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그 적분 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그 적분 함수는 정적분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특수 함수이다. 유럽식 정의와 미국식 정의가 존재하며, 오프셋 로그 적분 또는 오일러 로그 적분이라고도 불린다. 로그 적분 함수는 소수의 밀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며, 소수 정리에서 소수 계량 함수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또한 지수 적분 함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급수 표현과 역함수 미분 관계를 갖는다. 로그 적분 함수는 라마누잔-솔드너 상수를 영점으로 가지며, li(2)와 같은 특수 값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수 초기하함수 - 지수 함수
    지수 함수는 양의 상수 *a*를 밑으로 하는 *y = ax* 형태의 함수이며, 특히 자연로그의 역함수인 *ex*는 다양한 정의와 응용을 가지며 복소수로 확장될 수 있다.
  • 특수 초기하함수 - 르장드르 다항식
    르장드르 다항식은 르장드르 미분 방정식의 해로 정의되는 직교 다항식 계열로, 생성 함수, 로드리게스 공식, 또는 점화식을 통해 정의될 수 있으며, 물리학, 공학, 수치해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 적분 - 가우스 적분
    가우스 적분은 특정한 정적분의 값으로 정의되며, 확률론, 통계학, 물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정규분포와 관련된 계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적분 - 적분표
    적분표는 다양한 함수들의 부정적분과 정적분 예시를 모아 놓은 목록으로, 유리 함수, 무리 함수, 삼각 함수, 지수 함수, 로그 함수 등 여러 함수와 닫힌 형식으로 표현되지 않는 함수의 정적분 값, 절댓값 함수, 곱으로 이루어진 함수를 포함하며, 마이어 히르슈의 적분 목록집에서 시작하여 그라드슈테인과 르지크의 표로 발전했다.
  • 특수 함수 - 람베르트 W 함수
    람베르트 W 함수는 we^w = z를 만족하는 w를 찾는 람베르트 이름을 딴 역함수 관계를 가지며, 여러 분야에서 지수 함수 방정식을 푸는 데 응용되는 무한히 많은 가지를 가진 함수이다.
  • 특수 함수 - 감마 함수
    감마 함수는 양의 실수부를 갖는 복소수 z에 대해 오일러 적분으로 정의되고 해석적 연속을 통해 복소평면 전체로 확장된 팩토리얼 함수의 일반화로서, 수학,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표현과 성질을 가진다.
로그 적분 함수
개요
이름로그 적분 함수
영어 이름Logarithmic integral function
기호li(x)
정의'li(x) = ∫0x dt/ln(t)'
정의 추가 설명'x ≠ 1'
특이점x = 1
설명
성격특수 함수, 해석적 함수
관련 함수'지수 적분 함수 Ei(x)'
정의
함수 정의'x > 0 에 대해 로그 적분 함수 li(x)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i(x) = ∫0x dt/ln(t)'
주의사항't = 1 에서 피적분 함수는 특이점을 갖기 때문에, 이 적분은 x > 1 일 때 코시 주요값으로 해석해야 한다.'
적분 표현'li(x) = limε→0 (∫01-ε dt/ln(t) + ∫1+ε x dt/ln(t))'
오프셋 로그 적분
정의'오프셋 로그 적분 또는 적분 로그 함수 Li(x)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Li(x) = li(x) - li(2)'
다른 표현'Li(x) = ∫2x dt/ln(t)'
수식
급수 표현'li(x) = Ei(ln x) = γ + ln(ln x) + ∑k=1∞ (ln x)kk⋅k!'
점근적 행동'li(x) ~ x/ln(x)'
테일러 급수li(x) = Σn=0∞ (x-1)n (-1)n-1 Σk=1∞ (-1)k / kn

2. 정의

로그 적분 함수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형태로 정의된다.

로그 적분 함수 li영어(x)는 모든 양의 실수 x ≠ 1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적분 표현을 갖는다.

: \operatorname{li}(x) = \int_0^x \frac{dt}{\ln t}.

여기서 ln은 자연로그를 나타낸다. 함수 1/(ln ''t'')는 ''t'' = 1에서 수학적 특이점을 가지며, ''x'' > 1에 대한 적분은 코시 주치로 해석된다.[3]

: \operatorname{li}(x) = \lim_{\varepsilon \to 0+} \left( \int_0^{1-\varepsilon} \frac{dt}{\ln t} + \int_{1+\varepsilon}^x \frac{dt}{\ln t} \right).

2. 1. 미국식 정의

로그 적분 함수는 정적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rm li} (x) = \int_0^x \frac{dt}{\ln t} \;

여기서 {\ln} \; 자연로그를 의미한다. 함수 \frac{1}{\ln t} t = 1 에서 수학적 특이점을 가지며, x > 1 에 대한 적분은 코시 주치로 해석된다.

: \operatorname{li}(x) = \lim_{\varepsilon \to 0+} \left( \int_0^{1-\varepsilon} \frac{dt}{\ln t} + \int_{1+\varepsilon}^x \frac{dt}{\ln t} \right).[3]

2. 2. 유럽식 정의 (오프셋 로그 적분)

'''오프셋 로그 적분''' 또는 '''오일러 로그 적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operatorname{Li}(x) = \int_2^x \frac{dt}{\ln t} = \operatorname{li}(x) - \operatorname{li}(2). [3]

이와 같이 적분 표현은 적분 영역 내에서 특이점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동등하게는,

:\operatorname{li}(x) = \int_0^x \frac{dt}{\ln t} = \operatorname{Li}(x) + \operatorname{li}(2).

3. 성질

x영어 → ∞ 일 때, li(x)영어는 (''x''/ln ''x'')로 근사한다.[4] 여기서 O는 점근 표기법을 의미한다.

x영어가 충분히 클 때, li(x)영어를 ''x''/ln ''x''로 근사할 수 있으며, 더 정밀한 점근 전개도 가능하다.

:

:

이는 다음과 같은 더 정확한 점근적 거동을 제공한다.

:

이 급수는 발산 급수이며, 유한한 수의 항에서 급수를 잘랐을 때, 그리고 큰 값의 x영어를 사용할 때만 합리적인 근사이다.

로그 적분 함수는 소수의 밀도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며, 소수 정리 등에 등장한다.

:

여기서 π(''x'')는 ''x'' 이하의 소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소수 계량 함수이다. Li(''x'')는 수정 로그 적분 함수이며, 오일러의 로그 적분이라고도 불린다.

:

는 적분 영역의 특이점을 회피하며, 보다 더 잘 근사한다.

함수 li(x)영어와 지수 적분 Ei(x)영어 사이에는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

(단, 인 모든 양의 정수)

4. 급수 표현

로그 적분 함수는 지수 적분 함수 Ei(x)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4]

:li(x)|x|로그 적분 함수영어 = Ei(ln x)|x|지수 적분 함수영어

이 식은 x > 0에서 성립한다. 지수 적분 함수급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li (et)|et|로그 적분 함수영어 = Ei(t)|t|지수 적분 함수영어 = } (t ≠ 0)

따라서 로그 적분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li (x)|x|로그 적분 함수영어 = Ei(ln x)|ln x|지수 적분 함수영어 = } (x ≠ 1)

라마누잔이 제시한 더 빠르게 수렴하는 급수는 다음과 같다.[1]

:li (x)|x|로그 적분 함수영어 = γ + ln ln x + √x ∑n=1 {(-1)n-1 (ln x)n / n! 2n-1k=0⌊ (n-1)/2 ⌋ {1 / (2k+1)영어|γ + ln ln x + √x ∑n=1부터 ∞까지 {(-1)n-1 (ln x)n / n! 2n-1 ∑k=0부터 ⌊ (n-1)/2 ⌋까지 {1 / (2k+1)}}|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 ln ln x + √x 급수의 합 (n=1 부터 ∞까지) {(-1)n-1 (ln x)n / n! 2n-1 급수의 합 (k=0 부터 ⌊ (n-1)/2 ⌋) {1 / (2k+1)}}}}

여기서 γ ≈ 0.57721 56649 01532...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5. 소수와의 관계

로그 적분 함수는 수론에서 매우 중요한데, 어떤 수 이하의 소수 개수를 어림하는 데 쓰이기 때문이다. 소수 정리에 따르면 다음이 성립한다.

:\(\pi(x)\sim\operatorname{li}(x)\)

여기서 \(\pi(x)\)은 소수 계량 함수이다.

작은 \(x\)에 대해서는 \(\operatorname{li}(x)\)가 \(\pi(x)\)보다 항상 약간 더 크지만, 스큐스 수에서 \(\pi(x)\)가 \(\operatorname{li}(x)\)보다 더 커지고, 이후에는 무한히 대소 순서가 바뀐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리만 가설을 가정하면 다음이 성립한다.[2]

:\(|\operatorname{li}(x)-\pi(x)| = O(\sqrt{x}\log x)\)

이는 리만 가설과 동치이다.

:\(|\operatorname{li}(x)-\pi(x)| = O(x^{1/2+a})\) (단, \(a>0\)).

작은 \(x\)에 대해, \(\operatorname{li}(x)>\pi(x)\) 이지만, 그 차이는 \(x\)가 증가함에 따라 무한히 많은 횟수로 부호가 바뀌며, 이 현상이 처음 발생하는 지점은 1019과 1.4×10316 사이 어딘가에 있다.

6. 특수값

함수 li(x)는 하나의 양의 영점을 가지며, 이 영점은 x ≈ 1.45136...에서 발생한다. 이 숫자는 라마누잔-솔드너 상수로 알려져 있다.

li(2) ≈ 1.04516...

이 값은 -(Γ(0, -ln 2) + iπ)이며, 여기서 Γ(a, x)는 불완전 감마 함수이다. 이 값은 함수의 코시 주치로 이해해야 한다.

7. 지수 적분 함수와의 관계

로그 적분 함수는 모든 양의 실수 x ≠ 1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적분 표현을 갖는다.

: \operatorname{li}(x) = \int_0^x \frac{dt}{\ln t}.

여기서 ln은 자연 로그를 나타낸다. 함수 1/(ln ''t'')는 ''t'' = 1에서 수학적 특이점을 가지며, ''x'' > 1에 대한 적분은 코시 주치로 해석된다.

: \operatorname{li}(x) = \lim_{\varepsilon \to 0+} \left( \int_0^{1-\varepsilon} \frac{dt}{\ln t} + \int_{1+\varepsilon}^x \frac{dt}{\ln t} \right).

이 함수는 다음 방정식을 통해 지수 적분 함수 Ei(x)와 관련이 있다.

:\operatorname{li}(x)=\operatorname{Ei}(\ln x) , \,\!

이것은 x > 0에 대해 유효하다. 이 항등식은 li(x)의 급수 표현을 다음과 같이 제공한다.

: \operatorname{li}(e^u) = \operatorname{Ei}(u) =

\gamma + \ln |u| + \sum_{n=1}^\infty {u^{n}\over n \cdot n!}

\quad \text{ for } u \ne 0 \; ,

여기서 γ ≈ 0.57721 56649 01532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7. 1. 관계식

로그 적분 함수는 지수 적분 함수 Ei(x)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4]

:li|리영어(x) = Ei|이아이영어(ln x)

이 식은 x > 0인 모든 x에 대하여 성립한다.

라마누잔[1]이 제시한 더 빠르게 수렴하는 급수는 다음과 같다.

:li|리영어(x) = γ + ln ln x + √x ∑n=1 (-1)n-1 (ln x)n / {n! 2n-1} ∑k=0⌊ (n-1)/2 ⌋ {1 / {2k+1}}

여기서 γ ≈ 0.57721 56649 01532 ... 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이다.

7. 2. 역함수

지수 적분 함수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가장 간단한 예로는 li영어(x)= Ei영어(\ln x)라는 관계가 있다. 또한, 음함수 미분법을 이용하여 로그 적분 함수의 역함수를 미분해 보면 지수 적분 함수의 역함수가 나온다. 즉, 역함수를 함수 위에 -1을 위첨자로 쓴 형태로 표기한다면 \frac{d}{dx} \operatorname{li}^{-1}(x)=\operatorname{Ei}^{-1}(x)이라고 쓸 수 있다.

참조

[1] MathWorld Logarithmic Integral
[2] 서적 Abramowitz and Stegun
[3] 서적 오일러 상수 감마
[4] 위키 영문 위키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