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오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오정은 소설 《서유기》에 등장하는 등장인물로, 당 삼장의 제자 중 한 명이다. 원래는 천계의 장군이었으나 죄를 지어 지상으로 추방당해 류사하에서 괴물의 모습으로 살아가다 관세음보살의 도움으로 당 삼장의 제자가 된다. 사오정은 과묵하고 충직한 성격으로, 손오공, 저팔계와 함께 삼장법사를 호위하며 서천으로 가는 여정에 동행한다. 작품에 따라 외모와 성격에 다양한 변화가 있으며, 일본에서는 갓파의 이미지로, 한국에서는 《날아라 슈퍼보드》의 캐릭터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요괴 - 손오공
손오공은 《서유기》의 주인공인 원숭이 요괴로, 미후왕에서 제천대성을 거쳐 투전승불이 되기까지 불경을 구하는 여정 속에서 성장하는 자아 성찰과 사회적 책임의 상징이며, 전 세계 대중문화에서 사랑받는 캐릭터이다. - 중국의 요괴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서유기의 등장인물 - 현장
현장은 당나라의 승려이자 불경 번역가, 여행가로서, 17년간 인도를 여행하며 불경을 가져와 중국어로 번역하여 동아시아 불교 사상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여행기는 『대당서역기』로 남아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사오정 | |
---|---|
개요 | |
![]() | |
한국어 | 사오정 |
간체자 | 沙悟净 |
번체자 | 沙悟淨 |
병음 | Shā Wùjìng |
웨이드-자일스 | Sha¹ Wu⁴-ching⁴ |
광동어 발음 | Saa¹ Ng⁶-zing⁶ |
예일 | Sāa Nghjihng |
광동어 | Saa¹ Ng⁶ Zing⁶ |
객가어 | So¹ Ngu³-zin³ |
감어 | Sa Ng Chhìn |
구자체 | 沙悟凈 |
신자체 | 沙悟浄 |
히라가나 | さ ごじょう |
로마자 | Sa Gojō |
한글 | 사오정 |
로마자 표기 | Sa Ojeong |
크메르어 | សា អ៊ូជីង |
태국어 | ซัวเจ๋ง |
베트남어 | Sa Tăng ("승려 사"), Sa Ngộ Tĩnh 또는 Sa Ngộ Tịnh |
민난어 | Sa Gō͘-chēng |
정보 | |
등장 작품 | 서유기 |
다른 이름 | 사화상 (沙和尚) 사승 (沙僧) 황포괴 (黃袍怪) |
역할 | 삼장법사의 제자 |
무기 | 강요장 (降妖杖) |
특징 | 목에 염주를 걸고 다님 요괴 출신 성실하고 과묵한 성격 |
일본어 표기 | 사오정 (沙悟浄, さ ごじょう) |
2. 원작에서의 성격과 행위
사오정은 저팔계와 마찬가지로 천계에서 죄를 짓고 쫓겨나 하천 근처에서 살게 되었다.[19] 삼장법사와 함께 불경을 구하러 가는 시기에 그는 손오공이나 저팔계와는 달리 조용한 성격을 지녔다. 삼장법사와 손오공을 충실히 모시는 충성스러운 모습을 보였다.
사오정은 마음씨가 착하고 순종적인 사람이었고, 스승에게 충실했으며, 동료 제자들과 비교했을 때 '스트레이트 맨' 캐릭터로 묘사된다. 삼인방 중에서 가장 예의 바르고 논리적이었다. 어떤 각색에서는 책을 좋아하고 철학적인 면모도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세 번째 제자로서 전투 기술은 오공이나 팔계만큼 뛰어나지는 않지만, 당 삼장을 보호하는 훌륭한 전사이며, 지력과 힘을 사용하여 적을 물리칠 수 있다. 18가지 변신 형태만 알고 있다.(오공이 아는 72가지 중 1/4, 팔계의 36가지 중 1/2)
2. 1. 천계에서의 추방
사오정은 원래 천계의 장군이었으며, 구체적으로는 권렴대장이었다.[1] 옥황상제에게 벌을 받아 막대기로 800번을 맞고 지구로 추방당했다.[1] 이는 천도복숭아 잔치 때 소중한 옥이나 수정 화병 또는 술잔을 깨뜨렸기 때문인데,[1] 어떤 자료에서는 그가 격분하여 그랬다고 하고, 다른 자료에서는 의도하지 않게 사고로 그랬다고 한다.그는 끔찍한 사람을 잡아먹는 모래 인간, 오크, 오거, 트롤, 오니, 악마, 괴물 또는 헐크로 환생해야 했다.[2]
사오정의 모습은 끔찍했다. 그는 붉은 수염을 가지고 있었고, 때로는 푸른 피부를 가지고 있었으며, 부분적으로 대머리였다. 그는 때때로 평균적인 인간보다 훨씬 크고 강했다. 그는 여전히 천계에서 사용하던 마법의 나무 지팡이를 가지고 다녔는데, 이 지팡이는 노반이 그를 위해 만든 "강요보장"이라고 불렸다. 손오공의 여의금고봉처럼 사오정의 ''강요보장''은 마음대로 크고 작아지고, 길어지고 짧아질 수 있다. 해골로 이루어진 목걸이는 그를 더욱 끔찍하게 보이게 했다. 매일 하늘에서 보낸 일곱 개의 날아다니는 검이 그의 가슴을 찌른 다음 돌아왔다. 그는 벌을 피하기 위해 강에서 항상 살아야 했다.[3]
어느 날, 천축으로 경전을 가지러 가는 취경자를 찾고 있던 관세음보살을 만나 갑자기 습격하지만, 수행원인 혜안행자에 의해 저지당하고 싸운다. 보살은 다음에 올 취경자의 제자가 되도록 설득하고, '사오정'이라는 법명과 계율을 주었으며, 죽인 취경자의 해골은 가지고 있도록 명령했다.
2. 2. 삼장법사의 제자가 되다
사오정은 저팔계처럼 원래 천계의 장군이었으며, 구체적으로는 권렴대장(卷帘大将)이었다.[1] 그는 옥황상제에게 벌을 받아 막대기로 800번을 맞고 지구로 추방당했다.[1]
나중에 자비의 보살인 관세음보살과 그녀의 제자 목차가 당 삼장의 서쪽 여행을 준비하기 위해 강력한 경호원을 찾으러 왔다. 그녀는 사오정을 모집했는데, 그 대가로 그의 고통에서 어느 정도의 휴식을 주었다. 그런 다음 그녀는 그를 불교로 개종시키고 법명 ''사오정''(沙悟淨)을 주었다. 그의 성 ''사''(沙, "모래")는 그의 강가 집에서 따왔고, 그의 이름 ''오정''(悟淨)은 "깨달음/순수함을 아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그는 자신을 부를 승려를 기다리라는 지시를 받았다.
어느 날, 천축으로 경전을 가지러 가는 취경자를 찾고 있던 관세음보살을 만나 갑자기 습격했지만, 수행원인 혜안행자에 의해 저지당하고 싸운다.[15] 보살은 다음에 올 취경자의 제자가 되도록 설득하고, '사오정'이라는 법명과 계율을 주었으며, 죽인 취경자의 해골은 가지고 있도록 명령했다.
그 후, 관세음보살의 약속대로 삼장법사 일행이 유사장을 지나가지만, 또 상대가 누구인지 확인하지 않고 회오리바람처럼 습격한다. 삼장을 납치하려는 시도는 물싸움에 능한 저팔계에 의해 저지당했지만, 세 번이나 싸워도 쉽게 이길 수 없어서, 손오공이 근두운으로 일부러 관세음보살을 부르러 갔다. 보살은 혜안을 파견해 오정을 항복시키고, 표주박을 건네어 9개의 해골과 함께 법선(뗏목)으로 만들어, 삼장 일행을 유사장 건너편으로 건너게 했다.
오해가 풀린 후 사오정은 당 삼장의 세 번째 제자가 되었고,[4] 그는 그를 ''사화상''(沙和尚, 즉 "모래 승려"; ''화상''은 사찰을 담당하는 불교 승려 또는 사제; 일본어에서는 ''오쇼'')이라고 불렀다.
2. 3. 금신나한(金身羅漢)
사오정은 삼장법사가 불경을 무사히 구한 이후에 그 보상으로 금신나한(金身羅漢)이 되었다. 예전 하천에서 계속 살았던 사오정의 습성을 토대로 문지기의 특성을 가진 직함을 부여받게 된다.[19]서유기의 여정이 끝날 무렵, 부처는 그를 금신나한(金身羅漢)이라고 불리는 아라한으로 변화시켰다.[1]
3. 캐릭터의 다양한 모습
사오정의 캐릭터는 서유기를 누가 만드느냐에 따라 그 모습이 매우 다양했다. 성성이, 물고기 인간, 거북 인간, 산적처럼 생긴 사람 등으로 묘사되었다. 일본에서 만든 서유기에서는 사오정이 하천 근처에 살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대부분 일본 고유의 가공 생물인 갓파의 모습을 하고 있다.[18]
허영만은 자신의 만화 날아라 슈퍼보드에서 조용한 성격의 사오정을 개성이 강한 캐릭터로 바꾸어 큰 인기를 얻게 했다. 고우영 화백은 만화 《서유기》에서 사오정을 하늘나라에서 음주 소동을 일으켜 쫓겨난 경력 때문에 발음이 나쁜 제자로 묘사했는데, 손오공이 지혜와 무예로 삼장법사를 보호했다면, 사오정은 조용히 말을 끄는 성실함으로 삼장법사를 모셨다.
3. 1. 원작의 외모와 특징
사오정은 원래 천계의 장군으로, 권렴대장(卷帘大将)이라는 직책을 맡았다. 옥황상제에게 벌을 받아 지구로 추방되었고, 끔찍한 모래 인간, 오크, 오거, 트롤, 오니, 악마, 괴물, 헐크 등으로 묘사되는 모습으로 환생했다.[2] 류사하(流沙河)에 살면서 하늘에서 내려오는 검에 찔리는 벌을 피하기 위해 강에서 살아야 했다.[3]
사오정의 외모는 끔찍했는데, 붉은 수염에 부분적으로 대머리였으며, 때로는 푸른 피부를 가지기도 했다. 평균적인 인간보다 훨씬 크고 강했으며, 천계에서 사용하던 마법의 나무 지팡이인 "강요보장"(降妖寶杖)을 가지고 다녔다. 이 지팡이는 노반이 만들었으며, 손오공의 여의금고봉처럼 크기 조절이 가능했다. 해골 목걸이는 그의 끔찍한 모습을 더욱 부각시켰다.[4]
원작에서 묘사되는 사오정의 외모는 다음과 같다.
특징 | 상세 |
---|---|
머리카락 | 붉은 불꽃과 같은 색깔, 푹신한 머리카락 (삼장법사의 제자가 될 때 삭발)[17] |
눈 | 빛나는 둥근 눈알 |
얼굴색 | 검거나 푸른 남색 |
목소리 | 천둥이나 북소리 같은 무서운 소리 |
복장 | 황금빛 , 흰 등나무 허리띠 |
장신구 | 9개의 해골 목걸이, 보배 지팡이 |
이후 관세음보살에 의해 불교로 개종하고 '사오정'(沙悟淨)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사'(沙)는 그의 강가 집에서 따왔고, '오정'(悟淨)은 "깨달음/순수함을 아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당 삼장의 세 번째 제자가 되었고, '사화상'(沙和尚)이라고 불렸다. 그는 불교 순례자의 옷을 입었고, 작은 표주박을 가지고 다녔는데, 이 표주박은 강을 건널 때 거대하게 변했다.
원나라 시대 조선 자료인 『박통사언해』에는 사오정이 등장하지 않는데, 이는 류사하 관련 내용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오정의 기원은 『대당삼장취경시화』에 등장하는 심사신으로 추측되며, 양쯔강돌고래나 중국악어를 모델로 했다는 설도 있다.
3. 2. 일본에서의 갓파 이미지
일본에서는 사오정이 물의 요괴라는 이미지와 유사하에서 처음 나타났다는 잘못된 해석으로 인해 갓파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일본 어린이 대상 작품에서 고유하게 의역된 것이다.[18]원작에서 개성이 옅은 탓에[18], 일본의 『서유기』 번안 작품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감한 연출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 요괴이면서 요괴를 미워하고, 항상 "자신은 무엇인가"를 자문하는 존재
- 일확천금을 노리는 마이페이스적인 존재
- 냉정침착하고 쿨한 존재
3. 3. 《날아라 슈퍼보드》의 사오정
허영만 화백의 날아라 슈퍼보드에서 사오정은 거적때기를 걸치고 허름한 외모를 가진 보라색 괴물로 묘사된다. 사오정은 머릿살 주름에 귀가 파묻혀 있어, 주름을 걷고 귀에 대고 말하지 않으면 엉뚱하게 알아듣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캐릭터 설정은 큰 인기를 얻었다.3. 3. 1. 사오정 시리즈
사오정의 캐릭터성은 서유기를 누가 만드느냐에 따라 그 외모가 천지차이였다. 성성이, 물고기 인간, 거북 인간, 산적처럼 생긴 사람 등 다양했다. 일본에서 만든 서유기에서는 사오정이 하천 근처에서 살고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거의 대부분 일본 고유의 가공 생물인 갓파의 형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허영만은 자신의 만화 날아라 슈퍼보드에서 조용한 성격의 사오정을 오히려 굉장히 개성이 강한 캐릭터로 변모시켜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만들기도 했다. 고우영 화백은 만화 《서유기》에서 사오정을 하늘나라에서 음주 소동을 일으켜 쫓겨난 경력 때문에 발음이 나쁜 제자로 묘사했는데, 손오공이 지혜와 무예로 삼장법사를 보호했다면, 사오정은 조용히 말을 끄는 성실함으로 삼장법사를 충직하게 섬긴다.허영만 화백의 날아라 슈퍼보드에서 사오정은 거적때기를 걸치고 허름한 외모를 가진 보라색 괴물로 나온다. 가는귀가 먹어서(정확히는 머릿살의 주름에 귀가 파묻혀 있다.) 주름을 걷고 귀에 대고 이야기를 하지 않으면 사오정은 전혀 엉뚱하게 알아듣는 캐릭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이렇게 만들어진 캐릭터가 의외로 큰 인기를 끌자 이를 패러디한 사오정 시리즈가 등장하게 되었다. 사오정 시리즈의 내용은 날아라 슈퍼보드에 나오는 사오정의 캐릭터와 같이 하는 말을 전혀 엉뚱하게 받아들여서 생기는 해프닝을 주 소재로 하고 있다. 실제 허영만 화백 역시 사오정 시리즈의 파급 효과를 인식하자 날아라 슈퍼보드에서 사오정만의 특별 버전을 만들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사오정과 외모가 완전히 똑같은 생물들이 사는 사오정 마을이 나온다.
4. 역사적 기원
사오정은 7세기 현장에 대한 승려 혜립(慧立|혜립중국어)의 기록인 《대자은사 삼장법사전》(大慈恩寺三藏法師傳, '대자은사 삼장법사의 전기')에 언급된 초자연적 인물을 미화한 결과물이다. 이 텍스트에 따르면 현장은 둔황 근처 사막에서 물을 쏟았고, 며칠 동안 물이 없던 현장은 꿈을 꿨는데, 키가 큰 정령이 극(할버드)을 휘두르며, 중요한 인도 경전을 얻는 여정에서 잠을 자는 그를 꾸짖었다. 그는 즉시 깨어나 말을 탔고, 말은 그가 가고 싶어 했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출발하여 결국 푸른 풀과 맑은 물이 있는 오아시스에 도착했다.[5]
날짜가 불분명한 책인 《당 삼장기》(唐三藏记, '당 승려 삼장의 기록')는 11세기 일본의 설화집인 《성보제집》(成菩堤集)에 등장하는데, 현장(당 삼장)이 "유사"(流沙) 사막에서 데바에 의해 마법적으로 음식과 음료를 제공받았다고 기록한다.[6] 《성보제집》의 편집자는 "이것이 심사신(深沙神)이라는 이름의 이유"라고 설명했다.[7] 838–839년에 중국으로 순례를 한 일본 불교 승려 조교(常晓)는 현장의 신화적인 신과의 만남을 언급하고, 심사신을 불교의 사천왕 중 하나인 비사문천 왕과 동일시하는 보고서를 작성했다.[8] 따라서 《당 삼장기》는 당나라(618–907)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성보제집》은 또한 이 신이 인도 순례 중인 유명한 중국 불교 승려 법현(4세기 경) 앞에 나타났다고 언급한다. 심사신은 그에게 "나는 분노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내 머리는 진홍색 그릇과 같고, 두 손은 하늘과 땅의 그물과 같다. 목에는 일곱 악마의 머리가 걸려 있고, 팔다리 주위에는 여덟 마리의 뱀이 있으며, 두 악마의 머리가 내 (하체)를 삼키는 듯하다..."라고 말한다.[9]
《고산지》 버전(高山记, 13세기)의 편찬으로, 서유기의 가장 초기의 판본이 알려졌는데, 심사신은 당 삼장의 과거 환생을 계속해서 먹어치운 피에 굶주린 악마로 변모했다. 이 악마는 그에게 "내 목에 걸린 것은 내가 스님, 당신을 두 번이나 삼켰을 때의 마른 뼈다!"라고 말한다.[9] 심사신은 당 삼장이 천벌을 위협한 후에야 마법의 황금 다리의 도움으로 깊은 모래를 건너도록 돕는다.[10]
1592년에 익명으로 출판된 《서유기》의 완전한 버전은 심사신에 관한 이야기에서 자유롭게 차용했다. 사오정의 캐릭터는 그의 괴물 같은 외모와 복장을 갖게 되었다. 그의 머리에 걸린 아홉 개의 불교 승려의 해골은 정령이 착용한 악마의 해골과 《고산지》 버전에서 그의 분노한 상대가 착용한 당 삼장의 과거 환생의 해골을 연상시킨다. 그의 고향인 "유사하"(Liusha he, 流沙河)는 심사신이 살던 "유사" 사막에서 유래했다. 사오정은 또한 아홉 개의 해골을 묶어 임시 뗏목을 만들어 당 삼장이 유사하를 건너도록 돕는다.[11]
5. 이름의 변천
사오정의 불교 법명 "사오정"(Sha Wujing)은 "모래 순수함을 아는 자"를 의미한다. 그의 이름은 한국어로 '사오정'으로 번역된다.[12]
그는 또한 "승려 사" 또는 '사 허상'(沙和尚 구어체 중국어)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둘 다 기본적으로 "모래 수도승" 또는 "모래 승려"로 번역된다.
원래 천계의 관리였던 사오정은 천제의 측근으로, 근위병 대장이자 '영산의 대장'으로 불렸다.[12] 반도회 때 천제의 보물인 유리 그릇을 실수로 깨뜨린 죄로 천계에서 쫓겨나[12] 하계에서 요괴가 되었다.
이후 관세음보살을 만나 제자가 되라는 권유를 받고 '사오정'이라는 법명과 계율을 받았다.[15] 오정이라는 이름은 실명 기피 풍습에 따라 윗사람만이 부를 수 있다. 보통은 통칭인 "사화상"과 승려 이름으로 불린다.
천축에 도착한 후에는 서천여래(석가여래)로부터 금신 나한(금신 아라한보살)이 될 것을 약속받았다.[12]
사오정의 이름 변천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Li Zhuowu Criticism of the Journey to the West
https://books.google[...]
Yuelu Publishing House
2006-06-01
[2]
서적
Myths and Legends of China
https://books.google[...]
Library of Alexandria
1956
[3]
웹사이트
Why did Sha Wujing wear a necklace with nine skulls?
https://www.chinatim[...]
China Times
2015-06-07
[4]
서적
Four Masterpieces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Children's Edition
https://books.google[...]
Jilin Publishing Group Co., Ltd.
2011-01-01
[5]
서적
The Hsi-Yu Chi: A Study of Antecedents to the Sixteenth-Century Chinese Novel
Cambridge Univ. Press
1970
[6]
문서
The original source says "Moving sands," but here the wording is changed to conform with that commonly used in English translations of the tale. "Moving Sands" (''liusha'', 流沙) was a common term for the desert area of the northwestern territories of China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The Journey to the West (Vol. 1)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12]
문서
二次作品には天界で悟空との絡みを描くものが多いが、原作では地上で会うのが初対面。天界を追われた理由は単なる過失。
[13]
문서
書経の禹貢篇に「弱水を導きて合黎に至り余波は流砂に至る(=消えるの意味)」とある。中国の川はすべて東に向かって流れるのだが、この川は西に向かうので古くから伝説の舞台として登場した。場所は判然としないが現在の黒河のことと推測されている
[14]
문서
もともとは流砂河は文字通りの流砂の広がる砂漠のことであったが、かなり早い段階で川と誤解され、西遊記の中でも川や水中のような描写になっている。なお幅は800里とのこと
[15]
문서
この渾名は、三蔵に弟子入りしたときに剃髪して、礼儀作法や仕草に僧侶の風格があったことからきている
[16]
문서
陰気で無気味な風の意
[17]
문서
黄袍怪と戦いに行く前に宴席で酒を飲んだ後、猪八戒と二人で別々に雲に乗って飛んで行く
[18]
문서
原作では無口でメンバーの仲裁ぐらいしか大して話さない上、自分について語る発言が無く性格や個性が把握できない。『西遊記解体新書』コーエー発刊、マジック・モンキーズ編
[19]
문서
보물잔을 깬 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