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셀-메르텐스 상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셀-메르텐스 상수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와 관련된 여러 상수들을 지칭하며, 소수와 관련된 항들을 포함하여 계산된다. 메르텐스 상수는 B₁, B₂, B₃로 표현되며, 각기 다른 수식을 통해 정의된다. B₁은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와 뫼비우스 함수, 리만 제타 함수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B₂는 오일러 피 함수와 리만 제타 함수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B₃는 메르텐스 제1정리로부터 유도되며, 소수 p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이 상수들은 수학적 표현 외에도 구글의 노텔 특허 경매 입찰가 제시에 활용된 바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마이셀-메르텐스 상수 |
---|
2. 정의
마이셀-메르텐스 상수는 수학 상수의 하나로, 소수의 분포와 관련된 여러 값들을 아우른다. 일반적으로 메르텐스 상수라고 불리며, B1, B2, B3 등 여러 종류가 있다.[3][4][5] 이 상수들은 소수와 관련된 특정 무한급수의 합이나 극한 값으로 정의된다. 각 상수의 구체적인 정의와 값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메르텐스 상수 B₁
메르텐스 상수 B₁은 모든 소수 에 대해, 과 의 차의 합에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를 더한 값으로 정의된다.이는 번째 소수를 이라 할 때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로그 항을 다르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뫼비우스 함수 와 리만 제타 함수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3]
2. 2. 메르텐스 상수 B₂
메르텐스 상수 B₂는 메르텐스 상수 B₁에 소수와 관련된 항을 더하여 정의할 수 있다.여기서 은 n번째 소수를 나타낸다. B₂는 다음과 같은 여러 형태로도 표현될 수 있다.
메르텐스 상수 B₂의 근사값은 다음과 같다.
[4]
위 식에서 사용된 기호는 다음과 같다.
2. 3. 메르텐스 상수 B₃
메르텐스의 제1정리로부터 메르텐스 상수 를 얻을 수 있다.[5][6]를 소수라 할 때, 메르텐스 상수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7]
:
또한,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
이 값은 약 이다.[8]
3.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와의 관계
메르텐스 상수 B₁은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그 정의에 가 포함된다.
메르텐스 제2상수 B₂ 역시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와 관련이 있다. B₂는 B₁과의 관계를 통해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
또한 B₂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를 이용하여 직접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오일러 피 함수 와 리만 제타 함수 를 사용하면 B₂는 다음과 같이 표현되기도 한다.
:
:[4]
여기서 은 n번째 소수, 는 오일러 피 함수, 는 리만 제타 함수,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3. 1. 수식 표현
::
:
여기서 은 n번째 소수를 나타내고, 는 모든 소수를 의미하며,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또한, 뫼비우스 함수 와 리만 제타 함수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3]
:
4. 다른 수론 함수와의 관계
메르텐스 상수 B₂는 오일러 피 함수 , 리만 제타 함수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4]
이 값은 대략 1.034653... 이다. (OEIS의 수열 A083342)[4]
5. 메르텐스 정리
메르텐스의 제1정리로부터 메르텐스 상수 를 얻을 수 있다.[5][6]
를 소수라 하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7]
:
:
여기서 은 자연로그를,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를 나타낸다.
이 값은 약 이다.[8]
6. 대중문화 속 메르텐스 상수
구글은 노텔의 특허를 인수하기 위한 경매에서 마이셀-메르텐스 상수를 포함한 여러 수학 상수를 활용한 입찰가를 제시하여 주목받았다. 구글은 세 차례에 걸쳐 각각 브룬 상수를 기반으로 한 19.02억달러, 마이셀-메르텐스 상수를 기반으로 한 26.150000000000002억달러, 그리고 π를 기반으로 한 31.4159억달러를 입찰가로 제시했다.[1]
참조
[1]
뉴스
Google's strange bids for Nortel patents
http://business.fina[...]
2011-07-05
[2]
OEIS
http://oeis.org/A077[...]
[3]
논문
Flajolet and Vardi 1996, Schroeder 1997, Knuth 1998
[4]
간행물
Decimal expansion of average deviation of the total number of prime factors or decimal expansion of constant B2 from the summatory function of the restricted divisor function
[5]
OEIS
http://oeis.org/A083[...]
[6]
매스월드
http://mathworld.wol[...]
[7]
논문
Rosser and Schoenfeld 1962, Montgomery 1971, Finch 2003
[8]
OEIS
http://oeis.org/A0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