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묘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묘목은 식물을 번식시키기 위해 재배하는 어린 나무를 의미한다. 육성 방법에 따라 종자에서 기른 실생묘, 삽수나 접수를 이용한 무성번식묘(삽목묘, 접목묘, 취목묘) 등으로 나뉘며, 출하 방식에 따라 나목묘, 포트묘, 컨테이너묘로 구분된다. 묘목 생산에는 묘포장이나 시설 양묘장이 필요하며, 파종량 계산, 파종 시기, 파종법 등이 중요하다. 한국에서는 녹화용과 임업용 묘목을 생산하며, 기술 개발과 우량 묘목 생산 및 공급 확대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업 - 재목
    제재목은 나무를 깎아 만든 건축 자재로, 용도와 규격, 강도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며, 건축 구조재, 가구, 인테리어 등에 사용되고, 자연적 요인과 가공 과정에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방부 처리 등을 통해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 임업 - 벌채
    벌채는 다양한 도구와 기술을 사용하여 나무를 베어내는 행위로, 산업적 방식과 원목 처리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안전 수칙 준수가 필수적이고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조경 - 가로수길
    가로수길은 고대 이집트, 중국, 프랑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택이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무들의 배열로, 햇빛을 가리고 바람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와 교통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는 조경 요소이다.
  • 조경 - 정원 디자이너
    정원 디자이너는 조경 기본 설계와 정원 디자인을 수행하며 부지 조사, 디자인, 도면 준비, 자재 조달, 시공 감독, 유지 관리 등의 업무를 하는 전문가로, 현대에는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이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나무 - 커스터드애플
    커스터드애플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이 원산인 뽀뽀나무과에 속하는 작은 교목으로, 전 세계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며, 단맛이 나는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가공하여 섭취하고 씨앗, 잎, 나무껍질 등은 약재로도 사용되는 식물이다.
  • 나무 - 가로수길
    가로수길은 고대 이집트, 중국, 프랑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택이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무들의 배열로, 햇빛을 가리고 바람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와 교통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는 조경 요소이다.
묘목
묘목
사과나무 묘목
사과나무 묘목
학문 분야임업, 농업
특징
정의식재를 위해 육성된 어린 나무
종류실생묘
삽목묘
접목묘
분묘
육성
방법종자 파종
삽목
접목
조직 배양
관리물주기
비료 주기
병충해 방제
가지치기
활용
용도조경
과수 재배
산림 조성
식재 시기봄, 가을

2. 육성 방법에 따른 분류

묘목은 육성 방법에 따라 크게 실생묘와 무성번식묘로 나눌 수 있다. 실생묘는 종자에서 기른 묘목이며, 무성번식묘에는 삽목묘, 접목묘, 산취묘 등이 있다.[1]


  • 삽목묘: 삽수로 기른 묘목
  • 접목묘: 대목에 접수하여 기른 묘목
  • 산취묘: 산림 내에 자생하고 있는 유년수를 캐어 온 묘목

2. 1. 실생묘

실생묘는 종자를 파종하여 생산한 묘목이다. 묘포장이나 시설 양묘장에서 묘목을 생산하며, 밭갈이, 쇄토, 상 만들기 등의 과정을 거친다. 밭갈이는 토양을 부드럽게 하고 배수와 통기성을 개선하며, 쇄토는 흙덩이를 잘게 부수고 자갈이나 풀뿌리 같은 장애물을 제거한다. 상 만들기는 묘목 생산을 위한 파종상을 만드는 작업으로, 소나무상, 상수리나무상, 오리나무상, 호두나무상, 버드나무상 등이 있다.

묘목의 우수성은 임업, 농업의 수익과 녹화 경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묘목의 높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율, 뿌리량, 뿌리 뻗음 등을 기준으로 엄격하게 선발한다.[1]

2. 1. 1. 파종량

m²당 파종량은 가을 잔존 본수, 순량률, 1g당 종자 입수, 묘목 잔존율 등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파종량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X=N/(RHKY)

  • X: m²당 파종량
  • R: 1m²당 가을 잔존 본수
  • H: 순량률
  • N: 1g당 종자 입수
  • Y: 묘목 잔존율 (이론 발아 수와 그해 가을에 성립되는 묘목 수의 백분비)


이때 순량률은 채집된 종자 중 건전한 종자의 비율을 나타내고, 발아율은 일정 기간 내에 발아된 종자의 수를 전체 시료 종자의 수로 나눈 백분율을 의미하며, 득묘율은 경험적으로 얻어진 수치를 뜻한다.

2. 1. 2. 파종 시기

수종, 기후, 지역에 따라 파종 시기가 다르다. 대부분 봄에 언 땅이 풀릴 때 파종하는 것이 좋으나 신갈나무와 같은 일부 수종은 가을에, 버드나무류, 사시나무류, 회양목 등은 여름에 채종하자마자 파종하는 것이 좋다.

2. 1. 3. 파종법

파종법은 크게 흩어뿌림, 줄뿌림, 점뿌림으로 나뉜다. 소나무류, 삼나무, 편백나무, 낙엽송, 가문비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은 흩어뿌림을 한다. 아까시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옻나무 등은 줄뿌림을, 밤나무, 호두나무, 침엽수 등은 점뿌림을 한다.

2. 2. 무성번식묘

영양 생식으로 생산한 묘목이다. 삽목묘, 접목묘, 취목묘 등이 이에 해당한다. 묘목의 품질은 임업이나 농업에서는 수확량, 조경에서는 경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묘목의 높이, 지상부와 지하부의 비율, 뿌리량, 뿌리 뻗음률 등과 같은 정량적, 정성적 평가를 통해 엄격하게 선발된다.[1]

2. 2. 1. 삽목묘

대부분의 식물은 세포, 조직 또는 기관 일부분을 이용하여 전체 식물체를 복원할 수 있는 전형성능을 지니고 있다. 이 전형성능을 이용하여 식물체 부분으로 전체 식물체를 생산해 내는 것을 꺾꽂이라고 한다. 이러한 꺾꽂이를 통해 형성된 묘목이 삽목묘이다.

2. 2. 2. 접목묘

접목은 서로 다른 식물체의 조직을 연결시켜 상호 보완적으로 뿌리, 줄기, 잎을 구성하는 생리적인 생명공동체를 만들어 주는 무성번식 기술이다. 접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수목의 유전적 특성을 유지한 채 하나의 식물체로 보이게끔 만드는 방법이다. 이러한 접목을 통해 형성된 묘목이 접목묘이다.

2. 2. 3. 취목묘

취목은 모식물에 붙어 있는 가지에서 부정근을 발생시켜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분리시키는 무성 번식 방법이다. 취목은 모식물에 붙어 있는 상태로 수분과 양분을 공급받으면서 부정근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삽목 발근이 어려운 수종을 번식시킬 때 사용된다. 취목묘는 이러한 취목을 통해 형성된 묘목이다. 취목의 종류로는 단부취목, 단순취목, 파장취목, 맹아지취목, 매간취목, 공중취목이 있다.

3. 출하 방법에 따른 분류

묘목은 출하 방법에 따라 나목묘, 포트묘, 컨테이너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2]

3. 1. 나목묘

뿌리에 붙은 흙을 털어내어 뿌리가 드러난 묘목이다. 식물의 휴면기인 가을부터 이른 봄에 식재할 때 사용된다.[2]

3. 2. 포트묘

포트묘는 비닐 포트 등의 간이 용기에 토양을 넣고 그 토양 속에서 키운 묘목이다. 계절에 관계없이 기를 수 있지만, 흙째 옮기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가고, 뿌리가 포트 안에서 엉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3]

3. 3. 컨테이너묘

컨테이너묘는 멀티캐비티 컨테이너라는 구멍이 연결된 트레이에서 생산하는 묘목이다. 2010년경부터 국유림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도입이 추진되었지만, 생산 비용과 식재 후 성장 등 불확실한 점이 많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2]

4. 한국의 묘목 생산

한국에서는 정원이나 가로수 등에 사용되는 녹화용 묘목이 연간 1억 1,395만 본, 임업용 묘목은 연간 7,000만 본이 생산되고 있다(2008년 기준).[4]

참조

[1] 서적 森林土木技術者のための環境保全用語辞典 苗木の項 森林土木コンサルタンツ
[2] PDF コンテナ苗を使ってみませんか https://www.ffpri.af[...] 森林総合研究所
[3] 웹사이트 コンテナ苗ってなに? http://rashinban-mor[...] 日本森林技術協会 2020-05-14
[4] 간행물 森林林業統計要覧2009 日本森林林業振興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