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배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배주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주이다. 본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인근에서 마시던 향토주로, 고려 시대 왕건에게 진상되어 왕이 즐겨 마셨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1986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빌 클린턴, 미하일 고르바초프 등 외국 귀빈 접대와 남북 정상회담 건배주로 사용될 정도로 한국을 대표하는 술 중 하나이다. 조, 수수, 누룩으로 빚는 순곡 증류주이며, 알코올 도수는 약 40%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증류주 - 이강주
이강주는 조선 중엽부터 전라도와 황해도에서 제조된 조선시대 5대 명주 중 하나로, 토종 소주에 배, 생강, 울금, 계피, 꿀 등을 넣어 만들며 고종 때 국가 대표 술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조정형 씨가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제조법을 잇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무형유산 - 송파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는 서울 송파구에서 전승되는 가면극으로, 12마당으로 구성되어 사회의 여러 단면을 해학적으로 묘사하며,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고, 독특한 탈과 배역을 통해 양주산대놀이와 차별화된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무형유산 - 강령탈춤
강령탈춤은 황해도 강령 지방에서 전승되는 해주탈춤의 한 갈래로, 7개의 마당으로 구성되어 사자춤, 양반춤, 노장춤, 영감·할미광대춤 등을 통해 벽사, 풍자, 저항, 서민 생활상 폭로 등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19개의 탈과 여러 악기로 연주되는 도드리, 타령, 굿거리장단 등이 특징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문배주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증류주 |
| 어원 | 문배나무 |
| 다른 이름 | 배꽃 이슬 이화주 |
| 문화재 정보 | |
| 유형 | 국가무형문화재 |
| 번호 | 86-1 |
| 지정일 | 1986년 11월 1일 |
| 주소 | 서울특별시 |
| 문화재청 | 17,00860100,11 |
| 한국어 정보 | |
| 한글 | 문배주 |
| 한자 | 문배酒 |
| 로마자 표기 | Munbaeju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Munbaeju |
| 어의 | Pyrus ussuriensis var. seoulensis 술 (문배나무 술) |
2. 역사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나, 본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인근에서 마시던 향토주였다. 1986년에 서울의 문배주, 충청남도 면천의 두견주, 경주 교동 최씨가의 법주가 국가무형문화재로 함께 지정되었다. 남북 정상 회담에서 양 정상이 건배하고 마신 술도 문배주일 정도로 한국을 대표하는 술 중 하나이다.[5]
2. 1. 고려시대
고려 시대에 어느 가문에서 조상 대대로 비밀스럽게 전해 내려오던 제조 방법대로 문배주를 빚어 왕건에게 진상했는데, 왕건이 매우 기뻐하면서 높은 벼슬을 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5] 왕건에게 바쳐진 문배주는 그 맛에 감탄한 왕으로부터 높은 벼슬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2] 이후 문배주는 왕들이 즐겨 마시는 술이 되었고, 현대에도 빌 클린턴, 미하일 고르바초프 등 귀한 외국인 손님의 환영연에서 대접하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5] 일제강점기에는 평양 주암산 아래에 있던 평창양조장이 문배주 제조로 유명했다.2. 2. 일제강점기
고려 시대에 어느 가문에서 조상 대대로 비밀스럽게 전해 내려오던 제조 방법대로 문배주를 빚어 왕건에게 진상했는데, 왕건이 매우 기뻐하면서 높은 벼슬을 주었다는 이야기가 전해 온다. 일제강점기에는 평양 주암산 아래에 있던 평창양조장이 문배주 제조로 유명했다.[5]2. 3. 현대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나, 본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양 인근에서 마시던 향토주였다.고려 시대부터 왕이 마시는 술로 알려졌고, 현대에도 귀한 외국인 손님의 환영연에서 문배주를 대접하는 전통이 있어 빌 클린턴, 미하일 고르바초프 등이 한국을 방문하여 문배주를 즐겼다.[5] 남북 정상 회담에서 양 정상이 건배하고 마신 술도 문배주일 정도로 한국을 대표하는 술 중 하나이다.
1986년에 서울의 문배주, 충청남도 면천의 두견주, 경주 교동 최씨가의 법주가 국가무형문화재로 함께 지정되었다.
3. 구성 및 제조 방법
문배주는 평안도 지방에서 전승되어 오는 술로, 술의 향기가 문배나무의 과실에서 풍기는 향기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누룩의 주원료는 밀이다. 술의 색은 엷은 황갈색을 띠며 문배향이 강하다. 증류 및 숙성이 끝난 문배주는 알코올 도수가 48.1도에 달하므로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다. 보통 6개월에서 1년 동안 숙성시키는데, 문배나무 과실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문배향을 풍기는 특징이 있다.[4]
3. 1. 재료
문배주는 조, 수수, 누룩으로 빚는 순곡 증류주이다. 다른 첨가물은 들어가지 않는다. 알코올 함량은 약 40%로 북쪽 지방의 술이라 독한 편이다. 도수가 높아 영구히 보관할 수 있다.[4]원료는 밀, 겉껍질을 벗긴 조, 수수, 누룩(발효종)이다.[4] 해방 전에는 평양 대동강 유역의 석회암층에서 솟아나는 지하수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에서 제조되는 술은 예전 평양의 문배주와는 달리 화강암층의 물을 사용한다.[4]
3. 2. 제조 과정
문배주는 다른 첨가물 없이 조, 수수와 누룩으로 빚는 순곡 증류주이다. 알코올 함량은 약 40%로 북쪽 지방의 술이라 독한 편이다. 도수가 높아 영구히 보관할 수 있다.[4] 대동강 인근의 석회암층 물로 술을 담가 마신 것이 시초라는 이야기가 전해오며,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에서 제조되는 술은 예전 평양의 문배주와는 달리 화강암층의 물을 사용한다.[4] 문배주는 밀, 겉껍질을 벗긴 조, 수수, 그리고 누룩(발효종)을 원료로 하여 증류하여 만든다.3. 3. 특징
문배주는 평안도 지방에서 전승되어 오는 술로, 술의 향기가 문배나무의 과실에서 풍기는 향기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문배주는 밀, 조, 수수를 원료로 하며, 누룩의 주원료는 밀이다. 술의 색은 엷은 황갈색을 띠며 문배향이 강하고, 알코올 도수는 본래 40도 정도이지만 증류 및 숙성이 끝난 문배주는 48.1도에 달하므로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다. 보통 6개월에서 1년 동안 숙성시켜 저장하는데, 문배나무의 과실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문배향을 풍기는 특징이 있다.
문배주는 다른 첨가물 없이 조, 수수와 누룩으로 빚는 순곡 증류주이다. 알코올 함량은 약 40%로 북쪽 지방의 술이라 독한 편이다. 도수가 높아 영구히 보관할 수 있다.
대동강 인근의 석회암층 물로 술을 담가 마신 것이 시초라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그러나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에서 제조되는 술은 예전 평양의 문배주와는 달리 화강암층의 물을 사용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ko:서울의 희귀종 문배나무 기준 표본목
https://web.archive.[...]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s Federation
2008-06-16
[2]
뉴스
Munbaeju, A Wine Fit for A King
https://web.archive.[...]
Arirang TV
2007-09-10
[3]
저널
서울의 희귀종 문배나무 기준 표본목
https://web.archive.[...]
2008-06-30
[4]
저널
'우리 술' 찾아 떠나는 한여름 풍류여행] 문배주에서 강쇠주까지 민속주 베스트10
http://www.donga.com[...]
[5]
뉴스
"대동강 물로 문배주 만들어 세계적 명주 키울것" - 김포 문배주 무형문화재 이기춘씨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8-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