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리스 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리스 돕은 1900년 런던에서 태어나 1976년 사망한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1922년 영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공산주의 활동을 시작했다. 돕은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비판하고, 사회주의 계획 경제를 옹호했으며, 자본주의 발전 과정을 연구했다. 그는 '데이비드 리카도'의 저작을 편집하는 데 참여했으며, '아마르티아 센'과 '에릭 홉스봄'을 제자로 두었다. 돕은 12권의 학술 서적, 24편 이상의 팸플릿, 대중을 위한 많은 기사를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사상사학자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경제사상사학자 -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거시경제 이론을 통해 현대 경제학과 정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개입을 옹호하는 그의 사상은 현대 경제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 - 안톤 판네쿡
    네덜란드 천문학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인 안톤 판네쿡은 은하수 구조 및 항성 분포 연구에 기여하고 천문학사를 저술했으며, 평의회 공산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경제학자 - 에드 볼스
    에드 볼스는 영국의 정치인, 언론인, 방송인으로,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고든 브라운 정부에서 경제 고문을 역임했으며, 하원 의원, 장관 등을 거쳐 현재는 방송 활동을 하고 있다.
  • 영국의 경제학자 - 존 힉스
    존 힉스는 20세기 경제학의 중요한 인물로서, 『가치와 자본』을 통해 미시경제학의 기초를 다지고 IS-LM 모형으로 거시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쳐 197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모리스 돕
기본 정보
모리스 도브
모리스 도브
국적영국
출생1900년 7월 24일
출생지런던
사망1976년 8월 17일 (76세)
학력펨브로크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소속트리니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학문 분야
분야정치경제학
사상적 경향마르크스 경제학
영향칼 마르크스

2. 생애

모리스 돕은 1900년 런던에서 태어났다.[2] 1922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고,[1] 영국 공산당에 입당했다.[7] 1924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강사가 되었고,[1] 1925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피에로 스라파와 함께 『리카도 전집』을 편찬했으며,[9] 1967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퇴직했다.[1] 1976년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연도내용
1900년런던 출생[1]
1922년케임브리지 대학교 문학사(BA) 학위 취득, 영국 공산당 입당[1]
1924년케임브리지 대학교 강사 부임[1]
1925년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박사 학위 취득[1]
1951년피에로 스라파와 『리카도 전집』 공동 편찬[1]
1967년케임브리지 대학교 퇴직[1]
1976년사망[1]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모리스 돕은 1900년 7월 24일 런던에서 월터 허버트 돕과 엘시 애니 모이어의 아들로 태어났다.[2] 돕과 그의 가족은 런던 교외 윌스덴에 살았다. 그는 서리주에 있는 엘리트 영국 사립학교차터하우스 스쿨에서 교육을 받았다.[3]

돕은 10대 초반에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글을 쓰기 시작했다. 내성적인 성격 탓에 친구를 사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의 초기 소설은 허구의 판타지였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돕은 어머니의 죽음 이후 크리스천 사이언스를 실천했다. 이전에는 가족이 영국 장로교에 속해 있었다.

1918년 11월 휴전 협정으로 군 징집을 면제받은 돕은 1919년 경제학을 공부하기 위해 장학생으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에 입학했다.[4] 그는 1921년과 1922년에 경제학 트리포스의 두 부분 모두에서 1등을 했고, 대학원 연구를 위해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 입학했다.[4]

1920년, 돕이 펨브로크 칼리지에서 1학년을 마친 후,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그를 정치경제 클럽에 가입하도록 초대했고, 졸업 후 케인스는 그가 케임브리지에서 직위를 얻도록 도왔다. 돕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공산주의 신념을 숨기지 않았다. 돕의 학생 중 한 명인 빅터 키어넌은 훗날 이렇게 회고했다. "그 당시 우리는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대략적으로나마 소화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비록 케임브리지에 모리스 돕이라는 주목할 만한 해설자가 있었지만, 그 이론은 영국에서 막 뿌리내리기 시작했을 뿐이었습니다."[5] 돕의 집인 체스터턴 레인에 있는 "세인트 앤드루스"는 현지에서 "붉은 집"으로 알려진 케임브리지 공산주의자들의 잦은 만남의 장소였다.[6]

2. 2.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공산주의

케임브리지 대학교 펨브로크 칼리지에 장학생으로 입학하여 경제학을 공부한 돕은[4] 1921년과 1922년에 경제학 트리포스의 두 부분에서 모두 1등을 차지했다.[4]

1920년, 펨브로크 칼리지 1학년을 마친 후,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돕을 정치경제 클럽에 가입하도록 초대했고, 졸업 후에는 케임브리지에서 직위를 얻도록 도왔다.[5] 돕은 학생들에게 자신의 공산주의 신념을 숨기지 않았으며, 그의 집은 케임브리지 공산주의자들의 잦은 만남의 장소였다.[6]

1922년 런던에서 영국 공산당에 입당한 돕은[7] 1930년대에 대학교에서 공산당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킴 필비를 포함한 여러 인물을 영입했다.[8] 그는 정치적으로 매우 활동적이었으며, 경제 위기에 대한 취약성에 초점을 맞춰 자본주의를 비판했다.

2. 3. 학문적 경력과 결혼

1924년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돕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강사로 돌아왔다.[4] 트리니티 칼리지에서의 돕의 직책은 50년 이상 그와 연결되었다. 1948년에 펠로우로 선출되었으며, 이 시기에 피에로 스라파와 함께 데이비드 리카도의 선집과 서신을 편집하는 공동 작업을 시작했다.[9] 그 결과는 결국 11권으로 출판되었다.[10] 그는 1959년이 되어서야 대학교 강사 직위를 받았다.

그는 경력 동안 12권의 학술 서적, 24편 이상의 팸플릿, 일반 대중을 위한 수많은 기사를 출판했다. 그는 종종 정치 경제에 대해 글을 썼으며, 사회적 맥락과 사회의 문제점, 그리고 그것이 시장 교환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연관성을 그렸다. 그는 맑스주의 경제학 수업에서 "인간의 경제 관계는 인간의 사회적 연관성을 결정한다"고 말했다. 돕은 자본주의 체제가 계급을 만들었고, 계급과 함께 계급 투쟁이 따른다고 믿었다. 1925년 케인스와 함께 러시아를 방문한 후, 돕은 정치적 갈등에 대한 관심을 다소 자제했다.

1928년경 돕이 맡았던 다른 직책으로는 여름 학교에서 가르치는 일, 영국 공산당 경제학부 의장, 그리고 당 자체의 영화 회사 설립 지원 등이 있었다. 그는 당 내에서 상반된 의견에 직면했으며, 지성과 정치 활동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1931년, 돕은 평생의 반려자가 될 바바라 마리안 닉슨과 재혼했다. 그녀는 공산주의자를 자처하지 않았지만, 영국 노동당에서 활동했으며 연기 경력을 쌓으면서 런던 카운티 의회 의원직을 맡았다. 돕의 사생활은 동료들의 특별한 관심을 받았고, 펨브로크 칼리지는 논란으로 인해 돕을 연구 책임자에서 해임[11]하고 식사 권한을 박탈했다. 같은 해, 그는 최근 러시아 여행에 대한 강연을 했는데, 이로 인해 일부 사람들은 그를 "러시아 정부의 유료 관리"라고 불렀고, 다시 한번 케임브리지에서 작은 스캔들을 일으켰다. 돕은 《더 타임스》에 기고한 기사에서 소련과의 관련성을 부인했다.

1930년대에 그는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친구가 되었고, 비트겐슈타인은 돕과 그의 아내와 잠시 함께 머물렀다.[12]

2. 4. 코민테른과의 관계 및 첩보 활동 의혹

돕은 1922년 런던에서 영국 공산당에 입당했다.[7] 1930년대에 그는 대학교에서 공산당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가 영입한 인물 중에는 나중에 영국 정보기관 내에서 고위 간첩이 된 킴 필비도 있었다. 돕이 코민테른의 "인재 발굴자"였다는 주장도 있다.[8] 그는 당시 영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던 공산주의 혁명가였다. 그는 정치적으로 매우 활동적이었으며, 꾸준히 집회를 조직하고 강연을 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경제학자로서 그는 일반적으로 경제 위기에 대한 취약성에 초점을 맞췄으며, 공공 사업 대신 군사적 의제를 지원하는 자본주의의 사례로 미국을 지적했다.

2. 5. 말년과 죽음

모리스 돕은 1976년 8월 17일에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말년에 러시아 경제에 대한 이전의 헌신에 의문을 품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1]

하지만 그의 사회주의적 이상은 사라지지 않았다. 그는 아마르티아 센에릭 홉스봄이라는 두 명의 주목할 만한 제자를 남겼다. 센은 사회 후생 경제학 연구로 1998년 스웨덴 국립은행 경제학상과 1999년 바라트 라트나를 수상했으며, 제1회 찰스턴-EFG 존 메이너드 케인스 상을 수상했다. 그는 이후 돕이 다녔던 트리니티 칼리지의 학장이 되었다(1998–2004).[1] 홉스봄은 19세기를 전문으로 하는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영국 공산당과 공산당 역사학자 그룹에서 활동하며 수많은 저서를 발표했다.[1]

돕의 학문적 여정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00년런던 출생[1]
1922년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문학사(BA) 학위 취득, 영국 공산당 입당[1]
1924년케임브리지 대학교 강사 부임[1]
1925년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취득[1]
1951년피에로 스라파와 공동으로 『리카도 전집』 편찬[1]
1967년케임브리지 대학교 퇴직[1]
1976년사망[1]


3. 경제 사상

돕은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비판했다. 경제 계산 문제 논쟁에 참여하여 자본주의, 중앙 계획 사회주의, 시장 사회주의 모델을 모두 비판했으며, 한계 효용 이론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오스카 랑게의 시장 사회주의 모델을 비판한 돕은 사회주의의 핵심 경제적 과제가 역동적인 측면에서 생산과 투자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그는 계획 경제가 시장 경제에 비해 가지는 세 가지 주요 장점으로 선행 조정, 외부 효과, 계획의 변수를 꼽았다.

돕은 영국 공산당 당원으로 소비에트 연방의 중앙집권적 계획 경제를 지지했지만, 헝가리 봉기 등에 대해서는 소련의 강압적 정책을 비판하는 등 교조적인 마르크스주의에 얽매이지 않았다. 폴 스위지 등과 자본주의 발달사에 대한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고전파 경제학과 현대 경제학에도 비판을 가한 돕은 조앤 로빈슨이나 피에로 스라파에게 마르크스주의적 입장에서 시사점을 주었다. 그는 데이비드 리카도에서 시작된 '경제적 잉여' 분석 계통(리카도 - 마르크스 - 스라파)과 가격 결정의 일반 균형 분석 계통(스미스 - 발라스 - 애로 - 드브뢰)을 구분하고, 전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돕의 저서 《경제학 입문》은 스페인어로 번역되어 10판 이상 출판될 정도로 널리 읽혔다. 피에로 스라파와 함께 데이비드 리카도의 저작 및 서한 전집을 편집하여 총 11권으로 출판하기도 했다.[9][10]

3. 1. 신고전학파 경제학 비판

돕은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비판했다. 그는 경제 계산 문제 논쟁에 참여하여 정태적 균형에 대한 신고전학파의 분석을 비판했다.[13]

돕은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한계 효용 이론을 비판했다. 한계 효용 이론은 각 개인이 재화를 추가로 소비할 때 얻는 만족도의 수준을 정량화하여, 이를 통해 가격이 결정된다고 본다. 그러나 돕은 개인의 선호와 만족도는 개인의 부에 크게 의존하며, 따라서 한계 효용은 구매력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즉, 가격은 개인의 지출 의지에 달려있으므로, 부의 분배만이 가격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돕은 개인의 행동은 노동 및 구매력과 같은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13] 이는 재화의 가격이 생산에 투입되는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노동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는 마르크스의 노동가치설과 대조된다.

돕은 오스카 랑게의 시장 사회주의 모델과 "신고전학파" 사회주의자들의 기여를 "교환 관계 문제에 대한 연구의 초점 협소화"라고 비판했다.[14]

돕은 리카도에서 시작된 '경제적 잉여' 분석(마르크스 - 스라파)과 가격 결정의 일반 균형 분석(스미스 - 발라스 - 애로 - 드브뢰)의 두 가지 경제학 계통을 제시하며, 전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3. 2. 경제 계산 논쟁 참여

돕은 초기 경제 계산 문제 논쟁에 참여하여 정태적 균형의 신고전학파 틀에 근거해 자본주의, 중앙 계획 사회주의, 시장 사회주의 모델을 비판했다.[13] 그는 오스카 랑게의 시장 사회주의 모델과 "신고전학파" 사회주의자들의 기여를 "교환 관계 문제에 대한 연구의 초점 협소화"라고 부당하게 일축했다.[14]

돕은 계획 경제의 세 가지 주요 장점으로 선행 조정, 외부 효과, 계획의 변수를 꼽았다. 그는 사회주의의 핵심 경제적 과제가 역동적인 측면에서 생산과 투자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3. 3. 사회주의 계획 경제 옹호

돕은 계획 경제가 시장 경제에 비해 세 가지 주요 장점을 가진다고 보았다. 첫째, 계획 경제는 경제를 선행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장 경제에서는 각 주체들이 분산되어 있고, 이들의 결정은 불확실성에 기반한다. 정보 부족은 불균형을 초래하고, 이는 시장에서 사후에만 수정될 수 있어 자원 낭비로 이어진다. 반면, 사전 계획은 "자원 투입 이전에" 조정되고 통합된 정보 수집 및 의사 결정으로 불확실성을 제거한다.[14]

둘째, 돕은 시장 교환의 외부 효과에 주목한 초기 이론가였다. 시장 경제에서 각 주체는 좁은 정보에만 근거하여 결정을 내리므로, 생산 및 소비의 더 넓은 사회적 효과를 알지 못한다. 외부 효과가 크면 시장 가격의 정보 전달 품질이 떨어지고, 가격은 진정한 사회적 기회비용을 반영하지 못한다. 돕은 현대 시장 경제에 상당한 외부 효과가 만연하며, 계획은 상호 관련된 결정을 조정하여 더 넓은 사회적 효과를 고려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산업 계획, 부문 간 불균형 개발, 공공 사업, 유치 산업 개발, 그리고 환경에 대한 부정적 외부 효과 등에 적용된다.[14]

셋째, 조정된 선행 계획은 정적인 틀에서는 "데이터"로 보이는 것들을 계획 과정에서 변수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투자율, 자본과 소비 간의 투자 분배, 생산 기술 선택, 투자의 지리적 분포, 운송, 연료 및 동력, 산업과 농업의 상대적 성장률, 신제품 도입 속도 및 특성, 생산의 표준화 또는 다양화 정도 등을 계획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14]

돕은 스탈린 시대 소비에트 연방의 중앙집권적 계획 경제를 지지했지만, 헝가리 봉기나 포즈난 폭동에 대해서는 소련의 강압적 정책을 비판하는 등 교조적 마르크스주의에 얽매이지 않았다.

3. 4. 자본주의 발전 연구

영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스탈린 시대 소비에트 연방의 중앙집권적 계획 경제를 지지했지만, 교조적인 마르크스주의에 얽매이지 않고 헝가리 봉기나 포즈난 폭동에 대해서는 소련의 강압적인 정책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했다. 자본주의 발달사 연구에서 폴 스위지 등과 논쟁을 벌였다.[1]

3. 5. 스라파와의 협력과 리카도 연구

피에로 스라파와 함께 데이비드 리카도의 저작 및 서한 전집을 편집하는 공동 작업을 시작했다.[9] 이 작업의 결과물은 총 11권으로 출판되었다.[10] 돕은 스라파와의 협력을 통해 리카도의 경제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4. 저작


  • '''자본주의 기업과 사회 발전''', 1925
  • '''혁명 이후의 러시아 경제 발전''', H. C. 스티븐스(H. C. Stevens) 공저. 런던: G. 라우트리지 & 선스, 1928.
  • '''임금''', 1928
  • '''"임금 이론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 1929, ''경제 저널(Economic Journal)''
  • '''오늘과 내일의 러시아''', 1930, 호가스 출판사(The Hogarth Press)

: 존 메이너드 케인스와 함께 러시아를 방문하고 돌아와 저술. 1930년대에 소련의 경제, 정치, 산업, 문화를 다루며 많은 판매를 기록.

  • '''오늘날의 마르크스주의에 관하여''', 1932, 호가스 출판사(The Hogarth Press)

: 일반 대중을 위한 공산주의 기본 소개서.

  • '''경제 이론과 사회주의 경제의 문제''', 1933년 12월, ''경제 저널(The Economic Journal)''
  • '''정치 경제와 자본주의: 경제 전통에 관한 몇몇 에세이''', 1937
  • '''평화와 전쟁 속의 소련 계획 및 노동: 네 개의 연구.''', 런던: 조지 라우트리지 & 선스, 1942
  • '''소련의 노동조합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샌프란시스코: 국제 서점, 미상 [1942]. 팜플렛
  • '''경제학자로서의 마르크스: 에세이.''', 런던: 로렌스 앤 위샤트, 1943
  • '''소련 경제와 전쟁.''', 뉴욕: 국제 출판사, 1943
  • '''자본주의 발전 연구''', 1946
  • '''1917년 이후의 소련 경제 발전''', 1948
  • '''답변 (폴 스위지의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의 전환에 대한 논문에 대하여)''', 1950, ''과학과 사회(Science and Society)''
  • '''경제 발전의 몇몇 측면''', 1951
  • '''경제 이론과 사회주의: 수집된 논문''', 1955
  • '''경제 성장과 계획에 관한 에세이''', 1960
  • '''경제 성장과 개발도상국.''', 뉴욕: 국제 출판사, 1963
  • '''자본주의, 개발, 그리고 계획에 관한 논문''', 1967
  • '''후생 경제학과 사회주의 경제학''', 1969
  • '''"스라파 시스템과 신고전주의 분배 이론 비판"''', 1970, ''데 에코노미스트''(De Economist)
  • '''사회주의 계획: 몇 가지 문제'''. 1970
  • '''애덤 스미스 이후의 가치와 분배 이론: 이데올로기와 경제 이론.''', 런던: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73
  • '''"계획과 시장에 대한 몇 가지 역사적 고찰,"''' 치멘 아브람스키(Chimen Abramsky) 편집, ''E. H. 카 경의 명예를 기리는 에세이'', 런던, 맥밀란 출판사, 1974
  • '''경제 성장과 계획에 관한 에세이.''', 런던: 라우트리지 & 케간 폴, 1976
  • '''사회주의 경제 사상의 발전: 선별된 에세이.''', 런던: 로렌스 앤 위샤트, 2008
  • 《정치경제학 비판》 영어 편집.


'''일본어 번역본'''

  • 賃金論入門일본어, 우지하라 마사지로 역, 신평론사, 1954년
  • ソヴェト経済史 — 1917年以後のソヴェト経済の発展일본어 (상), 노노무라 가즈오 역, 일본평론사, 1956년
  • 後進国の経済発展と経済機構일본어 (교토대학 종합경제연구소 연구총서2), 오노 이치이로 역, 유히카쿠, 1956년
  • ドッブ経済学講座일본어, 쓰카야 아키히로・스즈키 소타로 공역, 간쇼인출판, 1957년
  • 資本主義 — 昨日と今日일본어 (합동신서), 타마이 류조 역, 합동출판사, 1959년
  • 賃金論일본어 (개정판), 우지하라 마사지로 역, 신평론, 1962년
  • 経済成長と経済計画일본어, 이시카와 시게루・미야모토 요시오 공역, 이와나미 서점, 1965년
  • 現代経済体制論 — 経済発展と計画経済일본어, 타마이 류조]・후지타 세이 공역, 신평론, 1970년
  • 70年代の資本主義 — 国際シンポジウム일본어, 나카무라 타츠야・나가이 스스무・와타라이 가츠요시 공역, 신평론, 1972년
  • 厚生経済学と社会主義経済学 — 常識的な批判일본어, 나카무라 타츠야 역, 이와나미 서점, 1973년
  • 価値と分配の理論일본어, 기시모토 시게토모 역, 신평론, 1976년


'''원서(주요 저서)'''

  • '''정치경제학과 자본주의'''(''Political Economy and Capitalism''), 1937년
  • '''자본주의 발전의 연구'''(''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1946년
  • '''경제 이론과 사회주의'''(''On Economic Theory abd Socialism''), 1955년
  • '''가치와 분배의 이론'''(''Theories of Value and Distribution since Adam Smith''), 1973년

5. 한국과의 관계

모리스 돕의 사상은 주로 일본어 번역을 거쳐 한국에 소개되었으며, 이는 한국의 사회 운동과 경제학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돕은 영국 공산당 당원으로 활동하며, 경제 위기에 대한 자본주의의 취약성을 비판하고 군사적 의제 대신 공공 사업 지원을 강조했다.[7][8]

5. 1. 한국에 소개된 돕의 저작

돕의 저작은 주로 일본어 번역을 통해 한국에 소개되었다. 다음은 한국어로 번역되거나 소개된 돕의 주요 저작 및 관련 서적 목록이다.

제목원제 (해당되는 경우)출판 연도번역 또는 소개비고
임금론 입문1954년우지하라 마사지로 역, 신평론사
소베트 경제사 — 1917년 이후의 소베트 경제의 발전 (상)1956년노노무라 가즈오 역, 일본평론사
후진국의 경제 발전과 경제 기구1956년오노 이치이로 역, 유히카쿠
돕 경제학 강좌1957년쓰카야 아키히로・스즈키 소타로 공역, 간쇼인출판
자본주의 — 어제와 오늘1959년타마이 류조 역, 합동출판사
임금론 (개정판)1962년우지하라 마사지로 역, 신평론
경제 성장과 경제 계획1965년이시카와 시게루・미야모토 요시오 공역, 이와나미 서점
현대 경제 체제론 — 경제 발전과 계획 경제1970년타마이 류조・후지타 세이 공역, 신평론
70년대의 자본주의 — 국제 심포지엄1972년나카무라 타츠야・나가이 스스무・와타라이 가츠요시 공역, 신평론
후생 경제학과 사회주의 경제학 — 상식적인 비판1973년나카무라 타츠야 역, 이와나미 서점
가치와 분배의 이론1976년기시모토 시게토모 역, 신평론
정치경제학과 자본주의Political Economy and Capitalism1937년
자본주의 발전의 연구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1946년
경제 이론과 사회주의On Economic Theory and Socialism1955년
가치와 분배의 이론Theories of Value and Distribution since Adam Smith1973년


5. 2. 한국 사회 운동에 미친 영향

돕은 1922년 런던에서 영국 공산당에 입당했다.[7] 1930년대에 그는 대학교에서 공산당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그가 영입한 인물 중에는 나중에 영국 정보기관 내에서 고위 간첩이 된 킴 필비도 있었다.[8] 돕은 당시 영국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던 공산주의 혁명가였다. 그는 정치적으로 매우 활동적이었으며, 꾸준히 집회를 조직하고 강연을 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경제학자로서 그는 일반적으로 경제 위기에 대한 취약성에 초점을 맞췄으며, 공공 사업 대신 군사적 의제를 지원하는 자본주의의 사례로 미국을 지적했다.

참조

[1] 학위논문 "Keynes From Below: A Social History of Second World War Keynesian Economics" https://www.research[...] Federation University Australia 2023-01
[2] 간행물 "Portrait: Maurice Dobb," 1979-11/12
[3] 문서 "Portrait: Maurice Dobb,"
[4] 문서 "Portrait: Maurice Dobb,"
[5] 뉴스 London Review of Books 1987-06-25
[6] 웹사이트 Biography of Maurice Dobb http://spartacus-edu[...]
[7]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Maurice Dobb: history, theory, and the economics of reproduction, crisis, and transformation https://collections.[...] University of Utah 2011
[8] 서적 Philby: The Life and Views of the KGB Masterspy Andre Deutsch 1988
[9] 서적 "Maurice Herbert Dobb (1900–1976)," Greenwood Press 1986
[10] 서적 "The Works and Correspondence of David Ricardo" http://oll.libertyfu[...]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1–1973
[11] 문서
[12] 서적 Maurice Dobb Political Economist Palgrave Macmillan 2013
[13] 간행물 "Maurice Dobb's critique of theories of value and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14] 서적 Economists and the Economics of Socialism 193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