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혁명은 차르의 전제 정치와 사회 모순,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을 포괄한다.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과 1914년 레나 금광 사건 등 사회적 불만이 쌓여 1917년 2월 혁명으로 이어졌고, 니콜라이 2세의 퇴위와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임시정부의 실패와 볼셰비키의 세력 확대로 10월 혁명이 발생하여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했다. 이후 러시아 내전에서 볼셰비키가 승리하고, 소비에트 연방이 수립되었다. 혁명은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를 탄생시켰으며, 일당 독재 체제 구축, 사회주의 정책 추진, 국제적 영향과 냉전, 한국에 대한 영향 등 다양한 결과를 가져왔다. 혁명에 대한 평가는 역사적 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아나키즘 - 크론시타트 반란
크론시타트 반란은 1921년 러시아 크론시타트 해군 기지에서 발생한 반볼셰비키 봉기로, 볼셰비키의 정책에 반발한 수병들이 자유로운 선거 등을 요구하며 일어났지만 무력 진압되었고 레닌의 권력 강화와 신경제정책 도입의 배경이 되었다. - 1917년 러시아 - 10월 혁명
10월 혁명은 1917년 러시아에서 볼셰비키당이 주도하여 임시 정부를 무너뜨리고 권력을 장악한 사건으로, 사회적 혼란과 경제난, 차르 체제에 대한 불만을 배경으로 레닌과 트로츠키 등의 지도하에 러시아를 사회주의 국가로 변모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 1917년 러시아 - 7월 정국
7월 정국은 1917년 러시아에서 케렌스키 공세 실패와 임시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발생한 정치적 격변과 위기를 의미하며, 볼셰비키의 역할과 재기를 포함하여 러시아 혁명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10월 혁명의 배경이 되었다.
러시아 혁명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날짜 | 1917년 3월 8일 – 1922년 10월 25일 (6년 3개월 18일) |
기간 | 2월 혁명 (1917년 3월 8일 – 3월 16일) 이중 권력 (1917년 3월 16일 – 11월 7일) 10월 혁명 및 러시아 내전 (1917년 11월 7일 – 1922년 10월 25일) |
장소 | 러시아 |
참가 세력 | |
초기 | 사회혁명당 입헌민주당 볼셰비키 멘셰비키 러시아 임시 정부 러시아 육군 (1917년) 민족주의자 (초기) |
후기 | 붉은 군대 백군 아나키스트 녹군 연합군 동맹국 분리주의자 제헌의회 구성원 위원회 (후기) |
결과 | |
주요 결과 | 러시아 군주제의 종말 러시아 제국의 해체 단명한 러시아 공화국 및 러시아국의 실패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러시아의 탈퇴 볼셰비키의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 러시아, 우크라이나 대부분, 벨라루스, 중앙아시아, 남부 캅카스 폴란드, 핀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의 독립 소비에트 연방의 건립 |
관련 캠페인 | |
전투 | 2월 혁명 4월 위기 7월 정국 코르닐로프 사건 10월 혁명 케렌스키-크라스노프 봉기 융커 반란 러시아 내전 |
정치 사상 | |
주요 사상 | 공화주의 |
관련 개념 | 반군주제 반부패 운동 시민 사회 시민적 미덕 피지배자의 동의 민주주의 민주화 비지배로서의 자유 혼합 정부 정치적 대표 인민 주권 공공 참여 공화국 국가 법치주의 자기 통치 권력 분립 사회 계약 사회 평등 |
주요 학파 | 고전 공화주의 근대 공화주의 연방 공화주의 케말주의 호메이니주의 나세르주의 신공화주의 베니젤로스주의 |
공화국의 종류 | 자치 공화국 자본주의 공화국 기독교 공화국 민주 공화국 연방 공화국 연방 의회 공화국 제국 공화국 이슬람 공화국 의회 공화국 인민 공화국 혁명 공화국 세속 공화국 자매 공화국 소비에트 공화국 |
주요 철학자 | 한나 아렌트 줄리언 바지니 안드레스 베요 제러미 벤담 장 보댕 카를로 카타네오 소피 그레이스 채플 키케로 콩도르세 후작 버나드 크릭 벤저민 프랭클린 제임스 해링턴 테드 혼더리치 토머스 제퍼슨 이마누엘 칸트 존 로크 니콜로 마키아벨리 제임스 매디슨 주세페 마치니 존 스튜어트 밀 몽테스키외 토머스 페인 필립 페팃 폴리비오스 장자크 루소 마이클 샌델 앨저넌 시드니 캐스 선스타인 알렉시 드 토크빌 나이절 워버턴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
주요 정치인 | |
주요 정치인 | 게리 애덤스 존 애덤스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마누엘 아사냐 조너선 바틀리 토니 벤 내털리 베넷 시몬 볼리바르 매기 채프먼 케이티 클라크 톰 클라크 제임스 코놀리 올리버 크롬웰 이언 데이비슨 마크 드레이크퍼드 빌 에서링턴 린다 파비아니 마크 퍼거슨 스티븐 플린 레옹 감베타 주세페 가리발디 샤를 드골 쥘 그레비 니아 그리피스 존 그리피스 패트릭 하비 데릭 해튼 자크 에베르 켈빈 홉킨스 줄리언 휴퍼트 룬 아프 이오르베르 글렌다 잭슨 존 제이 토머스 제퍼슨 엘린 존스 린 존스 베니토 후아레스 로지 케인 루홀라 호메이니 우고 라 말파 클라이브 루이스 에이브러햄 링컨 캐롤라인 루커스 질리언 매케이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제임스 매디슨 마기드 마기드 앤 맥케친 크리스 멀린 더그 네이스미스 에설 매닌 존 맥도넬 리사 낸디 자와할랄 네루 스티븐 파운드 존 프레스콧 켄 리치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 베산 사이드 켄 스케이트 데니스 스키너 로너 슬레이터 앤디 슬로터 캣 스미스 조반니 스파돌리니 쑨원 딕 태번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빌 윌슨 리앤 우드 |
관련 이론 서적 | |
관련 이론 서적 | 국가 (기원전 375년경) 국가론 (기원전 54~51년) 리비우스 로마사 강해 (1531년) 국왕과 관료의 임기 (1649년) 오케아나 공화국 (1656년) 정부에 관한 담론 (1698년) 법의 정신 (1748년) 인간 불평등 기원론 (1755년) 사회 계약론 (1762년) 연방주의자 논집 (1787년~1788년) 인권 (1791년) 영구 평화를 위하여 (1794년) 미국의 민주주의 (1835년~1840년) 혁명에 관하여 (1963년) |
역사적 사건 | |
역사적 사건 | 로마 공화국 가나상가 고대 아테네 베네치아 공화국 제노바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네덜란드 공화국 미국 독립 전쟁 프랑스 혁명 스페인 아메리카 독립 전쟁 자유주의 삼년 1848년 프랑스 혁명 1910년 10월 5일 혁명 중국 혁명 러시아 혁명 1918년-1919년 독일 혁명 튀르키예 독립 전쟁 1921년 몽골 혁명 1922년 9월 11일 혁명 1935년 그리스 쿠데타 시도 스페인 내전 1946년 이탈리아 제도 국민투표 1952년 이집트 혁명 7월 14일 혁명 북예멘 내전 잔지바르 혁명 1969년 리비아 쿠데타 1970년 캄보디아 쿠데타 메타폴리테프시 이란 혁명 1987년 피지 쿠데타 네팔 내전 바베이도스 공화국 선포 |
국가별 공화주의 | |
국가별 공화주의 | 앤티가 바부다 오스트레일리아 바하마 바베이도스 캐나다 아일랜드 자메이카 일본 모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 영국 스코틀랜드 웨일스 미국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고전 급진주의 공동선 공동체주의 군주제 비판 평등주의 벌거벗은 임금님 자코뱅주의 자유주의 공화국 목록 군주주의 농민 공화국 수석 동등자 공화주의자 없는 공화국 제국 공화국 공화당 |
정치 포털 | 정치 포털 |
2. 배경
1905년 러시아 혁명은 1917년 혁명의 중요한 배경이었다.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전국적인 시위와 반란이 일어났고, 상트페테르부르크 소비에트라는 노동자 협의회가 만들어졌다.[4] 1905년 혁명은 진압되었지만, 이후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 다른 혁명 운동의 기반이 되었고, 두마(의회) 창설로 이어져 1917년 2월 이후 임시 정부 구성에 영향을 주었다.[5]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러시아가 동부 전선에서 패배하면서 니콜라이 2세와 로마노프 가문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 차르는 1915년 러시아 제국군을 직접 통솔하여 상황을 악화시켰고, 패배와 손실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었다.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차리나는 독일 출신이라는 점과 그리 고리 라스푸틴과의 관계로 인해 의혹을 받았으며, 라스푸틴의 영향력은 파괴적인 장관 임명과 부패로 이어져 러시아 내부 상황을 악화시켰다.[5]
1914년 오스만 제국이 중앙 연합국에 참전하면서 러시아는 지중해로 가는 주요 무역로를 잃어 경제 위기와 무기 부족을 겪었다.[6] 전쟁은 러시아 군대와 국민의 사기를 저하시켰고, 농업 붕괴에 따른 식량 부족이 심각했다. 정부의 루블 지폐 대량 인쇄로 인플레이션이 발생, 1917년 물가는 1914년의 4배로 상승했다. 농민들은 곡물을 비축하고 자급자족 농업으로 회귀했으며, 도시는 식량이 부족했다. 가격 상승으로 공장에서는 임금 인상 요구가 발생했고, 1916년에는 독일 자금 지원을 받은 혁명적 선전으로 인해 파업이 발생, 노동자들의 혁명 정당 참여가 증가했다.
10월주의자 알렉산드르 구치코프가 의장으로 있던 중앙 전쟁 산업 위원회에는 10명의 노동자 대표가 포함되었고, 페트로그라드 멘셰비키도 참여했다. 1915년 9월 두마의 10월주의자와 카데트 연합은 차르가 거부한 책임 있는 정부 구성을 요구했다.[7] 1916년 초, 구치코프는 고위 장교들과 차르 퇴위를 위한 쿠데타 가능성을 논의했고, 12월에는 귀족들이 라스푸틴을 암살했으며, 1917년 1월 차르의 사촌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은 류보프 공에게 왕위 계승 준비가 되어 있는지 질문을 받았다.[7]
레닌은 짐머발트 좌파를 통해 러시아 방위와 평화 호소를 모두 거부하고, "차르 군주제의 패배가 더 작은 악"이라 주장하며 전쟁을 프롤레타리아 병사들이 자신의 정부에 대한 내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
1905년 피의 일요일 사건으로 시작된 1905년 러시아 혁명이 1907년 스토리핀 총리의 쿠데타로 종식된 후, 노동 운동과 혁명 운동은 침체되었고 혁명가들은 서유럽으로 망명했다.
1912년 레나 금광 사건으로 노동 운동이 다시 활성화되었고, 파업은 1914년에 제1차 혁명기 수준에 이르렀다.
2. 1. 러시아 제국의 전제정치와 사회 모순
러시아 제국은 차르가 절대 권력을 행사하는 전제정치 국가였다. 19세기 후반 산업화가 진행되었으나, 사회 구조 개혁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식인과 학생들은 자유주의 운동을 전개하고,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을 결성하여 사회 개혁을 요구하였다.그러나 황제 니콜라이 2세는 변화를 두려워하여 근본적인 개혁 요구를 무시했다.
2. 2. 러일전쟁과 피의 일요일 사건
1904년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 제국이 일본 제국에 패배하면서 차르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이 커졌다. 1905년 러일 전쟁 중 러시아 정교회 사제 게오르기 가폰의 주도로 개혁을 요구하는 민중 운동이 일어났다.[14] 1905년 1월 22일, 가폰 신부를 필두로 한 노동자들과 가족들이 상트페테르부르크 겨울 궁전 앞에서 평화 시위를 벌였으나, 차르의 군대가 발포하여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피의 일요일 사건)[14] 이 사건으로 차르에 대한 환상이 깨지고, 파업 투쟁이 끊이지 않았다.2.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민중의 생활고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초기에는 민중들이 애국심에 불타올라 전쟁을 지지했다. 무려 1500만 명이나 전선에 지원할 정도였다.[15] 그러나 전쟁이 길어지면서 상황은 급격히 나빠졌다. 러시아군은 탄넨베르크 전투 등에서 지휘관들의 무능함으로 인해 대패를 겪었다.[15]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러시아는 군사적, 사회적으로 붕괴 직전까지 내몰렸다. 많은 젊은이들이 군에 지원하면서 노동력이 크게 줄었고, 사회보장 예산이 전쟁에 투입되면서 민중들의 생활은 빵과 우유조차 구하기 어려울 정도로 궁핍해졌다.[15]
이는 러시아 제국의 무능함을 보여주는 증거였으며,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는 원인이 되었다.
1915년부터 황제 니콜라이 2세는 직접 전투 지휘에 나섰고, 국정은 황후와 라스푸틴에게 맡겨져 국정 운영 또한 파탄에 이르렀다.[15]
3. 2월 혁명(3월 혁명)
제1차 세계 대전의 장기화는 러시아 제국 민중들의 생활을 극도로 어렵게 만들었다. 농민들은 토지 소유 문제로,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 조건과 낮은 임금으로 불만이 컸다. 특히 전쟁으로 인한 물가 상승은 민중들의 삶을 더욱 팍팍하게 했다.[9][10]
제국의 급속한 산업화는 도시 인구 과밀과 열악한 노동 환경을 초래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와 같은 대도시에서는 많은 노동자들이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장시간 노동에 시달렸다.[12]
전쟁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 징병으로 숙련 노동자들이 부족해졌고, 열악한 철도 시스템은 식량 부족 문제를 심화시켰다. 전선에서 병사들은 제대로 된 장비도 없이 싸워야 했고, 이는 군대 내 불만으로 이어졌다.[15][16][17]
1905년 혁명 이후 국가 두마가 설립되었지만, 니콜라이 2세는 전제적인 권력을 유지하려 했다. 민중들의 민주적 참여 열망은 커져갔고, 피의 일요일 사건과 같은 비극은 혁명적인 분위기를 고조시켰다.[14]
전쟁 초기 애국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했지만, 탄넨베르크 전투에서의 패배와 같은 군사적 실패는 러시아군의 사기를 떨어뜨렸고, 민중들의 불만은 커졌다.[18]
1916년 말, 오흐라나 보고서는 "일상생활의 고통에 격분한 제국 하층 계급의 폭동 가능성이 가까운 장래에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19] 니콜라이 2세는 경고를 무시했고, 1917년 2월 혁명으로 차르 체제는 붕괴되었다.
3. 1. 페트로그라드 시위와 혁명으로의 발전
1917년 3월 8일 (러시아력 2월), 국제 여성의 날을 맞아 페트로그라드의 여성들은 빵과 우유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였다.[113] 당시 페트로그라드는 밀가루 반입량이 절반으로 줄어 빵을 구하기 어려웠고, 아이들에게 먹일 우유마저 부족해 시민들은 새벽부터 밤까지 줄을 서야 했다. 이 시위에는 8만 명의 노동자들이 참여하면서 노동 쟁의로 이어졌다. Пе́тер의 노동자 파업과 시위는 계속되었다.당시 일본 대사관 직원의 기록에 따르면, 수백만 명의 군인들이 군중을 막고 기병들이 젊은 장교의 지휘 아래 군중을 거칠게 해산시켰다. 근위병들이 총을 발사했음에도 노동자들은 물러서지 않고 혁명가를 부르며 자유와 시민의 행복, 조국 러시아의 부흥을 외쳤다.[113]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돌아오거나 민중 시위 진압을 거부한 일부 사병들이 시위에 참여하면서, '페트로그라드 노동자, 농민 소비에트'로 단결하는 혁명으로 발전하였다. 1917년 2월 22일 푸틸로프 공장 노동자들의 파업을 시작으로, 2월 27일에는 군대까지 노동자 편에 서게 되었다.
결국 3월 2일, 러시아 제국 황제 니콜라이 2세는 동생 미하일에게 정권을 넘기고 퇴위하면서 제정은 붕괴되었다. 사회주의자들은 이 혁명을 '부르주아 혁명'으로 판단하여 정권 장악에 나서지 않았다.
이로써 부르주아와 사회주의자들의 연합 정권인 케렌스키 임시정부가 탄생하였다. 그러나 임시정부의 실질적인 권력은 페트로그라드 노동자 대표 소비에트가 가지고 있었고, 이 두 세력 간의 관계는 복잡했으며, 1917년의 정치 상황을 형성하게 된다.
4. 10월 혁명(11월 혁명)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의 임시정부는 전쟁을 지속하고 경제 파탄을 해결하지 못해 민중들의 지지를 잃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셰비키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지도 아래 급진적인 정책을 추진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임시정부의 권력은 노동자와 병사들의 대표 기관인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의 도전을 받았다. 1917년 2월, 파업 노동자들과 사회주의 활동가들은 도시 전역의 평의회를 조직했고,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원들이 주도했다.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임시정부와 '이중 권력' 관계를 형성하며 복잡한 정치 상황을 만들어냈다.[29][30][31]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사회혁명당 소속 변호사로 임시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지만, 전쟁 지속과 경제 문제 해결 실패로 어려움을 겪었다. 블라디미르 레닌은 4월 테제를 통해 "모든 권력은 소비에트에"를 주장하며 임시정부와의 협력을 거부했다.[32]
1917년 7월, 볼셰비키는 반전 시위를 주도했지만 실패하고 레닌은 핀란드로 피신했다. 그러나 볼셰비키의 회원 수는 급증했고, 9월에는 주요 도시에서 다수를 차지했다.[34][35] 라브르 코르닐로프 장군의 쿠데타 시도는 볼셰비키의 도움으로 실패했고, 레온 트로츠키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의장이 되었다.
레닌은 국가와 혁명을 집필하며 당을 이끌었고, 10월에 페트로그라드로 돌아와 볼셰비키 중앙위원회를 설득하여 임시정부 타도 결의안을 통과시켰다.[36][37]
10월 혁명 (율리우스력 10월 25일, 그레고리력 11월 7일)은 볼셰비키 당에 의해 조직되었다. 레온 트로츠키가 이끌었던 혁명군사위원회가 폭동을 조직했다.[38]
4. 1. 볼셰비키의 세력 확장과 봉기
1917년 9월, 볼셰비키는 페트로그라드에서 전국적인 지지를 얻으며 세력을 확장했다. 레닌은 4월 테제를 통해 "임시 정부 타도! 모든 권력은 소비에트로!"라는 구호를 내걸고 임시 정부에 대항했다.[114] 레닌의 강력한 요청으로 볼셰비키 당 내에서는 봉기가 결정되었고, 상트페테르부르크 소비에트 의장 트로츠키의 지도하에 군사혁명위원회가 설치되어 봉기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진행되었다.1917년 11월 6일 새벽 2시, 임시 정부 수상 케렌스키가 볼셰비키 신문 인쇄소를 봉쇄하자 트로츠키는 전 부대에 무장봉기를 명령했다. 노동자를 주축으로 하는 적위대가 전화국, 정부 청사, 기차역 등 주요 거점을 무혈 점거했다.
11월 7일 (러시아력 10월 25일) 오전 10시, 트로츠키가 이끄는 볼셰비키 군사혁명위원회가 케렌스키 임시정부를 타도하고 소비에트 정권 수립을 선언했다. (볼셰비키 혁명)
5. 러시아 내전
10월 혁명 이후, 황제를 지지하는 백군과 혁명을 지지하는 적군 사이에 내전이 발발했다.[115] 이 전쟁은 주로 볼셰비키와 소비에트 지지자들로 구성된 적군과 백군 운동 사이에서 벌어졌다. 백군은 주로 러시아 제국의 우익 및 보수적[53] 장교들과 코사크들이 이끌었고, 볼셰비키 혁명으로 권력과 특권을 잃은 계급들의 지원을 받았다.
내전에는 국가 독립 운동, 반볼셰비키 사회주의자와 무정부주의자들의 무장 투쟁과 테러, 그리고 "녹색군"으로 조직된 농민들의 봉기가 포함되었다. 러시아 백군 내부의 견해는 군주제부터 사회주의까지 다양했지만,[58] 백군은 일반적으로 혁명보다 러시아 제국을 선호했다.[54]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과 같은 다른 국가들은 외부 간섭을 통해 백군에게 상당한 군사 원조를 제공했지만, 적군은 내부적 지원을 확보하여 훨씬 더 효과적임을 입증했다.[58]
볼셰비키는 페트로그라드에서 권력을 장악하고 외부로 통치를 확장하여, 전쟁이 시작된 지 4년 후에 동쪽 시베리아 러시아 해안인 블라디보스토크에 도달했다.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백군이 통제했던 마지막 지역인 아야노-마이스키 구는 1923년 아나톨리 페펠리야예프 장군이 항복하면서 포기되었다.
전쟁이 끝날 무렵, 크론슈타트 반란을 포함하여 볼셰비키와 그들의 군대에 대항하는 여러 차례의 반란이 일어났다. 크론슈타트 반란은 해군 반란으로, 농민들이 겪는 볼셰비키의 적대적인 경제 정책에 맞서 싸운 것이었다.[59] 정부는 반란을 강력히 비난하고 무장 진압으로 대응하여, 크론슈타트 시에 진입하기 전에 1만 명의 사상자를 냈다.[61]
내전 중 네스토르 마흐노는 우크라이나 무정부주의 운동을 이끌었다. 마흐노의 반란군은 세 번 볼셰비키와 동맹을 맺었으나, 매번 한 세력이 동맹을 끝냈다.
혁명재판소는 러시아 혁명과 러시아 내전 기간 동안 반혁명 세력을 진압하기 위해 존재했다. 내전이 절정에 달했을 때, 약 200개의 재판소가 20만 건 이상의 사건을 조사한 것으로 보고되었다.[63]
볼셰비키는 1918년 7월 16일 차르와 그의 가족을 살해했다.[65] 1917년 3월 초, 임시 정부는 니콜라이 2세와 그의 가족을 차르스코예 셀로에 가택 연금시켰다. 그러나 1917년 8월, 혁명의 고조로부터 그들을 보호하기 위해 로마노프 가족을 우랄의 토볼스크로 이송했다. 1918년 4월과 5월, 임박한 내전으로 볼셰비키는 가족을 예카테린부르크의 요새로 이동시켰다.
7월 16일 이른 아침, 니콜라이 2세,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그들의 자녀들, 그들의 주치의, 그리고 여러 하인들이 지하실로 끌려가 총살당했다.
5. 1. 내전의 전개와 볼셰비키의 승리
10월 혁명 이후 황제를 지지하는 백군과 혁명을 지지하는 적군 사이에 내전이 벌어졌다. 이는 표면적인 이유였고, 실제로는 레닌이 이끄는 공산주의 혁명 세력 및 러시아 국민들과, 백군 및 그들을 지원하는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등 제국주의 국가들 간의 전쟁이었다.[115]내전 초기에는 백군이 우세했다. 백군은 제정 시대 장교들의 통솔력과 제국주의 국가들의 지원을 받아 강력한 무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알렉산드르 콜차크, 안톤 데니킨 등이 지휘하는 백군은 볼셰비키 정권을 위협하기도 했다. 그러나 백군은 구체제 출신 귀족, 장군들로 구성되어 명확한 제도나 정책이 없었고, 단순히 볼셰비키 정권을 무너뜨리고 구체제로 돌아가는 것이 목표였다.
반면, 혁명 러시아의 국가 체제와 군대 체계는 미흡했지만, 노동자와 농민들은 귀족과 자본가가 뒤에 있는 백군 대신 볼셰비키 정권을 지지했다. 러시아 공산당의 끈질긴 저항과 러시아 인민들의 지지에 힘입어 1922년부터 백군은 혁명 러시아에서 완전히 밀려나 패망했고, 1922년 12월 30일 소비에트 연방이 탄생했다.
러시아 내전은 혁명 러시아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첫째, 공산주의 혁명을 지지했던 많은 노동자 계급이 전쟁으로 사망하거나 부상당해 혁명 러시아의 본래 목적과 이상이 변질되었다.[116] 둘째, 제정 시대의 군사 제도와 사회 제도가 도입되어, 내전 이후 이오시프 스탈린의 반혁명 시도를 돕는 결과를 낳았다. 셋째, 무정부주의적 노동자, 농민 집단이 사라져 공산당에 반대할 세력이 몰락했다.
6. 혁명의 결과와 영향
러시아 혁명은 볼셰비키 주도의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을 탄생시켰다. 그러나 마르크스는 사회주의 국가가 혁명이 아닌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형성되어야 한다고 보았기에, 이는 이념적 역설이었다.[69] 레온 트로츠키는 세계 혁명이 성공해야 러시아에서 사회주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1923년까지 혁명의 물결이 이어졌으나, 1921년 몽골 혁명 외에는 마르크스주의 운동이 권력을 유지하지 못했다.[69]
이후 조세프 스탈린은 한 국가 내에서도 사회주의 건설이 가능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레닌 사후 권력 투쟁 과정에서, 레닌의 '사회주의 성공은 다른 나라 노동자들의 지지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이용하여 정적들을 제거했다.[69]
내전으로 인한 극심한 사회 혼란과 경제력 파괴는 혁명 세력이 네프(NEP)를 통해 자본주의를 일부 도입하게 만들었다. 이는 훗날 스탈린의 반혁명 시도에 영향을 주었다.[117] 러시아 제국에서 1917년 핀란드가 독립했고, 1918년에는 발트 3국, 폴란드, 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제외)가 독립했다.
러시아 혁명은 제국주의와의 단절로 인식되어 전 세계의 다양한 시민권 운동과 탈식민화 투쟁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소련은 반식민지 제3세계 운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며 이러한 인식에 신빙성을 더했다.[70]
6. 1. 일당 독재 체제 구축과 사회주의 정책
볼셰비키는 혁명 이후 일당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경제 통제를 강화하는 전시 공산주의 정책을 시행했다.1918년 7월, 제5차 전러시아 소비에트 대회에서 최초의 이 채택되었다. 이 헌법은 "부르주아지를 완전히 억압하고, 인간에 의한 인간의 착취를 없애며, 계급 분열도 국가 권력도 없는 사회주의를 가져오기 위해, 강력한 전러시아 소비에트 권력의 형태로 도시와 농촌의 프롤레타리아와 빈농의 독재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규정했다(제9조).[104] 소비에트 대회에서 선출되는 전러시아 소비에트 중앙집행위원회가 최고 권력 기관이 되었고, 인민위원회에도 입법권이 주어졌다.
같은 시기,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에 반대하는 좌익 사회혁명당은 전쟁 재개를 위해 독일 대사 밀바흐를 암살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104] 이 사건으로 좌익 사회혁명당은 탄압받고, 소비에트 정부는 볼셰비키 단독 정권이 되었다.
볼셰비키는 토지 국유화, 노동자 통제 등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1918년11월 8일 토지에 관한 포고를 통해 귀족, 교회, 황실의 토지를 농민 소비에트에 넘겼다. 노동자 통제령으로 산업의 노동자 관리가 수립되었고, 대기업 소유권은 자치체와 국가로 이전되었다.
1922년,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자카프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우크라이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통합되어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소련)이 수립되었다.
6. 2. 국제적 영향과 냉전
러시아 혁명은 전 세계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레온 트로츠키는 러시아의 사회주의 목표는 세계 혁명의 성공 없이는 달성될 수 없다고 말했다. 러시아 혁명으로 인한 혁명의 물결은 1923년까지 지속되었지만, 1918년-19년 독일 혁명, 짧은 기간 존재했던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및 그와 유사한 다른 혁명들에서 초기의 성공에 대한 희망에도 불구하고, 1921년 몽골 혁명만이 당시 마르크스주의 운동이 권력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69]이후 조세프 스탈린은 한 국가 내에서의 사회주의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세계 혁명에 대한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레닌 사후, 레닌의 주장(사회주의의 성공은 다른 나라 노동자들의 지지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이용하여 당내 경쟁자들을 레닌에게 배신했고 따라서 10월 혁명의 이상을 배반했다고 비난함으로써 성공적으로 물리쳤다.[69]
러시아 혁명은 다양한 시민권 운동과 탈식민화 투쟁에 대한 제국주의와의 단절로 인식되었고, 전 세계의 억압받는 집단에게 공간을 제공했다. 소비에트 연방이 유럽 식민 세력에 대항하여 많은 반식민지 제3세계 운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면서 이러한 인식은 더욱 신빙성을 얻었다.[70]
6. 3. 한국에 대한 영향
러시아 혁명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독립 운동가들에게 사회주의 사상을 수용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특히, 3.1 운동 이후 사회주의 사상은 한국 사회에 빠르게 확산되었으며, 이는 조선공산당 창당으로 이어졌다.러시아 혁명은 8.15 광복 이후 한반도 분단과 한국 전쟁 발발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받는다.
7. 혁명에 대한 평가와 논쟁
러시아 혁명은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발생한 일련의 혁명적 사건들로, 세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혁명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며, 여러 관점에서 논쟁이 진행 중이다.
러시아 혁명은 물리적, 비물리적 상징주의가 광범위하게 나타난 현장이었다. 공산주의 상징주의는 이 시대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으로, 1917년 10월 혁명을 상징하는 낫과 망치가 대표적이다. 낫과 망치는 1924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SSR)의 공식 상징이 되었고, 이후 공산주의 전체의 상징이 되었다.[68] 볼셰비키는 혁명 자체를 정치적, 상징적인 질서로 묘사하여 공산주의를 메시아니즘적 신앙으로 묘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68]
레온 트로츠키는 세계 혁명의 성공 없이는 러시아에서 사회주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보았다. 1918년-19년 독일 혁명,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등 초기 혁명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1921년 몽골 혁명만이 마르크스주의 운동이 권력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 문제는 다양한 마르크스주의 단체와 정당에 의해 공산주의 역사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불러일으켰다. 조세프 스탈린은 한 국가 내에서의 사회주의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이 개념을 거부했다.
서구에서는 사회주의자들과 노동 조합들은 10월 혁명과 볼셰비키의 권력 장악을 지지했지만, 서구 정부들은 격분했다.[84] 서구 지도자들과 일부 학자들은 러시아 혁명이 한 형태의 폭정(차르 제도)을 다른 형태의 폭정(공산주의)으로 대체했을 뿐이라고 평가했다.[85]
7. 1. 다양한 관점과 논쟁점
러시아 혁명은 폭력 혁명의 정당성, 혁명의 성격, 혁명 이후의 혼란과 전시 공산주의 정책, 일당 독재 체제 등 다양한 쟁점을 둘러싸고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10월 혁명에서 볼셰비키의 권력 장악은 현재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레닌의 지도력과 대중의 지지가 있었다는 견해가 있는 반면, 볼셰비키의 권력 탈취는 쿠데타이며 이는 독재로 이어졌다는 견해도 있다.
10월 혁명은, 최초에 발발한 2월 혁명은 자연 발생적인 혁명이었으며, 어떤 정치 세력도 혁명의 전개를 주도하고 있지 않았고, 오히려 급격한 전개를 뒤쫓는 형태였다. 그러나 수립된 임시 정부가 정세를 통제할 수 없는 가운데, 레닌의 지휘 아래 볼셰비키가 정세를 선도하게 되었고, 10월 혁명에서는 볼셰비키당의 무장 조직이 케렌스키 등 임시 정부의 각료를 체포하고 권력 장악을 강행했다.[110] 이 무력에 의한 권력 탈취에 대해, 혁명이라기보다는 쿠데타라고 해야 한다는 비판이 러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는 게오르기 플레하노프에 의해 제기되었고, 막심 고리키는 민주주의에 대한 수치스러운 행위라고 비난했다.[110] 볼셰비키 지도부의 그리골리 지노비예프와 루이코프도 힘에 의한 권력 탈취를 비판했다.[110]
혁명 과정에서 공공 질서와 시민의 안전을 보장해야 할 공적인 폭력 기관이 붕괴되고 폭력이 방치되면서 공적 폭력과 사적 폭력의 차이가 사라졌다.[107] 궁극적 제재 수단(ultima ratio)이 없는 정치 체제에서는 법치는 불가능하며, 사회 갈등 해결의 유일한 수단이 폭력이 되는 것은 필연적이었고, 이러한 사회적 폭력화는 시민들을 잔인하게 만들었다.[107] 구세계의 가치관이 배제되고 급격한 사회·정치적 변동 속에서 선악의 개념이 혼란스러워지고 합법성과 범죄성의 차이가 모호해졌다. 계급 대립이 심화됨과 동시에 개인 재산과 생명의 불가침성이 공격받았다. 마르크스주의의 정치 이데올로기는 계급 증오와 복수심을 부추겨 사회의 범죄화에 박차를 가했다.[107]
마틴 말리아에 따르면, 지금까지 유럽의 혁명에서는 구체제가 타도되면 어떤 사회 집단이 몰락하는 한편, 다른 사회 집단이 부상했다. 프랑스 혁명에서는 귀족이나 성직자의 지위는 몰락하는 한편, 중산층이나 농민의 지위가 높아졌고, 그곳에서는 집단의 지위가 변화하는 일은 있어도 어느 한쪽이 철저히 배제되는 일은 없었다.[111] 그러나 러시아 혁명에서는 “평범한 사람들”, “노동 대중”보다 상위의 사회 계급은 모두 억압적인 사회 집단으로서 제거되었다.[111] 귀족, 성직자, 자유주의적인 전문직, 중산층 등은 사회 집단으로서 소멸했다. 재산과 지위를 박탈당한 개인의 대부분은 사회 집단으로서의 연결이 단절되고, 분쇄되었으며, 신제도 하에서 법적으로도 차별받고, 참정권도 박탈당했고, 식량 배급도 줄었다.[111] 이렇게 소비에트 러시아에서는 시민 사회가 소멸하고, 획일적인 “노동 대중”만이 남았다.[111]
역사학자 오란도 파이지스도 10월 혁명은 러시아 혁명의 화려한 상징으로 기존에 이야기되어 왔지만, 주민 대부분도 눈치채지 못한 채 이루어진 소규모 군사 쿠데타가 실태였다고 1996년 저서에서 판단하고 있다.[112][108]
역사학자 콘라트 H. 야라오슈에 따르면, 10월 혁명은 “아래로부터의 민중 혁명을 가장한 소수파에 의한 쿠데타”였다. 1905년이나 1917년 2월 혁명과는 달리, 볼셰비키에 의한 권력 장악은 풀뿌리에서 자연 발생적인 봉기가 아니라, 급진파가 계획하고 실행한 반란이었다. 레닌들은 민주주의의 형식적인 절차를 중시하지 않고, 자신의 선을 확신하고 있으며, 사람들을 자신의 지도에 따르도록 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1913년 러시아 인구는 1억 6,900만 명이었고, 1917년 산업 노동자는 340만 명으로 인구의 2%에 불과했다. 수도 페트로그라드의 노동자들조차 도시 출신은 2할 정도였고, 나머지는 농민 출신이었다.[109] 즉, 노동자가 거의 없는 곳에서 '프롤레타리아 독재'가 탄생한 것이며, 지노비예프는 볼셰비키를 "존재하지 않는 계급의 전위당"이라고 불렀다.[109] 시모다 신오는 "러시아 혁명이 노동자 혁명이라는 것은 신화와 같다"고 말한다.[109]
7. 2. 역사적 의의
러시아 혁명은 20세기 세계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특히 사회주의 운동과 냉전 구도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대안 모색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복지 국가 개념 형성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이 혁명은 공산주의 상징주의가 광범위하게 나타난 현장이었다. 특히 1917년 10월 혁명을 상징하는 낫과 망치는 1924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SSR)의 공식 상징이 되었고, 이후 공산주의 전체의 상징이 되었다.[68] 볼셰비키는 혁명 자체를 정치적이고 상징적인 질서로 묘사하여 공산주의를 메시아니즘적 신앙, 즉 공산주의 메시아니즘으로 묘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68]
레온 트로츠키는 세계 혁명의 성공 없이는 러시아에서 사회주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1918년-19년 독일 혁명,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등 초기 혁명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1921년 몽골 혁명만이 마르크스주의 운동이 권력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조세프 스탈린은 한 국가 내에서의 사회주의가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트로츠키의 주장을 반박했다. 스탈린은 레닌 사후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당내 경쟁자들을 제거하고 1928년까지 당 지도부의 확고한 지위를 차지했다.[73]
러시아 혁명은 제국주의와의 단절로 인식되어 다양한 시민권 운동과 탈식민화 투쟁에 영향을 주었고, 전 세계의 억압받는 집단에게 공간을 제공했다. 소비에트 연방은 유럽 식민 세력에 대항하여 많은 반식민지 제3세계 운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했다.[70]
혁명에 대한 역사 연구는 정치적 영향을 크게 받았다. 주요 학파로는 소비에트-마르크스주의 관점, 서구 토털리타리즘 관점, 수정주의(트로츠키주의) 관점이 있다.[71] 1991년 공산주의(그리고 소련)의 몰락 이후 서구-토털리타리즘 관점이 다시 지배적이 되었고, 소비에트-마르크스주의 관점은 주류 정치 분석에서 사실상 사라졌다.[72]
트로츠키주의 이론가들은 일당 국가가 볼셰비키 행동의 자연스러운 결과라는 견해에 이의를 제기했다.[87] 조지 노박은 볼셰비키가 좌파 사회혁명당과 정부를 구성하고 멘셰비키와 같은 다른 당을 정치적 합법성에 포함시키려는 초기 노력을 강조했다. 토니 클리프는 볼셰비키-좌파 사회혁명당 연립 정부가 여러 가지 이유로 입헌 의회를 해산했다고 주장했다.[89]
참조
[1]
논문
David R. Stone, The Russian Army in the Great War: The Eastern Front 1914–1917
https://journals.ope[...]
2017-10-08
[2]
웹사이트
Food and Nutrition (Russian Empir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WW1)
https://encyclopedia[...]
2022-01-14
[3]
서적
A Peoples Tragedy
[4]
서적
The origins of the Russian Revolution, 1861–1917
Routledge
[5]
서적
Reinventing Russia
History Teachers Association of Victoria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Peasant Russia: Family and Community in the Post Emancipation Period
Princeton
[10]
서적
Labor and Society in Tsarist Russia: The Factory Workers of St. Petersburg, 1855–1870
Stanford
[11]
웹사이트
The Russian Revolution Boundless World History
https://courses.lume[...]
2021-03-03
[12]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13]
서적
The Revolution of 1905: A Short History
[14]
서적
Nicholas II: Emperor of all the Russias
London
[15]
서적
The End of the Russian Imperial Army
Princeton
[16]
서적
Patriotic Culture in Russia During World War I
Ithaca
[17]
서적
A People's Tragedy
[18]
서적
The End of the Russian Imperial Army
[19]
문서
Doklad petrogradskogo okhrannogo otdeleniia osobomu otdelu departamenta politsii ["Report of the Petrograd Okhrana to the Special Department of the Department of the Police"]
1916-10
[20]
서적
[21]
뉴스
When women set Russia ablaze
http://www.fifthinte[...]
2007-07-11
[22]
서적
Russia's second revolution: the February 1917 uprising in Petrograd
Indiana UP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논문
Corporatism or democracy: the Russian Provisional Government of 1917
[30]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A Personal Record
Oxford
[31]
서적
The February Revolution, Petrograd, 1917: The End of the Tsarist Regime and the Birth of Dual Power
Brill
[32]
서적
The 'Russian' Civil Wars, 1916–1926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33]
서적
One of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the Revolution
Progress Publishers
1964
[34]
서적
Bukharin and the Bolshevik Revolution: A Political Biography 1888–1938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Bukharin and the Bolshevik Revolution: A Political Biography 1888–1938
[36]
서적
State and Revolution
Progress Publishers
[37]
서적
The Bolsheviks Must Assume Power
Progress Publishers
[38]
웹사이트
Leadership in the Russian Revolution of Vladimir Lenin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4-08-22
[39]
서적
Evgeny Pashukanis: A Critical Reappraisal
https://books.google[...]
Routledge
[40]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1]
서적
Red October: The Bolshevik Revolution of 1917
Macmillan
[42]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the Russ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994-12-05
[43]
서적
The French Revolutionary Tradition in Russian and Soviet Politics, Political Thought,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A New History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7-05-30
[45]
웹사이트
Allied War in Russia, 1918–22
http://www.criticale[...]
[46]
서적
The Stalin School of Falsification
https://books.google[...]
Pioneer Publishers
[47]
논문
Lenin’s Theory of Socialist Revolution
[48]
서적
The Prophet: The Life of Leon Trotsky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5-01-05
[49]
서적
The Prophet Armed
[50]
학술지
A Map of the Election to the Russian Constituent Assembly of 1917
https://www.jstor.or[...]
[51]
서적
The Bolsheviks in power: the first year of Soviet rule in Petrograd
Indiana UP
[52]
백과사전
Civil War and military intervention in Russia 1918–20
Big Soviet Encyclopedia
[53]
학술지
The Ideology of the White Movement
[54]
서적
Red Advance, White Defeat: Civil War in South Russia 1919–1920
New Acdemia+ORM
[55]
서적
Behind the Front Lines of the Civil War: Political Parties and Social Movements in Russia, 1918-1922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3-08
[56]
서적
The Russian Civil War, 1918–1921: An Operational-Strategic Sketch of the Red Army's Combat Operations
https://books.google[...]
Casemate Academic
2020-06-30
[57]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12
[58]
서적
A History of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59]
문서
The Kronstadt Mutiny notes on Orlando Figes, A People's Tragedy (1996)
[60]
웹사이트
Petrograd on the Eve of Kronstadt rising 1921
http://flag.blackene[...]
1921-03-10
[61]
서적
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1891–1924
Viking Press
[62]
서적
Kronstadtin kapina 1921 ja sen perilliset Suomessa (Kronstadt Rebellion 1921 and Its Descendants in Finland)
[63]
학술지
Quantifying Counter-Revolution: Legal Statistics and Revolutionary Justice during Russia's Civil War, 1917–1922
2016-11-25
[64]
웹사이트
Decree on Revolutionary Tribunals
https://www.marxists[...]
[65]
서적
The Romanovs: The Final Chapte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66]
서적
Lenin: A New Biography
Free Press
[67]
서적
The Last Tsar: The Life And Death Of Nicholas II
Knopf
[68]
학술지
The Power of Symbols—Communism and Beyond
2012-09
[69]
웹사이트
The Russian Revolutions: The Impact and Limitations of Western Influence
https://scholar.dick[...]
[70]
서적
Sociology in Post-Normal Time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2-02-28
[71]
서적
Critical Companion
[72]
서적
Critical Companion to the Russian Revolution, 1914–1921
Indiana University Press
[73]
웹사이트
Trotsky's Struggle against Stalin
https://www.national[...]
2018-09-12
[74]
논문
Trotsky's Interpretation of Stalin
https://www.jstor.or[...]
1961
[75]
웹사이트
British Library
https://www.bl.uk/ru[...]
[76]
논문
Review of Homosexual Desire in Revolutionary Russia: The Regulation of Sexual and Gender Dissent
https://www.jstor.or[...]
2003
[77]
논문
The Bolsheviks' Dilemma: Class, Culture, and Politics in the Early Soviet Years
https://www.jstor.or[...]
1988
[78]
웹사이트
The Russian Civil War » HI 446 Revolutionary Russia
https://sites.bu.edu[...]
[79]
논문
Allied Intervention and the Russian Civil War, 1917–1922
https://www.jstor.or[...]
1989
[80]
웹사이트
The Red Army
https://alphahistory[...]
2019-08-16
[81]
뉴스
Russian Revolution: Ten propaganda posters from 1917
https://www.bbc.com/[...]
2017-11-05
[82]
논문
Revolution in Russia and China: 100 Years
http://www.ijors.net[...]
2017-07
[83]
서적
The Crimes Of The Stalin Era, Special Report To The 20th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https://archive.org/[...]
1956
[84]
웹사이트
Monthly Review
https://monthlyrevie[...]
2017-07-01
[85]
웹사이트
A Century of 1917s: Ideas, Represent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October Revolution, 1917–2017
https://www.husj.har[...]
[86]
서적
Leni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87]
웹사이트
Top 10 lies about the Bolshevik Revolution
https://www.marxist.[...]
2017-11-01
[88]
서적
Democracy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Pathfinder
1971
[89]
웹사이트
Revolution Besieged. The Dissolution of the Constituent Assembly
https://www.marxists[...]
[90]
서적
Was There an Alternative? Trotskyism: a Look Back Through the Years
Mehring Books
2021
[91]
뉴스
Chevengur — Andrey Platonov's risky critique of early Stalinism
https://www.ft.com/c[...]
2023-12-08
[92]
서적
Reference Guide to Russ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8
[93]
서적
Animal Farm
https://books.google[...]
Lorenz Educational Press
[94]
논문
Recreating 'History' on Film
https://www.tandfonl[...]
2007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ソヴィエトの悲劇
草思社
[105]
서적
[106]
서적
ソヴィエトの悲劇
草思社
1997
[107]
논문
犯罪,警察,サモスード : ロシア革命下ペトログラードの社会史への一試論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
1987
[108]
학술지
マルクス社会理論の形成とその問題性 : 社会主義崩壊とマルクスの責任をめぐって
https://koara.lib.ke[...]
慶應義塾経済学会
2012-01
[109]
서적
ソ連=党が所有した国家
講談社選書メチエ
2002
[110]
서적
ソ連=党が所有した国家
講談社選書メチエ
2002
[111]
서적
ソヴィエトの悲劇
草思社
1997
[112]
서적
A people's tragedy: the Russian Revolution : 1891-1924
1996
[113]
서적
러시아 10월 혁명의 그날
사계절
[114]
서적
러시아 10월 혁명의 그날
사계절
[115]
서적
극단의 시대
까치글방
[116]
서적
마르크스의 사상
북막스
2002
[117]
서적
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
지식의 풍경
20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9월 5일 문학 새 책
헤이그 특사에서 볼셰비키 혁명까지
고향을 등진 러시아의 음악가
"엘리트의 과잉 생산이 국가 위기 원인"…'국가는 어떻게 무너지는가'
붓그림에 압축한 ‘로마의 휴일’…이게 다 포스터라고?
11비트 스튜디오, 야심작 ‘디 쏘마터지’ 플레이 영상 공개 – 바이라인네트워크
11비트 스튜디오, 다크판타지 대작 ‘디 쏘마터지’ 최초 공개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