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타는 불교 및 도교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다양한 문헌과 설화에서 관세음보살의 제자, 이정의 아들, 나타의 형 등으로 묘사된다. 당나라 시대의 승려이자 Pratimokṣa의 약칭으로도 불리며, 서유기, 봉신연의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국 민간 신앙에서는 신으로 숭배받으며, 그의 조각상은 이정, 나타와 함께 사당에 모셔진다. 한국에서는 봉신연의를 통해 알려졌으며,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신연의의 등장인물 - 여와
여와는 중국 신화에서 뱀의 몸과 사람의 머리를 가진 천지창조 및 인류를 탄생시킨 여신으로, 무너진 하늘을 보수하고 홍수를 막았으며 복희와 남매이자 배우자로 묘사되기도 한다. - 봉신연의의 등장인물 - 주 무왕
주 무왕은 서주를 건국하고 상나라를 멸망시켜 천자가 된 왕으로, 강태공, 주공단 등 인재를 등용하고 은나라 유민을 포용하는 정책을 펼쳐 주나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사후 성왕으로 추앙받고 도교에서는 영보천존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 중국 신화 - 제지
중국 신화와 역사 기록에 등장하는 제지는 삼황오제 시대 인물로, 사기에는 고황제의 아들로 폭정을 펼친 것으로, 다른 기록에는 황제의 뒤를 이어 통치한 인물로 기록되어 그 통치 기간과 성격에 대한 기록이 엇갈린다. - 중국 신화 - 하나라
하나라는 중국 최초의 왕조로 전해지며 우에 의해 건국되어 세습 왕조가 되었으나 걸의 폭정으로 상나라에 멸망당했고,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 속에서 얼리터우 문화와의 연관성으로 재평가되지만 역사 기록의 신빙성 논란은 여전하다.
목타 | |
---|---|
인물 정보 | |
이름 | 목차 |
한자 표기 | 木吒 |
로마자 표기 | Mùzhā |
다른 이름 | 목차 (木叉)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정 |
형 | 금타, 나타 |
스승 | 관세음보살 |
등장 작품 | |
주요 등장 작품 | 봉신연의 |
2. 역사적 기원
'''목타'''(木叉|Mùchāzho)는 중국어에서 프라티목샤(Pratimokṣa)의 음차 표기인 파라제목차(波羅提木叉|Bólúotímùchāzho)의 약칭이다.[4][5] 또한 목타는 당나라 시대 한불교의 역사적인 인물이기도 하다.[5]
2. 1. 불교에서의 무차
'''무차'''(木叉|Mùchā중국어)는 중국어에서 프라티목샤(Pratimokṣa, 波羅提木叉|Bólúotímùchā중국어)의 약칭으로,[4][5] 당나라 시대 한불교의 역사적 인물이었다. 그는 승가 대사의 제자였으며, 혜안(慧岸|Hùiàn중국어)과 혜엄(慧儼|Hùiyián중국어)과 함께 수학했다.[5]승가 대사가 관세음보살로 여겨지면서,[6] 무차는 나중에 원나라 시대 잡극인 서유기에서 관세음보살의 제자로 묘사되었다. 이후 명나라 시대의 중국 고전 소설 서유기에서는 혜안과 합쳐져 "무차 혜안"(木叉惠岸|Mùchā Hùiàn중국어)이라는 인물로 등장하게 된다.[7][8][9][10]
2. 2. 승가 대사와의 관계
목타(木叉|Mùchāzho)는 당나라 시대 한불교의 역사적 인물이었다. 그는 승가 대사의 제자였으며, 혜안(慧岸|Hùiànzho)과 혜엄(慧儼|Hùiyiánzho)과 함께였다.[5]스승인 승가 대사가 관세음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지면서,[6] 목타는 후대에 원나라 시대의 잡극인 서유기에서 관세음보살의 제자로 묘사되었다. 이후 명나라 시대의 소설 서유기에서는 혜안과 합쳐진 인물인 목타 혜안(木叉惠岸|Mùchā Hùiànzho)으로 묘사되었다.[7][8][9][10]
3. 전설과 신화 속의 목타
목타는 여러 중국 고전 문헌에 등장하는 신화적 인물이다. 그의 이야기는 《삼교원류수신대전(三教源流搜神大全)》 제7권과[11][12][13] 《녹귀부(錄鬼簿)》에 수록된 관련 기록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주로 스승 관세음보살을 돕는 역할로 묘사된다. 예를 들어, 《녹귀부》에 포함된 이야기에서는 목타가 관세음보살을 도와 상가로 변신하여 물 요괴를 제압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고전 소설 《봉신연의》에서는 '''이목잡'''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이정과 은부인의 둘째 아들이다. 형 금타, 동생 나타와 함께 등장하며, 아버지 및 동생과의 관계 속에서 여러 사건에 관여한다. 보현진인에게 도술을 배우고 봉신 계획에 참여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서유기》에서는 관세음보살의 제자 '''혜안'''이라는 법명으로 등장한다. 사괴물을 정벌하라는 명을 받고, 이후 손오공이 홍해아에게 고전할 때 아버지 이정의 보검을 빌려 관세음보살이 홍해아를 제압하는 것을 돕는다.[14]
3. 1. 삼교원류수신대전
목타(木咤|Mùzhā중국어)의 이야기는 《삼교원류수신대전(三教源流搜神大全)》 제7권에 기록되어 있다.[11][12][13] 또한, 《녹귀부(錄鬼簿)》에 수록된 《목차행자강요사주대성쇄수모(木叉行者降妖泗州大聖鎖水母)》 이야기에 따르면, 목타는 스승 관세음보살을 도와 상가(중국어: 僧伽|Sēngqié중국어, 사주(泗州)의 대성(大聖))로 변신하여 물 괴물을 제압한다.3. 2. 서유기
서유기에서 목타는 천계에서 관세음보살의 제자가 되었으며, 법명은 혜안이다. 사괴물을 물리치라는 명령을 받았고, 이후 손오공이 홍해아에게 패하자, 혜안은 아버지인 이정으로부터 36개의 천강검을 빌려 관세음보살이 홍해아를 항복시키는 것을 도왔다. 이 일로 홍해아는 관세음보살의 선재동자가 되었다.[14]3. 3. 봉신연의
고전 중국 소설 《봉신연의》에서 목타는 '''이목잡'''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이정과 은부인의 둘째 아들이다. 외모는 작은 상투를 틀고 비단 띠, 삼베 신발, 면 같은 의복을 입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며, 이러한 외모만으로도 초인과 같은 천상의 존재로 여겨졌다.백학동의 보현진인에게서 수년 동안 도술을 배운 후, 동생 나타가 아버지 이정을 죽이려 할 때 형 금타와 함께 이를 막아섰다. 나타와의 싸움에서는 그의 황금 벽돌에 패배하기도 했다. 이후 봉신(封神) 계획에 참여하여 구룡도(九龍島)의 사성 중 하나인 이흥패(李興覇)를 죽이는 데 공헌하는 등 아버지 이정, 형 금타, 동생 나타와 함께 봉신 계획 완수를 위해 힘썼다. 나중에는 나타, 금자와 함께 서쪽 지역을 지키는 천상의 수호자가 되었다.
3. 3. 1. 가족 관계
이정과 은부인의 둘째 아들이다. 형으로 금타가 있고, 동생으로 나타가 있다.3. 3. 2. 나타와의 갈등
이정의 둘째 아들이자 나타의 형인 목타는, 동생 나타가 아버지 이정을 죽이려 할 때 형 금타와 함께 이를 막아섰다.고전 중국 소설 봉신연의에서는 이 갈등을 더 자세히 묘사한다. 나타가 환생한 후 아버지 이정을 죽이려 하자, 목타는 아버지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나타와 직접 맞섰다. 목타는 나타에게 크게 분노하여 자신의 장검을 들고 나타의 화첨창에 맞서 싸웠다. 치열한 결투 중, 나타가 던진 황금 벽돌에 목타는 패배하여 땅에 쓰러졌다.
이후 목타는 나타, 금자와 함께 서쪽 기슭의 천상 수호자가 되었다.
3. 3. 3. 봉신 계획 참여
이정의 아들이며, 금타의 동생이자 나타의 형이다. 보현진인의 제자로 알려져 있다. 나타가 아버지 이정을 죽이려 했을 때, 형 금타와 함께 이를 막아섰다.고전 중국 소설 《봉신연의》에서는 '''이목잡'''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백학동의 보현진인에게서 수년간 도술을 배웠다. 나타가 환생하여 이정을 죽이려 하자, 아버지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나타와 맞섰다. 자신의 장검을 들고 나타의 화첨창과 치열한 싸움을 벌였으나, 나타가 던진 황금 벽돌에 맞아 패배하기도 했다.
이후 봉신(封神) 계획에 참여하여 구룡도(九龍島)의 사성 중 하나인 이흥패(李興覇)를 죽이는 데 공헌하였다. 아버지 이정, 형 금타, 동생 나타와 함께 봉신 계획 완수를 위해 힘썼으며, 나중에는 나타, 금자와 함께 서쪽 기슭의 천상 수호자가 되었다.
4. 민간 신앙에서의 숭배
목타는 중국 민간 신앙에서 신으로 숭배받으며, 목타 천존(木吒天尊)이라고도 불린다.
4. 1. 사당

목타는 중국 민간 신앙에서 신으로 숭배받으며, 목타 천존이라고도 불린다. 그의 조각상은 아버지인 이정과 동생 나타를 모시는 사당에 자주 함께 모셔진다. 그는 대만 신주현 주베이시의 홍법궁 사원에서 주요 신으로 모셔져 있다.[15] 그의 해외 사당인 "목타궁"은 1988년 말레이시아 클랑에 건설되었으며, 클랑의 중요한 랜드마크로 여겨진다.[16]
5. 한국에서의 수용과 의미
(작성할 내용 없음)
5. 1. 봉신연의를 통한 인식
이정과 은부인의 둘째 아들이며, 형으로는 금타, 동생으로는 나타가 있다. 고전 중국 소설 봉신연의에서는 '''이목잡'''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작은 상투를 틀고 비단 띠를 두르고 삼베 신발을 신었으며, 면과 같은 의복을 입은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외모 덕분에 초인과 같은 천상의 존재로 여겨졌다.목타는 백학동(白鶴洞)에 있는 보현진인(普賢眞人)의 제자가 되어 수년 동안 가르침을 받았다. 이후 동생 나타가 환생하여 아버지 이정을 죽이려 하자, 나타와 맞서 싸우며 이정을 보호하려 했다. 그는 자신의 이름난 장검과 화첨창을 들고 나타와 격렬한 전투를 벌였으나, 나타가 던진 황금 벽돌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땅에 쓰러져 패배했다.
그 후, 목타는 구룡도(九龍島)의 사성(四聖) 중 한 명인 이흥패(李興覇)를 죽이는 데 공헌하는 등, 아버지 이정, 형 금타, 동생 나타와 함께 봉신(封神) 계획을 위해 힘썼다. 나중에는 서쪽 기슭을 지키는 천상 수호자 중 한 명이 되었다.
참조
[1]
서적
《封神演义》考论 (Research on ''Fengshen Yanyi'')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18-04-30
[2]
웹사이트
:::弘法宮木吒二太子命理網:::
http://hongfagong.co[...]
2022-12-01
[3]
웹사이트
筹庆九皇爷各具特色
https://www.kwongwah[...]
2022-12-01
[4]
서적
《佛學大辭典》
1922
[5]
서적
宋高僧傳
[6]
서적
三教源流搜神大全
[7]
서적
《[[西遊記]]》
[8]
서적
《[[西遊記]]》
[9]
서적
《西遊記の秘密 タオと煉丹術のシンボリズム》
福武書店
[10]
서적
《明清期における武神と神仙の発展》
https://kansai-u.rep[...]
関西大学出版部
[11]
웹사이트
三教源流搜神大全 – 书格(旧版)
https://www.shuge.or[...]
2022-12-01
[12]
서적
台灣傳統信仰的鬼神崇拜
https://books.google[...]
大元書局
2005
[13]
서적
中国神话传说词典
https://books.google[...]
上海辞书出版社
1985
[14]
서적
西游记
https://books.google[...]
聯合電子出版有限公司(代理)
2015
[15]
웹사이트
迷路台僑 把木吒看成米老鼠 - 生活
https://news.ltn.com[...]
2015-08-11
[16]
웹사이트
木吒宮李府二太子 堂皇宏偉巴生地標{{!}}中國報
http://www.chinapres[...]
2022-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