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명예훼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명예훼손은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로, 대한민국, 일본, 독일,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법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각국은 명예훼손에 대한 처벌과 민사상 책임을 규정하며, 표현의 자유와 명예 보호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다. 국제 인권법은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 구제 권리를 보장하면서도,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도록 제한하고 있다. 유엔 인권위원회는 명예훼손 법률이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진실의 방어와 같은 방어 수단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예훼손 - 콤프로마트
    콤프로마트는 정치적 목적으로 개인의 약점을 폭로하거나 협박하는 러시아어 단어로, 정보 조작, 사이버 범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윤리적, 법적 문제를 야기한다.
  • 명예훼손 - 라숀 하라
    라숀 하라는 유대교에서 금기시하는 '악한 말'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구절로, 험담, 비방, 명예훼손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해를 끼치는 모든 언어적 행위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 언론 - 특파원
    특파원은 특정 지역이나 분야를 전문적으로 취재하여 심층 분석과 전문적인 시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자로, 해외, 경제, 국회, 법률/사법, 연예 등 다양한 분야가 있으며, 생활비 특파원이나 외주 특파원 같은 새로운 형태가 등장하고 있고, 객관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언론 - 블로그
    블로그는 웹로그의 줄임말로, 개인이나 단체가 글, 사진, 동영상 등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웹사이트이며, 다양한 종류와 운영 방식이 존재하고 사회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지만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명예훼손
개요
유형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
관련 법률형법
민법
유사 개념모욕
비방
악성 댓글
허위 사실 유포
법률 체계별 명예훼손
대한민국형법 제307조: 명예훼손죄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사이버 명예훼손죄
일본형법 제230조: 명예훼손죄
미국명예훼손: 명예훼손 (libel, slander)
구성 요건
대상특정인의 사회적 평가
방법사실 또는 허위 사실의 적시
내용공연성
특정성
위법성
명예훼손의 성립 요건
공연성불특정 다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
특정성피해자가 누구인지 명확히 식별 가능해야 함
위법성정당한 사유 없이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
진실성 및 공익성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
명예훼손의 면책 사유
진실성적시된 사실이 진실인 경우 (일부 국가/법률에 따라 다름)
공익성공공의 이익을 위한 경우
상당성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
명예훼손의 유형
사실 적시 명예훼손진실한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허위 사실 적시 명예훼손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하는 경우
처벌
형사 처벌벌금, 징역 등 (국가/법률에 따라 다름)
민사 책임손해배상 책임 발생
관련 개념
모욕죄구체적인 사실 적시 없이 경멸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행위
사이버 명예훼손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
기타
참고표현의 자유
알 권리
언론의 자유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형법민법 양쪽에서 명예훼손을 다룬다. 형법에서는 공연히 사실 또는 허위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한 경우 처벌하며, 민법에서는 불법행위로 보아 손해배상 책임을 지운다.[18] 다만, 공공의 이익을 위한 진실한 사실을 적시한 경우에는 위법성이 조각되어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

2. 1. 대한민국 법률의 특징

형법에서는 공연히, 즉 불특정 또는 다수인에게 전파가능성이 있게 사실 또는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한 경우에 처벌을 받는다. 그러나 공공의 이익에 관한 사항에 관하여 진실한 사실을 적시한 경우에는 위법성이 조각되어 무죄가 된다. 단, 적시 내용이 반드시 진실일 필요는 없고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죄가 성립되지 않는다. 민법에서는 명예훼손은 불법행위로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

형법 제310조는 제307조의 명예훼손행위가 1. 진실한 사실로서 2. 오로지 공공의 이익에 관한 때에는 위법성이 조각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진실성과 공공성에 대하여 누구에게 입증책임이 있는지 문제된다.

범죄 성립의 증명은 공소를 제기하는 검사가 객관적인 증거에 의하여 입증하여야 하기에 "진실성과 공공성에 반한다"는 것도 검사가 당연히 입증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피고인의 증명방법은 "자유로운 증명으로 족하다"면서 입증부담을 완화하고 있다.

2. 2. 대한민국의 관련 판례

형법에서는 공연히, 즉 불특정 또는 다수인에게 전파 가능성이 있게 사실 또는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한 경우에 처벌을 받는다. 그러나 공공의 이익에 관한 사항에 관하여 진실한 사실을 적시한 경우에는 위법성이 조각되어 무죄가 된다. 단, 적시 내용이 반드시 진실일 필요는 없고 진실이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죄가 성립되지 않는다. 민법에서는 명예훼손은 불법행위로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

형법 제310조는 제307조의 명예훼손행위가 1. 진실한 사실로서 2. 오로지 공공의 이익에 관한 때에는 위법성이 조각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진실성과 공공성에 대하여 누구에게 입증책임이 있는지 문제된다.

# 피고인부담설(거증책임전환설)

# 검사부담설

범죄 성립의 증명은 공소를 제기하는 검사가 객관적인 증거에 의하여 입증하여야 하기에 "진실성과 공공성에 반한다"는 것도 검사가 당연히 입증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피고인의 증명방법은 "자유로운 증명으로 족하다"면서 입증부담을 완화하고 있다.

3. 일본

일본법에서 명예훼손은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을 의미하며, 민사 및 형사 উভয় ক্ষেত্রে 대응 করা যেতে পারে。

형법상 명예훼손죄와 모욕죄의 관계가 문제되는데, 명예훼손죄는 외부적 명예를 보호하고 모욕죄는 주관적 명예를 보호한다는 이원설 등도 있지만, 모두 외부적 명예를 보호한다고 보는 외부적 명예설이 통설이다. 통설은 구체적 사실의 지시 여부로 구분하여, 구체적 사실을 지시한 경우에는 명예훼손죄,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모욕죄의 성립 여부가 문제 된다고 한다.

'''예외 규정'''

정보가 사실이고, 공익성이 있으며, 공적으로 밝혀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이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명예훼손으로 문제 삼을 수 없다. 또한, 발생 후 3년이 지나면 시효가 완성되며, 비방 중상자를 알게 된 후 6개월 이내에 형사 고소하지 않으면 기소할 수 없게 된다.[238]

일본 형사 명예훼손과 민사 명예훼손의 비교
형사 명예훼손민사 명예훼손
사실의 적시사실 적시로 사회적 평가 저하시 명예훼손죄 성립 (판례·통설)사실 적시, 의견/논평 모두 사회적 평가 저하시 명예훼손 불법행위 성립
의견 또는 논평사실 적시 외 방법으로 사회적 평가 저하시 모욕죄 성립 (판례·통설)
명예 감정의 침해사회적 평가 저하 없으면 명예훼손죄, 모욕죄 모두 불성립 (판례·통설은 외부적 명예 보호)민사상 명예훼손 보호 대상은 외부적 명예. 명예 감정 침해는 별도 불법행위 가능.
고의·과실고의만 명예훼손죄(또는 모욕죄) 성립 (고의범)과실 명예훼손도 불법행위 성립
공연성명문상 공연성은 구성요건공연성은 요건 아니나, 명예훼손은 사회적 평가 저하 행위이므로 발언 전파 양상 필요. 형사, 민사 간 결정적 차이 없음. 다수 재판례, 실무는 공연성 필요설.


3. 1. 민사

민사에서는 불법행위의 한 유형으로 명예훼손을 다룬다. 원칙적으로 객관적인 사회적 평가가 보호 대상이며, 단순한 주관적 명예 감정 침해는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명예 감정 침해도 불법행위의 일반 요건을 만족하면 별도의 불법행위가 될 수 있다.

민사상 손해배상은 원칙적으로 금전 배상이지만, 명예훼손의 경우 손해배상 외에 '명예 회복에 적당한 처분'을 명할 수 있다. 이는 명예훼손이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행위이기 때문이며, 피해자의 복수 감정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은 아니다.

현대 영미법 체계에서 명예훼손 성립 요건은 일반적으로 허위 사실의 존재, 그리고 그 사실이 피해자 외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22] 일부 영미법 체계에서는 구두 명예훼손('비방')과 인쇄물, 이미지 등 다른 매체를 통한 명예훼손('명예훼손죄')을 구분한다.[23] 양자의 근본적 차이는 명예훼손적 내용이 발표된 형식에 있다. 구어, 소리, 수화, 몸짓 등 일시적 형태는 비방, 서면, 인쇄된 단어, 그림 등은 명예훼손죄에 해당한다.[24] 명예훼손죄 법은 17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어 출판의 발전과 함께 발전했다.[25] 미국 명예훼손 사건 최고 배상액은 1997년 다우존스에 대해 MMAR 그룹이 승소한 2.227억달러였으나,[26] 1999년 MMAR 측 문제로 판결이 기각되었다.[27]

영미법 체계에서 민사상 명예훼손 소송은 기업과 정부가 비판을 억압하고 검열하는 데 악용되기도 한다. 대표적 사례는 싱가포르 여당 인민행동당 정치인들이 야당 지도자들을 억압하기 위해 명예훼손 소송을 남용한 것이다.[28][29][30][31][32] 21세기 초, 전략적 소송 남용 현상이 여러 영미법 체계에서 두드러졌고,[33] 이에 대응하기 위한 불법행위법 개혁 조치가 제정되었다. 캘리포니아 민사소송법, 온타리오 공공참여 보호법 등이 그 예이다.[34][35]

프랑스에서는 1881년 7월 29일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 제29조 이하에서 명예훼손, 모욕 처벌을 규정한다.[237] 이전에는 1810년 형법전 제367조에서 명예훼손을 규정했다.[237] 1819년 5월 17일 출판법 제13조는 사실 진위 여부와 관계없이 명예훼손을 처벌했으나,[237] 1881년 법률 개정으로 사실 제시, 비난 모두 명예훼손으로 처벌하게 되었다.[237] 프랑스 명예훼손죄 구성 요소는 사실 제시/비난, 명예/명성 침해, 특정 피해자, 공표성이며, 판례에 따라 악의도 요건이다.[237] 1881년 법률에서 진실성 항변 범위가 확대되었다.[237]

독일에서는 형법 제185조 이하에서 명예훼손죄를 규정한다.[237] 일본에서는 형법 제230조 이하에 규정되어 있다.

형법상 명예훼손죄와 모욕죄 관계에 대해서는 외부적 명예 보호라는 통설이 있다. 통설은 구체적 사실 지시 여부로 구분한다.

'''예외 규정'''

정보가 사실이고, 공익성이 있으며, 공적으로 밝혀져야 할 경우, 명예훼손으로 문제 삼을 수 없다. 3년 시효가 있으며, 비방 중상자를 안 날로부터 6개월 내 형사 고소해야 한다.[238]

대륙법계, 코먼로(common law) 법체계 모두 명예훼손을 불법행위로 간주한다. 미국 연방법원은 타인 평판에 관한 허위 명성을 공표, 평가를 저하시키는 행위가 명예훼손이라고 한다.[239] 불법행위로서 명예훼손은 품성, 덕행, 명성, 신용 등 인격적 가치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행위이다.[240]

일본 형사 명예훼손과 민사 명예훼손의 비교
형사 명예훼손민사 명예훼손
사실의 적시사실 적시로 사회적 평가 저하시 명예훼손죄 성립 (판례·통설)사실 적시, 의견/논평 모두 사회적 평가 저하시 명예훼손 불법행위 성립
의견 또는 논평사실 적시 외 방법으로 사회적 평가 저하시 모욕죄 성립 (판례·통설)
명예 감정의 침해사회적 평가 저하 없으면 명예훼손죄, 모욕죄 모두 불성립 (판례·통설은 외부적 명예 보호)민사상 명예훼손 보호 대상은 외부적 명예. 명예 감정 침해는 별도 불법행위 가능.
고의·과실고의만 명예훼손죄(또는 모욕죄) 성립 (고의범)과실 명예훼손도 불법행위 성립
공연성명문상 공연성은 구성요건공연성은 요건 아니나, 명예훼손은 사회적 평가 저하 행위이므로 발언 전파 양상 필요. 형사, 민사 간 결정적 차이 없음. 다수 재판례, 실무는 공연성 필요설.


3. 2. 형사

형법에서는 '공연히 사실을 적시하여 사람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 명예훼손죄가 성립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사람'은 자연인, 법인, 법인이 아닌 단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미국인'이나 '동경인'처럼 막연하고 특정되지 않은 집단은 포함되지 않는다.

통설에 따르면, 명예훼손은 추상적 위험범으로 간주된다. 즉, 외부적인 명예가 현실에서 침해될 필요 없이, 그러한 위험이 발생하는 것만으로도 성립한다.

사실의 유무나 진위는 따지지 않는다. 다만, 공공의 이익을 위한 사실을 오로지 공익 목적으로 알린 결과 명예를 훼손하게 된 경우에는, 그 사실이 진실임을 증명할 수 있다면 처벌받지 않는다.

죽은 사람의 명예가 훼손된 경우에는, 그 사실이 객관적으로 거짓이 아니라면 처벌되지 않는다. 그러나 명예훼손 후, 명예를 훼손한 사람이 사망한 경우에는 통상적인 명예훼손죄로 취급되며, 해당 사실이 허위가 아니었다는 것만으로는 면책되지 않는다.

현대 영미법 체계에서는 명예훼손이 성립하려면 일반적으로 허위의 주장이어야 하며, 피해자 이외의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었어야 한다.[22] 일부 영미법 체계에서는 구어에 의한 명예훼손인 '비방'과 인쇄물이나 이미지 등 다른 매체를 통한 명예훼손인 '명예훼손죄'를 구분한다.[23] 비방과 명예훼손죄의 근본적인 차이는 명예훼손적 내용이 발표된 형식에만 있다. 문제가 되는 내용이 구어, 소리, 수화, 몸짓 등 일시적인 형태로 발표된 경우에는 비방이다. 반대로 명예훼손죄는 서면 또는 인쇄된 단어, 그림, 또는 구어나 몸짓 이외의 모든 형태의 명예훼손을 포함한다.[24]

명예훼손죄 법은 17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출판의 발전과 함께 명예훼손죄도 발전하고 명예훼손 불법행위가 발전했다.[25] 미국 명예훼손 사건에서 가장 높은 배상액인 2.227억달러는 1997년 다우존스에 대해 MMAR 그룹이 승소하면서 판결되었다.[26] 그러나 1999년 MMAR이 직원들이 만든 오디오테이프를 공개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판결은 기각되었다.[27]

영미법 체계에서는 민사상 명예훼손 소송이 사기업과 정부 모두에 의해 비판을 억압하고 검열하는 데 자주 사용되어 왔다. 정부에 대한 정치적 비판을 억압하는 데 이러한 소송이 사용된 주목할 만한 사례로는 싱가포르 여당인 인민행동당의 정치인들이 J. B. 제야레트남과 같은 야당 지도자들을 괴롭히고 억압하기 위해 명예훼손 청구를 사용한 것이다.[28][29][30][31][32]

프랑스에서는 형법전이 아닌 1881년 7월 29일 출판의 자유에 관한 법률 제29조 이하에서 개인이나 단체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의 처벌이 규정되어 있다.[237] 1819년 5월 17일 출판법 제13조 전단은 “사람 또는 단체의 명예 또는 명성을 훼손하는 모든 주장 또는 비난은 명예훼손이다”라고 하여, 사실의 진위 여부에 관계없이 처벌하는 제도를 채택하였다.[237]

독일에서는 형법 제185조 이하에서 명예훼손죄가 규정되어 있다.[237]

일본에서는 형법 제230조 이하에 명예훼손죄가 규정되어 있다.

형법상 명예훼손죄와 모욕죄의 관계가 문제가 되는데, 명예훼손죄는 외부적 명예를 보호하고 모욕죄는 주관적 명예를 보호한다는 이원설 등도 있지만, 모두 외부적 명예를 보호한다고 보는 외부적 명예설이 통설이다. 통설은 구체적 사실의 지시 여부로 구분하여, 구체적 사실을 지시한 경우에는 명예훼손죄의 성립 여부가 문제가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모욕죄의 성립 여부가 문제가 된다고 한다.

'''예외 규정'''

정보가 사실일 것, 정보를 발신함으로써 공익이 있을 것, 그 정보가 공적으로 밝혀져야 할 것, 이 3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본인이 비방 중상이라고 느껴도 명예훼손으로 문제 삼을 수 없다. 또한, 발생 후 3년이 지나면 시효가 완성되며, 비방 중상자를 알게 된 후 6개월 이내에 형사 고소하지 않으면 기소할 수 없게 된다.[238]

일본 형사 명예훼손과 민사 명예훼손의 비교
형사 명예훼손민사 명예훼손
사실의 적시사실의 적시에 의해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킨 경우에만 명예훼손죄가 성립한다.사실을 적시한 경우뿐만 아니라 의견 또는 논평이라도 사회적 평가가 저하되면 명예훼손에 의한 불법행위가 성립한다.
의견 또는 논평사실의 적시 이외의 방법으로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킨 경우에는 모욕죄가 성립한다.
명예 감정의 침해사회적 평가의 저하가 없다면 명예훼손죄도 모욕죄도 성립하지 않는다.민사상 명예훼손으로 보호되는 “명예”는 외부적 명예이다. 따라서 명예훼손이 되지는 않는다. 다만 명예 감정의 침해로 불법행위가 성립하는 경우가 있다.
고의·과실고의의 경우에만 명예훼손죄(또는 모욕죄)가 성립한다.과실에 의한 명예훼손이라도 불법행위가 성립한다.
공연성명문에 공연성이 구성요건으로 되어 있다.공연성은 요건이 아니지만 명예훼손은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행위이며 해당 발언이 어느 정도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양상인 것이 필요하며 형사와 민사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많은 재판례와 실무는 공연성 필요설에 서 있다고 여겨진다.


3. 3. 일본 법률의 특징

일본에서는 형법 제230조 이하에 명예훼손에 관한 규정이 있다.

형법상 명예훼손죄와 모욕죄의 관계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지만, 통설은 모두 외부적 명예를 보호하는 것으로 본다. 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했는지에 따라 구분하여, 사실을 적시한 경우에는 명예훼손죄,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모욕죄의 성립 여부를 따진다.

'''예외 규정'''

정보가 사실이고, 공익성이 있으며, 공적으로 밝혀져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이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명예훼손으로 문제 삼을 수 없다. 또한, 3년이 지나면 시효가 완성되며, 비방 중상자를 알게 된 후 6개월 이내에 형사 고소하지 않으면 기소할 수 없게 된다.[238]

다음은 일본에서 형사상 명예훼손과 민사상 명예훼손을 비교한 표이다.

일본 형사 명예훼손과 민사 명예훼손의 비교
형사 명예훼손민사 명예훼손
사실의 적시사실의 적시에 의해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킨 경우에만 명예훼손죄가 성립한다(판례·통설).사실을 적시한 경우뿐만 아니라 의견 또는 논평이라도 사회적 평가가 저하되면 명예훼손에 의한 불법행위가 성립한다.
의견 또는 논평사실의 적시 이외의 방법으로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킨 경우에는 모욕죄가 성립한다(판례·통설).
명예 감정의 침해사회적 평가의 저하가 없다면 명예훼손죄도 모욕죄도 성립하지 않는다(판례·통설에서는 명예훼손죄와 모욕죄 모두 외부적 명예가 보호법익).민사상 명예훼손으로 보호되는 “명예”는 외부적 명예이다. 따라서 명예훼손이 되지는 않는다. 다만 명예 감정의 침해로 불법행위가 성립하는 경우가 있다.
고의·과실고의의 경우에만 명예훼손죄(또는 모욕죄)가 성립한다(고의범).과실에 의한 명예훼손이라도 불법행위가 성립한다.
공연성명문으로 공연성이 구성요건으로 되어 있다.공연성은 요건이 아니지만 명예훼손은 사회적 평가를 저하시키는 행위이며 해당 발언이 어느 정도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양상인 것이 필요하며 형사와 민사에서 결정적인 차이를 만드는 것은 아니다. 많은 재판례와 실무는 공연성 필요설에 서 있다고 여겨진다.


4. 독일

독일에서는 형법 제185조 이하에서 명예훼손죄가 규정되어 있다.[237] 법인도 사회적 존재로서 일정한 평가를 받으므로 법인에 대해서도 명예훼손이 성립될 수 있다[240]

4. 1. 독일 법률의 특징

독일 형법 제186조(Üble Nachrede)는 타인의 인격적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는 사실을 언급하고, 그 사실이 진실임을 증명하지 못하면 처벌한다고 규정한다.[275] 허위 사실을 공연히(öffentlich) 언급하거나 출판물 등을 통해 유포하면 형이 가중된다.[276][277] 독일에서는 형법 제185조 이하에서 명예훼손죄를 규정하고 있다.[237]

5. 미국

미국 명예훼손법은 미국 헌법 수정 제1조에 따른 언론의 자유 보호와 관련된 역사적 배경과 판례의 영향으로 유럽 및 영연방 국가의 명예훼손법보다 원고에게 훨씬 불리하다.

AP통신에 따르면 뉴스 보도 관련 명예훼손 사건의 95%는 전국적인 고위급 뉴스가 아닌, 지역 범죄 수사, 재판 보도, 기업 프로필 등 "일상적인" 지역 뉴스에서 발생한다.[57]

초기 명예훼손 사례로는 1735년 존 피터 젠거 사건이 있다. 젠거는 ''뉴욕 위클리 저널'' 발행을 맡아 뉴욕 식민지의 왕립 총독 윌리엄 코즈비를 비판하는 기사를 인쇄했다가 반역적 명예훼손으로 기소되었으나, 코즈비에 대한 진술이 모두 사실이었기 때문에 무죄 판결을 받았다.[25]

1964년 ''설리반 대 뉴욕타임스'' 사건에서 미국 대법원은 앨라배마주 관리들이 학생 민권 운동가들을 학대하는 것을 비판하는 광고를 인쇄한 ''뉴욕타임스''를 명예훼손으로 유죄 판결한 앨라배마 주 법원의 판결을 뒤집었다. 일부 내용이 거짓이었음에도, 법원은 공무원의 명예훼손은 "진실을 알고 있거나 진실에 대한 무모한 무관심"으로 정의된 악의의 증거가 필요하다며 ''타임스''에 유리한 판결을 내렸다.[58]

이후 대법원은 명백히 사실이 아닌 터무니없는 진술,[71] 검증 가능한 거짓 사실적 의미를 포함하지 않는 공공의 관심사와 관련된 의견 진술[72]은 명예훼손 청구로부터 보호된다고 판결했다. 이후 주 및 연방 사건에서 명예훼손법과 인터넷에 대해 다루었다.[73]

일부 관할권에서는 진실된 내용이라도 고의로 원고에게 해를 끼칠 의도로 진술한 경우 정신적 고통의 고의적 가중, 손상과 같은 별도의 불법행위가 성립할 수 있다. 또한, 진실된 진술이라도 책임을 질 수 있는 "사생활 침해" 불법행위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명예훼손" 범주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허위표시는 명예훼손적이지 않더라도 사실이 아닌 진술을 포함하는 불법행위다. 건물이 홍수 위험이 없다고 진술한 측량사는 명예훼손은 아니지만, 이 진술을 믿고 건물을 구입한 사람에게 책임을 질 수 있다. 미국에서는 유명 상표가 훼손을 통해 희석되었다는 상표 희석 주장, 계약에 대한 고의적 간섭, "과실에 의한 허위표시"도 제기된다. 허위광선은 사실적으로 거짓은 아니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는 진술로부터 원고를 보호하는 미국의 독특한 불법행위다.[52]

5. 1. 미국의 명예훼손

미국의 법은 각 주마다 다르며, 명예훼손에 대한 법도 그러하다. 미국의 불법행위법 내 명예훼손은 가해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사실을 피해자가 아닌 제3자에게 공개한 경우, 이에 대하여 손해배상의 책임을 지우는 것을 말한다.[22] 만약 가해자가 피해자에게만 명예훼손 발언을 하였다면 불법행위상 명예훼손은 성립되지 않는다.

명예훼손은 서면이냐 구두냐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 구두 명예훼손: 악의적이고 거짓이며 비방하는 진술 또는 보고이다.[23]
  • 문서 명예훼손: 기록물 또는 영상 같은 다른 형식의 전달을 말한다.[24]


서면 명예훼손(libel)은 공공의 안녕을 해치거나 개인의 명예를 해치는 내용을 담은 게시된 문서, 그림, 또는 그러한 문서나 그림을 게시하는 행위를 말한다. 공인에 관한 것은 범죄이고, 사인에 관한 것은 범죄인 동시에 불법행위이다. 구두 명예훼손(slander)은 구두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으로 불법행위의 일종이다.

서면 명예훼손과 구두 명예훼손의 차이는, 구두 명예훼손의 경우 사형 또는 징역에 처해지는 죄를 범했을 경우, 직업 또는 영업에 관하여 부적격하거나 불성실한 경우, 사람이 꺼리는 전염병에 걸린 경우, 여자에게 부정행위가 있는 경우 외에는 실제로 그러하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는 점이다.

'오해를 낳는 공표에 대한 법'은 주로 원고의 정신적 또는 감정적 행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278] 정보의 출판이 거짓이라면 불법적인 명예훼손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한 전달이 기술적으로는 거짓이 아니지만 여전히 오해를 준다면, '오해를 낳는 공표'로 위법이 될 수 있다.[278]

미국에서는 주마다 법률이 다르지만, 명예훼손 소송에서 원고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증명해야 한다.

# 원고에 관한 허위이고 명예훼손적인 진술

# 제3자(진술에 의해 명예가 훼손된 사람 이외의 사람)와 진술 공유

# 명예훼손적인 문제가 공공의 관심사인 경우, 피고의 과실에 해당하는 행위

# 원고에게 손해 발생

또한 미국 법원은 언론에서 공인에 대해 한 진술의 경우 특별 규칙을 적용하며, 이는 방어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법원에서 명예훼손을 주장하는 원고는 일반적으로 진술이 피해를 야기했고, 진술의 진실성에 대한 충분한 조사 없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그러나 원고가 유명인이나 공직자인 경우에는 진술이 악의(해를 끼칠 의도 또는 진실에 대한 무모한 무관심)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증명해야 한다.[54][55]

''설리반 대 뉴욕타임스''(1964)를 중심으로 한 일련의 법원 판결은 공직자(또는 기타 정당한 공인)가 미국 법원에서 명예훼손 소송에서 이기려면 그 진술이 거짓인 것을 알면서 또는 진실에 대한 무모한 무관심으로 발표되었어야 한다는 점, 즉 악의가 있어야 함을 확립했다.[56]

미국 명예훼손법의 기원은 미국 독립 전쟁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69] 미국 헌법 수정 제1조는 언론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고안되었지만, 주의 검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 명예훼손 소송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1964년 ''설리반 대 뉴욕타임스'' 사건은 공무원에 대한 과실 요소를 악의로 높임으로써 미국의 명예훼손법의 성격을 극적으로 바꾸었다.[70]

미국 명예훼손법은 유럽 및 영연방 국가의 명예훼손법보다 원고에게 훨씬 불리하다.

5. 2. 미국 법률의 특징

미국 법은 각 주마다 다르며, 명예훼손에 대한 법도 그러하다. 미국의 불법행위법 내 명예훼손은 가해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는 사실을 피해자가 아닌 제3자에게 공개한 경우, 이에 대하여 손해배상의 책임을 지우는 것을 말한다. 만약 가해자가 피해자에게만 명예훼손하는 발언을 하였다면 불법행위상 명예훼손은 성립되지 않는다. 명예훼손은 서면(문서 명예훼손)이냐 구두(구두 명예훼손)냐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구두 명예훼손'은 악의적이고, 거짓이며, 비방하는 진술 또는 보고이며, '문서 명예훼손'은 기록물 또는 영상 같은 다른 형식의 전달을 말한다.[22]

미국에서는 주마다 법률이 다르지만, 명예훼손 소송에서 원고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증명해야 한다.

  • 원고에 관한 허위이고 명예훼손적인 진술을 했다.
  • 제3자(즉, 진술에 의해 명예가 훼손된 사람 이외의 사람)와 진술을 공유했다.
  • 명예훼손적인 문제가 공공의 관심사인 경우, 피고의 과실에 해당하는 행위를 했다.
  • 원고에게 손해를 입혔다.


또한 미국 법원은 언론에서 공인에 대해 한 진술의 경우 특별 규칙을 적용하며, 이는 방어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법원에서 명예훼손을 주장하는 원고는 일반적으로 진술이 피해를 야기했고, 진술의 진실성에 대한 충분한 조사 없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증명해야 하지만, 원고가 유명인이나 공직자인 경우에는 진술이 악의(즉, 해를 끼칠 의도 또는 진실에 대한 무모한 무관심)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증명해야 한다.[54][55]

''설리반 대 뉴욕타임스''(1964) 사건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법원 판결은 공직자(또는 기타 정당한 공인)가 미국 법원에서 명예훼손 소송에서 이기려면 그 진술이 거짓인 것을 알면서 또는 진실에 대한 무모한 무관심으로 발표되었어야 한다는 점을 확립했다(즉, 악의).[56] AP통신은 뉴스 보도와 관련된 명예훼손 사건의 95%가 고위급 뉴스가 아닌, 지역 범죄 수사나 재판 보도, 기업 프로필과 같은 "일상적인" 지역 뉴스에서 발생한다고 추산한다.[57]

미국 명예훼손법은 유럽 및 영연방 국가의 명예훼손법보다 원고에게 훨씬 불리하다. 미국 법에 따른 명예훼손 또는 중상모략의 정의는 주마다 다르며 연방법의 영향도 받기 때문에 무엇이 명예훼손 또는 중상모략인지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는 어렵다.[74] 일부 주는 중상모략과 명예훼손을 하나의 명예훼손법으로 통합하여 개념을 단일 명예훼손법으로 통합한다.[75]

6.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법률은 영국의 법령과 유사하게 명예훼손을 도입했다. 1997년 Lange v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사건에서 정치적 성향과 관련된 정부 권력에 대한 묵시적 헌법 제한에 대해 영국의 명예훼손 법률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확립되었다.[281] 2005년에는 기존의 호주 지역별 명예훼손법을 통합하여 호주 전역에 걸쳐 적용되는 명예훼손법이 도입되었다.

6. 1. 오스트레일리아 법률의 특징

오스트레일리아의 명예훼손 법률은 영국의 법령과 유사하게 도입되었다. 1997년 Lange v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사건에서 확립된 바와 같이, 정치적 성향과 관련된 정부 권력에 대한 묵시적 헌법 제한에 대해 영국의 명예훼손 법률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281]

2005년, 기존의 호주 지역별 명예훼손법이 통합되어 호주 전역에 걸쳐 적용되는 명예훼손법이 도입되었다. 이 법은 다음과 같은 변화를 가져왔다.[282]

  • 명예훼손과 중상모략 간의 구별 폐지.
  • 피고가 해당 출판물이 원고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증명하면 명예훼손죄의 공개에 대한 방어가 되는 '사소한 사안'을 포함하여 새로운 방어 조항 제공.
  • 출판물이 악의에 의해 작성되었다는 증거가 있으면 명예훼손에 대한 방어가 무효화될 수 있음.


영미법계 국가들은 기업의 명예훼손 소송 제기 가능 여부에 대해 법원마다 다른 판단을 내리고 있다. 현재 호주법은 10명 미만의 직원을 고용하고 자회사가 없는 소규모 기업을 제외한 사기업의 명예훼손 소송 제기 권한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 규정은 2003년 뉴사우스웨일스 주에서 도입된 후 2006년 전국적으로 채택되었다.[81] 반면, 캐나다 법은 사기업에게 개인과 거의 동일한 명예훼손 소송 제기 권한을 부여한다.[81] 2013년부터 영국법은 사기업의 명예훼손 소송 제기를 허용하지만, 명예훼손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와 재정적 손실이 발생했음을 증명해야 한다. 이는 개인 원고가 증명해야 하는 사항은 아니다.[81]

7. 국제 인권법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현대 국제 인권법이 부상하면서,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 구제권이 국제연합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 17조에 포함되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럽 인권 협약 제10조는 다른 사람의 명예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언론 자유에 대한 제한을 허용한다.[11] 국제 인권법( 유럽 인권 협약(ECHR) 포함) 및 다양한 국가의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 및 기타 권리에 대한 제한은 유엔 인권 위원회가 인정하는 3단계 검토 기준을 따르는데, 이 기준에서는 제한이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12]

1. 모든 사람에게 명확하고 접근 가능한 법률에 의해 규정

2. 다른 사람의 권리 또는 명예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고 정당함이 입증

3. 목표 달성을 위해 비례적이고 가장 제한적인 방법

이 검토 기준은 여러 국가에서 유사하게 적용된다. 캐나다 대법원은 캐나다 권리와 자유 헌장 제1조에 따라 헌법상 권리에 대한 제한이 "자유롭고 민주적인 사회에서 명백하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평가할 때 오크스 검사를 적용한다. 유럽 인권 재판소는 ECHR에 따른 권리 제한을 평가할 때 "민주 사회에서 필요한" 검사를 적용한다. 아파르트헤이트 이후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헌법 제36조[13], 그리고 2010년 케냐 헌법 제24조도 유사한 기준을 따른다.[14]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판자들을 검열, 협박 또는 침묵시키기 위한 형사적[15] 및 민사적 명예훼손 소송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6]

7. 1.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ICCPR)



이는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 보호를 받을 권리를 의미하지만, 이 권리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 19조 및 세계인권선언 19조에 따른 의견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와 공존한다.[9] ICCPR 19조는 의견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권리는 "다른 사람의 권리 또는 명예를 존중하기 위해" 필요한 한도까지 제한될 수 있음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9]

따라서 국제 인권법은 개인이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 구제를 받을 권리를 가져야 하지만, 이 권리는 의견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동등하게 보호되는 권리와 균형을 이루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국내 명예훼손법이 개인의 명예 보호권과 표현의 자유 및 언론의 자유를 적절히 균형 있게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음이 필요하다.[10]

  • 진실(즉, 명예훼손적 진술의 내용이 사실임을 증명하는 것)을 유효한 방어 수단으로 인정할 것.
  • 공공의 관심사에 관한 합리적인 공표를 유효한 방어 수단으로 인정할 것.
  • 명예훼손은 불법 행위로서 법 체계에 의해서만 다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것.

7. 2. 유엔 인권 위원회 일반 논평 제34호

유엔 인권 위원회는 2011년에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19조에 관한 일반 논평 제34호(CCPR/C/GC/34)를 발표했다.[17]

47항은 다음과 같다.

7. 3. 유럽 인권 협약 (ECHR)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유럽 인권 협약(ECHR)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빈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참조

[1] 웹사이트 Defamation https://www.law.corn[...] 2022-07-27
[2] 웹사이트 Defamation {{!}} Definition, Slander vs. Libel, & Fact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2-07-27
[3] 문서 Digest 47. 10. 15. 2. http://webu2.upmf-gr[...] 2009-12-07
[4] 문서 Digest 47. 10. 15. 3–6. http://webu2.upmf-gr[...] 2009-12-07
[5] 문서 Digest 47. 10. 15. 25. http://webu2.upmf-gr[...] 2009-12-07
[6] 웹사이트 Book 9, Title 36. https://web.archive.[...] 2010-09-07
[7] 서적 Capital and Corporal Punishment in Anglo-Saxon England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8] 학술지 Defamation of Peers: The Rise and Decline of the Action for ''Scandalum Magnatum'', 1497-1773 1978
[9] 웹사이트 Briefing Note on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Defamation Standards https://www.article1[...] Article 19 Global Campaign for Free Expression 2004-02
[10] 웹사이트 Response to the consultations of the UN Special Rapporteur on Freedom of Expression on her report on disinformation https://www.ohchr.or[...] Article 19 Global Campaign for Free Expression 2021
[11] 웹사이트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its Five Protocols http://www.hri.org/d[...]
[12] 웹사이트 Freedom of Expression and Defamation https://www.lai.lv/v[...] Latvijas Ārpolitikas Institūts 2013-02-15
[13] 서적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1996, as amended https://en.wikisourc[...] Government Printer
[1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Kenya https://en.wikisourc[...]
[15] 잡지 How powerful people use criminal-defamation laws to silence their critics https://www.economis[...] 2017-07-13
[16] 웹사이트 The "misuse" of the judicial system to attack freedom of expression, trends, challenges and responses" https://unesdoc.unes[...] UNESCO
[17] 웹사이트 General comment No. 34 (CCPR/C/GC/34) https://www2.ohchr.o[...] 2011-07-29
[18] 웹사이트 Civil Cod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en.wikisourc[...]
[19] 학술지 An Opportunity Lost: The United Kingdom's Failed Reform of Defamation Law http://www.repositor[...] 1997-04-01
[20] 서적 The Law of Torts: A Treatise on the English Law of Liability for Civil Injuries https://archive.org/[...] Stevens and Haynes
[21] 웹사이트 Defamation of corporate entities in England http://www.lexology.[...] Lexology 2007-03-15
[22] 서적 Multiple sources on defamation elements Looseleaf Law Publications, Cengage Learning, Routledge, Peter Lang
[23] 서적 Tort Law for Legal Assistants Cengage Learning
[24] 웹사이트 Libel http://dictionary.re[...] 2010
[25] 학술지 Trial of john peter zenger for libel http://connection.eb[...]
[26] 뉴스 Firm Awarded $222.7 Million in a Libel Suit Vs. Dow Jones https://www.nytimes.[...] 1997-03-21
[27] 뉴스 Judge dismisses verdict in Dow Jones libel suit http://amarillo.com/[...] Amarillo.com 1999-08-06
[2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orkers' Party: 1991 to 2000 https://web.archive.[...]
[29] 뉴스 Death of Singaporean maverick https://www.ft.com/c[...] 2008-09-30
[30] 웹사이트 J. B. Jeyaretnam https://www.lrwc.org[...] 2012-03-26
[31] 학술지 The Singapore Chill: Political Defamation and the Normalization of a Statist Rule of Law https://digitalcommo[...] 2011
[32] 뉴스 High Court awards PM Lee $210,000 in damages in defamation suits against TOC editor Terry Xu and article author https://www.straitst[...] 2021-09-01
[33] 웹사이트 SLAPP Back: Transcript https://web.archive.[...] WNYC (National Public Radio, PBS) 2010-04-02
[34] 법규 CalCCP 425.16
[35] 웹사이트 Protection of Public Participation Act, 2015 https://www.ola.org/[...]
[36] 웹사이트 A4ID Defamation Guide http://a4id.org/site[...] Advocate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2013-08-14
[37] 판례 Milkovich v. Lorain Journal Co.
[38] 학술지 The Origins and Constitutionality of Limitations on Truth as a Defense in Tort Law http://heinonline.or[...] 2017-10-31
[39] 판례 Lathan v. Journal Co. https://www.courtlis[...]
[40] 웹사이트 Legal dictionary http://dictionary.lp[...] 2006-11-24
[41] 웹사이트 Legal Terms http://www.canona650[...] legal.org 2004-10-22
[42] 웹사이트 Equity and Rights in Society, Defamation Defences https://www.hobartle[...] 2018-03-20
[43] 웹사이트 Opinion and Fair Comment Privileges http://www.dmlp.org/[...] 2017-10-31
[44] 웹사이트 Is Your Reputation So Bad You Cannot Be Defamed? https://www.hodgsonr[...] 2020-06-09
[45] 판례 Arthur Alan Wolk v. Walter Olson
[46] 웹사이트 I am a freelance journalist. Do I need to buy liability insurance? https://www.cjr.org/[...] 2024-11-18
[47] 웹사이트 Why media liability insurance is key to making sure your newsroom continues to exist https://inn.org/rese[...] 2024-11-18
[48] 웹사이트 Reporters Shield: New Program Launches to Help Investigative Reporters Tackle Lawsuits https://gijn.org/sto[...] 2024-11-18
[49] 웹사이트 Dancing With Lawyers http://www.dancingwi[...] Dancing With Lawyers 2010-09-07
[50] 웹사이트 Defamation http://www.dmlp.org/[...] 2017-10-31
[51] 뉴스 Label of Gay Is No Longer Defamatory, Court Rules https://www.nytimes.[...] 2012-05-31
[52] 웹사이트 False light http://netlaw.samfor[...]
[53] 서적 50 Am.Jur.2d libel and slander 1–546
[54] 판례 New York Times Co. v. Sullivan
[55] 웹사이트 Us political systems http://cstl-cla.semo[...] 2010-11-08
[56] 판례 New York Times Co. v. Sullivan
[57] 웹사이트 Foreword http://stylebook.fre[...] 2017-03-30
[58] 서적 The American Democracy New York: McGraw-Hill
[59] 웹사이트 Law Document English View https://www.ontario.[...] 2014-07-24
[60] 법률 Defamation Act 1952
[61] 웹사이트 Defamation under Law of Torts https://lawpage.in/t[...] 2020-10-19
[62] 판례 Pukhraj v State of Rajasthan
[63] 판례 Rustom K. Karanjia and Anr v Krishnaraj M.D. Thackersey and Ors.
[64] 판례 Ram Jethmalani Vs. Subramaniam Swamy
[65] 판례 Santosh Tewari and Ors V State of U.P. and Anr
[66] 법률 Defamation Act, 1952
[67] 웹사이트 The Tort of Defamation: An Analysis of the Law in India and the United Kingdom http://jurisonline.i[...] 2010-10-06
[68] 웹사이트 Defamation law in India http://www.mylaw.net[...] 2022-01-16
[69] 웹사이트 The Trial of John Peter Zenger https://www.nps.gov/[...] 2015-02-26
[70] 웹사이트 New York Times Co. v. Sullivan, 376 US 254, 84 S. Ct. 710, 11 L. Ed. 2d 686 (1964) https://scholar.goog[...] 2017-10-31
[71] 웹사이트 Hustler Magazine v. Falwell, 485 U.S. 46 (1988) https://scholar.goog[...]
[72] 웹사이트 Milkovich v. Lorain Journal Co., 497 U.S. 1 (1990) https://scholar.goog[...]
[73] 웹사이트 Court Cases https://cs.stanford.[...] 2017-10-31
[74] 웹사이트 Defamation FAQs http://www.medialaw.[...] 2017-10-31
[75] 웹사이트 Defamation Per Se: Be Prepared to Plead (and Prove!) Actual Damages https://apps.america[...] 2014-06-03
[76] 간행물 Defamation Act 1992 http://www.legislati[...] 2017-03-01
[77] 판례 Murphy v. LaMarsh 1970
[78] 판례 Grant v. Torstar Corp. 2009-12-22
[79] 판례 Astley v. Verdun 2011-06-14
[80] 판례 Farallon Mining Ltd. v. Arnold 2011-11-10
[81] 논문 An analysis of three distinct approaches to using defamation to protect corporate reputation from Australia, England and Wales, and Canada https://www.cambridg[...] 2021-03
[82] 서적 Personality, Confidentiality and Privacy in Scots Law W. Green 2010
[83] 서적 Personality, Confidentiality and Privacy in Scots Law W. Green 2010
[84] 서적 Personality, Confidentiality and Privacy in Scots Law W. Green 2010
[85] 논문 A Historical Survey of Delictual Liability in Scotland for Personal Injuries and Death (Continued) 1975
[86] 서적 Iniuria and the Common Law Hart 2013
[87] 웹사이트 Map showing countries with criminal defamation laws http://www.article19[...] Article19.org 2010-09-07
[88] 웹사이트 statements on criminalised defamation http://www.article19[...] ARTICLE 19 2009-04-18
[89] 법규 Idaho Code § 18-4801, Louisiana Revised Statute § 14:47, Nevada Revised Statutes § 200.510, No Place in the Law: The Ignominy of Criminal Libel in American Jurisprudence http://www.leg.state[...]
[90] 판례 R v Orme and Nutt 1700
[91] 판례 King v. Osborne 1732
[92] 논문 Group Libel 1953
[93] 웹사이트 IRIS 2006–10:2/1: Ilia Dohel, Office of the OSCE Representative on Freedom of the Media. Representative on Freedom of the Media: Report on Achievements in the Decriminalization of Defamation http://merlin.obs.co[...] Council of Europe 2010-09-07
[94] 웹사이트 PACE Resolution 1577 (2007): Towards decriminalisation of defamation http://assembly.coe.[...]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2010-09-07
[95] 법규 Albanian Penal Code (2017), Art. 120 par. 1 2017
[96] 법규 Albanian Penal Code (2017), Art. 120 par. 2 2017
[97] 웹사이트 Criminal Code of the Republic of Albania – English version http://www.legislati[...] Legislationline.org 2010-09-07
[98]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Aperçu des legislations nationales en matière de diffamation et d'injure – English version – Section Albania http://www.coe.int/t[...] Coe.int 2010-09-07
[99] 법규 Argentine Penal Code (official text) – Crimes Against Honor (Articles 109 to 117-bis) http://www.infoleg.g[...]
[100] 판례 Lange v Australian Broadcasting Company 1997
[101] 웹사이트 Research Brief No 2005/14: Uniform Defamation Laws https://www.parliame[...] Queensland Parliamentary Library 2005
[102] 법규 Defamation Act 2005 No 77 (NSW) https://legislation.[...] NSW Parliamentary Counsel's Office 2023-09-08
[103] 논문 A review of Australia's defamation reforms after a year of operation 2007-07-01
[104] 웹사이트 Australian Press Council – Press Law in Australia http://www.presscoun[...] Presscouncil.org.au 2010-09-07
[105] 웹사이트 Electronic Frontiers Australia: civil liberties online http://www.efa.org.a[...] Efa.org.au 1979
[106] AustLII 2015-10-27
[107] AustLII
[108] 웹사이트 JudgmentsBerezovsky v. Michaels and Others Glouchkov v. Michaels and Others (Consolidated Appeals) https://publications[...] 2000-05-08
[109] 뉴스 The tweet that cost $105,000 https://www.smh.com.[...] 2014-03-04
[110] AustLII
[111]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English version) – Section Austria http://www.coe.int/t[...] Coe.int 2010-09-07
[112]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English version) – Section Azerbaijan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13] 웹사이트 Criminal Code of the Azerbaijan Republic (English) http://www.legislati[...] Legislationline.org 2010-09-07
[114] 문서 Belgian Penal Code – Crimes against honour http://www.ejustice.[...]
[115]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 Section Belgium (French)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16] 문서 Brazilian Penal Code (official text) http://www.planalto.[...]
[117]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English version) – Section Bulgary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18] 문서 Book 1, Title 2 of the Civil Code of Quebec https://www.legisque[...]
[119] CanLII 1994-08-01
[120] 법전
[121] 법전
[122] 법전
[123] 뉴스 The trouble with criminal speech http://canadianlawye[...] 2014-09-29
[124] 뉴스 Cyberbullying restaurant owner gets 90 days in jail https://www.cbc.ca/n[...] 2012-11-16
[125] 웹사이트 Canada: Internet Defamation For Businesses And Professionals https://www.mondaq.c[...] Mondaq 2022-05-12
[126] CanLII 2011-10-19
[127] 웹사이트 Cyber Libel Updates Archives https://www.libeland[...]
[128] 문서 Chilean Penal Code, Book II http://www.serviciow[...]
[129] 웹사이트 IEstudiospenales.com.ar – Penal Code of Chile http://documents.scr[...]
[130] 문서 Chilean Penal Code, Book I http://www.serviciow[...]
[131] 웹사이트 Biblioteca.jus.gov.ar – Penal Code of Chile http://www.bibliotec[...]
[132] 웹사이트 Criminal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cecc.gov/[...]
[133]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English) – Section Croati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34] 웹사이트 Czech Criminal Code – Law No. 40/2009 Coll., Article 184 http://business.cent[...] Business.center.cz 2010-09-07
[135]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English) – Section Denmark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36] 웹사이트 The Criminal Code of Finland (English version) http://www.finlex.fi[...] 2012-02-15
[137]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English) – Section Finland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38] 저널 Legal Divisions https://journals.sag[...] 2014-06-01
[139] 웹사이트 France: Strict defamation and privacy laws limit free expression https://www.indexonc[...] 2013-08-19
[140] 웹사이트 In France, judicial evolution in defamation cases protects work of civil society https://ipi.media/in[...] International Press Institute 2014-09-25
[141] 웹사이트 Bundeskriminalamt (Federal Police) Yearly Statistics 2006 https://wayback.arch[...] 2010-09-07
[142]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English) – Section Greece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43] 뉴스 Defamation litigation: a survivor's kit https://web.archive.[...] 2004-09-21
[144] 웹사이트 Constitution (India) https://legislative.[...]
[145] 웹사이트 Penal Code (India) https://www.indiacod[...]
[146] 웹사이트 Defamation – Indian Penal Code, 1860 http://devgan.in/ipc[...]
[147] 웹사이트 Criminal Procedure Code (India) https://www.indiacod[...]
[148] 웹사이트 Defamation Act 2009 (Ireland) http://revisedacts.l[...]
[149] 웹사이트 Defamation Law in Ireland https://www.lawyer.i[...] 2019-02-19
[150] 웹사이트 Dei delitti contro la persona. Libro II, Titolo XII https://www.altalex.[...] 2018-06-22
[151] 웹사이트 Italian Penal Code http://www.altalex.c[...]
[152] 논문 Commento alla decisione della Corte europea dei diritti dell'uomo di ricevibilità del ricorso n. 48898/99 https://web.archive.[...] 2001
[153] 웹사이트 Constitution (Japan) https://japan.kantei[...] 2023-07-28
[154] 법률 MINPO [Civil Code] art. 723 (Japan)
[155] 웹사이트 Penal Code (Japan) https://www.japanese[...] 2023-07-28
[156] 웹사이트 汚損 https://jisho.org/se[...] 2023-07-28
[157] 웹사이트 不敬 https://jisho.org/se[...] 2023-07-28
[158] 웹사이트 信用 https://jisho.org/se[...] 2023-07-28
[159] 웹사이트 Delitos de injuria, difamación y calumnia en los códigos penales de México http://periodistas.s[...]
[160]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Defamation Laws (English) – Section Norway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61] 웹사이트 Norwegian Penal Code (English version) https://web.archive.[...] Legislationline.org 2010-09-07
[162] 웹사이트 Act No. 3815, s. 1930 (Revised Penal Code of the Philippines) https://web.archive.[...] 2023-09-02
[163] 뉴스 Libel law violates freedom of expression{{snd}}UN rights panel https://web.archive.[...] 2012-01-30
[164] 뉴스 Lee: The Cybercrime Prevention Act of 2012 https://web.archive.[...] 2012-09-21
[165] 뉴스 Cybercrime law and freedom of expression https://web.archive.[...] 2012-09-20
[166]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10175 https://web.archive.[...] Office of the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2012-09-12
[167] 뉴스 Cybercrime law Draws Outrage Among Netizens https://web.archive.[...] 2012-09-30
[168]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Defamation Laws (English) – Section Poland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69] 웹사이트 Portuguese Penal Code http://www.aacs.pt/l[...]
[170] 웹사이트 Portuguese Penal Code (official version) http://www.dre.pt/pd[...]
[171] 웹사이트 România, printre puținele state europene care au dezincriminat insulta și calomnia http://www.romaniali[...]
[172] 웹사이트 Saudi Arabia passes anti-terror law, banning defamation http://gulfnews.com/[...] 2013-12-17
[173] 뉴스 Saudi writer arrested for insulting long-dead king http://www.middleeas[...] Middle East Eye 2015-07-15
[174] 웹사이트 Protection from Harassment Act 2014 - Singapore Statutes Online https://sso.agc.gov.[...]
[175] 웹사이트 Defamation Act 1957 https://sso.agc.gov.[...] Singapore Statutes Online
[176] 웹사이트 Problems with Korea's Defamation Law http://keia.org/prob[...] 2019-09-22
[177] 뉴스 Is South Korea's Criminal Defamation Law Hurting Democracy? https://www.wsj.com/[...] 2014-12-15
[178] 웹사이트 Celebrities driven over the edge by online rumors https://koreajoongan[...] 2008-10-03
[179] 웹사이트 Parties Clash Over Freedom Of Expression https://www.koreatim[...] 2009-01-11
[180] 웹사이트 https://www.hankooki[...] 2015-09-10
[181] 서적 Copyright, Defamation and Privacy in Soviet Civil Law https://books.google[...] Law in Eastern Europe
[182] 법률 Penal Code of Spain http://noticias.juri[...]
[183]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English) – Section Spain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84] 법률 Swedish Penal Code (English version) https://www.governme[...]
[185] 웹사이트 Om att utsättas för kränkningar på jobbet http://arbetsplatsko[...] Department of Work Science, University of Gothenburg
[186] 웹사이트 I väntan på juryn... http://www.journalis[...] Journalisten 2008-11-25
[187] 웹사이트 European Council – Laws on Defamation (English) – Section Sweden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2010-09-07
[188] 법률 Swiss Penal Code – Calumny http://www.admin.ch/[...]
[189] 법률 Swiss criminal code in English https://www.admin.ch[...]
[190] 법률 Swiss Penal Code – Defamation http://www.admin.ch/[...]
[191] 법률 Swiss Penal Code – Defamation and calumny against a deceased or absent person http://www.admin.ch/[...]
[192] 웹사이트 Civil Code (of the Republic of China) https://law.moj.gov.[...]
[193] 웹사이트 Criminal Code of the Republic of China https://law.moj.gov.[...]
[19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Main text) https://english.pres[...]
[195] 웹사이트 No. 509 ("The Defamation Case") https://cons.judicia[...]
[196] 웹사이트 Taiwan needs to decriminalize libel https://www.taipeiti[...] 2022-01-26
[197] 웹사이트 Case News on TCC Judgment 112 Hsien-Pan-8 (2023) https://cons.judicia[...]
[198] 웹사이트 Civil and Commercial Code: Torts (Section 420-437) – Thailand Law Library http://library.siam-[...] 2015-02-12
[199] 웹사이트 Thailand: UN experts condemn use of defamation laws to silence human rights defender Andy Hall https://www.ohchr.o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8-05-17
[200] 웹사이트 Criminal Code: Defamation (Sections 326–333) – Thailand Law Library http://library.siam-[...] 2015-03-19
[201] 법률 Coroners and Justice Act 2009
[202] 서적 The Law of Slander and Libel https://archive.org/[...] Butterworth & Co.
[203] 웹사이트 Criminal Defamation Laws in North America https://cpj.org/repo[...]
[204] 판례 Noonan v. Staples https://scholar.goog[...] 2014-12-15
[205] 판례 Noonan
[206] 웹사이트 The SPEECH Act Provides Protection Against Foreign Libel Judgments http://www.dros.tech[...] American Bar Association
[207] 뉴스 On Libel and the Law, U.S. And U.K. Go Separate Ways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5-03-21
[208] 뉴스 Venezuelan Court Sentences Newspaper Publisher to Prison Four-year sentence raises concerns about press intimidation in the troubled South American country https://www.wsj.com/[...] 2016-03-12
[209] 웹사이트 Government requests to remove content https://transparency[...]
[210] 백과사전
[211] Catholic Encyclopedia
[212] 웹사이트 Defama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Malaysian laws and the Islamic legal principles https://www.research[...] 2018-09-00
[213] 웹사이트 Calumny https://www.jewishen[...]
[214] 웹사이트 Slander https://www.jewishen[...]
[215] 간행물 Libel and Insult Laws: A matrix on where we stand and what we would like to achieve https://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2005-03-09
[216] 간행물 Defamation and Insult Laws in the OSCE Region: A Comparative Study https://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2017-03-07
[217]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https://unesdoc.unes[...] UNESCO 2014-00-00
[218]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Africa https://unesdoc.unes[...] UNESCO 2014-00-00
[219]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Asia and the Pacific https://unesdoc.unes[...] UNESCO 2014-00-00
[220]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the Arab region https://unesdoc.unes[...] UNESCO 2014-00-00
[221]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unesdoc.unes[...] UNESCO 2014-00-00
[222]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ttps://unesdoc.unes[...] UNESCO 2014-00-00
[223]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Western Europe and North America https://unesdoc.unes[...] UNESCO 2014-00-00
[224]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2017/2018 Global Report https://unesdoc.unes[...] UNESCO 2018-00-00
[225]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Africa 2017/2018 https://unesdoc.unes[...] UNESCO 2018-00-00
[226]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Asia Pacific, 2017/2018 https://unesdoc.unes[...] UNESCO 2018-00-00
[227]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Arab States, 2017/2018 https://unesdoc.unes[...] UNESCO 2018-00-00
[228]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Central and Eastern Europe 2017/2018 https://unesdoc.unes[...] UNESCO 2018-00-00
[229]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2017/2018 https://unesdoc.unes[...] UNESCO 2018-00-00
[230] 서적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regional overview of Western Europe and North America 2017/2018 https://unesdoc.unes[...] UNESCO 2018-00-00
[231] 서적 Journalism Is a Public Good: World Trends in Freedom of Expression and Media Development, Global Report 2021/2022 https://unesdoc.unes[...] UNESCO 2022-00-00
[232] 문서 日本新聞協会の同音の漢字による書きかえにより。
[233] 웹사이트 真実相当性(しんじつそうとうせい)の意味 - goo国語辞書 https://dictionary.g[...]
[234] 웹사이트 名誉毀損と名誉感情の侵害 - 立命館大学 https://www.ritsumei[...]
[235] 웹사이트 事実の内容で名誉毀損が認められる理由とは?成立しない3つの条件|IT弁護士ナビ https://itbengo-pro.[...]
[236] 학술지 死者の名誉毀損の救済についての実定法上の根拠に関する一考察 https://hdl.handle.n[...] 学習院大学大学院法学研究科
[237] 학술지 名誉毀損罪の再構成(1)プライヴァシー保護の観点から https://hdl.handle.n[...]
[238] 웹사이트 誹謗中傷による名誉毀損が成立する構成要件| https://www.toranomo[...]
[239] 서적 アメリカ不法行為法
[240] 판례 最高裁判所昭和39年1月28日判決民集18巻1号136頁参照
[241] 판례 https://www.courts.g[...]
[242] 웹사이트 「立命館大学人文科学研究所紀要NO.84」 (2004年3月) https://www.ritsumei[...]
[243] 학술지 An Oppurtunity Lost: The United Kingdom's Failed Reform of Defamation Law https://www.reposito[...]
[244] 문서 The Cost of Reputation: Defamation Law and Practice in Russia http://www.refworld.[...]
[245] 뉴스 親日作家が敗訴 9600万ウォン賠償命令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5-09-02
[246] 판례 静岡地方裁判所昭和56年7月17日判決判時1011号36頁
[247] 판례 東京地方裁判所昭和52年7月19日判決判時857号65頁、東京高等裁判所昭和54年3月14日判決判時918号21頁
[248] 판례 東京高判昭和54年3月14日判例時報918号21頁
[249] 판례 東京高等裁判所昭和54年3月14日判決判時918号21頁
[250] 판례 東京地方裁判所平成7年2月5日判決判時616号83頁民集18巻1号136頁
[251] 판례 東京地方裁判所平成20年9月9日判決判タ1305号193頁
[252] 서적 不法行為法
[253] 간행물 意見による名誉毀損と表現の自由
[254] 판례 最高裁判所大法廷 昭和31年7月4日 昭和28(オ)1241 謝罪広告請求 判決 民集10巻7号785頁 https://www.courts.g[...]
[255] 판례 東京地方裁判所平成24年1月12日判決
[256] 서적 不法行為法
[257] 판례 最高裁第一小法廷昭和41(1966)年6月23日判決 https://www.courts.g[...]
[258] 판례 東京地方裁判所平成2年12月20日判決判時1637号72頁
[259] 판례 最高裁判所大法廷昭和44年6月25日判決刑集23巻7号975頁
[260] 서적 ドイツ不法行為法
[261] 웹사이트 米国政府の概要 – 連邦最高裁判所による画期的判決|About THE USA|アメリカンセンターJAPAN https://americancent[...]
[262] 서적 憲法(第3版)
[263] 판례 東京地方裁判所昭和52年12月19日判決判時1492号107頁
[264] 판례 東京地方裁判所平成5年5月25日判決判時1637号72頁
[265] 웹사이트 http://www.cc.kyoto-[...]
[266] 웹사이트 http://www.cc.kyoto-[...]
[267] 간행물 教師の教育内容批判と名誉毀損 http://www.chukyo-u.[...] 1992-12-22
[268] 웹사이트 http://www.cc.kyoto-[...]
[269] 간행물 名誉毀損に関する近時の裁判例 http://www.oike-law.[...]
[270] 웹사이트 http://www.cc.kyoto-[...]
[271] 판례 東京地方裁判所平成8年12月24日判決判タ955号155頁
[272] 웹사이트 Telling people's stories on film https://www.artslaw.[...] 2024-02-01
[273] 웹사이트 How to Avoid Legal Trouble When Using Real People in Fiction • Career Authors https://careerauthor[...] 2020-11-30
[274] 서적 형법각론 박영사 2012
[275] 문서 사실의 증명 여부
[276] 간행물 명예훼손죄의 '공연성' 해석의 재검토 2004-08
[277] 법규 독일 형법 제186조
[278] 웹사이트 FALSE LIGHT http://netlaw.samfor[...]
[279] 웹사이트 Common Law Privacy Torts https://web.archive.[...]
[280] 웹사이트 Invasion of Privacy https://web.archive.[...]
[281] AustLII Lange v Australian Broadcasting Company
[282] 웹인용 Defamation Act 2005 (NSW) s 7 http://www.legislati[...] legislation.nsw.gov.au
[283] AustLII Dow Jones and Company Inc v Gutnick
[284] 웹인용 Electronic Frontiers Australia: civil liberties online http://www.efa.org.a[...] Efa.org.au 2010-09-07
[285] AustLII Duffy v Google Inc 2015-10-27
[286] AustLII Hockey v Fairfax Media Publications Pty Limited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