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진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진공은 고려 낭장동정 목효기의 7세손이다. 조선 태종 때 대호군, 의흥부 진무, 판전사시사, 우부대언 등을 역임했으며, 1417년 경기도 관찰사가 되어 표리를 하사받았다. 세종 재위 기간인 1421년 강원도관찰사를 지냈고, 1422년 호조참판에 올랐으나 1426년 사망했다. 증조부는 목군경이며, 조부는 목충달, 아버지는 목손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6년 사망 - 주고후
주고후는 명나라 영락제의 아들로, 정난의 변에서 공을 세우고 한왕에 봉해졌으나 황위 찬탈을 시도하다 실패하여 처형되었다. - 1426년 사망 - 엑서터 공작 토머스 보퍼트
엑서터 공작 토머스 보퍼트는 존 오브 곤트의 서자로 태어나 헨리 4세 시대에 가터 훈장을 받고 군사 직책을 역임했으며, 헨리 5세 시대에는 여러 직책을 거쳐 엑서터 공작 작위를 받았고, 헨리 5세 유언 집행자 및 헨리 6세 통치 평의회에서 활동했으며 셰익스피어 희곡에도 등장한다. - 사천 목씨 - 충정공 목서흠 묘역
충정공 목서흠 묘역은 조선시대 문신 목서흠과 부인 안동 권씨의 묘소로, 동분이실 구조와 석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조경이 비문을 짓고 이정영과 조위명이 글씨를 쓴 신도비가 있어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사천 목씨 - 목요상
목요상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판사, 변호사, 국회의원, 주요 당직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이다. - 조선의 문신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조선의 문신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목진공 | |
---|---|
睦進恭 | |
인물 정보 | |
한글 | 목진공 |
한자 | 睦進恭 |
가타카나 | 모쿠 チンゴン |
히라가나 | ぼく しんきょう |
로마자 표기 (MR식) | Mok Chin'gong |
로마자 표기 (2000년식) | Mok Jin'gong |
2. 생애
고려 낭장동정(郞將同正) 목효기의 7세손이다.
[1]
웹사이트
인물정보 : "목진공(睦進恭)"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9-09-12
태종조에 대호군(大護軍), 의흥부 진무(義興府鎭撫), 판전사시사(判典祀寺事), 우부대언(右副代言) 등을 역임하였고, 1417년(태종 17) 경기도 관찰사가 되어 표리(表裏)를 하사받았다.[7]
1421년(세종 3) 강원도관찰사를 지내고, 1422년 호조 참판에 올랐다가 1426년 졸(卒)하니 세종이 부조를 보냈다.[8]
고려의 낭장 동정 목효기(목효기|한국어)의 7대손이다.
태종조에서 대호군, 의흥부 진무, 판전사시사, 우부대언 등을 역임했고 (1409년 - 1417년)[1], 1417년 (태종 17년), 경기도 관찰사가 되어 표리(겉감과 안감[2])를 하사받았다.[3]
1421년 (세종 3년), 강원도 도관찰사를 지냈고[4], 1422년, 호조참판으로 승진한 뒤[5], 1426년, 사망하자 세종이 향전을 보냈다.[6]
3. 가족
관계 이름 비고 증조부 목군경(睦君慶) 고려 대호군(大護軍) 조부 목충달(睦忠達) 성균관 진사 아버지 목손검(睦孫儉) 정용 낭장 외조부 박천상(朴千祥) 능직 어머니 창원 박씨(昌原朴氏) 처부 안습(安習) 면천 군사 부인 안산 안씨(安山安氏) 아들 목보남(睦寶男) 아들 목계남(睦繼男)
참조
[2]
서적
朝鮮語辞典
小学館
2005
[3]
웹사이트
태종실록 34권, 태종 17년 10월 1일 계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9-09-08
[4]
웹사이트
세종실록 11권, 세종 3년 2월 27일 경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9-09-08
[5]
웹사이트
세종실록 15권, 세종 4년 2월 16일 계묘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9-09-08
[6]
웹사이트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2월 27일 신묘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국사편찬위원회
2019-09-08
[7]
웹사이트
태종실록 34권, 태종 17년 10월 1일 계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8]
웹사이트
세종실록 31권, 세종 8년 2월 27일 신묘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