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암 경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암 경계선은 지구 또는 달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구분하는 경계선이다. 지구의 경우, 명암 경계선은 일출과 일몰 시 지구 표면의 모든 지점을 통과하며, 지구 자전과 공전에 따라 경로가 달라진다. 아마추어 무선 통신은 명암 경계선을 따라 전파가 이동하는 현상을 활용하며, 초음속 항공기는 명암 경계선의 이동 속도를 앞지를 수 있다. 달의 명암 경계선은 달의 지형을 관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착시 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명암 경계선 연구는 행성 대기 및 지형 정보를 제공하며, 저궤도 위성의 궤도 설계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연현상 - 스콜
스콜은 풍속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세계기상기구는 풍속 8m/s 이상 증가 및 11m/s 이상 지속을 기준으로 정의하고, 뇌우와 관련되어 강한 강수, 우박, 낙뢰, 강풍 등을 동반할 수 있다. - 자연현상 - 해빙
해빙은 양극 해역에서 생성되어 계절에 따라 면적이 변하는 얼음으로, 북극의 다년빙과 남극의 일년빙으로 나뉘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면적이 급감하여 극지방 생태계와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 하루의 일부 - 오전
- 하루의 일부 - 오후
오후는 정오와 해질녘 사이의 시간으로, 1300년경부터 사용된 단어이며, 태양의 위치, 근무 시간, 학교 수업, 인간의 체온 변화, 교통사고 발생률, 생산성 감소 등과 관련이 있다. - 빛 - 형광
형광은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여기 상태가 된 후 바닥 상태로 돌아오며 흡수한 에너지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진 빛을 방출하는 현상으로, 형광등, 형광염료 등에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빛 - 광초
광초는 빛이 1초 동안 진공에서 이동하는 거리로, 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 제한 요소 및 통신 지연 시간 계산에 활용되며, 천문학에서는 천체 간 거리 측정에 유용하고, 광분, 광시, 광일, 광주, 광년 등의 배수 단위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명암 경계선 | |
---|---|
개요 | |
명칭 | 명암 경계선 |
로마자 표기 | Myeong'am Gyeonggyeseon |
영어 명칭 | Terminator (solar) |
일본어 명칭 | 明暗境界線 (Meian Kyōkaisen) |
정의 | |
설명 | 행성, 위성 등 빛을 받는 천체의 표면에서 낮과 밤을 나누는 경계선이다. |
특징 | 태양광이 표면에 접하는 각도 때문에 대기가 있는 천체에서는 이 영역이 희미하게 빛나는 박명 지역이 된다. |
상세 | |
원인 | 천체의 자전 |
모양 | 완벽한 구체인 천체에서는 90도 각도로 입사하는 태양광에 수직인 완벽한 선이 되지만, 대부분의 천체는 표면의 불규칙성으로 인해 굴곡진 형태를 띤다. |
달의 경우 | 달의 위상 변화에 따라 명암 경계선의 위치가 이동하며, 이 선을 따라 해가 뜨거나 진다. |
중요성 | 달 표면의 특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낮은 각도로 입사하는 빛은 크레이터와 산맥의 그림자를 길게 늘어뜨려 지형을 돋보이게 한다. |
연구 방법 | 달의 명암 경계선을 따라 관찰하면 지형의 높낮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망원경을 통해 관찰할 때 유용하다. |
기타 | |
관련 용어 | 박명 황혼 여명 |
2. 지구의 명암 경계선
지구의 명암 경계선은 낮과 밤을 구분하는 선으로, 지구의 절반 이상이 항상 햇빛을 받지만, 이 선은 지구 자전과 지구 공전에 따라 위치가 변한다. 춘분에는 경도선과 거의 평행하며, 동지에는 천구의 극에 대해 최대 약 23.5° 기울어진다.[2] 하지와 동지에는 명암 경계선이 지구의 축에서 23.5° 기울어진다.
아마추어 무선 통신에서 명암 경계선은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이 경계선을 따라 전파가 장거리 이동을 하기 때문에, 통신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된다.
콩코드나 투폴레프 Tu-144와 같은 일부 항공기는 명암 경계선의 이동 속도보다 빠르게 비행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콩코드는 저녁에 히스로 공항이나 파리를 출발하여 일몰 전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었고, 이때 조종석에서는 서쪽에서 해가 뜨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1. 명암 경계선의 이동 속도
적도에서 평탄한 환경(산과 같은 장애물이 없거나 그러한 장애물보다 높은 고도)에서 명암 경계선은 대략 463m/s의 속도로 움직인다. 명암 경계선의 속도는 극지방에 가까워질수록 감소하며, 극지방에서는 속도가 0(하루 종일 햇빛 또는 어둠)에 도달할 수 있다.[3]초음속 항공기인 제트 전투기 또는 콩코드와 투폴레프 Tu-144는 적도에서 명암 경계선의 최대 속도를 추월할 수 있는 유일한 항공기이다. 그러나 더 느린 차량은 더 높은 위도에서 명암 경계선을 추월할 수 있으며, 춘분 근처의 극지방에서는 명암 경계선보다 빠르게 걸을 수도 있다. 시각적인 효과는 서쪽에서 해가 뜨거나 동쪽에서 해가 지는 것을 보는 것이다.
2. 2. 그레이 라인 전파
전리층의 주간과 야간 사이의 변화는 전파 세기에 영향을 준다. 주로 고주파 신호를 흡수하는 D층은 명암 경계선의 어두운 쪽에서는 빠르게 사라지는 반면, D층 위에서 E층과 F층이 형성되는 데에는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이다.[4] 이러한 시간 차이로 인해 전리층은 명암 경계선을 따라 "그레이 라인"이라고 불리는 독특한 중간 상태에 놓이게 된다.[5]아마추어 무선 통신사들은 장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명암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는 조건을 활용한다. "그레이 라인" 전파라고 불리는 이 신호 경로는 일종의 전파이다. 좋은 조건에서는 전파가 명암 경계선을 따라 정반대점까지 이동할 수 있다.[5]
아마추어 무선 애호가들은 명암 경계선의 상태에 따라 혜택을 받는다. 전파가 명암 경계선 상의 지점에서 반대쪽 끝까지 긴 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이다.
3. 달의 명암 경계선
'''달의 명암 경계선'''은 달의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을 구분하는 경계선이다.[6] 이는 지구에서 밤과 낮을 구분하는 것과 비슷하지만, 달이 훨씬 느리게 자전하기 때문에[7] 명암 경계선이 달 표면을 가로지르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적도에서 명암 경계선은 15.4kph의 속도로 이동하는데, 이는 지구에서 운동 선수가 달릴 수 있는 속도와 비슷하다.
햇빛이 명암 경계선 부근에 비스듬히 비치기 때문에 분화구나 다른 지형의 그림자가 길어져, 이러한 지형들이 더 뚜렷하게 보인다. 이는 태양이 하늘에 낮게 떠 있을 때 지구에서 그림자가 길어지는 것과 비슷하다. 따라서 달 사진 연구는 명암 경계선 근처의 밝은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그림자를 통해 달 지형을 더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다.
3. 1. 달의 명암 경계선 착시
달의 명암 경계선 착시는 착시의 일종으로, 지구에서 달을 관찰할 때 달을 비추는 햇빛의 방향(즉, 명암 경계선에 수직인 선)이 태양의 위치와 일치해야 한다고 예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보이지 않는 현상이다. 이 착시는 평면 기하학에 기반한 직관에 따라 하늘의 물체 배열을 잘못 해석한 결과이다.[8][9]4. 명암 경계선의 과학적 의의
명암 경계선 조사를 통해 행성 표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대기가 존재하면 명암 경계선이 더 흐릿하게 나타나는데, 대기 중 입자들이 높은 고도에 있어 해가 진 후에도 빛을 산란시켜 지면으로 반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가 진 후에도 하늘은 밝게 유지될 수 있다. 행성 명암 경계선 이미지는 지형을 매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 명암 경계선 뒤의 산봉우리 위치는 태양이 아직 비추거나 이미 비추고 있을 때 측정되며, 산의 기저부는 그림자에 남아있기 때문이다.[10]
4. 1. 저궤도 위성 활용
저궤도 위성은 특정 극궤도가 명암 경계선 근처에 위치하여 일식을 겪지 않는다는 사실을 활용하므로, 태양 전지가 지속적으로 햇빛을 받는다. 이러한 궤도는 새벽-황혼 궤도라고 불리며, 태양 동기 궤도의 한 유형이다. 이는 저궤도 위성의 작동 수명을 연장하는데, 위성 내 배터리 수명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설계자가 관련 센서를 위성의 어두운 쪽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태양의 간섭을 최소화해야 하는 특정 실험을 가능하게 한다.[10]참조
[1]
서적
Carbon in the Geobiosphere: – Earth's Outer Shell –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12-29
[2]
웹사이트
SOS:Day Night Terminator
http://sos.noaa.gov/[...]
2009-02-06
[3]
문서
Venus Revealed
[4]
문서
Ionospheric Propagation, Transmission Lines, and Antennas for the QRP DXer
Milliwatt QRP Books
2011
[5]
웹사이트
Propagation
http://dx.qsl.net/pr[...]
[6]
웹사이트
List of basic lunar features
http://brahms.phy.va[...]
[7]
문서
lunar day
http://cseligman.com[...]
[8]
웹사이트
Lunar Terminator Illusion
http://chrisjones.id[...]
2014-01
[9]
웹사이트
The Moon Tilt Illusion
http://www.seas.upen[...]
[10]
간행물
Cloud-base or mountain shadow?
20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