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the Beatle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ith the Beatles》는 1963년 비틀즈가 발매한 두 번째 정규 앨범이다. 1963년은 비틀즈에게 중요한 해였으며, 이 앨범은 그들의 영국 내 인기를 바탕으로 기획되었다. 앨범에는 조지 해리슨의 첫 자작곡 "Don't Bother Me"를 포함한 8곡의 자작곡과 6곡의 커버곡이 수록되었으며, 모노럴반과 스테레오반이 같은 날 발매되었다. 앨범은 더블 트래킹 등 새로운 녹음 기술을 도입하여 사운드를 풍부하게 만들었으며,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 포함되기도 했다. 앨범 커버는 흑백 사진으로, 멤버들의 얼굴 한쪽에 빛을 비추어 절반을 그림자로 처리하는 독특한 기법이 사용되었다. 《With the Beatles》는 영국 앨범 차트 1위에 오르며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 1987년과 2009년에 CD로 재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3년 음반 - Blood, Sweat and Tears
조니 캐시가 1963년에 발표한 9곡으로 구성된 앨범 Blood, Sweat and Tears는 빌보드 팝 앨범 차트 80위, 싱글 "Busted"는 빌보드 컨트리 싱글 차트 13위를 기록했다. - 1963년 음반 - The Freewheelin' Bob Dylan
《The Freewheelin' Bob Dylan》은 1963년 발매된 밥 딜런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그의 급성장한 작곡 능력을 보여주며 사회 비판적인 노래와 개인적인 사랑 노래를 포함하여 딜런을 '그 세대의 목소리'로 자리매김하게 하고 포크 음악에 사회 참여적인 메시지를 담아내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었다. - 비틀즈의 음반 - Please Please Me
《Please Please Me》는 비틀즈의 데뷔 음반으로, 라이브 공연 세트리스트 기반의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영국 음반 차트 1위를 30주간 차지하는 등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평가를 동시에 얻은 명반이다. - 비틀즈의 음반 - A Hard Day's Night
A Hard Day's Night는 비틀즈의 세 번째 정규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전곡이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이틀곡을 포함한 다양한 히트곡이 수록되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 조지 마틴이 프로듀싱한 음반 - Please Please Me
《Please Please Me》는 비틀즈의 데뷔 음반으로, 라이브 공연 세트리스트 기반의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영국 음반 차트 1위를 30주간 차지하는 등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평가를 동시에 얻은 명반이다. - 조지 마틴이 프로듀싱한 음반 - A Hard Day's Night
A Hard Day's Night는 비틀즈의 세 번째 정규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전곡이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이틀곡을 포함한 다양한 히트곡이 수록되어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호평을 받았다.
With the Beatles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아티스트 | 비틀즈 |
발매일 | 1963년 11월 22일 |
녹음일 | 1963년 7월 18일 – 10월 23일 |
녹음 장소 | EMI, 런던 |
장르 | 머지비트 로큰롤 팝 R&B |
길이 | 33분 7초 |
레이블 | 팔로폰 |
프로듀서 | 조지 마틴 |
비틀즈 음반 연대기 | |
이전 음반 | 프리즈 프리즈 미 (1963년) |
다음 음반 | 하드 데이즈 나이트 (1964년) |
기타 정보 | |
![]() | |
북미 지역 음반 연대기 | |
이전 음반 | 없음 |
음반 제목 | Beatlemania! With the Beatles |
발매 년도 | 1963년 |
다음 음반 | 인투듀싱... 더 비틀즈 (1964년) |
캐나다 음반 연대기 | |
이전 음반 | 없음 |
음반 제목 | Beatlemania! With the Beatles |
발매 년도 | 1963년 |
다음 음반 | 트위스트 앤 샤우트 (1964년) |
일본 발매 정보 (위드 더 비틀즈) | |
발매일 | 1976년 6월 5일 |
녹음 장소 | EMI 레코딩 스튜디오 |
장르 | 로큰롤 록 팝 리버풀 사운드 |
프로듀서 | 조지 마틴 |
일본 음반 연대기 | 이전 음반: 더 비틀즈 1962년~1966년, 더 비틀즈 1967년~1970년 (1973년) 다음 음반: 프리즈 프리즈 미 (1976년) |
일본 발매 정보 (스테레오! 이것이 비틀즈 Vol.2) | |
음반 종류 | 컴필레이션 |
발매일 | 1966년 5월 30일 |
녹음 장소 | EMI 레코딩 스튜디오 |
장르 | 로큰롤 팝 록 |
레이블 | 오데온 / 도시바 음악 공업 |
프로듀서 | 조지 마틴 |
오리콘 차트 순위 | 주간 88위 |
일본 음반 연대기 | 이전 음반: 스테레오! 이것이 비틀즈 Vol.1 (1966년) 다음 음반: 비틀즈 이야기 (1966년) |
2. 역사적 배경
1963년은 비틀즈에게 매우 중요한 해였다. 비틀즈는 브라이언 엡스타인과 조지 마틴의 계획에 따라 매년 싱글 넉 장과 앨범 두 장을 발표할 예정이었다.[41] 이 해에 데뷔 앨범 《Please Please Me》가 발매된 지 불과 4개월 만에 런던의 EMI 스튜디오로 돌아와 새 앨범 작업을 시작했다.[41]
《Please Please Me》에서는 수록곡 대부분[45]이 하루 만에 녹음되었지만, 《With The Beatles》는 1963년 7월 18일부터 10월 23일까지 3개월에 걸쳐 7번의 세션으로 녹음되었다. 녹음 작업 당시 비틀즈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출연, 취재, 공연 활동으로 매우 바빴지만, 싱글로 발매된 곡은 수록되지 않았다.
《With the Beatles》의 앨범 커버는 로버트 프리먼이 촬영한 흑백 사진으로, 멤버들의 얼굴이 반쯤 그림자에 가려진 독특한 구성을 보여준다. 브라이언 엡스타인이 존 콜트레인의 흑백 사진을 보고 프리먼에게 의뢰하여 촬영하게 되었다.[62] 비틀즈 멤버들은 아스트리드 커처가 함부르크 시절 찍은 사진처럼, 반은 그림자로 가려지고 무표정한 자신들의 사진을 찍어줄 것을 제안했다.[63]
비틀즈는 1963년 7월 1일, 비앨범 싱글 "She Loves You"를 녹음한 직후, 데뷔 앨범 ''Please Please Me'' 발매 후 불과 4개월 만에 런던의 EMI 스튜디오로 돌아왔다.[41] 데뷔 앨범과는 달리, 트랙 대부분(이전에 발매된 싱글 제외, 14곡 중 10곡)이 하루 만에 녹음되었지만, ''With the Beatles''는 3개월에 걸쳐 7번의 세션으로 녹음되었다.
《Please Please Me》의 성공과 "She Loves You" 같은 히트 싱글 발매로 비틀즈는 영국 내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으며, "비틀마니아"라는 용어가 생겨날 정도였다. 이러한 인기를 바탕으로 《With the Beatles》는 1년에 2장의 LP와 4장의 싱글을 발매한다는 계획의 일환으로 발매되었다.
3. 녹음
녹음 작업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날짜 내용 1963년 7월 18일 〈유 리얼리 갓 어 홀드 온 미〉, 〈머니〉, 〈데빌 인 허즈 하트〉, 〈틸 데어 워즈 유〉 녹음. 1963년 7월 30일 〈플리즈 미스터 포스트맨〉, 〈잇 원트 비 롱〉, 〈머니〉, 〈틸 데어 워즈 유〉, 〈롤 오버 베토벤〉, 〈올 마이 러빙〉 녹음. 1963년 9월 11일 〈아이 워너 비 유어 맨〉, 〈리틀 차일드〉, 〈올 아이브 갓 투 두〉, 〈낫 어 세컨드 타임〉, 〈돈트 바더 미〉 녹음. 1963년 9월 12일 〈홀드 미 타이트〉, 〈돈트 바더 미〉, 〈리틀 차일드〉, 〈아이 워너 비 유어 맨〉 녹음. 1963년 10월 3일 〈아이 워너 비 유어 맨〉, 〈리틀 차일드〉 녹음. 1963년 10월 17일 〈아이 원트 투 홀드 유어 핸드〉, 〈디스 보이〉, 〈유 리얼리 갓 어 홀드 온 미〉 녹음. 이날 처음으로 4트랙 녹음기가 도입되었다. 〈아이 원트 투 홀드 유어 핸드〉와 〈디스 보이〉는 11월 29일 싱글로 발매되었다. 1963년 10월 23일 〈아이 워너 비 유어 맨〉 녹음.
4. 앨범 커버
1963년 8월 22일, 프리먼은 영국 본머스의 팰리스 코트 호텔에서 멤버들의 사진을 촬영했다.[64] 사각형 형태에 맞추기 위해 링고 스타를 오른쪽 구석에 배치했다.[64] 조지 해리슨은 이 앨범 커버가 "'자, 이제 예술적으로 가보자'라고 생각한 최초의 결과물"이었다고 회고했다.[64] 폴 매카트니는 이 사진을 "매우 침울하다"고 묘사하면서도, "사람들은 그가 오랫동안 작업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한 시간이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원래 경계선과 제목, 아티스트 이름 없이 그림을 넣는 것이 컨셉이었으나, 이는 음악 산업 관행에 어긋나 EMI에 의해 거부되었다. 비틀즈가 웃지 않는다는 사실에도 반대가 있었으나, Parlophone의 수장 조지 마틴의 개입으로 승인되었다.[8] 프리먼은 이 작업에 대해 75파운드를 받았는데, 이는 EMI가 처음 제시한 수수료의 세 배였다.
이 앨범 커버는 이후 많은 앨범 커버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으며, 존 해리스는 이를 "분수령" 디자인으로 평가하며, 루 리드의 ''Transformer''(1972), 패티 스미스의 ''Horses''(1975) 등 다양한 앨범 커버에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한다.
4. 1. 호주판 커버
EMI의 오스트레일리아 지부는 원래 커버 아트를 사용하지 않고, 비틀즈가 찍은 비슷한 스타일의 흑백 사진을 사용했다. 비틀즈는 오스트레일리아 투어에서 팬들이 이를 보여주기 전까지 알지 못했고, 이후 EMI의 홍보 관계자에게 이런 대용품은 인정할 수 없다고 항의했다.[50]
5. 곡 목록
《With the Beatles》에는 총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레논-매카트니의 자작곡 7곡, 조지 해리슨의 자작곡 1곡, 그리고 커버곡 6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틀즈는 1963년 7월 18일부터 10월 23일까지 7번에 걸쳐 《With the Beatles》의 수록곡을 녹음했다. 전작인 《Please Please Me》의 수록곡 대부분이 하루 만에 녹음된 것과는 대조적이다.[45] 녹음 세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7월 18일: 〈유 리얼리 갓 어 홀드 온 미〉, 〈머니〉, 〈데빌 인 히즈 하트〉, 〈틸 데어 워즈 유〉[45]
- 7월 30일: 〈플리즈 미스터 포스트맨〉, 〈잇 원트 비 롱〉, 〈머니〉, 〈틸 데어 워즈 유〉, 〈롤 오버 베토벤〉, 〈올 마이 러빙〉[45]
- 9월 11일: 〈아이 워나 비 유어 맨〉, 〈리틀 차일드〉, 〈올 아이브 갓 투 두〉, 〈낫 어 세컨드 타임〉, 〈돈트 바더 미〉[45]
- 9월 12일: 〈홀드 미 타이트〉, 〈돈트 바더 미〉, 〈리틀 차일드〉, 〈아이 워나 비 유어 맨〉[45]
- 10월 3일: 〈아이 워나 비 유어 맨〉, 〈리틀 차일드〉[45]
- 10월 17일: 〈안아 주고 싶어〉, 〈디스 보이〉, 〈유 리얼리 갓 어 홀드 온 미〉
- 이 날은 비틀즈의 레코딩 세션에서 처음으로 4트랙 레코더가 사용되었다. 〈안아 주고 싶어〉와 〈디스 보이〉는 11월 29일에 싱글 음반(A면/B면)으로 발매되었다.[45]
- 10월 23일: 〈아이 워나 비 유어 맨〉[45]
5. 1. 사이드 1
곡명 | 작곡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
〈It Won't Be Long〉 | 레논-매카트니 | 존 레논 | 2:13 |
〈All I've Got to Do〉 | 레논-매카트니 | 존 레논 | 2:03 |
〈All My Loving〉 | 레논-매카트니 | 폴 매카트니 | 2:08 |
〈Don't Bother Me〉 | 조지 해리슨 | 조지 해리슨 | 2:28 |
〈Little Child〉 | 레논-매카트니 | 존 레논, 폴 매카트니 | 1:46 |
〈Till There Was You〉 | 메러디스 윌슨 | 폴 매카트니 | 2:14 |
〈Please Mister Postman〉 | 조지아 도빈스, 윌리엄 개릿, 프레디 고먼, 브라이언 홀랜드, 로버트 베이트먼 | 존 레논 | 2:34 |
5. 2. 사이드 2
제목 | 작곡 | 리드 보컬 | 재생 시간 |
---|---|---|---|
〈Roll Over Beethoven〉 | 척 베리 | 조지 해리슨 | 2:45 |
〈Hold Me Tight〉 | 레논-매카트니 | 폴 매카트니 | 2:32 |
〈You Really Got a Hold on Me〉 | 스모키 로빈슨 | 존 레논, 조지 해리슨 | 3:01 |
〈I Wanna Be Your Man〉 | 레논-매카트니 | 링고 스타 | 1:59 |
〈Devil In Her Heart〉 | 리처드 드래프킨 | 조지 해리슨 | 2:28 |
〈Not a Second Time〉 | 레논-매카트니 | 존 레논 | 2:07 |
〈Money (Thats What I Want)〉 | 재니 브래드퍼드, 베리 고디 | 존 레논 | 2:49 |
6. 참여 인원
마크 루이손에 따르면, 《With the Beatles》의 참여 인원은 다음과 같다.[10]
역할 | 이름 |
---|---|
존 레논 | 리드 보컬, 하모니 보컬, 백 보컬, 리드 및 어쿠스틱 기타, 박수, 〈틸 데어 워즈 유〉의 나일론 줄 어쿠스틱 기타, 〈아이 워나 비 유어 맨〉의 하몬드 오르간, 〈돈트 바더 미〉의 탬버린 |
폴 매카트니 | 리드 보컬, 하모니 보컬, 백 보컬, 베이스 기타, 박수, 〈리틀 차일드〉의 피아노, 〈돈트 바더 미〉의 클라베스 |
조지 해리슨 | 리드 보컬, 하모니 보컬, 백 보컬, 리드 및 어쿠스틱 기타, 박수, 〈틸 데어 워즈 유〉의 나일론 줄 어쿠스틱 기타 |
링고 스타 | 드럼, 탬버린, 마라카스, 박수, 〈아이 워나 비 유어 맨〉의 리드 보컬, 〈틸 데어 워즈 유〉와 〈돈트 바더 미〉의 아라비아산 봉고 |
로버트 프리먼 | 커버 사진 |
조지 마틴 | 편곡, 프로듀싱, 믹싱, 〈유 리얼리 갓 어 홀드 온 미〉, 〈낫 어 세컨드 타임〉, 〈머니〉의 피아노 |
노먼 스미스 | 엔지니어링 및 믹싱 |
6. 1. 비틀즈
마크 루이손에 따르면:[10]- 조지 해리슨 – 리드 보컬, 하모니 보컬, 백 보컬, 리드 및 어쿠스틱 기타, 박수, 〈틸 데어 워즈 유〉의 나일론 줄 어쿠스틱 기타
- 존 레논 – 리드 보컬, 하모니 보컬, 백 보컬, 리드 및 어쿠스틱 기타, 박수, 〈틸 데어 워즈 유〉의 나일론 줄 어쿠스틱 기타, 〈아이 워나 비 유어 맨〉의 하몬드 오르간, 〈돈트 바더 미〉의 탬버린
- 폴 매카트니 – 리드 보컬, 하모니 보컬, 백 보컬, 베이스 기타, 박수, 〈리틀 차일드〉의 피아노, 〈돈트 바더 미〉의 클라베스
- 링고 스타 – 드럼, 탬버린, 마라카스, 박수, 〈아이 워나 비 유어 맨〉의 리드 보컬, 〈틸 데어 워즈 유〉와 〈돈트 바더 미〉의 아라비아산 봉고
6. 2. 제작
로버트 프리먼이 찍은 존 콜트레인의 흑백 사진을 본 브라이언 엡스타인은 프리먼에게 비틀즈의 앨범 커버 사진을 부탁했다.[62] 비틀즈는 프리먼에게 아스트리드 커처가 함부르크 시절 찍은 사진처럼, 반은 그림자로 가려져 있고 무표정한 자신들의 사진을 찍어달라고 했다.[63] 1963년 8월 22일, 영국 보니머스의 팰리스 코트 호텔에서 프리먼은 어두운 복도를 배경으로 비틀즈 멤버들의 모습을 담아냈다. 그는 사각형 구도에 맞추기 위해 링고 스타를 오른쪽 구석에 배치했다.[64] 조지 해리슨은 이전 앨범 커버에 불만을 표했지만, 이번 커버에 대해서는 "'자, 이제 예술적으로 가보자'라고 생각한 최초의 결과물"이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그는 "《With the Beatles》 앨범 커버는 1960년대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따라한 디자인 중 하나가 됐죠."라고 덧붙였다.마크 루이손에 따르면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
역할 | 이름 |
---|---|
커버 사진 | 로버트 프리먼 |
편곡, 프로듀싱, 믹싱 | 조지 마틴 |
〈You Really Got a Hold on Me〉, 〈Not a Second Time〉, 〈Money〉의 피아노 | 조지 마틴 |
엔지니어링 및 믹싱 | 노먼 스미스 |
7. 평가
《With the Beatles》는 발매 당시와 이후 모두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음반이 단순히 록 중점이 아니며, 상당히 세련되어 있다"며 호평했다.[76] 《디 A.V. 클럽》 또한 "하나의 트랙만 3분 이상 지속되지만, 구조적으로 보자면 비틀즈는 이미 음악가를 위해 만들어진 곡을 연주할 때조차도 그들보다 먼저 왔던 작곡가보다 음악적으로 보인다"며 호평했다.[67]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서는 "미러클스의 〈You Really Got A Hold On Me〉에서 조지 해리슨과 존 레논의 화음은 비틀즈가 커버한 곡 가운데 원곡을 가장 훌륭하게 만든 곡이었고, 레논이 부른 바렛 스트롱의 〈Money〉는 다른 모든 곡을 압도할 만큼 특출하다."고 극찬했다.[77]
8. 발매
《With the Beatles》는 1963년 11월 22일 영국에서 팔로폰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65] 이 앨범은 50만 장의 선주문을 받았고, 1965년 9월까지 50만 장이 더 팔려나가면서 영국에서 두 번째로 100만 장 이상 판매된 앨범이 되었다.[65] 《With the Beatles》는 데뷔 앨범 《Please Please Me》가 차지하고 있던 정상 자리를 이어받아 21주간 영국 음반 차트 1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비틀즈는 총 51주 연속으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1964년 1월 20일 《Meet the Beatles!》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으며, 수록곡 구성이 약간 변경되었다.[42]
1987년 2월 26일에는 CD로 재발매되었으며, 2009년 9월 9일에는 리마스터링된 스테레오 및 모노 버전 CD가 재발매되었다.
다음은 각 국가별 발매 정보이다.
국가 | 발매일 | 레이블 | 판매 형태 | 카탈로그 번호 |
---|---|---|---|---|
영국 | 1963년 11월 22일 | 팔로폰 | 모노럴 LP | PMC 1206 |
스테레오 LP | PCS 3045 | |||
1987년 2월 16일 | 모노럴 CD | CDP 7 46436 2 | ||
미국 | 1987년 2월 26일 | 팔로폰 | CD | CDP 7 46436 2 |
1987년 7월 21일 | 캐피틀 레코드 | 모노럴 LP | MAS 2653 | |
일본 | 1967년 6월 5일 | 오데온 | 스테레오 LP | EAS-80551 |
1982년 1월 21일 | 모노럴 LP | EAS-70131 | ||
1987년 6월 1일 | 모노럴 CD | CP32-5328 | ||
2004년 1월 21일 | 팔로폰 | 리마스터드 LP | TOJP-60138 | |
전 세계 재발매 | 2009년 9월 9일 | 애플 레코드 | 리마스터드 스테레오 CD | 0946 3 82420 2 4 |
리마스터드 모노럴 CD | ||||
2012년 11월 13일 | 리마스터드 스테레오 LP | 0094638242017 |
8. 1. 대한민국 발매
대한민국에서는 1967년 "스테레오! 이것이 비틀즈 Vol.2"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이후 1976년에는 영국반 구성에 준거한 판본이 발매되었다.[42]9. 차트 및 판매량
《With the Beatles》는 영국 앨범 차트에서 21주 동안 1위를 차지하며, 데뷔 앨범 《Please Please Me》를 밀어내고 비틀즈의 51주 연속 1위 기록을 이어갔다. 이 앨범은 발매와 동시에 50만 장의 선주문을 받았고, 1965년 9월까지 50만 장이 더 팔려 영국 음반 역사상 두 번째로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 앨범으로 기록되었다.[33]
9. 1. 차트
차트 (1963–65) | 최고 순위 |
---|---|
독일[28] | 1 |
핀란드 (수오멘 비랄리넨 리스타)[28] | 5 |
영국 레코드 리테일러 LP 차트[29] | 1 |
차트 (1987) | 최고 순위 |
네덜란드[28] | 25 |
차트 (2009) | 최고 순위 |
플랑드르[28] | 83 |
왈로니아[28] | 88 |
핀란드[28] | 31 |
이탈리아[28] | 82 |
스페인[28] | 70 |
스웨덴[28] | 34 |
스위스[28] | 73 |
차트 (2010) | 최고 순위 |
미국 빌보드 200[30][31] | 179 |
차트 (1987년) | 최고 순위 |
---|---|
일본 (오리콘) | 4 |
네덜란드[28] | 25 |
영국[29] | 40 |
차트 (2009년) | 최고 순위 |
---|---|
플랑드르[28] | 83 |
왈로니아[28] | 88 |
핀란드[28] | 31 |
이탈리아[28] | 82 |
일본 (오리콘)[52] | 30 |
네덜란드[28] | 25 |
스페인[28] | 70 |
스웨덴[28] | 34 |
스위스[28] | 73 |
영국[29] | 51 |
차트 (2010년) | 최고 순위 |
---|---|
미국 빌보드 200[53] | 179 |
연도 | 노래 | 차트 | 순위 |
---|---|---|---|
1964 | All My Loving | 빌보드 핫 100 | 45 |
1964 | Roll Over Beethoven | 빌보드 핫 100 | 68 |
9. 2. 판매량
With the Beatles영어는 전 세계적으로 5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33]지역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아르헨티나 | 골드 | |
오스트레일리아 | 골드 | {{cvt|}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