\leq n}\frac{\log p}{p(p-1)} 부분은 n이 무한대로 갈 때 수렴하는 값이다. 왜냐하면,
이고, 우변의 급수는 예를 들어 \sum_{k=2}^\infty \frac{2\log k}{k^2} 와 비교하여 수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um_{p\leq n}\frac{\log p}{p(p-1)} = C_2 - \delta_n 형태이며, 여기서 C_2 = \sum_{p}\frac{\log p}{p(p-1)} 는 상수이고 \delta_n \to 0 이다.
이를 다시 부등식에 적용하고 \log n! = n\log n - n + O(\log n) 을 대입하면,
: n\log n - n + O(\log n) < n \sum_{p\leq n}\frac{\log p}{p} + n(C_2 - \delta_n)
따라서 충분히 큰 n에 대해 \sum_{p\leq n}\frac{\log p}{p} \geq \log n - C_3 를 만족하는 상수 C_3 (예: 1 + C_2 + \epsilon)가 존재한다. 결론:위에서 유도한 상계와 하계 \log n - C_3 \leq \sum_{p\leq n}\frac{\log p}{p} \leq \log n + C_1 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 \sum_{p\leq n}\frac{\log p}{p} = \log n + O(1)
이는 메르텐스 제1정리의 내용이다. 즉, \log n - \sum_{p < n} \frac{\ln p}{p}는 n\to\infty일 때 O(1)이며, 어떤 상수로 수렴한다. 이 수렴값은 약 1.3325822757..(OEIS,A083343)이다.[7]
5. 2. 메르텐스 제2정리의 증명
메르텐스 제2정리의 증명의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O(n)+n\log n=\log n! =\sum_{p^k\le n} \lfloor n/p^k\rfloor\log p =
\sum_{p^k\le n} \left(\frac{n}{p^k}+O(1)\right)\log p= n \sum_{p^k\le n}\frac{\log p}{p^k}\ + O(n)
여기서 마지막 등식은 \sum_{p^k\le n}\log p =O(n)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sum_{p\in (n,2n]}\log p\le \log{2n\choose n}=O(n)에서 따른다.
[1]
논문
Ein Beitrag zur analytischen Zahlentheorie
http://gdz.sub.uni-g[...] [2]
간행물
Sur l'ordre maximum de la fonction somme des diviseurs
[3]
논문
Sur la fonction qui détermine la totalité des nombres premiers
[4]
서적
Introduction to analytic and probabilistic number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Handbuch der Lehre von der Verteilung der Primzahlen
Teubner, Leipzig
[6]
서적
허수 이야기
경문사
[7]
웹사이트
A083343
http://oeis.org/A0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