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국방부 지휘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국방부 지휘센터(NMCC)는 펜타곤 내에 위치하며, 전 세계 사건 감시, 위기 대응, 전략 감시를 주요 임무로 수행하는 곳이다. NMCC는 핵전쟁 발생 시 긴급 행동 메시지(EAMs)를 생성하고, 미국-러시아 핫라인을 관리하며, 국가 지휘 당국(NCA) 및 통합 참모 본부를 지원한다. 5개의 팀으로 구성되어 교대 근무하며, 미사일 발사 및 핵 활동 감시를 포함하여 다양한 위협에 대응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시 체제 - 원천징수
    원천징수란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소득자(납세의무자)를 대신하여 소득세를 징수하여 국세청에 납부하는 제도로, 소득세법에 따라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에 적용되며 세금 납부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시행된다.
  • 전시 체제 - 민방위
    민방위는 전쟁, 자연재해 등으로부터 민간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 및 체계로, 과거 핵전쟁 대비에서 현재는 다양한 재난에 대응하는 광범위한 임무를 수행하며 국가별 특성에 따라 운영 방식이 다르다.
미국 국방부 지휘센터
개요
국방부 내 국가 군사 지휘 센터의 위치
국방부 내 국가 군사 지휘 센터의 위치
위치펜타곤, 버지니아 주
좌표38°52′16″N 77°03′20″W
종류지휘 통제 센터
소유자미국 국방부
역사
설립1962년 초
기능
목적미국 대통령과 미국 국방부 장관을 위한 주요 전쟁 지휘실
같이 보기
관련 시설백악관 상황실
국가 공중 작전 센터
레이븐 록 산 벙커
정부 연속성

2. 임무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2003년 3월 23일 작전 브리핑을 받은 펜타곤의 국가 군사 지휘 센터에서 걸어 나오고 있다.


NMCC는 합참의장이 미국 국방부 장관과 미국 대통령(국가 지휘 권한)에게 수석 군사 고문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기여하며, 전 세계 사건 감시, 위기 대응, 전략 감시의 세 가지 주요 임무를 수행한다.

NMCC는 국가 군사 지휘 시스템(National Military Command System)의 하나로서, 국가 공중 작전 센터(National Airborne Operations Center)나 사이트 R(Raven Rock Mountain Complex) 등과 함께 핵전쟁 발생 시 전선 부대에 긴급 행동 메시지(EAMs)를 전달한다. 또한, NCA 및 통합 참모 본부에 관련된 세계 각지의 정보 수집 및 각 통합군 부대의 지휘·통제 지원도 수행한다.

2. 1. 전 세계 사건 감시

NMCC의 주요 임무는 방위와 관련된 중요할 수 있는 전 세계 사건을 감시하는 것이다.[3][4][5] 대한민국과 관련된 주요 사건 (예: 북한의 군사적 도발, 주변국과의 갈등) 역시 감시 대상에 포함된다.

2. 2. 위기 대응

NMCC는 합참의장이 미국 국방부 장관과 미국 대통령(국가 지휘 권한)에게 군사 고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며, 위기 대응 임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USS 콜''호 폭탄 테러, 9.11 테러[3][4], USS[5]과 같은 사건에 대응한다. 또한, 탄도 미사일 발사 및 핵 활동을 감시하는 전략 감시 요소도 갖추고 있다.

NCA의 지시가 있을 경우, NMCC는 전 세계 미사일 발사 통제 센터, 핵 잠수함, 정찰기 및 전장 지휘관에게 긴급 조치 메시지(EAM)를 생성한다. 또한 미국-러시아 핫라인("레드 폰")의 미국 측을 유지한다. NMCC는 핵전쟁 발생 시 긴급 행동 메시지(EAMs)를 생성하는 부서 중 하나이며, 펜타곤 내에 위치하여 워싱턴 D.C.의 통신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미-러 간 핫라인도 담당한다.

2. 3. 전략 감시

탄도 미사일 발사 및 기타 핵 활동을 감시한다.[3][4][5] 특히 북한의 핵 및 미사일 개발 활동을 면밀히 감시하며, 관련 정보를 대한민국과 공유한다. 북한의 핵 공격 징후가 포착되면 한미 양국은 즉각적인 대응 태세를 갖춘다.

3. 조직

NMCC는 5개 팀, 17~20명, 총 300명이 넘는 인원으로 구성되어 교대 근무 체제로 운영된다. 미국 공군부를 통해 지원받으며, 국방부 집행 대행자는 NMCC에 물류, 예산, 시설 및 시스템 지원을 제공한다.[8] 합동참모본부 J3 작전국 지휘 시스템 작전부는 정보 시스템 시설 운영을 관리하고, NMCC 위기 관리 자동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운영 통제를 유지한다.

NMCC는 핵전쟁 발생 시 긴급 행동 메시지(EAMs) 전문을 생성하는 부서 중 하나이며, 펜타곤 내에 위치하여 워싱턴 D.C. 통신 거점 중 하나로서 미-러 간 핫라인을 담당하고 있다.

3. 1. 팀 구성

NMCC는 교대 근무 체제로 운영되며, 17~20명으로 구성된 5개 팀이 교대로 근무한다. 각 팀은 통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작전 부국장(DDO)과 작전 부국장 보좌관(ADDO)이 팀을 이끈다. DDO는 주로 준장 또는 소장이, ADDO는 주로 대령 또는 해군 대령이 맡는다. 대통령이 핵 공격 개시 옵션에 대해 자문 위원들과 회의를 소집할 때, DDO는 핵심 참가자가 된다.[7]

각 팀은 5개의 당직 장교 직책으로 나뉘며, 구성은 다음과 같다.[6]

직책인원
지휘부DDO 1명, ADDO 1명
현장 작전 부서SOO 2명, COO 1명
긴급 행동 요소선임 긴급 행동 장교(EAO) 3명, EA 부사관
감시장교 1명
지원 부서약 8~10명



NMCC에는 300명 이상의 인원이 작전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NMCC는 합동참모본부가 아닌 미국 공군부를 통해 지원받으며, 국방부 집행 대행자는 NMCC에 물류, 예산, 시설 및 시스템 지원을 제공한다.[8]

3. 2. 부국장 목록

미 육군
준장
애덤 에이크
(팀 4)2024년 6월[9]

미 해병대
준장
워커 M. 필드
(팀 3)~2024년 6월[10]

미 해군
해군 소장
프랭크 A. 로즈 4세
(팀 2)2024년 2월 7일[11]

미 공군
준장
매튜 E. 존스
(팀 5)2024년 6월[12]

미 우주군
준장
로버트 슈라이너
(팀 1)2024년 7월


4.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부와 미국 전쟁부가 전역 사령부와 소통할 수 있는 중앙 군사 시설의 필요성에 따라 펜타곤이 건설되었다. 1947년 가을, 미국 육군 항공대(AAF)의 "작전실"이 펜타곤에 설치되어 1948년 초에 운영을 시작했다.[1] 전략 공군 사령부는 1946년 전화 육군 지휘 및 행정망(ACAN)을 사용하기 시작하여 1949년 미국 공군 AIRCOMNET "지휘 텔레타이프망"으로 전환했다.[1]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과 함께 공군 지휘소(AFCP)가 긴급 설치되었다.[1] AFCP는 공군 참모부 퇴근 후 시간 동안 호이트 반덴버그 장군과 그의 FEAF 지휘관 간의 무선 메시지 수신 지점 역할을 했다. 1950년 8월, 트루먼 대통령은 직통 전화선을 공군 펜타곤 기지와 백악관 사이에 설치했다.[1]

1960년 11월, 합동 전쟁 상황실(Joint War Room, JWR) 콘솔이 가동되었고, 12월 21일 AFCP는 미 공군의 임무로 복귀했다.[16] 1961년 3월 6일에는 국가 방위 통신 통제 센터(NDCCC)가 개설되었다.[17] 1961년 11월 14일, 파트리지 장군이 이끄는 국가 지휘 통제 태스크 포스는 합동 전쟁 지휘소(JWR)를 국가 군사 지휘 센터(NMCC)로 변경해야 한다는 권고를 담은 보고서(파트리지 보고서)를 제출했다.

1962년 6월 2일, 맥나마라 국방부 장관은 NMCS 가동을 지시했고,[21] 합참은 6월 19일 NMCS 계획을 승인했다. 1962년 10월, NMCC가 "임시" 위치에서 개장했다.[1]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NMCC는 봉쇄 작전을 조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NMCC는 베트남 전쟁 동안 "사이공의 MACV 본부와 직접 통신했다."[23]

1972년, NMCC는 WWMCCS 컴퓨터 네트워크(WIN)의 6개 초기 사이트 중 하나가 되었다.[1] 1977년, 지휘 센터 처리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CCPDS)이 도입되어 콘솔 및 대형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컴퓨터가 교체되었다.[1] 1981년까지 NMCC는 위성 조기 경보 시스템(SEWS) 및 PAVE PAWS 센서 시스템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신했다.[1]

4. 1. 냉전 이후

냉전 종식 이후에도 미국 국방부 지휘센터(NMCC)는 테러, 사이버 공격, 자연재해 등 다양한 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북한의 핵 및 미사일 위협은 NMCC의 주요 감시 대상 중 하나이며, 한국미국 양국은 NMCC를 통해 관련 정보를 긴밀히 공유하고 있다. NMCC는 펜타곤 내에 위치해 있으며, 워싱턴 D.C.의 통신 거점 중 하나이자 미-러 간 핫라인을 담당하고 있다.[1]

5. 대중문화 속 NMCC

1964년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와 ''세이프''는 펜타곤 전쟁 지휘실을 묘사하고 있다. ''썸 오브 올 피어스'' (2002)에서 잭 라이언(벤 애플렉)은 NMCC로 가서 DDO를 설득하여 미국-러시아 핫라인을 연결, 두 핵 강대국 간의 전면적인 핵 대결을 막으려 한다. 2007년 영화 ''트랜스포머''는 국립 군사 지휘 센터를 상상적으로 묘사한 장면을 담고 있다.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캠페인 미션 "U.S.S.D"와 좀비 맵 "Five"는 펜타곤의 전쟁 지휘실에서 진행되며, 실제와 거의 동일하게 묘사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itle tbd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3-05-31
[2] 웹사이트 DoD Executive Agent http://dod-executive[...] 2015-02-11
[3] 웹사이트 "'The Pentagon Goes to War': National Military Command Center" http://s3.amazonaws.[...]
[4] 웹사이트 Joint Base McGuire-Dix-Lakehurst http://www.mcguire.a[...]
[5] 웹사이트 National Military Command Center Documents- NSA/CSS https://www.nsa.gov/[...] 2010-05-15
[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media.nara.go[...] 2013-06-06
[7] 뉴스 To Launch a Nuclear Strike, President Trump Would Take These Steps https://www.bloomber[...] 2020-10-07
[8] 웹사이트 Executive Agent http://dod-executive[...] 2012-01-04
[9] 웹사이트 Brigadier General Mark J. Hovatter - General Officer Management Office https://www.gomo.arm[...]
[10] 웹사이트 https://www.defense.[...]
[11] 웹사이트 https://www.mynavyhr[...] 2024-08
[12] 웹사이트 Jason E. Bailey https://www.af.mil/A[...]
[13] 간행물 The Air Force and the Worldwide Military Command and Control System, 1961–1965 Historical Division Liaison Office, US Air Force 1966-08
[14] 보고서 "ALERT NETWORK NUMBER 1 On 1 July 1958, a new Alert # 1 network was placed in operation (the old network was to remain in operation as a back-up until 1 August 1958). The new network connected NORAD on 1 July 1958 with 33 Stations that required air defense alert and warning information. This included such agencies as major commands, air divisions, regions, and the [[USAF Command Post]]. Only 29 of the stations operating on 1 July were both transmit and receive stations, the other four ([[Tactical Air Command|TAC Headquarters]], [[Sandia Base]], [[Raven Rock Mountain Complex|ADCC (Blue Ridge Summit)]], and the [[Presidio at San Francisco]]) were receive-only stations. …the new system…gave NORAD the ability to tell which station received its alert messages and which did not. The new system also had two master stations -- [[Ent Air Force Base|NORAD]] and the [[ALCOP]] at [[Richards-Gebaur AFB]]. This feature permitted the ALCOP to continue operations of the network and carry on with the alert procedures should NORAD become a war casualty.'" Directorate of Command History 2013-04-30
[15] 보고서 The Air Force and The Worldwide Military Command and Control System: 1961–1965 http://www2.gwu.edu/[...] 2014-05-15
[16] 간행물 Emergence of the Air Force Command and Control System 1969-Summer
[17] 저널 Defense Communications Agency, A Progress Report 1961-11
[18] 보고서 Chapter 2: Defense Communications Agency and System
[19] 웹사이트 Chapter 2: Defense Communications Agency and System https://web.archive.[...]
[20] 서적 The World Wide Military Command and Control System evolution and effectiveness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15-02-11
[21] 서적 One Minute to Midnight: Kennedy, Khrushchev, and Castro on the Brink of Nuclear War https://books.google[...] Vintage Books 2015-02-11
[22] 서적 The Pentagon: A Histo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15-02-11
[23] 서적 Secrets: A Memoir of Vietnam and the Pentagon Papers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15-02-11
[24] 보고서 Modernization of the WWMCCS Information System (WIS) http://apps.dtic.mil[...] United States House Committee on Armed Services 2012-08-29
[25] 보고서 Emerging Shield: The Air Force and the Evolution of Continental Air Defense 1945-1960 https://archive.org/[...] Office of Air Force History 2011-09-26
[26] 보고서 The Evolution of U.S. Strategic Command and Control and Warning, 1945-1972: Executive Summary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1975-06
[27] 보고서 The Evolution of U.S. Strategic Command and Control and Warning: Part One (1945-1953)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1975-06
[28] 보고서 The Evolution of U.S. Strategic Command and Control and Warning: Part Two (1954-1960)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1975-06
[29] 보고서 The Evolution of U.S. Strategic Command and Control and Warning: Part Three (1961-1967)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197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