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노럴은 하나의 오디오 채널을 사용하는 사운드 녹음 및 재생 방식이다. 19세기 후반 축음기 시대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오디오 녹음의 일반적인 형태였으며, 축음기 실린더, 초기 레코드, AM 방송 등에서 사용되었다. 스테레오 기술이 발전하면서 모노럴은 쇠퇴했지만, AM 방송, FM 라디오, 디지털 오디오 파일 등에서 여전히 활용된다. 일부 아티스트와 영화 제작자들은 기술적인 이유나 미학적 선호로 모노럴 방식을 고수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향 기술 - 스테레오
스테레오는 입체적인 음향을 재현하는 녹음 및 재생 방식으로, 자연스러운 잔향을 포함한 실제 소리를 재현하는 자연스러운 스테레오와 인공적인 방향감을 만드는 인공 스테레오로 나뉘며, 두 채널 스테레오 녹음은 두 개의 마이크로 소리를 녹음하여 청취자가 음원의 위치를 인지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 음향 기술 - 스카이워커 사운드
1987년 설립된 스카이워커 사운드는 캘리포니아 스카이워커 랜치에 위치한 영화 음향 제작 회사로, 아카데미 음향상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으며, 다양한 블록버스터 작품의 음향 제작에 참여하여 영화 음향 기술 발전에 기여했고, 현재는 디즈니 자회사이다. - 소리 - 음악
음악은 인간이 소리를 재료로 박자, 선율, 화성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시간 예술로, 다양한 장르로 분류되며 작곡, 연주, 감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예술, 오락,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소리 - 의성어
의성어는 사람, 동물, 사물 등의 소리를 흉내 내어 표현하는 단어로, 문화권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지만 시각적 효과나 기억술, 언어학적으로 소리와 의미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로 활용된다.
모노럴 | |
---|---|
음향 정보 | |
종류 | 소리의 표현 방식 |
특징 | 단일 채널에서 소리를 녹음하거나 재생하는 방식 |
기술 정보 | |
사용 목적 | 소리의 위치나 공간감을 표현하기보다는 명료한 정보 전달에 집중 |
장점 | 간단한 구조 제작 비용이 저렴 특정 환경에서 스테레오보다 더 효과적 |
단점 | 공간감 부족 |
활용 분야 | |
통신 | 전화 무전기 인터컴 |
방송 | AM 라디오 방송 (일부) TV 방송 (초기) |
음향 기기 | 휴대용 라디오 일부 스피커 |
기타 | 공공 장소 안내 방송 비상 경보 시스템 |
관련 용어 | |
반대말 | 스테레오 |
유사 용어 | 모노럴 모노포닉 |
2. 역사
19세기 후반 축음기의 발명과 함께 모노럴 녹음 및 재생 기술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모노럴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스테레오 기술이 발전하기 전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1950년대 이전까지 그라모폰 레코드는 대부분 모노럴 방식이었고, 78 rpm 및 이전의 , , 45 rpm 마이크로홈 레코드 등이 있었다.[1]
1960년대 스테레오 LP 레코드의 보급으로 모노럴 LP 레코드는 점차 사라졌지만, 스탠리 큐브릭과 우디 앨런을 비롯한 일부 감독들은 영화의 사운드 트랙을 모노로 녹음하는 것을 선호하는 등 기술적인 한계나 단순한 선호로 모노럴로 작업하는 경우도 있었다.
현대에 들어서도 AM 라디오 방송, 일부 FM 방송(토크 라디오 등), 배경 음악 서비스 등에서 모노럴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1]
2. 1. 초기 발전
19세기 후반 축음기 시대 초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 거의 모든 오디오 녹음은 모노럴 방식이었다. 1958년 이전에 제작된 그라모폰 레코드는 모노럴 사운드를 사용했다.[1]2. 2. 1950년대 이전
1958년 이전에 제작된 그라모폰 레코드는 대부분 모노럴 방식이었다. 여기에는 78 rpm 및 이전 , , 45 rpm 마이크로홈 레코드 등이 포함된다.[1]2. 3. 스테레오 기술의 등장과 모노럴의 쇠퇴
1960년대에 스테레오 LP 레코드의 보급으로 모노럴 LP 레코드는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 1970년대 초 이후에는 더 이상 제조되지 않았지만, 몇 가지 예외도 있었다. 예를 들어, 영국 데카는 1970년 말까지 몇 개의 더블 앨범을 모노럴로 발매했으며, 마지막 앨범은 톰 존스의 "I Who Have Nothing"이었다. 브라질에서는 1972년까지 모노 및 스테레오 레코드가 모두 발매되었다.1960년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스테레오 레코드를 재생할 수 없는 모노 레코드 플레이어를 소유하고 있었고, AM 방송이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에 앨범이 모노와 스테레오 LP로 모두 발매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두 앨범 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수량이 제한적이고 여러 트랙의 대체 믹스가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 레코드 수집가들 사이에서 이러한 앨범의 모노럴 버전은 스테레오 LP보다 더 높은 가치를 받기도 한다.
하지만, 일부 아티스트들은 기술적인 한계나 단순한 선호로 모노럴로 작업하는 것을 선호했다. 존 멜렌캠프의 2010년 앨범 ''No Better Than This''는 20세기 중반의 블루스와 포크 레코드를 모방하기 위해 모노로 녹음되었다. 비틀즈의 초기 앨범 4장(''Please Please Me'', ''With the Beatles'', ''A Hard Day's Night'', ''Beatles for Sale'')은 CD 시대에 모노포닉으로 재발매되기도 했다.
스탠리 큐브릭과 우디 앨런을 비롯한 감독들은 영화의 사운드 트랙을 모노로 녹음하는 것을 선호했다.
2. 4. 현대의 모노럴
AM 라디오 방송, 일부 FM 방송(토크 라디오 등), 배경 음악 서비스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1]3. 모노럴 및 스테레오 호환성
축음기 시대 초기부터 스테레오 녹음 및 재생에 대한 실험이 이루어졌지만, 20세기 후반까지 대부분의 오디오 녹음은 모노럴 방식이었다. 모노럴과 스테레오 기술은 서로 호환되거나 호환되지 않는 다양한 표준이 존재한다.
모노럴 사운드는 축음기 실린더, 1958년 이전에 제작된 그라모폰 레코드, AM 방송, 일부 FM 라디오 방송국, 서브캐리어 신호, 배경 음악 서비스, 일부 공공 주소 시스템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3. 1. 호환되지 않는 표준
1967년 말까지 미국에서 거의 사라진 모노포닉 레코드는 스테레오 카트리지로 재생할 수 있었지만, 이후의 비닐 레코드와[2] 트랙 정렬에 따른 릴 투 릴 오디오 테이프 녹음[2]은 호환되지 않는 표준이었다.3. 2. 호환되는 표준
미니디스크[1]콤팩트 오디오 카세트[1]
FM (드물게는 AM) 라디오 방송[1]
VCR 형식[1]
TV[1]
다양한 형식의 많은 컴퓨터에서 디지털 오디오 파일(WAV, MP3 등)[1]
3. 3. 네이티브 모노럴 표준
8트랙 테이프와 콤팩트 디스크는 기술적으로 스테레오이지만, 모노 소스를 두 개의 동일한 채널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모노럴을 구현한다.[1]4. 모노럴과 스테레오의 병합 (Merged Stereo)
"모노럴" 또는 "모노 사운드"는 스테레오 채널을 합친 "축소 스테레오(Fold-down Stereo)" 또는 "병합 스테레오(Merged Stereo)"를 의미하기도 한다.[1] 일부 장치는 하드웨어 비용 절감을 위해 두 개 이상의 스피커와 모노 사운드 증폭 회로를 사용하기도 한다.[1] 스테레오 RCA 출력을 가진 DVD 플레이어/블루레이 플레이어, 정보 기기, 셋톱 박스 등의 소비자 전자 제품에는 빨간색 RCA 출력(오른쪽 스테레오 채널)에 마이크로 스위치가 있어, 스테레오 사운드가 흰색(왼쪽 스테레오 채널) RCA 출력으로 병합되는 것을 비활성화하기도 한다.[1] 비디오 게임 콘솔은 다른 쪽 끝에 독점적인 멀티 A/V 플러그가 있는 케이블에 수 RCA 단자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스테레오 병합을 방지한다.[1]
4. 1. 병합 스테레오의 단점
병합된 스테레오의 단점에는 최종 사운드 출력을 먹먹하게 만드는 위상 간섭이 포함된다. 전력 증폭기를 통과한 후, 스피커에 연결되기 전에 채널이 병합되면 스피커에 더 많은 부하가 걸린다.[1] 녹음 스튜디오에서는 최종 모노 마스터가 축소 스테레오의 함정을 피할 수 있도록 (폴드다운 스테레오-투-모노가 아닌) 모노 녹음을 위한 별도의 믹스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 비디오 게임에서 스테레오를 모노 사운드로 병합하면 플레이어가 멀리 떨어진 SFX가 어느 방향에서 오는지 식별하는 것을 방지하며, 역 스테레오 또한 이와 유사한 단점이 있다.[1] 자체 증폭기 출력에 연결된 스피커 어레이는 단일 스피커 코일에 대한 전기적 부하 문제를 완화하고 청취자가 스피커 사이의 자유 공간에서 사운드의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1]4. 2. 미러드 모노 (Mirrored Mono)
미러드 모노 사운드는 병합된 스테레오의 반대 개념으로, 스테레오 재생 장치가 모노 사운드를 가진 미디어를 자동으로 양쪽 채널에서 미러링하여 재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모노 입력을 스테레오 증폭 회로로 믹스다운하거나, 스테레오 헤드폰과 호환되는 헤드폰 출력을 갖춘 모노 시스템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병합된 스테레오와 미러 모노가 모두 적용되는 사례로는, 컴팩트 카세트가 모노 판독 헤드에서 "합산된" 스테레오 채널을 재생하거나, 모노 사운드로 녹음된 컴팩트 카세트가 스테레오 테이프 헤드로 재생될 때가 있다."미러드 모노"의 다른 사례로는, 양쪽 채널이 단지 하나만 미러링되도록 배선된 경우, "왼쪽" 채널 대신 오른쪽 스테레오 채널을 사용하는 것(또는 그 반대)이 있다.
"병합 스테레오"와 "미러링 모노"의 예는 스테레오 채널이 스테레오 헤드폰과 호환되는 모노 시스템으로 병합되거나 모노 시스템에 "트윈 스피커"(또는 "의사 스테레오")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병합 스테레오를 사용한 미러링 모노와 관련된 다른 응용 분야는 스테레오와 모노 간에 전환할 수 있는 장치의 내부 기능으로 모노를 사용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많은 FM 라디오는 스테레오가 모노로 병합된 다음 두 스테레오 스피커 간에 미러링될 수 있는 방식으로 모노와 스테레오 간에 전환할 수 있다. 이 전술은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일부 비디오 게임과 같이 사운드트랙에 대해 스테레오 또는 모노를 허용하는 기능이 있는 다른 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타 앰프와 같은 모노 장비를 사용할 때 왼쪽 및 오른쪽 RCA 플러그가 있는 Y 어댑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테레오를 내부적으로 병합할 수 있다.
5. 현대 예술에서의 활용
일부 예술가들은 의도적으로 모노럴 녹음을 선택하여 특정 음향 효과나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스탠리 큐브릭, 우디 앨런 등 영화 감독들은 영화의 사운드트랙을 모노럴로 녹음하는 것을 선호했다.[1] 존 멜렌캠프는 2010년 앨범 ''No Better Than This''에서 20세기 중반 블루스와 포크 레코드의 느낌을 재현하기 위해 모노럴 녹음을 사용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Mono vs Stereo - Difference and Comparison
https://www.diffen.c[...]
2023-01-17
[2]
웹사이트
What is Monaural Sound? - Definition
http://www.techopedi[...]
2015-01-05
[3]
서적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モノラル】
[4]
서적
『とっさの日本語便利帳』【モノラル】
[5]
서적
大辞泉【モノラル】
[6]
웹사이트
Lexico, definition of monaur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