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진은 명나라 말기에서 청나라 초기에 활동한 서적 수집가이자 출판업자이다. 그는 1599년에 태어나 전겸익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과거에 낙방한 후 벼슬을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했다. 모진은 8만 4천여 권의 장서를 소장하고 급고각을 설립하여 600여 종의 서적을 간행했으며, 특히 희귀본을 필사하는 것을 즐겨 '모초'로 불리기도 했다. 그의 출판 활동은 명대 출판사에서 가장 뛰어난 업적으로 평가받으며, 아들 모의 또한 서적 수집 및 간행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진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모진 (毛晉) |
| 자 | 자구(子晋), 희황(希黄) |
| 호 | 급고각주인(汲古閣主人) |
| 출생 | 명나라 만력 27년 (1599년) |
| 사망 | 청나라 순치 8년 (1651년) |
| 국적 | 중국 명나라 |
| 직업 | |
| 직업 | 서적 수집가, 출판업자 |
| 생애 및 활동 | |
| 활동 시대 | 명나라 말기 ~ 청나라 초기 |
| 주요 활동 | 고서적 수집 및 출판 급고각(汲古閣) 운영 |
| 특징 | 방대한 장서 수집, 뛰어난 서적 출판 능력, 당시 서적 문화에 큰 영향 |
| 주요 저서 및 편집 | |
| 편집 서적 |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사마천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진서(晉書)》 《당서(唐書)》 《송서(宋書)》 《남제서(南齊書)》 《양서(梁書)》 《진서(陳書)》 《위서(魏書)》 《북제서(北齊書)》 《주서(周書)》 《수서(隋書)》 《남사(南史)》 《북사(北史)》 《원사(元史)》 《자치통감(資治通鑑)》 《전당시(全唐詩)》 《원곡선백종(元曲選百種)》 《육십가소본(六十家小説)》 《진본십종곡(眞本十種曲)》 《맥산서옥십종(脉山书屋十种)》 |
| 기타 | |
| 관련 인물 | 모이도 (毛扆, 아들) 모선가 (毛先舒, 손자) |
| 참고 자료 | 중국역대인명사전 청사고 |
2. 생애
모진은 1599년 정월 5일에 태어났다.[9] 전겸익을 스승으로 배웠고, 13세에 제생(諸生)이 되었으며 26세에 박사제자원(博士弟子员)으로 선발되었으나 과거에 합격하지 못했다. 이후 벼슬하지 않고 수재(秀才) 신분으로 학문에 전념했다.
상숙 모씨는 상숙현의 대지주 집안으로, 송(宋), 원(元) 시대의 각본으로 우수한 선본 8만 4천여 권에 달하는 책들을 소장하고 있었다. 모진은 급고각(汲古阁)과 목경루(目耕楼)를 지어 이를 소장하였다.
같은 고향 출신 전겸익에게서 배웠고, 명나라 말기에 여러 차례 과거 시험을 치렀으나 낙방하여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모진은 다른 사람들보다 높은 값을 치르고 옛 책들을 구입하여 급고각(汲古閣)과 목경루(目耕樓)에 소장하고, 스스로 교감하여 출판했다.
전겸익 또한 서적 수집가로 알려졌지만, 그의 강운루(絳雲樓)가 1650년 화재로 소실되었기 때문에, 청나라 초기에 모진이 최대의 서적 수집가가 되었다.
아들로 모양(毛襄), 모포(毛褒), 모곤(毛袞), 모표(毛表), 모의(毛扆) 다섯 명과 딸 네 명이 있었다. 특히 모의(毛扆)는 서적 수집가이자 교감가로 유명하다. 『설문해자』 급고각본은 모진과 모의에 의해 출판되었다.[7]
2. 1. 출판 활동
모진은 명나라 말기부터 청나라 초기까지 약 40년간 고서를 출판하여 널리 보급하는 데 힘썼다. 이 기간 동안 600여 종의 책을 발간했는데, 당시 세상에서는 '모각본(毛閣本)' 또는 '급고각본(汲古閣本)'으로 불렸다. 특히 희귀한 책을 필사하는 것을 좋아하여, 이렇게 필사된 책은 후세에 '모초(毛钞)'라 불렸다.[10]모진은 《십삼경》(十三经), 《십칠사》(十七史), 《진체비서》(津逮秘书), 《육십종곡》(六十种曲) 등의 책을 교감하고 판각하여 널리 유포했다.[10] 이는 역대 중국의 사설 출판업자 가운데서는 으뜸가는 것이었다.[10]
그의 출판 활동은 당시의 관각(官刻)이나 서방(書坊)을 능가하는 것으로 명대 출판사에서 가장 뛰어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모진은 평생에 걸쳐 책을 찍어내는 일에 힘썼으며[12], 그가 판각해 펴낸 《십삼경》, 《십칠사》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 "지난 30년을 돌이켜보면 너무 많은 책을 다루었다. 너무 바빠서 계절이 바뀌는 것도 몰랐다. 낮에 언제 외출했는지, 밤에 언제 문을 닫았는지 몰랐다. 이제 머리는 온통 하얗게 세었고 눈은 흐릿해졌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좋은 책을 읽으라는 어머니의 가르침에 어긋날까 봐 그만둘 수 없었다."
만년에 모진은 그의 아들 모의(毛扆)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고 한다.
> "나는 검소하게 살면서 책 출판을 최우선으로 삼아 쉬지 않고 일했다. 이제 10만 장이 넘는 조판을 쌓았으니, 결코 적은 양이 아니다."[13]
모진의 저서로는 《모시육소광요(毛時陸疎廣要)》, 《소미지림(蘇米志林)》, 《해우고금문원(海虞古今文苑)》, 《모시명물고(毛詩名物考)》, 《명시기사(明時紀事)》, 《사원영화(詞苑英華)》 등이 있다.
모진이 출판한 주요 서적은 다음과 같다.
| 서적명 | 비고 |
|---|---|
| 『십삼경주소(十三経注疏)』 | 급고각(汲古閣)본 |
| 『십칠사(十七史)』 | 급고각(汲古閣)본 |
| 『송육십명가사(宋六十名家詞)』 | |
| 『육십종곡』 | |
| 『진체비서』 |
2. 2. 저술 활동
모진은 평생 벼슬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며, 자신이 소장한 고서를 바탕으로 다양한 서적을 교감하고 판각하여 널리 유포하는 데 힘썼다. 특히 송(宋), 원(元) 시대의 희귀본을 필사하고 출판하여 '모초(毛钞)'라는 명성을 얻었다.[2]그의 출판 활동은 명나라 말기인 1628년부터 청나라 초기까지 약 40년간 이어졌으며, 이 기간 동안 600여 종의 책을 발간했다. 이 책들은 '모각본(毛閣本)' 또는 '급고각본(汲古閣本)'으로 불리며, 십삼경(十三經), 십칠사(十七史), 진체비서(津逮秘書), 육십종곡(六十種曲)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했다.[4]
모진의 출판물은 당시 관각(官刻)이나 서방(書坊)을 능가하는 수준으로 평가받으며, 명대 출판사에서 가장 뛰어난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 그는 책의 교정 및 출판에 심혈을 기울였으며, 책의 뒷면에는 자신의 노력과 열정을 담은 글귀를 남기기도 했다.[12]
모진의 주요 저술로는 《모시육소광요(毛時陸疎廣要)》, 《소미지림(蘇米志林)》, 《해우고금문원(海虞古今文苑)》, 《모시명물고(毛詩名物考)》, 《명시기사(明時紀事)》, 《사원영화(詞苑英華)》 등이 있다. 또한, 그는 200권이 넘는 고전과 역사서를 교정하고 조판하였으며, 책마다 발문을 써서 『은호제발(隱湖題跋)』이라는 책으로 엮기도 했다.
그가 판각하여 펴낸 주요 서적은 다음과 같다.
| 서적명 | 내용 |
|---|---|
| 십삼경(十三経)주소(注疏) 급고각(汲古閣)본 | 유교 경전 13가지에 대한 주석 모음 |
| 십칠사(十七史) 급고각(汲古閣)본 | 중국 역대 왕조의 역사서 17가지 |
| 송육십명가사(宋六十名家詞) | 송나라 시기 60명의 시인들의 작품 모음 |
| 육십종곡(六十種曲) | 희곡 작품 60가지 |
| 진체비서(津逮秘書) | 송나라 시대의 단편집 |
2. 3. 말년
모진은 만년에 아들 모의(毛扆)에게 "내가 먹고 입는 것도 아껴가면서 정신없이 서적 출판에 온 힘을 쏟아 지금은 서판이 10만 판에 달하게 되었다. 이것도 적다고야 할 수 없겠지만, 내 생각에 이것도 전해지는 서적들 중에서 보자면 아직 10분에 1도 미치지 못한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13]모진은 일생을 책 인쇄에 바쳤다. 『십삼경』과 『십칠사』의 인쇄를 완료한 후 그는 "지난 30년을 돌이켜보면 너무 많은 책을 다루었다. 너무 바빠서 계절이 바뀌는 것도 몰랐다. 낮에 언제 외출했는지, 밤에 언제 문을 닫았는지 몰랐다. 이제 머리는 온통 하얗게 세었고 눈은 흐릿해졌다. 그러나 세상의 모든 좋은 책을 읽으라는 어머니의 가르침에 어긋날까 봐 그만둘 수 없었다."라고 술회했다.[12]
3. 가족
모진은 아들로 모양(毛襄), 모포(毛褒), 모곤(毛袞), 모표(毛表), 모의(毛扆) 다섯 명과 딸 네 명을 두었다.[14] 막내아들 모의는 아버지의 가업을 이어받아 책을 찍어내는 일을 했다.[14] 모의는 서적 수집가이자 교감가로 유명하다. 『설문해자』 급고각본은 모진과 모의에 의해 출판되었다.[7]
참조
[1]
문서
隱湖毛君墓誌銘
[2]
웹사이트
那年今日:汲古阁主人毛晋诞辰
https://www.sohu.com[...]
2021-02-16
[3]
문서
毛凤苞传
[4]
문서
書林清話
[5]
문서
明毛氏汲古閣刻書目錄序
[6]
웹사이트
毛氏汲古阁刻本特色及其价值考述 - 书刊编辑 - 上海名家艺术研究协会官方网站
http://www.mastersar[...]
2022-10-21
[7]
서적
汲古閣説文訂 序
https://archive.org/[...]
[8]
문서
조가빈曹家濱
[9]
문서
隱湖毛君墓誌銘
[10]
문서
明毛氏汲古閣刻書目錄序; 書林清話
[11]
서적
靜志居詩話
人民文學出版社
1990
[12]
문서
毛凤苞传
[13]
서적
汲古閣書跋
上海古籍出版社
2005
[14]
간행물
尋訪汲古閣
20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