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 소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의 소리는 1964년 9월 몽골어와 중국어 방송을 시작했으며, 1989년 1월 20일부터 일본어 방송을 개시한 몽골의 국제 방송이다. 뉴스, 몽골 관련 정보, 최신 유행곡 등을 방송하며, 몽골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러시아어로 방송을 제공한다. 모든 방송은 몽골 울란바토르 동쪽 콩코르 송신소에서 송출되며, 2010년대에는 일본어 방송이 가장 많은 청취자를 확보했다. 몽골의 소리는 중파 990kHz와 단파 12,085kHz, 12,015kHz를 통해 방송되며, 2021년 12월 4일 현재 단파 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동양방송
동양방송은 삼성의 투자로 개국한 라디오서울을 모태로, 라디오와 TV 방송국을 통합하여 운영되었던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사였으나,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KBS에 강제 통폐합되었다. - 1964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튀르키예 라디오 텔레비전 공사
튀르키예 라디오 텔레비전 공사(TRT)는 튀르키예의 공영 방송사로, 국내외 시청자를 위해 다양한 텔레비전 및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뉴스, 드라마, 스포츠, 어린이 프로그램, 음악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 단파방송 - KBS 제1라디오
KBS 제1라디오는 1927년에 개국하여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1994년 광고방송을 폐지하고 수신료로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라디오 채널이다. - 단파방송 - KBS 한민족방송
KBS 한민족방송은 1948년 서울중앙방송국 국제방송으로 시작하여 KBS 제3방송, 사회교육방송을 거쳐 200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수신료로 운영되고 해외 거주 한국인을 대상으로 뉴스, 음악, 이산가족 및 탈북자 관련 프로그램 등을 AM, 단파, 인터넷 라디오로 방송하는 한국어 라디오 방송이다.
몽골의 소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몽골의 소리 |
영어 이름 | Voice of Mongolia |
약칭 | VOM |
방송 정보 | |
소유주 | 몽골 국영 방송 |
사용 언어 | 몽골어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 일본어 |
개국일 | 1964년 10월 |
웹사이트 | http://www.vom.mn |
주파수 정보 | |
주파수 1 | 12085kHz |
주파수 2 | 12015kHz |
방송 대상 지역 | 일본 |
2. 역사
1964년 9월 몽골어와 중국어 방송을 시작했고[1], 1989년 1월 20일 일본어 방송을 개시했다.
2. 1. 방송 시작과 발전
1964년 9월 몽골어와 중국어 방송을 시작했다.[1] 1989년 1월 20일에는 일본어 방송을 개시했다.3. 방송 프로그램
뉴스, 몽골의 정보, 최신 히트곡 등으로 구성된다. 매주 일요일에는 "위크엔드 스페셜"에서 엽서 소개가 있다.
4. 방송 언어
몽골의 소리는 몽골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 러시아어로 방송된다.[1]
방송 언어 | 방송 시작 (JST) | 방송 종료 (JST) | 송신 방향 | 주파수 |
---|---|---|---|---|
몽골어 | 18:30 | 19:00 | 아시아 | 990kHz (중파), 12,085kHz (단파)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19:00 | 19:30 | 아시아 | 990kHz (중파), 12,085kHz (단파) |
영어 | 18:00 | 18:30 | 아시아 | 12,085kHz (단파) |
일본어 | 19:30 | 20:00 | 아시아 | 12,085kHz (단파) |
일본어 (재방송) | 22:00 | 22:30 | 아시아 | 12,015kHz (단파) |
몽골어 | 22:30 | 23:00 | 아시아 | 12,015kHz (단파) |
영어 | 23:00 | 23:30 | 유럽 | 6,005kHz (단파)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23:00 | 23:30 | 아시아 | 12,015kHz (단파) |
영어 | 23:30 | 00:00 | 아시아 | 12,015kHz (단파) |
몽골어 | 23:00 | 23:30 | 아시아 | 990kHz (중파)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23:30 | 00:00 | 아시아 | 990kHz (중파) |
송신 출력은 중파 500kW, 단파 250kW이다. 유럽향 방송은 독일 Kall-Krekei 송신소에서 방송된다.
5. 송출
몽골의 소리는 울란바토르에서 동쪽으로 약 25km 떨어진 콩코르 송신소에서 방송을 송출한다. 1960년대 중반에 제작된 소련제 송신기 및 커튼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며, 동아시아, 남아메리카, 남아시아, 남아프리카, 유럽 등지에서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전파 상태와 주파수 혼잡에 따라 수신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1]
2010년대에는 일본에서 몽골의 소리 일본어 방송 청취자가 가장 많았고, 관련 피드백도 가장 많이 받았다.[1]
5. 1. 송신소
몽골의 소리의 모든 방송은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동쪽으로 약 25km 떨어진 콩코르 송신소에서 직접 송출된다. 이 방송국은 1960년대 중반에 제작된 소련제 100kW, 250kW, 500kW 송신기 및 커튼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다. 동아시아로 송출되는 전파는 남아메리카에서도 수신 상태가 양호하며, 남아시아로 송출되는 전파는 남아프리카와 유럽에서도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신은 전파 전파 상태와 주파수 혼잡의 영향을 받는다.[1]2010년대에 몽골의 소리 일본어 방송은 가장 많은 청취자를 확보했으며, 이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은 일본에서 가장 많이 들어왔다.[1]
- 중파 990kHz의 송신출력은 500kW (일본어 방송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 단파 12,085kHz 및 12,015kHz의 송신 출력은 250kW.
- 송신소의 위치는 북위 47° 55′ 0″ 동경 107° 0′ 0″ 부근이다.
5. 2. 송신기
몽골의 소리의 모든 방송은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동쪽으로 약 25km 떨어진 콩코르 송신소에서 직접 송출된다. 이 방송국은 1960년대 중반에 제작된 소련제 송신기(100kW, 250kW, 500kW) 및 커튼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다. 동아시아로 송출되는 전파는 남아메리카에서도 수신 상태가 양호하며, 남아시아로 송출되는 전파는 남아프리카와 유럽에서도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신은 전파 전파 상태와 주파수 혼잡의 영향을 받는다.[1]2010년대에 몽골의 소리 일본어 방송은 가장 많은 청취자를 확보했으며, 이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은 일본에서 가장 많이 들어왔다.[1]
- 중파 990kHz의 송신출력은 500kW (일본어 방송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 단파 12,085kHz 및 12,015kHz의 송신 출력은 250kW.
- 송신소의 위치는 북위 47° 55′ 00″ 동경 107° 00′ 00″ 부근이다.
5. 3. 수신
몽골의 소리의 모든 방송은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동쪽으로 약 25km 떨어진 콩코르 송신소에서 직접 송출된다. 이 방송국은 1960년대 중반에 제작된 소련제 100kW, 250kW, 500kW 송신기 및 커튼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다. 동아시아로 송출되는 전파는 남아메리카에서도 수신 상태가 양호하며, 남아시아로 송출되는 전파는 남아프리카와 유럽에서도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신은 전파 전파 상태와 주파수 혼잡의 영향을 받는다.2010년대에 몽골의 소리 일본어 방송은 가장 많은 청취자를 확보했으며, 이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은 일본에서 가장 많이 들어왔다.[1] 수신 확인증은 국제반신우표권(IRC) 1매 또는 미국 1USD 지폐를 동봉하여 요청할 수 있다.
5. 4. 수신 보고
국제반신우표권(IRC) 1매 또는 1USD 지폐를 동봉한다.6. 방송 시간 및 주파수 (JST)
2021년 12월 4일 현재 방송 시간 및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방송 언어 | 방송 시작 (JST) | 방송 종료 (JST) | 송신 방향 | 주파수 |
---|---|---|---|---|
몽골어 | 18:30 | 19:00 | 아시아 | 990kHz (중파)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19:00 | 19:30 | 아시아 | 990kHz (중파) |
몽골어 | 23:00 | 23:30 | 아시아 | 990kHz (중파)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23:30 | 00:00 | 아시아 | 990kHz (중파) |
영어 | 18:00 | 18:30 | 아시아 | 12,085kHz (단파) |
몽골어 | 18:30 | 19:00 | 아시아 | 12,085kHz (단파)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19:00 | 19:30 | 아시아 | 12,085kHz (단파) |
일본어 | 19:30 | 20:00 | 아시아 | 12,085kHz (단파) |
일본어 (재방송) | 22:00 | 22:30 | 아시아 | 12,015kHz (단파) |
몽골어 | 22:30 | 23:00 | 아시아 | 12,015kHz (단파) |
영어 | 23:00 | 23:30 | 유럽 | 6,005kHz (단파)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23:00 | 23:30 | 아시아 | 12,015kHz (단파) |
영어 | 23:30 | 00:00 | 아시아 | 12,015kHz (단파) |
6. 1. 중파
- 50kW 송신기 3기
- 100kW 송신기 1기
- 250kW 송신기 1기
- 500kW 송신기 1기
- 중파 990kHz의 송신출력은 500kW이다(일본어 방송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 송신소의 위치는 북위 47도 55분 00초, 동경 107도 00분 00초 부근이다.[1]
방송 언어 | 방송 시작 | 방송 종료 | 송신 방향 | 주파수 (중파) |
---|---|---|---|---|
몽골어 | 1830 | 1900 | 아시아 | 990kHz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1900 | 1930 | 아시아 | 990kHz |
몽골어 | 2300 | 2330 | 아시아 | 990kHz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2330 | 0000 | 아시아 | 990kHz |
6. 2. 단파
- 50kW 송신기 3기
- 100kW 송신기 1기
- 250kW 송신기 1기
- 500kW 송신기 1기
단파 12085kHz 및 12015kHz의 송신 출력은 250kW이다. 송신소의 위치는 47 부근이다.
방송 언어 | 방송 시작 | 방송 종료 | 송신 방향 | 주파수 (단파) |
---|---|---|---|---|
영어 | 1800 | 1830 | 아시아 | 12085kHz |
몽골어 | 1830 | 1900 | 아시아 | 12085kHz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1900 | 1930 | 아시아 | 12085kHz |
일본어 | 1930 | 2000 | 아시아 | 12085kHz |
일본어 (재방송) | 2200 | 2230 | 아시아 | 12015kHz |
몽골어 | 2230 | 2300 | 아시아 | 12015kHz |
영어 | 2300 | 2330 | 유럽 | 6005kHz |
중국어 (베이징 관화) | 2300 | 2330 | 아시아 | 12015kHz |
영어 | 2330 | 0000 | 아시아 | 12015kHz |
송신 출력: 단파는 250kW이다. 유럽향 방송은 독일 Kall-Krekei 송신소에서 방송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