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치경 비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치경 비음은 조음 방법, 조음 위치, 발성 방식 등에서 특징을 가지는 자음으로, 혀를 치조나 그 주변에 대고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코로 내는 무성음이다.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며, 버마어, 에스토니아어, 아이슬란드어 등에서 독립적인 음소로 나타난다. 한국어에서는 독립적인 음소로 존재하지 않지만, 무성 자음 뒤에 오는 비음이 부분적으로 무성음화되는 현상을 통해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강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비강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 치경음 - 무성 치경 파열음
무성 치경 파열음은 폐에서 나오는 공기로 혀끝과 치조 사이에서 발음되는 소리로, 혀로 공기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이며, 한국어의 ㄷ, ㅌ, ㄸ, 영어의 't', 일본어의 た(タ) 등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치경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무성 치경 비음 |
---|
2. 특징
무성 치경 비음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자,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일부를 코로 흐르게 했다가 내는 비음이다.
- 혀를 치조나 그 주변에 대는 치조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조음 위치의 변종'''
- n̥에는 네 가지 특정 변종이 있다.
- * 치아음: 혀끝이나 혀의 앞날을 윗 이에 대어 발음한다. (설단음/설첨음)
- * 치경 치음: 혀의 앞날을 치조제에 대고 혀끝을 윗니 뒤에 대어 발음한다.
- * 치경음: 혀끝이나 혀의 앞날을 치조제에 대어 발음한다. (설단음/설첨음)
- * 후치경음: 혀끝이나 혀의 앞날을 치조제 뒤에 대어 발음한다. (설단음/설첨음)
2. 1. 조음 방법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일부를 코로 흐르게 했다가 내는 비음이다.
- 혀를 치조나 그 주변에 대는 치조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2. 2. 조음 위치의 변종
- 무성 치경 비음에는 네 가지 특정 변종이 있다.
- * 치아음: 혀끝이나 혀의 앞날을 윗 이에 대어 발음한다. (설단음/설첨음)
- * 치경 치음: 혀의 앞날을 치조제에 대고 혀끝을 윗니 뒤에 대어 발음한다.
- * 치경음: 혀끝이나 혀의 앞날을 치조제에 대어 발음한다. (설단음/설첨음)
- * 후치경음: 혀끝이나 혀의 앞날을 치조제 뒤에 대어 발음한다. (설단음/설첨음)
3. 언어별 사용
무성 치경 비음은 여러 언어에서 발견된다. 버마어, 중앙알래스카 유픽어, 에스토니아어, 아이슬란드어, 할라파 마사테카어, 킬딘 사미어, 웨일스어, 쉬미어, 알류트어, 알루티크어, 영어의 일부 방언, 흐몽어 등에서 사용된다.
이 소리는 특정 환경에서 나타나는데, 에스토니아어에서는 /t/, /s/, /h/ 뒤에 오는 /n/의 어말 이음으로 나타나고, 웨일스어에서는 /t/의 비음 변형과 대조된다. 영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knee'(/niː/)와 같이 /n/과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다.
3. 1. 사용 예시
언어 | 단어 | IPA | 뜻 | 설명 |
---|---|---|---|---|
버마어 | နှာ|hna:my | '코' | ||
중앙알래스카 유픽어 | ceńaesu | '가장자리' | ||
에스토니아어 | lasnet | '나무 주걱' | 뒤에 오는 의 어말 이음이다.[1] | |
아이슬란드어 | hnífuris | '칼' | ||
할라파 마사테카어 | 'hn'e | '폭포' | 유성음과 후두화 치경 비음과 대조된다. | |
킬딘 사미어 | чоӊтэ|čohntesjd | '돌다' | ||
웨일스어 | fy nhadcy | '나의 아빠' | 의 비음 변형과 대조된다. | |
쉬미어 | (낮음) | '털' | 유성음 과 대조된다. | |
(높음) | ||||
알류트어 | uhngixale | '오빠(남성)' | 무성 접근음과 비음은 무성 자음과 접촉하거나 단어의 끝에서 부분적으로 무성음이 될 수 있다. | |
알루티크어 | pathn'''arluniems | '(날씨) 춥다' | 유성 과 대조. | |
미얀마어 | နှစ်|hnacmy | '둘' | ||
영어 (RP) | chutney | 처트니 | [1] | |
cotton | 면 | |||
영어 (일부 방언) | knee | 무릎 | 여러 방언에서 나타난다. 과 동일할 수 있다. | |
흐몽어 (백색 흐몽어) | '날' | 유성 과 대조. 그린 몽어에서는 과 합쳐졌다. | ||
수미어 | (하위) | '모피, 동물의 털' | 유성 과 대조. | |
(상위) |
3. 2. 한국어에서의 사용
한국어에는 무성 치경 비음이 독립된 음소로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특정 환경에서 무성 자음 뒤에 비음이 올 때 부분적으로 무성음화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예: '없는' → [엄는] → [엄̥는]) 한국어 화자들은 무성 치경 비음을 접할 때, 이를 유성 치경 비음 /n/으로 인식하거나, 다른 비슷한 소리로 대체하여 발음하는 경향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