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다비아 민주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베사라비아 지역에 수립된 단명한 공화국이다. 1917년 2월 혁명으로 베사라비아의 지사가 사임하고, 이온 인쿨레츠가 새로운 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12월,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은 러시아 민주 연방 공화국의 자치 공화국으로 선포되었으나, 10월 혁명 이후 루마니아 전선의 러시아 육군이 해체되면서 혼란이 심화되었다. 1918년 1월 루마니아군이 진입하여 몰다비아를 장악했고, 2월 독립을 선포했다. 이후 루마니아와의 통합을 결정하여, 1918년 4월 루마니아 왕국에 통합됨으로써 공화국은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도바의 역사 - 몰다비아
몰다비아는 몰도바 강에서 유래된 공국으로, 루마니아 동부와 북동부에 걸쳐 있었으며, 왈라키아 공국과 연합하여 루마니아 공국을 형성하고 루마니아 왕국으로 발전했으며, 동몰다비아는 소련에 합병되었다가 몰도바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 몰도바의 역사 -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루마니아로부터 할양받은 베사라비아 지역에 1940년 설립되어 정치적 억압과 집단 농업화 등을 겪었으나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민족주의 운동으로 1991년 몰도바로 독립하며 소련에서 분리되었고, 이후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으로 영토 분쟁을 겪고 있다. - 1917년 러시아 - 러시아 혁명
러시아 혁명은 1917년 러시아 제국에서 발생하여 차르 정권 붕괴와 소비에트 정권 수립을 가져왔으며, 정치적 억압,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불안정을 배경으로 2월 혁명과 10월 혁명을 거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건설과 소비에트 연방 성립에 영향을 주었다. - 1917년 러시아 - 10월 혁명
10월 혁명은 1917년 러시아에서 볼셰비키당이 주도하여 임시 정부를 무너뜨리고 권력을 장악한 사건으로, 사회적 혼란과 경제난, 차르 체제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레닌과 트로츠키 등의 지도하에 러시아를 사회주의 국가로 변모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루마니아의 역사 - 루마니아 왕국
루마니아 왕국은 왈라키아 공국과 몰다비아 공국의 통합으로 성립된 루마니아 공국이 왕국으로 승격된 국가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격변기를 겪고, 전후 소련의 영향력 아래 군주제가 폐지되며 멸망했다. - 루마니아의 역사 - 오스트리아 제국
오스트리아 제국은 1804년 시작되어 나폴레옹 전쟁과 1848년 혁명을 거치며 유럽 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866년 프로이센과의 전쟁 패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 전환되었다.
몰다비아 민주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 |
약칭 | RDM |
위치 | 유럽 |
수도 | 키시너우 |
![]() | |
역사 | |
멸망 | 루마니아와의 합병 ( 1918년) |
선행 국가 | 베사라비아현 |
후행 국가 | 루마니아 왕국 |
정치 | |
정치 체제 | 공화국 |
국가 원수 | 대통령 |
초대 대통령 | (1917년–1918년) |
상징 | |
![]() | |
![]() | |
국가 | Deșteaptă-te, române! |
언어 | |
공용어 | 루마니아어, 러시아어 |
기타 | |
현재 국가 | 몰도바, 우크라이나 |
2. 역사적 배경
1917년 페트로그라드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나자, 베사라비아현의 지사는 사임하고, 베사라비아의 임시 정부 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었으며, 구베르니아 젬스트보(Gubernial Zemstvo)의 수장이 된 콘스탄틴 미미ro(Constantin Mimi)와 그의 부관이었던 블라디미르 크리스티ro(Vladimir Cristi)에게 법적 권한을 넘겨주었다. 모든 구 러시아 제국 현에서 비슷한 절차가 취해졌다. 황제파 정부의 장관은 법적 권한을 주 또는 현의 젬스트보 장관에게 양도했고, 각각 주 정치 위원, 현 정치 위원이라고 불렸다.[17]
1917년 10월에 개최된 농민 의회는 새로운 정치 위원에 대한 투표에서 미미를 해임하고 이온 인쿨레츠ro(Ion C. Inculeț)에게 투표했다. 이 움직임은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계획한 것으로, 그가 페트로그라드 대학교 부교수인 인쿨레츠를 베사라비아를 유지하기 위해 파견했었다. 법적 권한이 없었던 농민 의회는 즉시 투표했고, 케렌스키는 정식으로 미미에서 인쿨레츠로 정치 위원을 교체했다. 인쿨레츠가 키시너우에 도착했을 때, 반항하는 귀족이 조용해진 것을 알고, 이 때문에 블라디미르 크리스티가 부 정치 위원의 지위를 갖는 것에 합의했다.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이 선언될 때, 크리스티는 사임하고, 인쿨레츠에게 법적 권한을 부여했다.[17]
베사라비아의 스파툴 차리이(국가 의회)는 1917년 10월부터 11월에 선출되어, 1917년 12월부터 활동을 시작했다. 국회는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을 러시아 민주 연방 공화국의 가맹국으로 선언했다.[13]
10월 혁명의 여파로 루마니아 전선의 러시아 육군은 해체되었다. 퇴각하는 많은 수의 병사들이 베사라비아의 무정부 상태를 증가시켰고, 국가평의회는 영토에 대한 최소한의 권한만을 가지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평의회가 농지 문제에 대한 결정을 미루자, 이 지역의 농민들은 큰 지주들의 재산을 분할하여 그들끼리 나누기 시작하였다. 루마니아 전선 총참모부가 병력을 파견할 수 없게 되자 몰다비아 국가방위군을 조직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결과는 기대에 한참 못 미쳤다. 게다가 명목상 국가평의회 산하 대부분의 군단은 볼셰비키의 영향권에 들어갔다. 그러나, 1월 중순에 루마니아군이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에 진입해 몰다비아와 볼셰비키 군대와 전투에 참여했고, 몇 주 안에 몰다비아의 많은 부분을 지배했다.[19]
2. 1. 러시아 제국 내 자치 시기 (1917년)
1917년 2월 혁명이 페트로그라드에서 발생하자, 베사라비아현의 지사는 사임하고 법적 권한을 콘스탄틴 미미에게 넘겼다. 그는 현 자치 지구 젬스트보의 의장이었으며, 블라디미르 크리스티를 부지사로 임명하여 "베사라비아 임시 정부 위원"으로 명명되었다.[4][12] 러시아 제국의 모든 지역에서도 비슷한 절차가 진행되었는데, 차르 정부의 수장들은 법적 권한을 군 및 현 젬스트보의 수장들에게 넘겼고, 그들은 "군/현 위원"으로 불렸다.[4][12]
1917년 10월에 열린 농민 회의는 미미를 해임하고 이온 인쿨레츠를 새로운 위원으로 선출했다.[4][12] 이 결정은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계획한 것으로, 그는 페트로그라드 대학교의 부교수인 인쿨레츠를 베사라비아로 보내 상황을 파악하게 했다.[4][12] 법적 권한이 없는 농민 회의가 투표를 하자마자 케렌스키는 공식적으로 미미를 인쿨레츠로 교체했다.[4] 인쿨레츠가 권력을 잡기 위해 키시너우에 도착했을 때 그는 귀족들의 조용한 반대에 직면하여 블라디미르 크리스티의 부위원장직을 수락했다.[4] 공화국이 선포되자 크리스티는 사임하고 그의 법적 권한을 인쿨레츠에게 넘겼다.[4][12]
베사라비아의 ''스파툴 차리이''(국민 의회)는 1917년 10월~11월에 선출되었으며 1917년 12월에 활동을 시작했다.[5][13] 이 의회는 몰도바 민주 공화국을 러시아 민주 연방 공화국의 연방구성국 (자치 공화국)으로 선언했다.[5][18]

2. 2. 독립 시기 (1918년)
1917년 러시아 혁명의 여파로 러시아 제국 내에서 여러 민족들이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베사라비아 지역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이 나타나, 1917년 10월부터 11월 사이에 베사라비아의 국가평의회(Sfatul țerrii)가 선출되었고, 1917년 12월부터 업무를 시작했다.[18][5] 1917년 12월 15일,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은 러시아 연방 민주공화국의 구성국임을 선포하였다.[18]10월 혁명 이후, 루마니아 전선의 러시아 육군이 해체되면서 베사라비아 지역은 무정부 상태에 빠졌다.[19][7] 국가평의회는 최소한의 권한만을 가졌으며, 농민들은 토지 분배를 요구하며 봉기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볼셰비키 세력이 점차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다.[19][7]
1918년 1월 14일, 룸체로드의 선발대가 키시너우에 진입하자, 베사라비아 국가평의회의 민족주의 세력은 루마니아 왕국에 군사 원조를 요청했다.[2] 이에 루마니아군은 1918년 1월 23일 국경을 넘어 키시너우를 점령했다.[2] 루마니아군이 베사라비아를 완전히 통제하게 되자, 베사라비아 국가평의회는 1918년 2월 6일 독립을 선포했다.[2]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은 존속 기간 동안 판테리몬 에르한, 다니엘 츄구레누, 페트루 카자쿠를 총리로 두었다.[3] 독립 선언 이후, 독일 제국이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볼셰비키 러시아와 별도의 평화 협정을 체결하면서, 국가평의회는 루마니아와의 통합을 추진하게 되었다.[20][21][8][9] 1918년 4월 9일, 국가평의회는 찬성 86표, 반대 3표, 기권 36표로 루마니아 왕국과의 통합을 선포하고,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은 법적으로 종식되었다.[20][21][8][9] 이는 1920년 파리 조약에서 승인받았다.[20][21]
2. 3. 루마니아와의 통합 과정 (1918년)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역사는 러시아 제국 내 자치 시기, 독립 시기, 루마니아와의 연합 시기 등 세 시기로 구분된다. 1917년 12월 15일,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은 러시아 연방 민주공화국의 구성국임을 선포했다.[18] 1918년 1월, 룸체로드의 볼셰비키 부대가 키시너우에 진입하자, 국가평의회의 민족주의 세력은 루마니아 왕국에 군사 원조를 요청했고, 루마니아군은 국경을 넘어 키시너우를 점령했다.[2] 루마니아군이 베사라비아를 완전히 통제하게 되면서, 국가평의회는 1918년 2월 5일 독립을 선포했다.[15]1918년 4월 9일, 국가평의회는 찬성 86표, 반대 3표, 기권 36표로 루마니아와의 조건부 통합을 결정했다.[20][21] 통합 조건에는 지방 자치와 입법부 (스파툴 차리이)의 존속이 포함되었다.[8][9] 그러나 1918년 12월 10일,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국민의회 의원들은 비밀리에 모여 이전 조건을 철회하고 루마니아와의 무조건적인 통합을 선언했다.[15] 이후 국민의회는 해산되었고, 루마니아와의 연방주의자들은 부쿠레슈티에 초대되었다.[16]
1917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2월 혁명이 발생하자, 베사라비아현의 총독은 콘스탄틴 미미에게 법적 권한을 이양했다.[17] 러시아 제국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차르 정부의 수장들은 군수와 지방 자치회 총독에게 법적 권한을 이양했다.[4] 1917년 10월, 소작농 의회는 미미를 퇴출하고 이온 인쿨레츠를 새로운 총리로 임명했다.[17] 이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계획한 것으로, 인쿨레츠는 케렌스키의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대학 조교였다.[4] 공화국이 선포되었을 때, 초대 위원 이었던 블라디미르 크리스티는 물러났고 그의 법적 권한을 인쿨레츠에게 넘겼다.[17]
19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베사라비아의 국가평의회(스파툴 차리이)가 선출되어 12월부터 업무를 시작했다.[18] 10월 혁명의 여파로 루마니아 전선의 러시아 육군은 해체되었고, 퇴각하는 병사들로 인해 베사라비아의 무정부 상태가 심화되었다.[19] 국가평의회는 영토에 대한 최소한의 권한만을 가졌으며, 농지 문제 결정을 미루면서 농민들은 대지주들의 재산을 분할하기 시작했다.[7] 몰다비아 국가방위군 조직 시도가 있었으나 결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대부분의 군단은 볼셰비키의 영향권에 들어갔다.[19] 1918년 1월 중순, 루마니아군이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에 진입하여 몰다비아와 볼셰비키 군대와 전투를 벌였고, 몇 주 안에 몰다비아의 많은 부분을 지배했다.[7]
독일 제국이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볼셰비키 러시아와 별도의 평화 협정을 체결한 후, 1918년 4월 9일 국가평의회는 루마니아 왕국과의 통합을 선포하고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을 법적으로 종식시켰다.[8][9] 루마니아군이 이미 키시너우에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에 낙담하여 많은 소수당 의원들은 투표에 기권하였다.[8][9] 루마니아와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연합은 1920년 파리 조약에서 승인받았다.[9] 통합에 반대한 아르카디에 오스몰로프스키ro(Arcadie Osmolovschi)는 소련으로 이주했고, 슈테판 발메스영어(Ştefan Balmez)는 지방 정치인으로 성공했으며, 미하일 스타렌키ro(Mihail Starenki)는 교직을 계속했다.
3. 지도부
이온 인쿨레츠는 스파툴 차리이 의장이자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이었다.[22] 몰다비아 공화국의 지도부는 국가평의회의 의장이자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인 이온 인쿨레츠와 총무원 의장인 판테리몬 에르한으로 구성되었다.[22] 새 지도부와 의회는 각료회의 의장인 다니엘 츄구레누에 의해 독립을 선언한 후 설치되었다.[22]
판테리몬 에르한은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초대 총리이자 총무원 의장이었다.[22] 몰다비아 공화국의 지도부는 국가평의회의 의장이자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인 이온 인쿨레츠와 총무원 의장인 판테리몬 에르한으로 구성되었다.[22]
1917년 12월 21일, 국가평의회는 7명의 몰다비아인, 1명의 우크라이나인, 1명의 유대인으로 구성된 이사회 총회를 통해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 정부를 선출했다.[22] 에르한은 평의회 의장 및 농업부 장관을 겸임했다.[22]
총무회의 첫 번째 법령에서, 의회는 "국가의 삶의 모든 측면에 질서를 도입하고, 무정부상태와 재앙을 제거하며, 국정운영의 모든 측면을 조직한다"는 목표를 세웠다.[22]
다니엘 츄구레누는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두 번째 총리로, 독립 선언을 주도했다.[22] 몰다비아 공화국의 지도부는 국가평의회의 의장이자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인 이온 인쿨레츠와 총무원 의장인 판테리몬 에르한으로 구성되었다. 새 지도부와 의회는 각료회의 의장인 다니엘 츄구레누에 의해 독립을 선언한 후 설치되었다.[22]
1917년 12월 21일, 국가평의회는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 정부를 선출했다.[22] 각료는 7명의 몰다비아인, 1명의 우크라이나인, 1명의 유대인으로 구성되었다.[22]
인명 | 직책 |
---|---|
판테리몬 에르한 | 평의회 의장 및 농업부 장관 |
블라디미르 크리스티 | 내무장관 |
슈테판 치오바누 | 교육부 장관 |
테오필 이온쿠 | 재정부 장관 |
니콜라에 보시에-코드레아누 | 철도청장 |
테오도어 코조카루 소령 | 육군 참모총장 |
미하일 사벤코 | 법무장관 |
이온 펠리반 | 외무장관 |
E. 그라인펠트 | 산업 및 무역장관 |
의회는 "국가의 삶의 모든 측면에 질서를 도입하고, 무정부상태와 재앙을 제거하며, 국정운영의 모든 측면을 조직한다"는 목표를 세웠다.[22]
3. 1. 이온 인쿨레츠
이온 인쿨레츠는 스파툴 차리이 의장이자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이었다.[22] 몰다비아 공화국의 지도부는 국가평의회의 의장이자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인 이온 인쿨레츠와 총무원 의장인 판테리몬 에르한으로 구성되었다.[22] 새 지도부와 의회는 각료회의 의장인 다니엘 츄구레누에 의해 독립을 선언한 후 설치되었다.[22]3. 2. 판테리몬 에르한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초대 총리이자 총무원 의장이었다.[22] 몰다비아 공화국의 지도부는 국가평의회의 의장이자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인 이온 인쿨레츠와 총무원 의장인 판테리몬 에르한으로 구성되었다.[22]1917년 12월 21일, 국가평의회는 7명의 몰다비아인, 1명의 우크라이나인, 1명의 유대인으로 구성된 이사회 총회를 통해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 정부를 선출했다.[22] 에르한은 평의회 의장 및 농업부 장관을 겸임했다.[22]
총무회의 첫 번째 법령에서, 의회는 "국가의 삶의 모든 측면에 질서를 도입하고, 무정부상태와 재앙을 제거하며, 국정운영의 모든 측면을 조직한다"는 목표를 세웠다.[22]
3. 3. 다니엘 츄구레누
다니엘 츄구레누는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두 번째 총리로, 독립 선언을 주도했다.[22] 몰다비아 공화국의 지도부는 국가평의회의 의장이자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대통령인 이온 인쿨레츠와 총무원 의장인 판테리몬 에르한으로 구성되었다. 새 지도부와 의회는 각료회의 의장인 다니엘 츄구레누에 의해 독립을 선언한 후 설치되었다.[22]3. 4. 페트루 카자쿠
판테리몬 에르한 내각과 다니엘 치우구레아누 내각의 뒤를 이은 몰다비아 민주공화국의 세 번째 총리 내각이다.[22]3. 5. 기타 주요 인물
1917년 12월 21일, 국가평의회는 몰다비아 민주 공화국 정부를 선출했다.[22] 각료는 7명의 몰다비아인, 1명의 우크라이나인, 1명의 유대인으로 구성되었다.[22]인명 | 직책 |
---|---|
판테리몬 에르한 | 평의회 의장 및 농업부 장관 |
블라디미르 크리스티 | 내무장관 |
슈테판 치오바누 | 교육부 장관 |
테오필 이온쿠 | 재정부 장관 |
니콜라에 보시에-코드레아누 | 철도청장 |
테오도어 코조카루 소령 | 육군 참모총장 |
미하일 사벤코 | 법무장관 |
이온 펠리반 | 외무장관 |
E. 그라인펠트 | 산업 및 무역장관 |
의회는 "국가의 삶의 모든 측면에 질서를 도입하고, 무정부상태와 재앙을 제거하며, 국정운영의 모든 측면을 조직한다"는 목표를 세웠다.[22]
4. 정치 및 행정
5.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Simbolurile Republicii Democratice Moldovenești (1917-1918). Interpretări semantice
https://www.ceeol.co[...]
[2]
서적
Moldova: A Romanian Province Under Russian Rule : Diplomatic History from the Archives of the Great Powers
Algora Publishing
[3]
서적
Rethinking Missio Dei among Evangelical Churches in an Eastern European Orthodox Context
Langham Monographs
[4]
문서
[5]
서적
The Republic of Moldavia: from the collapse of the Soviet empire to the restoration of the Russian empire
https://books.google[...]
East European Monographs
[6]
서적
Dějiny Ukrajiny
https://books.google[...]
Nakladatelství Lidové Noviny
2015
[7]
서적
The Bessarabian question in communist historiography
East European Monographs
[8]
문서
"Contrasting/Conflicting Identities:Bessarabians, Romanians, Moldovans" in Nation-Building and Contested Identities
Polirom
[9]
서적
The Moldovans: Romania, Russia and the Politics of Culture
Hoover Institution Press
[10]
문서
[11]
웹사이트
Silviu Andrieş-Tabac, Simbolurile Republicii Democratice Moldoveneşti (1917-1918). Interpretări semantice
http://www.nationalm[...]
2008
[12]
문서
[13]
웹사이트
The Republic of Moldavia: from the collapse of the Soviet empire to the restoration of the Russian empire
https://books.google[...]
1996
[14]
문서
[15]
서적
Moldova: A Romanian Province Under Russian Rule : Diplomatic History from the Archives of the Great Powers
Algora Publishing
[16]
서적
Rethinking Missio Dei among Evangelical Churches in an Eastern European Orthodox Context
Langham Monographs
[17]
문서
[18]
서적
The Republic of Moldavia: from the collapse of the Soviet empire to the restoration of the Russian empire
https://books.google[...]
[19]
서적
The Bessarabian question in communist historiography
East European Monographs
[20]
문서
"Contrasting/Conflicting Identities:Bessarabians, Romanians, Moldovans" in Nation-Building and Contested Identities
Polirom
[21]
서적
The Moldovans: Romania, Russia and the Politics of Culture
Hoover Institution Press
[2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