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정 헌법 제1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미국 권리 장전의 일부로, 의회가 종교의 자유, 언론의 자유, 집회 및 결사의 자유, 정부에 청원할 권리를 제한하는 어떠한 법률도 제정할 수 없도록 규정한다. 이 조항은 종교의 자유로운 행사와 정교분리 원칙을 명시하며, 언론과 출판의 자유를 보장하여 정부 문제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을 보호한다. 또한, 평화로운 집회와 결사의 자유를 통해 개인과 집단의 권리를 보호하며, 정부에 불만을 청원할 권리를 보장한다. 수정 헌법 제1조는 민주주의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적인 가치를 담고 있으며, 언론의 자유, 집회 및 결사의 자유를 포함한 개인의 기본적 자유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수정 헌법 제1조 - 레너드 법
레너드 법은 캘리포니아 주에서 학생 언론의 자유, 특히 학교 신문 검열을 제한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고등학교 및 대학교에서 학생들의 출판 자유를 보장하고, Hosty v. Carter 판결에 대한 대응으로 2014년 공립 고등 교육 기관에도 적용되도록 개정되었다. - 미국 수정 헌법 제1조 - 명백·현존위험의 원칙
명백·현존위험의 원칙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기준으로, 표현이 사회에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을 초래할 때 정부가 규제할 수 있다는 원칙이며, 미국 대법원 판결에서 제시되어 한국에서도 표현의 자유 제한 기준으로 활용되지만 판단 기준의 모호성과 표현의 자유 위축 가능성에 대한 비판이 있다. - 정교분리 -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대한민국 헌법 제20조는 국민의 종교 자유 보장, 국교 불인정, 정교분리 원칙을 명시하여 개인의 신앙 자유를 보장하고 국가의 종교 개입을 방지한다. - 정교분리 - 토마스 에라스투스
토마스 에라스투스는 16세기 스위스 출신의 의사이자 신학자로서, 죄를 범한 기독교인은 국가가 처벌해야 하고, 교회는 성례 거부로 처벌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에라스티안주의 사상을 펼쳤다. - 1791년 12월 - 미국 수정 헌법 제6조
미국 수정 헌법 제6조는 형사 피고인에게 공정하고 신속한 공개 재판을 받을 권리, 공정한 배심원단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 혐의 내용 고지, 증인 대면 및 소환 권리, 변호인 조력 권리 등 여러 권리를 보장하여 공정한 재판을 보장한다. - 1791년 12월 - 미국 수정 헌법 제5조
미국 수정 헌법 제5조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대배심 고발, 이중 처벌 금지, 자기 부죄 거부권, 적법 절차에 따른 법 집행, 정당한 보상 없는 사유 재산 수용 금지 등을 규정한다.
미국 수정 헌법 제1조 | |
---|---|
개요 | |
명칭 | 미국 헌법 수정 제1조 |
비준일 | 1791년 12월 15일 |
본문 | |
내용 | 의회는 종교를 옹호하거나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할 수 없고, 언론과 출판의 자유, 평화로운 집회의 권리, 그리고 정부에 불만을 제기할 수 있는 권리를 침해할 수 없다. |
다루는 주제 | |
주제 | 종교의 자유 언론의 자유 출판의 자유 집회의 자유 청원권 |
상세 내용 | |
종교 자유 조항 | 국교 설립 금지 조항 종교 활동 자유 조항 |
언론의 자유 | 표현의 자유 출판의 자유 |
집회 및 청원의 자유 | 집회의 자유 청원권 |
해석 및 논쟁 | |
제한 | 명예훼손, 공공질서 파괴, 국가 안보 위협 등 특정 표현은 보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
논쟁점 | 수정헌법 제1조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의 콘텐츠 검열에 적용되어야 하는지 여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사적 영역이므로 수정헌법 제1조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
역사적 맥락 | |
배경 | 미국 독립 전쟁 이후 연방 정부 권력 남용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되었다. 권리 장전의 일부로 채택되었다. |
제안일 | 1789년 9월 25일 |
참고 자료 | |
관련 법률 | 간첩법 |
관련 판례 | 솅크 대 미국 사건 애브럼스 대 미국 사건 브란덴부르크 대 오하이오 사건 뉴욕 타임스 대 설리번 사건 팅커 대 디모인 독립 학군 사건 머피 대 중앙 정보국 국장 사건 맨해튼 커뮤니티 액세스 코퍼레이션 대 할렉 사건 |
추가 정보 | |
관련 문서 | 미국 헌법 미국 권리 장전 |
외부 링크 | 미국 국립 기록 관리청 - 권리 장전 미국 법원 - 언론의 자유 의미 |
2. 역사적 배경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의회는 종교를 세우거나, 자유로운 종교 활동을 금지하는 ... 어떠한 법률도 만들어서는 안 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336] 이는 정부가 특정 신앙의 진위 여부를 묻지 않고, 신앙에 대한 믿음의 진정성만을 판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원할 권리는 1215년 마그나 카르타와 1689년 영국 권리 장전에 포함된 원칙이었다. 1776년, 미국 독립 전쟁의 두 번째 해, 버지니아 식민지 의회는 "언론의 자유는 자유의 가장 큰 방어물 중 하나이며, 전제 정부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없다"는 문구를 포함하는 권리 선언을 통과시켰다. 다른 12개 주 중 8개 주도 이와 유사한 약속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선언은 일반적으로 강제력이 있는 조항이라기보다는 "주 의회에 대한 단순한 훈계"로 간주되었다.
연합 규약 하에서 수년간 비교적 약한 정부가 운영된 후,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제헌 회의는 1787년 9월 17일에 새로운 헌법을 제안했으며, 이 헌법은 다른 변경 사항 중에서도 더 강력한 행정 수반을 특징으로 했다. 제헌 회의 대표이자 버지니아 권리 선언 초안자인 조지 메이슨은 헌법에 시민 자유를 나열하고 보장하는 권리 장전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 제임스 매디슨을 포함한 다른 대표들은 기존의 주가 보장하는 시민 자유가 충분하며, 개인의 권리를 열거하려는 시도는 언급되지 않은 다른 권리가 보호받지 못한다는 것을 암시할 위험이 있다고 주장하며 반대했다. 짧은 논쟁 후, 메이슨의 제안은 주 대표단의 만장일치 투표로 부결되었다.
그러나 헌법을 비준하려면 13개 주 중 9개 주의 주 협약에서 승인해야 했다. 비준에 대한 반대("반연방주의")는 부분적으로 헌법에 시민 자유를 적절하게 보장하는 조항이 없다는 데 근거했다. 여론이 비준에 반대하는 주(버지니아, 매사추세츠, 뉴욕 포함)에서 헌법 지지자들은 주 협약에서 헌법을 비준하고 권리 장전의 추가를 요구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헌법은 결국 13개 주 모두에서 비준되었다. 제1차 미국 의회에서 주 의회의 요청에 따라 제임스 매디슨은 20개의 헌법 수정안을 제안했으며, 그가 제안한 수정 헌법 제1조 초안은 다음과 같았다.
>어떤 사람의 시민적 권리도 종교적 신념이나 예배 때문에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어떠한 국교도 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양심의 완전하고 평등한 권리는 어떤 방식으로든, 어떤 핑계로든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 국민은 자신의 감정을 말하고, 쓰고, 출판할 권리를 박탈당하거나 제한당해서는 안 되며, 언론의 자유는 자유의 가장 큰 방어물 중 하나로서 침해될 수 없다. 국민은 평화롭게 집회하여 공동의 선을 위해 협의하는 것, 그리고 불만을 해결하기 위해 청원서나 항의서를 통해 입법부에 청원하는 것을 제한받아서는 안 된다.
이 문구는 의회에 의해 대폭 축약되었고, 기록된 토론 없이 하원과 상원을 통과하여 수정안의 의도에 대한 향후 논의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의회는 1789년 9월 25일에 12개의 수정 조항을 승인하고 주에 비준을 요청했다. 세 번째 조항의 수정된 내용은 수정 헌법 제1조가 되었는데, 이는 제출된 12개 조항 중 마지막 10개 조항이 1791년 12월 15일에 필요한 수의 주에서 비준되었고, 현재 권리 장전으로 통칭되기 때문이다.
3. 종교의 자유
토머스 제퍼슨은 1802년 댄버리 침례교도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제1차 수정 헌법이 교회와 국가 사이에 분리 벽을 세웠다고 언급했다.[25][26] 미국 대 레이놀즈(Reynolds v. United States)(1878)에서 연방 대법원은 이 표현을 수정 헌법의 범위와 효력에 대한 권위 있는 선언으로 받아들였다.[27] 대법원은 제퍼슨의 버지니아 종교 자유법을 인용하며, 시민 정부는 종교적 원칙이 평화와 질서를 해치는 명백한 행위로 나타날 때만 간섭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
정교 분리 조항[28]은 종교 설립을 목적으로 하는 연방, 주, 지방 법률을 금지한다.[29] 래킨 대 그린델스 덴, 주식회사(Larkin v. Grendel's Den, Inc.)(1982)에서 연방 대법원은 정교 분리 조항의 핵심 근거가 "정부 기능과 종교 기능의 융합"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판시했다.[30] 이는 정부에 대한 종교적 통제와 종교에 대한 정치적 통제를 막기 위한 이중 안전 장치 역할을 한다.[10] 제1차 수정 헌법 제정자들은 정부와 종교의 얽힘이 유혈 사태나 억압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교 분리 조항을 설정했다.[54] 미국 연방 정부와 주 정부는 종교를 설립하거나 후원하는 것이 금지된다.[10] 월즈 대 뉴욕시 세무 위원회(Walz v. Tax Commission of the City of New York)(1970)에서 연방 대법원은 종교의 '정립'이 역사적으로 주권의 후원, 재정적 지원, 종교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의미한다고 보았다.[31] 따라서 정교 분리 조항은 "세속적인 목적, 공정한 운영, 그리고 주요 영향에서 중립적"인 법률을 보장한다.[17]
제1차 수정 헌법은 종교 정립 금지가 광범위한 정부 환경에서의 기도, 종교적 개인 및 기관에 대한 재정 지원, 종교적 문제에 대한 논평 등을 포함한다고 본다.[11] 국립 헌법 센터는 정교 분리 조항의 정확한 의미가 불분명하며, 관련 결정이 종종 5 대 4 투표로 결정된다고 지적한다.[32] 그러나 전국적으로 정립된 교회가 존재해서는 안 된다는 널리 공유되는 합의가 있다.[32]
원래 제1차 수정 헌법은 연방 정부에만 적용되었고, 일부 주에서는 공식적인 주 종교를 유지했다.[33] 에버슨 대 교육 위원회(Everson v. Board of Education)(1947)에서 연방 대법원은 정교 분리 조항을 주에도 적용했다.[34] 토르카소 대 왓킨스(Torcaso v. Watkins)(1961)에서 대법원은 주 및 연방 정부가 개인에게 종교에 대한 믿음이나 불신을 강요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36]
정교 분리 조항의 핵심에는 종파 중립성의 원칙이 있다.[37] 에퍼슨 대 아칸소(Epperson v. Arkansas)(1968)에서 대법원은 정부가 종교적 이론, 교리, 관행 문제에서 중립적이어야 하며, 어떤 종교에도 적대적이거나 무종교를 옹호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38] 라슨 대 발렌테(Larson v. Valente)에서 정교 분리 조항의 가장 명확한 명령은 한 종교 종파가 다른 종파보다 공식적으로 선호될 수 없다는 것이다.[39] 조라치 대 클라우슨(Zorach v. Clauson)(1952)에서 대법원은 정부가 종교 단체에 재정을 지원하거나 종교 교육을 수행할 수 없지만, 종교에 적대적일 필요는 없다고 보았다.[40] 맥크레리 카운티 대 미국 시민 자유 연합(McCreary County v.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2005)에서 법원은 정부가 종교를 진전시키려는 명백한 목적으로 행동할 때 정교 분리 조항을 위반한다고 설명했다.[41]
토르카소 대 왓킨스(Torcaso v. Watkins)(1961)에서 연방 대법원은 헌법이 공직에 대한 종교적 시험을 요구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판결했다. 키리아스 조엘 빌리지 학군 교육 위원회 대 그루멧(Board of Education of Kiryas Joel Village School District v. Grumet)(1994)에서 법원은 정부가 한 종교를 다른 종교보다 선호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지었다.[43]
''Everson'' 판례는 토머스 제퍼슨의 서신에서 유래된 분리 장벽 비유를 사용했다.[49] 이 비유는 ''Reynolds v. United States'' (1878) 판례에서부터 오랫동안 확립되었다.[47] 제임스 매디슨은 "거대한 장벽"이라는 비유를 사용했다.[48]
''Everson'' 이후, 법원은 분리 장벽 위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사용해 왔다. ''McCollum v. Board of Education'' (1948)에서 펠릭스 프랑크푸르터는 엄격한 정교분리를 촉구하는 반대 의견을 냈다.[51] 1960년대 학교 기도 사건인 ''Engel v. Vitale''와 ''Abington School District v. Schempp''에서는 세속적인 목적에 부합하고 주로 종교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판결했다. ''Walz v. Tax Commission of the City of New York'' (1970)에서는 정부가 종교와 얽힐 수 없다고 판결했다.
''Lemon v. Kurtzman'' (1971)에서는 이러한 요점들이 레몬 테스트로 결합되었다.[52] ''레몬 테스트''는 비판을 받았지만, 정부 수립 조항 시행의 주요 수단으로 남아 있다.[53] ''Agostini v. Felton'' (1997)에서는 ''레몬 테스트''의 연루 조항이 법률 또는 관행의 효과를 결정하는 데 있어 하나의 요인으로 전환되었다.[54] 지지 테스트 및 강요 테스트와 같은 추가 테스트도 개발되었다.[55][56]
''Lemon''에서 법원은 정교분리가 절대적일 수 없다고 명시했다.[57] ''Kennedy v. Bremerton School District'' (2022) 판결 이후, 레몬 테스트는 역사적 관행과 이해에 대한 언급으로 대체되거나 보완되었을 수 있다.[58][59][60]
수용론자(Accommodationists)는[61] 윌리엄 O. 더글러스 대법관과 함께 "우리는 최고 존재를 전제로 하는 제도를 가진 종교적인 사람들이다"라고 주장한다.[65] 워런 E. 버거 대법원장은 ''Walz v. Tax Commission of the City of New York''(1970)에서 정교분리에 관해 "완전하고 절대적인 분리는 실제로 불가능하다"라고 언급했다.[31] 그는 "선의의 중립성"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62] 윌리엄 렌quist는 ''Wallace v. Jaffree''(1985)에서 "정교분리" 비유를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64]
데이비드 슐츠는 수용론자들이 ''레몬'' 테스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고 말했다.[65] 많은 미국 보수주의자들에게 정교분리 조항은 국교 설립만을 방지한다.[66][67] ''Lynch v. Donnelly''(1984)에서 대법원은 "정교분리" 개념은 유용한 비유이지만 실제 관계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아니라고 판시했다.[68]
3. 1. 정교분리 조항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의회는 종교를 세우거나, 자유로운 종교 활동을 금지하는 ... 어떠한 법률도 만들어서는 안 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336] 이는 정부가 특정 신앙의 진위 여부를 묻지 않고, 신앙에 대한 믿음의 진정성만을 판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토머스 제퍼슨은 1802년 댄버리 침례교도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제1차 수정 헌법이 교회와 국가 사이에 분리 벽을 세웠다고 언급했다.[25][26] 미국 대 레이놀즈(Reynolds v. United States)(1878)에서 연방 대법원은 이 표현을 수정 헌법의 범위와 효력에 대한 권위 있는 선언으로 받아들였다.[27] 대법원은 제퍼슨의 버지니아 종교 자유법을 인용하며, 시민 정부는 종교적 원칙이 평화와 질서를 해치는 명백한 행위로 나타날 때만 간섭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
정교 분리 조항[28]은 종교 설립을 목적으로 하는 연방, 주, 지방 법률을 금지한다.[29] 래킨 대 그린델스 덴, 주식회사(Larkin v. Grendel's Den, Inc.)(1982)에서 연방 대법원은 정교 분리 조항의 핵심 근거가 "정부 기능과 종교 기능의 융합"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판시했다.[30] 이는 정부에 대한 종교적 통제와 종교에 대한 정치적 통제를 막기 위한 이중 안전 장치 역할을 한다.[10] 제1차 수정 헌법 제정자들은 정부와 종교의 얽힘이 유혈 사태나 억압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교 분리 조항을 설정했다.[54] 미국 연방 정부와 주 정부는 종교를 설립하거나 후원하는 것이 금지된다.[10] 월즈 대 뉴욕시 세무 위원회(Walz v. Tax Commission of the City of New York)(1970)에서 연방 대법원은 종교의 '정립'이 역사적으로 주권의 후원, 재정적 지원, 종교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의미한다고 보았다.[31] 따라서 정교 분리 조항은 "세속적인 목적, 공정한 운영, 그리고 주요 영향에서 중립적"인 법률을 보장한다.[17]
제1차 수정 헌법은 종교 정립 금지가 광범위한 정부 환경에서의 기도, 종교적 개인 및 기관에 대한 재정 지원, 종교적 문제에 대한 논평 등을 포함한다고 본다.[11] 국립 헌법 센터는 정교 분리 조항의 정확한 의미가 불분명하며, 관련 결정이 종종 5 대 4 투표로 결정된다고 지적한다.[32] 그러나 전국적으로 정립된 교회가 존재해서는 안 된다는 널리 공유되는 합의가 있다.[32]
원래 제1차 수정 헌법은 연방 정부에만 적용되었고, 일부 주에서는 공식적인 주 종교를 유지했다.[33] 에버슨 대 교육 위원회(Everson v. Board of Education)(1947)에서 연방 대법원은 정교 분리 조항을 주에도 적용했다.[34] 토르카소 대 왓킨스(Torcaso v. Watkins)(1961)에서 대법원은 주 및 연방 정부가 개인에게 종교에 대한 믿음이나 불신을 강요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36]
정교 분리 조항의 핵심에는 종파 중립성의 원칙이 있다.[37] 에퍼슨 대 아칸소(Epperson v. Arkansas)(1968)에서 대법원은 정부가 종교적 이론, 교리, 관행 문제에서 중립적이어야 하며, 어떤 종교에도 적대적이거나 무종교를 옹호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38] 라슨 대 발렌테(Larson v. Valente)에서 정교 분리 조항의 가장 명확한 명령은 한 종교 종파가 다른 종파보다 공식적으로 선호될 수 없다는 것이다.[39] 조라치 대 클라우슨(Zorach v. Clauson)(1952)에서 대법원은 정부가 종교 단체에 재정을 지원하거나 종교 교육을 수행할 수 없지만, 종교에 적대적일 필요는 없다고 보았다.[40] 맥크레리 카운티 대 미국 시민 자유 연합(McCreary County v.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2005)에서 법원은 정부가 종교를 진전시키려는 명백한 목적으로 행동할 때 정교 분리 조항을 위반한다고 설명했다.[41]
토르카소 대 왓킨스(Torcaso v. Watkins)(1961)에서 연방 대법원은 헌법이 공직에 대한 종교적 시험을 요구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판결했다. 키리아스 조엘 빌리지 학군 교육 위원회 대 그루멧(Board of Education of Kiryas Joel Village School District v. Grumet)(1994)에서 법원은 정부가 한 종교를 다른 종교보다 선호해서는 안 된다고 결론지었다.[43]
''Everson'' 판례는 토머스 제퍼슨의 서신에서 유래된 분리 장벽 비유를 사용했다.[49] 이 비유는 ''Reynolds v. United States'' (1878) 판례에서부터 오랫동안 확립되었다.[47] 제임스 매디슨은 "거대한 장벽"이라는 비유를 사용했다.[48]
''Everson'' 이후, 법원은 분리 장벽 위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를 사용해 왔다. ''McCollum v. Board of Education'' (1948)에서 펠릭스 프랑크푸르터는 엄격한 정교분리를 촉구하는 반대 의견을 냈다.[51] 1960년대 학교 기도 사건인 ''Engel v. Vitale''와 ''Abington School District v. Schempp''에서는 세속적인 목적에 부합하고 주로 종교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을 근거로 판결했다. ''Walz v. Tax Commission of the City of New York'' (1970)에서는 정부가 종교와 얽힐 수 없다고 판결했다.
''Lemon v. Kurtzman'' (1971)에서는 이러한 요점들이 레몬 테스트로 결합되었다.[52] ''레몬 테스트''는 비판을 받았지만, 정부 수립 조항 시행의 주요 수단으로 남아 있다.[53] ''Agostini v. Felton'' (1997)에서는 ''레몬 테스트''의 연루 조항이 법률 또는 관행의 효과를 결정하는 데 있어 하나의 요인으로 전환되었다.[54] 지지 테스트 및 강요 테스트와 같은 추가 테스트도 개발되었다.[55][56]
''Lemon''에서 법원은 정교분리가 절대적일 수 없다고 명시했다.[57] ''Kennedy v. Bremerton School District'' (2022) 판결 이후, 레몬 테스트는 역사적 관행과 이해에 대한 언급으로 대체되거나 보완되었을 수 있다.[58][59][60]
수용론자(Accommodationists)는[61] 윌리엄 O. 더글러스 대법관과 함께 "우리는 최고 존재를 전제로 하는 제도를 가진 종교적인 사람들이다"라고 주장한다.[65] 워런 E. 버거 대법원장은 ''Walz v. Tax Commission of the City of New York''(1970)에서 정교분리에 관해 "완전하고 절대적인 분리는 실제로 불가능하다"라고 언급했다.[31] 그는 "선의의 중립성"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62] 윌리엄 렌quist는 ''Wallace v. Jaffree''(1985)에서 "정교분리" 비유를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64]
데이비드 슐츠는 수용론자들이 ''레몬'' 테스트를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고 말했다.[65] 많은 미국 보수주의자들에게 정교분리 조항은 국교 설립만을 방지한다.[66][67] ''Lynch v. Donnelly''(1984)에서 대법원은 "정교분리" 개념은 유용한 비유이지만 실제 관계에 대한 정확한 설명은 아니라고 판시했다.[68]
3. 2. 종교의 자유로운 행사 조항
미국 헌법 수정 제1조는 종교의 자유로운 행사를 보장한다.[79] 이는 종교적 신념에 대한 정부의 간섭을 금지하며, 종교적 실천에 대한 제한을 최소화한다.[10] 종교의 자유는 모든 인간과 모든 종교의 보편적인 권리이며, 미국의 건국과 인간 사회의 질서 유지에 근본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79]
의회는 종교를 설립하거나 자유로운 종교 활동을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할 수 없다.[336] 이는 종교적 신념과 의견을 가질 자유가 절대적임을 의미한다.[86] 정부는 특정 종교적 견해를 강요하거나, 종교적 신념을 이유로 개인이나 집단을 차별할 수 없다.[71]
''Cantwell v. Connecticut''(1940) 판결을 통해 수정 헌법 제14조의 적법 절차 조항이 자유로운 종교 활동 조항을 주 정부에도 적용하게 되었다.[78] 종교적 신념을 가질 권리는 절대적이지만, 그러한 신념에 따라 행동할 자유는 절대적이지 않다.[78]
''Reynolds v. United States''(1878)에서 미국 대법원은 법률이 종교적 신념과 의견을 간섭할 수 없지만, 인신 제사나 사티와 같은 종교적 관습은 규제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76] 이는 종교적 신념이 국법보다 우위에 설 수 없음을 의미한다.[76]
''Sherbert v. Verner''(1963)에서 대법원은 종교적 동기가 있는 행위를 수용하지 않을 때, 주 정부가 엄격한 심사 기준을 충족하도록 요구했다.[88] 즉, 정부는 그러한 거부에 관해 "강력한 이익"을 가져야 했다.[89] 그러나 ''Employment Division v. Smith''(1990) 판결에서는 특정 종교적 실천을 대상으로 하는 법률과 달리, 종교적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중립적인 일반 적용 법률에 관해서는 자유로운 종교 활동 조항에 따라 그러한 이익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결했다.[92][93]
1993년, 의회는 종교 자유 복원법 (RFRA)을 통과시켜 ''Sherbert''와 ''Wisconsin v. Yoder''(1972)에서 적용된 강력한 이익 요건을 복원하려 했다.[90][91] 그러나 ''City of Boerne v. Flores''(1997)에서 대법원은 RFRA가 주와 지방 정부에 적용되는 한에서 위헌이라고 판결했다.[102]
4. 언론과 출판의 자유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의회가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어떠한 법률도 제정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336] 존 폴 스티븐스 대법관은 '언론의 자유'라는 용어에서 'the'라는 정관사가 사용된 점에 주목하며, 이는 초안 작성자들이 이미 알려진 특정 범주의 언어를 면제하려는 의도를 시사한다고 해석했다.[140] 언론인 앤서니 루이스 또한 'the'라는 단어가 당시 자유로운 언론의 개념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된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140] 그러나 1790년대 당시 언론 조항의 주 저자였던 제임스 매디슨은 언론의 자유를 영국 관습법 하에서 존재했던 것으로 좁히는 것에 반대하며, 미국의 관행은 언론이 공인들의 장점과 조치를 자유롭게 검토해왔다고 주장했다.[141]
매디슨은 1799년 존 애덤스 대통령의 연방당이 제정한 에일리언 및 반역법의 합헌성에 대한 논쟁에서 이 법률이 위헌이라고 주장하며, 존 마셜과 같은 반대자들이 영국의 관습법에 존재했던 좁은 언론의 자유를 옹호한것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쳤다.[141]
일반적인 오해와는 달리, 수정 헌법 제1조는 연방 정부, 주 정부 및 지방 정부만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276][277] 몇몇 주에서는 주 헌법이 수정 헌법보다 더 포괄적인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Pruneyard 쇼핑 센터 v. 로빈스'' 판례에서 캘리포니아 주 헌법은 사유 재산 소유자가 정치적 연설가와 청원 수집가를 배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278][279] 그러나 법원은 쇼핑 센터가 표현 활동에 대한 합리적인 제한을 부과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280]
언론 및 표현의 자유 조항은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제외하고는 발언자와 저술가에게 동일한 보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284] ''Lovell v. City of Griffin''(1938)에서 찰스 에반스 휴스 대법원장은 "언론"을 "정보와 의견의 전달 수단을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출판물"로 정의했다.[287][288] 이 권리는 신문, 서적, 연극, 영화, 비디오 게임을 포함한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었다.[289] 블로거나 소셜 미디어 사용자도 언론의 자유 조항과 표현의 자유 조항에 의해 동등하게 보호받는다.[291][285][292][312] 연방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1조가 제도적 미디어에 다른 발언자보다 더 큰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일관되게 거부해왔다.[293][294][295]
''Mills v. Alabama''(1943)에서 연방 대법원은 언론 자유 조항의 목적이 정부 문제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은 정부 관리의 권력 남용에 대한 강력한 해독제이자, 국민이 선출한 관리가 국민에게 책임을 지도록 하는 헌법적으로 선택된 수단으로 기능한다.[298]
언론의 자유에 대한 획기적인 판결로는 ''Near v. Minnesota''(1931)가 있다. 이 판결에서 연방 대법원은 사전 검열을 거부했다.[299] 미네소타 주의 법률은 "악의적이고, 불명예스럽고, 비방적인 신문"을 폐쇄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법원은 이를 위헌으로 판결했다. 휴스 대법원장은 다수 의견에서 매디슨을 인용하며 언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99]
''Near'' 판결은 예외적으로 "수송선의 출항일 또는 군대의 수나 위치의 출판"과 같은 경우에 사전 검열을 허용했지만,[299] ''New York Times Co. v. United States''(1971) 사건에서 법원은 리처드 닉슨 행정부가 ''펜타곤 페이퍼''의 출판을 금지하려는 시도를 기각했다.[300]
법원은 저널리즘에 대한 내용 기반 규제를 거의 호의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Miami Herald Publishing Co. v. Tornillo''(1974)에서 법원은 정치 후보자를 비판하는 신문이 그들의 답변을 게재하도록 요구하는 주법을 만장일치로 기각했다.[302]
그러나 텔레비전과 라디오에 대한 내용 기반 규제는 희소성의 문제를 근거로, 연방 통신 위원회가 방송에서 "부적절한" 자료의 사용을 제한할 권한을 유지하는등 다양한 사건에서 연방 대법원에 의해 유지되었다.[304]
주 정부는 신문에 세금을 부과할 권리를 가지지만, 신문에만 집중된 세금은 위헌으로 판결되었다. ''Grosjean v. American Press Co.''(1936)에서 법원은 신문 광고 수입에 대한 주세를 무효화했다.[305]
''Branzburg v. Hayes''(1972)에서 법원은 수정 헌법 제1조가 언론인에게 소환장을 대배심에서 거부할 권리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309][310] 그러나 루이스 F. 파월 대법관의 동의 의견에서 그는 언론 특권에 대한 주장은 "언론의 자유와 모든 시민의 범죄 행위에 대한 관련 증언을 할 의무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 사실에 따라 판단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311]
4. 1. 언론 자유의 중요성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언론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으며, 이는 민주주의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적인 가치이다.[336]최고 재판소는 20세기 이전까지 언론 자유 조항과 관련된 연방법의 합헌성에 대해 판결을 내리지 않았다.[144] 그러나 ''뉴욕 타임스 대 설리번''(1964년) 판결에서, 재판소는 이 법이 위헌이라고 판결하며, 이 공개 토론이 수정 헌법 제1조 법의 선례로서 중요함을 언급했다.[145]
제1차 세계 대전과 제1차 적색 공포 기간 동안 제정된 1917년 간첩법은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대표적인 사례였다.[146] 이 법은 "미국 군대 또는 해군 부대에서 불복종, 부충성, 반란 또는 임무 거부"를 야기하거나 시도한 사람에게 최대 20년의 징역형을 부과했다.[147] 대법원은 ''셴크 대 미국''(1919) 사건에서 올리버 웬들 홈스 주니어 대법관이 제시한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 기준을 통해 언론의 자유 제한 여부를 판단했다.[148] 이 기준은 "모든 사건에서 문제는 사용된 단어가 그러한 상황에서 사용되었고, 의회가 예방할 권리가 있는 실질적인 악을 초래할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을 생성할 수 있는 성격을 띠고 있는지 여부이다."라는 것이다.[149]
이후 ''뎁스 대 미국''(1919), ''프로워크 대 미국''(1919), ''에이브럼스 대 미국''(1919) 등 일련의 판결에서 대법원은 간첩법 위반에 대한 유죄 판결을 유지했다.[150] 그러나 루이스 브랜다이스 대법관은 ''휘트니 대 캘리포니아''(1927) 판결에서 "우리 독립을 얻은 사람들은... 여러분이 원하는 대로 생각하고 생각한 대로 말하는 자유가 정치적 진실을 발견하고 전파하는 데 필수적인 수단이라고 믿었습니다."라며 언론 자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51]
''헌던 대 로리''(1937) 판결에서 법원은 조지아 주가 헌던의 정치적 옹호에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판결하며 헌던의 유죄 판결을 뒤집었다.[152] ''터미니엘로 대 시카고''(1949) 판결에서는 언론의 자유가 민주주의 사회에서 정부가 국민의 뜻에 부응하고 평화로운 변화를 이루기 위해 필수적임을 강조하며,[153] 윌리엄 O. 더글러스 대법관은 "우리 시스템에서 언론의 자유의 기능은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라고 썼다.[154]
1940년 스미스 법 제정 이후, 유진 데니스는 폴리 스퀘어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155] ''데니스 대 미국''(1951) 판결에서 법원은 스미스 법을 유지했지만,[156] 펠릭스 프랑크푸르터 대법관은 "균형 테스트"를 제안했고, 이는 곧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 테스트를 대체했다.[157]
베트남 전쟁 동안, 법원은 ''브랜덴버그 대 오하이오''(1969) 판결에서 "임박한 불법 행위를 선동하거나 유발하는 데 직접적으로 향하고 그러한 행위를 선동하거나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가 무력 사용이나 법 위반을 옹호하는 것을 금지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158]
''코헨 대 캘리포니아''(1971) 판결에서 법원은 "어떤 사람에게는 저속한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서정적일 수 있습니다."라며 보호되는 정치적 발언의 범위를 넓혔다.[159] ''마탈 대 탐''(2017) 판결에서는 "수정 헌법 제1조의 근본적인 원칙, 즉 불쾌한 아이디어를 표현한다는 이유로 발언을 금지할 수 없다"라고 판결했다.[160]
선거 자금과 관련하여, ''벅클리 대 발레오''(1976) 판결에서 대법원은 캠페인 기부에 대한 제한은 합헌이지만, 지출 제한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161] ''시민 연합 대 연방 선거 위원회''(2010) 판결에서는 기업 또는 노동 조합의 선거 옹호에 대한 연방 제한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162] ''맥커천 대 연방 선거 위원회''(2014) 판결에서는 개인이 2년 동안 후보자, 정당, 정치 행동 위원회에 기부할 수 있는 연방 총액 제한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163]
국기 훼손과 관련하여, ''텍사스 대 존슨 사건''(1989) 판결에서 대법원은 국기 소각이 표현의 자유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164] 윌리엄 J. 브레넌 주니어 대법관은 "만약 수정 헌법 제1조의 근본적인 원칙이 있다면, 그것은 사회가 어떤 생각을 불쾌하거나 싫어한다고 해서 정부가 그 생각의 표현을 금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라고 판결문에 적었다.[165]
도용 방지법과 관련하여, ''미국 대 알바레즈 사건''(2012)에서 대법원은 군 복무 또는 훈장에 대한 거짓 주장에 대해 정부가 처벌하는 것을 수정 헌법 제1조가 금지한다고 판결했다.[166]
강요된 발언과 관련하여, ''웨스트 버지니아 주 교육 위원회 대 바넷 사건''(1943)에서 대법원은 학생들이 국기에 대한 맹세를 거부하거나 미국 국기에 경례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에 대해 처벌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167] ''야누스 대 AFSCME 사건''(2018)에서는 공공 부문 직원이 구성원이 아닌 노동 조합에 회비를 지불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수정 헌법 제1조를 위반한다고 판결했다.[168]
이처럼 미국 수정 헌법 제1조와 관련된 판례들은 언론의 자유가 민주주의 사회에서 중요한 가치이며, 끊임없이 그 의미와 범위가 논의되고 확장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4. 2. 출판의 자유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의회가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어떠한 법률도 제정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336] 존 폴 스티븐스 대법관은 '언론의 자유'라는 용어에서 'the'라는 정관사가 사용된 점에 주목하며, 이는 초안 작성자들이 이미 알려진 특정 범주의 언어를 면제하려는 의도를 시사한다고 해석했다.[140] 언론인 앤서니 루이스 또한 'the'라는 단어가 당시 자유로운 언론의 개념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된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140] 그러나 1790년대 당시 언론 조항의 주 저자였던 제임스 매디슨은 언론의 자유를 영국 관습법 하에서 존재했던 것으로 좁히는 것에 반대하며, 미국의 관행은 언론이 공인들의 장점과 조치를 자유롭게 검토해왔다고 주장했다.[141]매디슨은 1799년 존 애덤스 대통령의 연방당이 제정한 에일리언 및 반역법의 합헌성에 대한 논쟁에서 이 법률이 위헌이라고 주장하며, 존 마셜과 같은 반대자들이 영국의 관습법에 존재했던 좁은 언론의 자유를 옹호한것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쳤다.[141]
일반적인 오해와는 달리, 수정 헌법 제1조는 연방 정부, 주 정부 및 지방 정부만이 언론의 자유를 제한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276][277] 몇몇 주에서는 주 헌법이 수정 헌법보다 더 포괄적인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Pruneyard 쇼핑 센터 v. 로빈스'' 판례에서 캘리포니아 주 헌법은 사유 재산 소유자가 정치적 연설가와 청원 수집가를 배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278][279] 그러나 법원은 쇼핑 센터가 표현 활동에 대한 합리적인 제한을 부과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280]
언론 및 표현의 자유 조항은 라디오와 텔레비전을 제외하고는 발언자와 저술가에게 동일한 보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284] ''Lovell v. City of Griffin''(1938)에서 찰스 에반스 휴스 대법원장은 "언론"을 "정보와 의견의 전달 수단을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출판물"로 정의했다.[287][288] 이 권리는 신문, 서적, 연극, 영화, 비디오 게임을 포함한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되었다.[289] 블로거나 소셜 미디어 사용자도 언론의 자유 조항과 표현의 자유 조항에 의해 동등하게 보호받는다.[291][285][292][312] 연방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1조가 제도적 미디어에 다른 발언자보다 더 큰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일관되게 거부해왔다.[293][294][295]
''Mills v. Alabama''(1943)에서 연방 대법원은 언론 자유 조항의 목적이 정부 문제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은 정부 관리의 권력 남용에 대한 강력한 해독제이자, 국민이 선출한 관리가 국민에게 책임을 지도록 하는 헌법적으로 선택된 수단으로 기능한다.[298]
언론의 자유에 대한 획기적인 판결로는 ''Near v. Minnesota''(1931)가 있다. 이 판결에서 연방 대법원은 사전 검열을 거부했다.[299] 미네소타 주의 법률은 "악의적이고, 불명예스럽고, 비방적인 신문"을 폐쇄할 수 있도록 허용했지만, 법원은 이를 위헌으로 판결했다. 휴스 대법원장은 다수 의견에서 매디슨을 인용하며 언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99]
''Near'' 판결은 예외적으로 "수송선의 출항일 또는 군대의 수나 위치의 출판"과 같은 경우에 사전 검열을 허용했지만,[299] ''New York Times Co. v. United States''(1971) 사건에서 법원은 리처드 닉슨 행정부가 ''펜타곤 페이퍼''의 출판을 금지하려는 시도를 기각했다.[300]
법원은 저널리즘에 대한 내용 기반 규제를 거의 호의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Miami Herald Publishing Co. v. Tornillo''(1974)에서 법원은 정치 후보자를 비판하는 신문이 그들의 답변을 게재하도록 요구하는 주법을 만장일치로 기각했다.[302]
그러나 텔레비전과 라디오에 대한 내용 기반 규제는 희소성의 문제를 근거로, 연방 통신 위원회가 방송에서 "부적절한" 자료의 사용을 제한할 권한을 유지하는등 다양한 사건에서 연방 대법원에 의해 유지되었다.[304]
주 정부는 신문에 세금을 부과할 권리를 가지지만, 신문에만 집중된 세금은 위헌으로 판결되었다. ''Grosjean v. American Press Co.''(1936)에서 법원은 신문 광고 수입에 대한 주세를 무효화했다.[305]
''Branzburg v. Hayes''(1972)에서 법원은 수정 헌법 제1조가 언론인에게 소환장을 대배심에서 거부할 권리를 부여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309][310] 그러나 루이스 F. 파월 대법관의 동의 의견에서 그는 언론 특권에 대한 주장은 "언론의 자유와 모든 시민의 범죄 행위에 대한 관련 증언을 할 의무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 사실에 따라 판단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311]
4. 3. 언론 및 출판 자유의 예외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지만, 모든 종류의 언론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336]상업적 언어는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나 개인을 대신하여 행해지는 표현을 의미한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상업적 언론에 수정 헌법 제1조에 따른 완전한 보호를 제공하지 않는다. 법원은 언론이 상업적인지 판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4가지 지표를 사용한다.[336]
# 상업적 거래를 제안하는 내용
# 광고로 특징지을 수 있는 내용
# 특정 제품을 언급하는 내용
# 유포자가 경제적 동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
Valentine v. Chrestensen (1942) 사건에서, 법원은 상업 광고물 배포를 금지하는 뉴욕시 조례를 유지하며, 수정 헌법 제1조의 보호가 상업적 언론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Virginia State Pharmacy Board v. Virginia Citizens Consumer Council (1976) 사건에서 이 판결을 뒤집고 상업적 언론도 수정 헌법 제1조의 보호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판결했다. Ohralik v. Ohio State Bar Association (1978) 사건에서는 상업적 언론이 다른 유형의 언론만큼 보호받지 못한다고 판결했다.[336]
Central Hudson Gas & Electric Corp. v. Public Service Commission (1980) 사건에서 법원은 정부가 상업적 언론을 규제하기 위해 필요한 분석을 명확히 했다. 표현이 수정 헌법 제1조에 의해 보호되는지, 합법적인지, 오해의 소지가 없는지, 사기가 아닌지, 정부의 이익이 실질적인지, 규제가 정부의 이익을 직접적으로 증진하는지, 규제가 필요한 것보다 더 광범위하지 않은지를 고려해야 한다.[336] Posadas de Puerto Rico Associates v. Tourism Company of Puerto Rico (1986) 사건에서는 ''Central Hudson'' 기준을 적용하여 푸에르토리코의 도박 광고 규제를 합헌으로 판결했지만, 44 Liquormart, Inc. v. Rhode Island (1996) 사건에서는 주류 가격 광고 금지법을 무효화했다.[336]
1969년 팅커 대 데스 모인스 독립교육구 사건에서[225] 대법원은 학생들에게도 학교 내에서 언론의 자유가 있다고 판결했다.[226] 힐리 대 제임스 사건 (1972)에서 이 판결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이후 판례에서 학교 내 학생들의 언론 자유에 몇 가지 제한을 두었다. 베델 학교 교육구 대 프레이저 사건 (1986)[227]에서는 학교 행사에서 외설적인 발언을 한 학생을 처벌할 수 있다고 판결했고, 헤이즐우드 대 쿨마이어 사건 (1988)[228]에서는 학교가 교육 목표와 일치하지 않는 학생들의 발언을 용인할 필요가 없다고 판결했다. 모스 대 프레데릭 사건 (2007)[229]에서는 불법 약물 사용을 조장하는 발언을 학교가 제한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230]
시카고 대학교는 캠퍼스 내 검열에 대항하기 위해 "시카고 원칙"을 발표했고, 여러 대학에서 채택했다.[231][232] 팩킹햄 대 노스캐롤라이나 사건 (2017)에서는 성범죄자의 웹사이트 접속을 금지하는 법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233][234][235]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음란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로젠 대 미국 사건 (1896)에서는 힐클린 테스트를 채택하여 음란물을 정의했다.[237][238] ''미국 대 유시스라는 책 한 권'' (1933) 사건에서는 작품 전체를 고려하여 음란성을 판단하는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239] 로스 대 미국 사건 (1957)[240]에서는 수정 헌법 제1조가 음란물을 보호하지 않는다고 판결하고, ''로스'' 테스트를 통해 음란성을 판단했다.[239][241] 포터 스튜어트 판사는 제이코벨리스 대 오하이오 사건 (1964)[242]에서 "보면 안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243][244] 밀러 대 캘리포니아 사건 (1973)[245]에서는 밀러 테스트를 통해 음란물 여부를 판단한다.[246]
아동 포르노는 ''밀러'' 테스트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250] 뉴욕 대 페르버 사건 (1982) 및 오스본 대 오하이오 사건 (1990)[248][249]에서 아동 보호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결했다. 개인의 음란물 소지는 금지될 수 없지만,(스탠리 대 조지아 사건 (1969)[251])[139] 음란물 발송이나 판매는 금지될 수 있다. 애시크로프트 대 언론 자유 연합 사건 (2002)[252]에서는 가상 아동 포르노를 금지하는 법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253][254] ''미국 대 윌리엄스'' (2008)[255]에서는 아동 포르노 제공 제안 및 획득 요청 금지가 수정 헌법 제1조를 위반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256][257]
샘의 아들 법은 범죄자가 회고록 출판으로 이윤을 얻는 것을 금지한다.[258] Simon & Schuster v. Crime Victims Board (1991) 사건에서 뉴욕 주의 유사 법률이 위헌 판결을 받았다.[259] 다른 주에도 유사한 법률이 존재한다.[260]

미국의 명예훼손법은 영국 관습법에서 기원했다. 명예훼손 소송은 비난, 허위, 제3자 전달, 법적 보호 부재, 악의를 요구했다. 비방은 명예훼손과 동일한 요건을 요구하며, 출판과 관련된다. 선동적 명예훼손은 진실 여부가 중요하지 않았다. 명예훼손적인 출판물은 "다른 사람을 비하하고 해치는" 경향이 있었다.
''뉴욕 타임스 대 설리번'' (1964) 판결[142]은 명예훼손법을 변화시켰다. 공무원은 "현실적 악의"를 입증해야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261][262] 현실적 악의 기준은 공무원과 공인에게 적용된다.[263] ''필라델피아 신문 대 헵스'' (1988)에서는[264] 사적인 개인과 관련된 사건에서 수정 헌법 제1조가 관습법의 변화를 강요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265] ''던 & 브래드스트리트 대 그린모스 빌더스'' (1985)에서는[266] 사적인 개인 관련 사건에서 "현실적 악의" 입증이 필요 없다고 판결했다.[267][268] ''거츠 대 로버트 웰치'' (1974)에서는[269] 사적인 개인이 징벌적 손해 배상을 받기 위해서만 악의를 입증해야 한다고 판결했다.[270] ''허슬러 매거진 대 팰웰'' (1988)에서는[271] "현실적 악의" 기준을 확대하여 공인의 감정적 고통 소송을 기각했다.[272]
''밀코비치 대 로레인 저널 회사'' (1990)에서는[273] "의견"으로 표시된 진술도 명예훼손 소송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274] 그러나 의견 특권이 제공된다는 주장이 있다.[275]
5. 집회 및 결사의 자유
wikitext
의회는 종교를 세우거나, 자유로운 종교 활동을 금지하거나, 발언의 자유를 저해하거나, 출판의 자유, 평화로운 집회의 권리, 그리고 정부에 탄원할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는 어떠한 법률도 만들어서는 안 된다.[336]
집회할 권리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자신의 집단적 또는 공유된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홍보하고, 추구하고, 옹호할 수 있는 개인 및 집단 권리이다.[319] 평화롭게 집회할 권리는 표현의 자유 및 언론의 자유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기본적이다.[313] ''De Jonge v. Oregon''(1937) 판결에서 평화로운 정치 행동을 위한 회의를 금지할 수 없으며, 그러한 회의의 운영을 돕는 사람들은 그 점 때문에 범죄자로 낙인찍을 수 없다. 회의의 목적과 발언이 헌법이 보호하는 표현의 자유의 범위를 넘어가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판결했다.[313]
''United States v. Cruikshank''(1875)에서[320] 대법원은 국민이 정부에 불만을 해소하거나 연방 정부의 권한 또는 의무와 관련된 다른 어떤 사항에 대해 의회에 청원하기 위해 평화롭게 집회할 권리는 국가 시민권의 속성이며, 미국의 보호를 받으며 보장된다고 판결했다. 공화국 형태의 정부라는 바로 그 아이디어는 시민이 공공 문제에 관해 평화롭게 협의하고 불만을 해소해 줄 것을 청원할 권리를 의미한다.[321]
모리슨 웨이트(Morrison Waite) 대법관은 평화롭게 집회할 권리를 부차적인 권리로, 청원할 권리를 주요 권리로 보았으나, 이후의 사건들은 이러한 구별에 덜 주목했다.[313] ''Hague v. Committee for Industrial Organization''(1939)에서는 수정 헌법 제1조에서 보호하는 집회의 자유가 거리와 공원과 같은 공공 포럼에 적용된다고 판결했다.[322][313] ''헤이그'' 사건에서 집회할 권리는 "국가적 문제에 대한 견해를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323] "노동 조합의 조직화를 위해 또는 다른 합법적인 목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정보를 배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광범위한 의미를 부여받았다.[324]
노어-페닝턴 독트린을 형성하는 1960년대의 두 판결(''Eastern Railroad presidents Conference v. Noerr Motor Freight, Inc''(1961) 및 ''United Mine Workers v. Pennington''(1965))에서 법원은 청원할 권리가 사적 주체가 공공 기관 앞에서 한 진술에 대한 독점 금지법 적용을 금지한다고 규정했다.[325]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결사의 자유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연방 대법원은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 대 앨라배마 주''(1958년)에서 이 자유가 수정 헌법에 의해 보호받으며 회원 자격의 프라이버시는 이 자유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판결했다.[326][327][328] ''로버츠 대 미국 제이시스''(1984년)에서 법원은 "수정 헌법 제1조에 의해 보호받는 활동에 참여할 권리에는 광범위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종교적, 문화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상응하는 권리가 내포되어 있다"고 밝혔다.[329] ''로버츠'' 사건에서 법원은 단체가 성별과 같이 집단의 표현과 관련 없는 이유로 사람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330]
그러나 ''헐리 대 아일랜드계 미국인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보스턴 그룹''(1995년) 사건에서 법원은 특정 관점을 옹호하는 단체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경우 단체가 구성원을 배제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331][332] ''미국 보이 스카우트 연맹 대 데일''(2000년)에서 법원은 공개적으로 동성애자 회원을 받아들이도록 미국 보이 스카우트 연맹에 강요하는 뉴저지 주 법률이 보이 스카우트 연맹의 결사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적인 것이라고 판결했다.[333][334]
''번영을 위한 미국 재단 대 본타''(2021년)에서 법원은 캘리포니아 주가 비영리 단체의 거액 기부자 신원 공개를 요구하는 것은 좁게 맞춰진 정부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해당 기부자의 수정 헌법 제1조 권리를 침해한다고 판결했다.[335]
5. 1. 집회의 자유
의회는 종교를 세우거나, 자유로운 종교 활동을 금지하거나, 발언의 자유를 저해하거나, 출판의 자유, 평화로운 집회의 권리, 그리고 정부에 탄원할 수 있는 권리를 제한하는 어떠한 법률도 만들어서는 안 된다.[336]집회할 권리는 사람들이 함께 모여 자신의 집단적 또는 공유된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홍보하고, 추구하고, 옹호할 수 있는 개인 및 집단 권리이다.[319] 평화롭게 집회할 권리는 표현의 자유 및 언론의 자유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기본적이다.[313] ''De Jonge v. Oregon''(1937) 판결에서 평화로운 정치 행동을 위한 회의를 금지할 수 없으며, 그러한 회의의 운영을 돕는 사람들은 그 점 때문에 범죄자로 낙인찍을 수 없다. 회의의 목적과 발언이 헌법이 보호하는 표현의 자유의 범위를 넘어가는지 여부가 중요하다고 판결했다.[313]
''United States v. Cruikshank''(1875)에서[320] 대법원은 국민이 정부에 불만을 해소하거나 연방 정부의 권한 또는 의무와 관련된 다른 어떤 사항에 대해 의회에 청원하기 위해 평화롭게 집회할 권리는 국가 시민권의 속성이며, 미국의 보호를 받으며 보장된다고 판결했다. 공화국 형태의 정부라는 바로 그 아이디어는 시민이 공공 문제에 관해 평화롭게 협의하고 불만을 해소해 줄 것을 청원할 권리를 의미한다.[321]
모리슨 웨이트(Morrison Waite) 대법관은 평화롭게 집회할 권리를 부차적인 권리로, 청원할 권리를 주요 권리로 보았으나, 이후의 사건들은 이러한 구별에 덜 주목했다.[313] ''Hague v. Committee for Industrial Organization''(1939)에서는 수정 헌법 제1조에서 보호하는 집회의 자유가 거리와 공원과 같은 공공 포럼에 적용된다고 판결했다.[322][313] ''헤이그'' 사건에서 집회할 권리는 "국가적 문제에 대한 견해를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323] "노동 조합의 조직화를 위해 또는 다른 합법적인 목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정보를 배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광범위한 의미를 부여받았다.[324]
노어-페닝턴 독트린을 형성하는 1960년대의 두 판결(''Eastern Railroad presidents Conference v. Noerr Motor Freight, Inc''(1961) 및 ''United Mine Workers v. Pennington''(1965))에서 법원은 청원할 권리가 사적 주체가 공공 기관 앞에서 한 진술에 대한 독점 금지법 적용을 금지한다고 규정했다.[325]
5. 2. 결사의 자유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결사의 자유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연방 대법원은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 대 앨라배마 주''(1958년)에서 이 자유가 수정 헌법에 의해 보호받으며 회원 자격의 프라이버시는 이 자유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판결했다.[326][327][328] ''로버츠 대 미국 제이시스''(1984년)에서 법원은 "수정 헌법 제1조에 의해 보호받는 활동에 참여할 권리에는 광범위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교육적, 종교적, 문화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 교류할 상응하는 권리가 내포되어 있다"고 밝혔다.[329] ''로버츠'' 사건에서 법원은 단체가 성별과 같이 집단의 표현과 관련 없는 이유로 사람을 배제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330]그러나 ''헐리 대 아일랜드계 미국인 게이, 레즈비언, 양성애자 보스턴 그룹''(1995년) 사건에서 법원은 특정 관점을 옹호하는 단체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경우 단체가 구성원을 배제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331][332] ''미국 보이 스카우트 연맹 대 데일''(2000년)에서 법원은 공개적으로 동성애자 회원을 받아들이도록 미국 보이 스카우트 연맹에 강요하는 뉴저지 주 법률이 보이 스카우트 연맹의 결사의 자유를 침해하는 위헌적인 것이라고 판결했다.[333][334]
''번영을 위한 미국 재단 대 본타''(2021년)에서 법원은 캘리포니아 주가 비영리 단체의 거액 기부자 신원 공개를 요구하는 것은 좁게 맞춰진 정부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해당 기부자의 수정 헌법 제1조 권리를 침해한다고 판결했다.[335]
6. 청원권
의회는 정부에 불만을 해소해 줄 것을 청원할 권리를 제한하는 어떠한 법률도 만들 수 없다.[336] 이 권리는 정부 관계자와 소통하고, 로비하며, 법원에 청원하는 것을 포함한다.[312] 1830년대 의회가 노예제 반대 청원 심리를 금지하는 재갈 규칙을 제정했을 때 처음 부각되었으나, 이 규칙은 몇 년 후 폐지되었다.[313] 1917년 간첩법에 대한 청원은 투옥으로 이어졌지만, 대법원은 이 문제에 대해 판결을 내리지 않았다.[313]
''California Motor Transport Co. v. Trucking Unlimited''(1972)에서[314] 대법원은 청원권이 정부의 모든 부처에 접근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판결했다.[315] 오늘날 이 권리는 연방 정부의 의회, 행정부, 사법부에 대한 청원을 포함하며, 주(州)까지 확대되었다.[313][316] "불만 사항의 해소"는 전통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사적 이익을 위한 청원도 포함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된다.[317] 이 권리는 정부의 조치를 요구할 권리,[313][317] 경솔하지 않은 소송 제기, 기존 법률 변경을 위한 대중의 지지 동원 기회를 포함한다.[316]
''Borough of Duryea v. Guarnieri''(2011)에서[318] 대법원은 표현의 자유 조항과 청원 조항이 상당한 공통 기반을 공유한다고 밝혔다. 청원권은 시민들이 자신의 생각, 희망, 관심사를 정부에 표현할 수 있게 하는 반면, 표현의 자유는 아이디어의 공개적인 교환을 촉진한다.[318]
''United States v. Cruikshank''(1875)에서[320] 모리슨 웨이트(Morrison Waite) 대법원장은 평화롭게 집회할 권리를 부차적인 권리로, 청원할 권리를 주요 권리로 구분했다.[321] 그러나 이후 사건들은 이러한 구별에 덜 주목했다.[313] 노어-페닝턴 독트린을 구성하는 1960년대의 두 판결은 청원권이 사적 주체가 공공 기관 앞에서 한 진술에 대한 독점 금지법 적용을 금지한다고 규정했다.[325]
참조
[1]
웹사이트
America's Founding Documents - The Bill of Rights: A Transcription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5-11-04
[2]
웹사이트
Unratified Amendments
https://prologue.blo[...]
2020-01-23
[3]
웹사이트
First Amendment constraints don't apply to private platforms, Supreme Court affirms
https://www.theverge[...]
2019-06-17
[4]
웹사이트
What Does Free Speech Mean?
https://www.uscourts[...]
United States Courts
[5]
웹사이트
First Amendment
http://www.law.corne[...]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Legal Information Institute
[6]
서적
The First Amendment in Schools: A Guide from the First Amendment Center
https://books.google[...]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3
[7]
웹사이트
Bill of Rights
https://www.archives[...]
National Archives
[8]
웹사이트
The New United States of America Adopted the Bill of Rights: December 15, 1791
http://www.americasl[...]
Library of Congress
[9]
웹사이트
American History: Massachusetts Bay Colony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10]
웹사이트
History of Religious Liberty in America. Written for ''Civitas: A Framework for Civic Education'' (1991) by the Council for the Advancement of Citizenship and the Center for Civic Education.
https://www.freedomf[...]
2002-12-26
[11]
웹사이트
McCreary County v.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of Ky., 545 U.S. 844 (2005), at Part IV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05-06-27
[12]
웹사이트
Preferred Position Doctrine
https://firstamendme[...]
Free Speech Center at Middle Tennessee State University
2023-09-19
[13]
웹사이트
Murdock v. Pennsylvania, 319 U.S. 105 (1943), at 115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43-05-03
[14]
웹사이트
McGowan v. Maryland: 366 U.S. 420 (1961)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5]
웹사이트
McCreary County vs.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of Kentucky
https://www.law.corn[...]
Cornell university Law Department
2005-06-27
[16]
뉴스
Walz v. Tax Comm'n of City of New York, 397 U.S. 664 (1970, at 669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70-05-04
[17]
웹사이트
'Gillette v. United States'' (1971)'
https://mtsu.edu/fir[...]
The First Amendment Encyclopedia presented by the John Seigenthaler Chair of Excellence in First Amendment Studies
[18]
웹사이트
Wallace v. Jaffree, 472 U.S. 38 (1985), at 48 et seq.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5-06-04
[19]
웹사이트
Wallace v. Jaffree, 472 U.S. 38 (1985), at 48 – 49.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5-06-04
[20]
웹사이트
Wallace v. Jaffree, 472 U.S. 38 (1985), at 50. Quoting from Cantwell v. Connecticut, 310 U. S. 296 (1940) at 303.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5-06-04
[21]
웹사이트
Wallace v. Jaffree, 472 U.S. 38 (1985), at 50–51. Partially quoting from Wooley v. Maynard, 430 U.S. 705 (1977) at 71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5-06-04
[22]
웹사이트
Wallace v. Jaffree, 472 U.S. 38 (1985), at 50 – 52.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5-06-04
[23]
웹사이트
Wallace v. Jaffree, 472 U.S. 38 (1985), at 50.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5-06-04
[24]
웹사이트
Wallace v. Jaffree, 472 U.S. 38 (1985), at 52–5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5-06-04
[25]
웹사이트
REPORT Religious Liberty: Why Does Religious Freedom Matter
https://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2010-12-20
[26]
웹사이트
Jefferson's Letter to the Danbury Baptists—The Final Letter, as Sent on January 1, 1802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7]
웹사이트
How the Supreme Court Found the Wall
https://www.firstthi[...]
First Things
2013-02-13
[28]
웹사이트
Religious liberty in public life: Establishment Clause overview
http://www.firstamen[...]
First Amendment Center
[29]
웹사이트
Established Churches in Early America
https://mtsu.edu/fir[...]
The First Amendment Encyclopedia presented by the John Seigenthaler Chair of Excellence in First Amendment Studies.
[30]
웹사이트
Larkin v. Grendel's Den, Inc., 459 U.S. 116 (1982) at 126-12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2-12-13
[31]
웹사이트
'Walz v. Tax Commission of the City of New York'' (1970)'
https://mtsu.edu/fir[...]
The First Amendment Encyclopedia presented by the John Seigenthaler Chair of Excellence in First Amendment Studies
[32]
웹사이트
Common Interpretation: The Establishment Clause
https://constitution[...]
National Constitution Center
[33]
간행물
First Amendment
https://www.britanni[...]
[34]
서적
Thomas Jefferson and the Wall of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NYU Press
2002
[35]
서적
Archaeology, Narrative, and the Politics of the Past: The View from Southern Maryland'
https://books.google[...]
Univ. of Tennessee Press
2012
[36]
웹사이트
Abington School District v. Schempp, 374 U.S. 203 (1963), at 220.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3-06-17
[37]
웹사이트
Jefferson S. Dunn, Commissioner, Alabama Department of Corrections, Applicant v. Domineque Hakim Marcelle Ray on Application Number 18A815 to vacate stay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19-02-07
[38]
웹사이트
Epperson v. Arkansas, 393 U.S. 97 (1968), at 103–10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8-11-12
[39]
웹사이트
Larson v. Valente, 456 U.S. 228 (1982), at 24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2-04-21
[40]
웹사이트
Zorach v. Clauson, 343 U.S. 306 (1952), at 31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52-04-28
[41]
웹사이트
McCreary County v.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of Ky., 545 U.S. 844 (2005), at Part II A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05-06-27
[42]
USSC
[43]
문서
Grumet
U.S.
[44]
USSC
[45]
USSC
[46]
USSC
[47]
웹사이트
Memorial and Remonstrance against Religious AssessmentsPapers
http://press-pubs.uc[...]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85-06-20
[48]
서적
Shaping America: the Supreme Court and American society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49]
문서
In the words of [Thomas] Jefferson, the clause against establishment of religion by law was intended to erect "a wall of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from the ''Everson'' decision
https://www.law.corn[...]
[50]
서적
Does God Make a Differ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1]
USSC
[52]
웹사이트
Excerpts From Ruling on Use of Education Money
https://www.nytimes.[...]
1998-06-11
[53]
간행물
Jurisprudential Regimes and Supreme Court Decisionmaking: The Lemon Regime and Establishment Clause Cases
[54]
웹사이트
Freedom of Religion
http://www.lincoln.e[...]
Lincoln University (Pennsylvania)
[55]
USSC
[56]
USSC
[57]
문서
Lemon v. Kurtzman
U.S.
1971
[58]
웹사이트
Kennedy v. Bremerton School District – A Sledgehammer to the Bedrock of Nonestablishment
https://www.acslaw.o[...]
2022-06-28
[59]
웹사이트
The ACLJ Participates in Another Supreme Court Victory as the Court Upholds Coach Kennedy's Right to Pray after Football Games in Kennedy v. Bremerton School District
https://aclj.org/rel[...]
American Center for Law and Justice (ACLJ)
2022-06-29
[60]
웹사이트
Kennedy v. Bremerton School District
https://www.supremec[...]
2022-07-20
[61]
웹사이트
Accommodationism and Religion
https://mtsu.edu/fir[...]
The First Amendment Encyclopedia presented by the John Seigenthaler Chair of Excellence in First Amendment Studies
[62]
웹사이트
Benevolent Neutrality
https://mtsu.edu/fir[...]
The First Amendment Encyclopedia presented by the John Seigenthaler Chair of Excellence in First Amendment Studies.
[63]
웹사이트
Zorach v. Clauson, 343 U.S. 306 (1952), at 313–31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52-04-28
[64]
웹사이트
Wallace v. Jaffree, 472 U.S. 38 (1985)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5-06-04
[65]
서적
Encyclopedia of the Supreme Cour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66]
서적
Does God Make a Differ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11-10
[67]
서적
Recasting Conservatism: Oakeshott, Strauss, and the Response to Postmodernism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6-08-28
[68]
웹사이트
Lynch v. Donnelly, 465 U.S. 668 (198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69]
웹사이트
Supreme Court Cases: Reynolds v. United States, 1879
http://www.phschool.[...]
Pearson Prentice Hall
[70]
웹사이트
Abington School District v. Schempp, 374 U.S. 203 (1963) at 222-223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3-06-17
[71]
웹사이트
Sherbert v. Verner, 374 U.S. 398 (1963) at 402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3-06-17
[72]
웹사이트
Lyng v. Northwest Indian Cemetery, 485 U.S. 439 (1988), at 450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8-04-19
[73]
웹사이트
"''Employment Div. v. Smith'', 494 U.S. 872 (1990), at 49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90-04-17
[74]
웹사이트
"''Church of the Lukumi Babalu Aye, Inc. v. Hialeah'', 508 U.S. 520 (1993), at 533 and 542–543"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93-06-11
[75]
웹사이트
"''Trinity Lutheran Church of Columbia, Inc. v. Comer'', 582 U.S. ___ (2017), Opinion of the Court, Part II"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17-06-26
[76]
웹사이트
Reynolds v. United States—98 U.S. 145 (1878)
http://supreme.justi[...]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77]
웹사이트
Braunfeld v. Brown, 366 U.S. 599 (1961), at 60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1-05-29
[78]
웹사이트
Cantwell v. Connecticut—310 U.S. 296 (1940), at 303
http://supreme.justi[...]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79]
웹사이트
What in the World is Religious Freedom?
https://www.religiou[...]
2019-11-01
[80]
간행물
http://cdn.loc.gov/s[...]
1890
[81]
웹사이트
Employment Div. v. Smith, 494 U.S. 872 (1990), Syllabus at 872–872.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90-04-17
[82]
웹사이트
Employment Div. v. Smith, 494 U.S. 872 (1990), at 879.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90-04-17
[83]
뉴스
Religion: Religious conservatives hopeful new Supreme Court majority will redefine religious liberty precedents
https://www.washingt[...]
2020-11-03
[84]
웹사이트
An epic Supreme Court showdown over religion and LGBTQ rights ends in a whimper
https://www.vox.com/[...]
2021-06-17
[85]
웹사이트
What the Supreme Court Ruling on Foster Care Means for LGBTQ+ Parents
https://www.advocate[...]
2021-06-17
[86]
웹사이트
Braunfeld v. Brown, 366 U.S. 599 (1961) at 603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1-05-29
[87]
웹사이트
"''Employment Div. v. Smith'', 494 U.S. 872 (1990), at 877-878"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90-04-17
[88]
문서
"[[Sherbert v. Verner]], {{ussc|374|398|1963}}"
[89]
웹사이트
Sherbert v. Verner 374 U.S. 398 (1963)
http://www.highbeam.[...]
2000-01-01
[90]
문서
"[[Wisconsin v. Yoder]], {{ussc|406|205|1972}}"
[91]
웹사이트
Wisconsin v. Yoder 406 U.S. 205 (1972)
http://www.highbeam.[...]
2000-01-01
[92]
문서
"[[Employment Division v. Smith]], {{ussc|494|872|1990}}"
[93]
웹사이트
Employment Division, Department of Human Resources of Oregon v. Smith 484 U.S. 872 (1990)
http://www.highbeam.[...]
2000-01-01
[94]
문서
"[[Church of Lukumi Babalu Aye v. City of Hialeah]], {{ussc|508|520|1993}}"
[95]
웹사이트
Church of the Lukumi Babalu Aye, Inc. v. Hialeah, 508 U.S. 520 (1993), at 531–54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93-06-11
[96]
웹사이트
Church of Lukumi Babalu Aye, Inc. v. City of Hialeah 1993
http://www.highbeam.[...]
2001-01-01
[97]
웹사이트
Church of the Lukumi Babalu Aye, Inc. v. Hialeah, 508 U.S. 520 (1993), at 534.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93-06-11
[98]
웹사이트
Church of the Lukumi Babalu Aye, Inc. v. Hialeah, 508 U.S. 520 (1993), at 539.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93-06-11
[99]
웹사이트
Church of the Lukumi Babalu Aye, Inc. v. Hialeah, 508 U.S. 520 (1993), at 542–543.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93-06-11
[100]
문서
"[[City of Boerne v. Flores]], {{ussc|521|507|1997}}"
[101]
웹사이트
The McCulloch theory of the Fourteenth Amendment: City of Boerne v. Flores and the original understanding of section 5
https://www.questia.[...]
The Yale Law Journal
1999-10-01
[102]
웹사이트
"''City of Boerne v. Flores'' (1997)"
https://www.mtsu.edu[...]
The First Amendment Encyclopedia presented by the John Seigenthaler Chair of Excellence in First Amendment Studies.
[103]
웹사이트
State Religious Freedom Acts
http://www.ncsl.org/[...]
2017-05-05
[104]
문서
"[[Gonzales v. O Centro Espirita Beneficente Uniao do Vegetal|Gonzales v. UDV]]]], {{ussc|546|418|2006}}"
[105]
웹사이트
Freedom of Religion
http://www.highbeam.[...]
2006-01-01
[106]
웹사이트
Tanzin v. Tanvir, 592 U.S. ___ (2020), Opinion of the Court at page 1.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0-12-10
[107]
웹사이트
Tanzin v. Tanvir, 592 U.S. ___ (2020), Syllabus at page 1.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0-12-10
[108]
웹사이트
Opinion analysis: Justices allow Muslim men placed on "no fly" list to sue FBI agents for money damage
https://www.scotusbl[...]
SCOTUSblog
2020-12-10
[109]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Lee, 455 U.S. 252 (1982), at 261.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2-02-23
[110]
뉴스
9 Supreme Court cases that shaped the 2010s
https://www.vox.com/[...]
Vox.com
2019-12-26
[111]
웹사이트
Estate of Thornton v. Caldor, Inc., 472 U.S. 703 (1985) at page 710.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85-06-26
[112]
웹사이트
Argument preview: Religion, rights, and the workplace
https://www.scotusbl[...]
SCOTUSblog
2014-03-20
[113]
웹사이트
Hobby Lobby Wins Contraceptive Ruling in Supreme Court
https://abcnews.go.c[...]
2014-06-30
[114]
웹사이트
Free Exercise of Religion by Closely Held Corporations: Implications of ''Burwell v. Hobby Lobby Stores, Inc.''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5-11-12
[115]
문서
Locke v. Davey
[116]
웹사이트
Locke v. Davey
https://www.britanni[...]
2018-05-03
[117]
문서
Trinity Lutheran Church of Columbia, Inc. v. Comer
[118]
웹사이트
Trinity Lutheran Church of Columbia, Inc. v. Comer
https://www.oyez.org[...]
2021-10-11
[119]
문서
Espinoza v. Montana Department of Revenue
[120]
웹사이트
Opinion analysis: Court rules that religious schools cannot be excluded from state funding for private schools
https://www.scotusbl[...]
2020-06-30
[121]
웹사이트
Carson v. Makin, 596 U.S. ___ (2022), Part II Section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2-06-21
[122]
사전
freedom of speech
https://ahdictionar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20-07-28
[123]
사전
freedom of speech
https://www.merriam-[...]
2020-07-28
[124]
사전
free speech
https://dictionary.c[...]
2020-07-28
[125]
사전
freedom of speech
https://www.dictiona[...]
2020-07-28
[126]
웹사이트
Riley v. National Federation of the Blind, 487 U.S. 781 (1988), at 796 – 79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20-07-28
[127]
웹사이트
How Would an Absolute First Amendment Benefit Modern Society?
https://thesocialtal[...]
2023-01-04
[128]
웹사이트
Murdock v. Pennsylvania, 319 U.S. 105 (1943), at 115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43-05-03
[129]
웹사이트
Murdock v. Pennsylvania, 319 U.S. 105 (1943), at 116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43-05-03
[130]
웹사이트
Stanley v. Georgia, 394 U.S. 557 (1969), at 564-566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9-04-07
[131]
웹사이트
Schneider v. State, 308 U.S. 147 (1939), at 161.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39-11-21
[132]
백과사전
Schneider v. State (1939)
https://mtsu.edu/fir[...]
John Seigenthaler Chair of Excellence in First Amendment Studies
2021-02-10
[133]
웹사이트
Thornhill v. Alabama, 310 U.S. 88 (1940), at 101-102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40-04-22
[134]
웹사이트
Bond v. Floyd, 385 U.S. 116 (1966), at 136.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6-12-05
[135]
웹사이트
Police Dept. of City of Chicago v. Mosley, 408 U.S. 92 (1972), at 95–96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72-06-26
[136]
웹사이트
Police Dept. of City of Chicago v. Mosley, 408 U.S. 92 (1972), at 103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72-06-26
[137]
웹사이트
Griswold v. Connecticut, 381 U.S. 479 (1965), at 482–483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5-06-07
[138]
웹사이트
Stanley v. Georgia, 394 U.S. 557 (1969), at 564–566.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9-04-07
[139]
웹사이트
Stanley v. Georgia, 394 U.S. 557 (1969), at 565.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9-04-07
[140]
간행물
The Freedom of Speech
1993-04
[141]
서적
Civil Peace and the Quest for Truth: The First Amendment Freedoms in Political Philosophy and American Constitutionalism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142]
문서
New York Times Co. v. Sullivan
[143]
문서
Sullivan
[144]
웹사이트
Espionage Act, 1917
http://recordsofrigh[...]
National Archives
2014-03-27
[145]
문서
Schenck v. United States
[146]
문서
Schenck
[147]
서적
Perilous Times: Free Speech in Wartime from the Sedition Act of 1798 to the War on Terrorism
https://books.google[...]
W. W. Norton & Company
[148]
문서
Debs v. United States
[149]
문서
Debs
[150]
문서
Debs
[151]
문서
Whitney v. California
[152]
문서
Killian, Johnny H.; Costello, George; Thomas, Kenneth R.,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Library of Congres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5, ISBN978-0160723797, pp. 1096, 1100.
[153]
문서
The Court adopted the imminent lawless action test in 1969's Brandenburg v. Ohio, 395 U.S. 444 (1969), which some commentators view as a modified version of the clear and present danger test.
[154]
문서
Thornhill v. Alabama
[155]
문서
Terminiello v. City of Chicago
[156]
문서
Terminiello
[157]
문서
Including Cantwell v. Connecticut, 310 U.S. 296 (1940): "When clear and present danger of riot, disorder, interference with traffic upon the public streets, or other immediate threat to public safety, peace, or order appears, the power of the State to prevent or punish is obvious ... we think that, in the absence of a statute narrowly drawn to define and punish specific conduct as constituting a clear and present danger to a substantial interest of the State, the petitioner's communication, considered in the light of the constitutional guarantees, raised no such clear and present menace to public peace and order as to render him liable to conviction of the common law offense in question."
[158]
문서
Antieu, Chester James, Commentaries on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Wm. S. Hein Publishing, 1998, p 219, ISBN9781575884431. Antieu names Feiner v. New York, 340 U.S. 315 (1951); Chaplinsky v. New Hampshire 315 U.S. 568 (1942); and Kovacs v. Cooper, 335 U.S. 77 (1949).
[159]
문서
18 U.S.C. § 2385
[160]
문서
Dennis
[161]
문서
Dennis v. United States
[162]
문서
Dennis
[163]
문서
Dennis
[164]
문서
Yates v. United States
[165]
문서
United States v. O'Brien
[166]
문서
50 U.S.C. § 462
[167]
문서
O'Brien
[168]
문서
Brandenburg v. Ohio
[169]
문서
Brandenburg
[170]
문서
Brandenburg
[171]
문서
Cohen v. California
[172]
웹사이트
Matal v. Tam, 582 U.S. ___ (2017)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17-06-19
[173]
뉴스
Why the Slants Took a Fight Over Their Band Name to the Supreme Court
https://www.nytimes.[...]
2021-12-30
[174]
문서
Matal v. Tam
[175]
뉴스
Justices Strike Down Law Banning Disparaging Trademarks
https://www.nytimes.[...]
2019-06-30
[176]
문서
Marks
[177]
웹사이트
Matal v. Tam, 582 U.S. ___ (2017), Part III-B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2017-06-19
[178]
웹사이트
Bridges v. California, 314 U.S. 252 (1941), at 263 and 270-271.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41-12-08
[179]
문서
Talley v. California
[180]
웹사이트
Cybersmear: telecommunication's 200-year-old riddle
https://www.questia.[...]
2002-06-01
[181]
문서
McIntyre v. Ohio Elections Commission
[182]
뉴스
Court Hears Case on Unsigned Leaflets
http://www.highbeam.[...]
1994-10-13
[183]
문서
Meese v. Keene
[184]
뉴스
Court Upholds Government Labeling Certain Foreign Films 'Propaganda'
http://www.highbeam.[...]
1987-04-29
[185]
문서
Buckley v. Valeo
[186]
문서
Buckley
[187]
문서
Buckley
[188]
문서
McConnell v. Federal Election Commission
[189]
문서
McConnell
[190]
문서
Federal Election Commission v. Wisconsin Right to Life, Inc.
[191]
문서
Davis v. FEC
[192]
웹사이트
'Wholly foreign to the First Amendment': the demise of campaign finance's equalizing rationale in Davis v. Federal Election Commission
https://www.questia.[...]
Harvard Journal of Law and Public Policy
2009-06-22
[193]
문서
Citizens United v. FEC
[194]
문서
Austin v. Michigan Chamber of Commerce
[195]
문서
See Part III of the Opinion of the Court in Citizens United
[196]
SCOTUSblog
Citizens United v. Federal Election Commission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2-11-01
[197]
문서
McCutcheon v. Federal Election Commission
[198]
웹사이트
Divided Court strikes down campaign contribution caps: In Plain English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4-04-02
[199]
문서
Street v. New York
[200]
문서
Street
[201]
문서
Stromberg v. California
[202]
문서
Street
[203]
문서
Texas v. Johnson
[204]
문서
Johnson
[205]
문서
United States v. Eichman
[206]
웹사이트
Amendment on Flag Burning Fails by One Vote in the Senate
https://www.nytimes.[...]
2006-06-27
[207]
문서
Notes to 18 U.S.C. § 704
https://www.law.corn[...]
2012-06-30
[208]
간행물
Pub.L. 103-322, The Violent Crime Control and Law Enforcement Act of 1994, § 320109
http://www.gpo.gov/f[...]
2012-06-30
[209]
뉴스
Fake claims of war heroics a federal offense
http://www.chicagotr[...]
2008-05-27
[210]
문서
United States v. Alvarez
[211]
웹사이트
West Virginia State Board of Education v. Barnette
https://www.britanni[...]
2020-06-21
[212]
웹사이트
Opinion analysis: Divided court rules for anti-abortion pregnancy centers in challenge to California law
2018-06-27
[213]
웹사이트
Opinion analysis: Court strikes down public-sector union fees
SCOTUSblog
2018-06-27
[214]
문서
Bolger v. Youngs Drug Products
[215]
문서
Bolger
[216]
문서
Valentine v. Chrestensen
[217]
문서
Valentine
[218]
문서
Virginia State Pharmacy Board v. Virginia Citizens Consumer Council
[219]
문서
Virginia State Pharmacy Board
[220]
문서
Ohralik v. Ohio State Bar Association
[221]
문서
Ohralik
[222]
문서
Central Hudson Gas & Electric Corp. v. Public Service Commission
[223]
문서
Posadas de Puerto Rico Associates v. Tourism Company of Puerto Rico
[224]
문서
44 Liquormart, Inc. v. Rhode Island
[225]
문서
Tinker v. Des Moines Independent Community School District
[226]
웹사이트
Tinker v. Des Moines Independent Community School District
https://www.law.corn[...]
2013-04-11
[227]
문서
Bethel School District v. Fraser
[228]
문서
Hazelwood v. Kuhlmeier
[229]
문서
Morse v. Frederick
[230]
웹사이트
Uncertain Rights: Student Speech and Conflicting Interpretations of Morse v. Frederick
2013-04-11
[231]
웹사이트
Adopting the Chicago Statement
2019-08-26
[232]
웹사이트
35 Universities Adopt 'The Chicago Statement' On Free Speech—1,606 To Go
2019-08-26
[233]
웹사이트
Supreme Court strikes down North Carolina law banning sex offenders from social media
2017-06-19
[234]
웹사이트
Packingham v. North Carolina
[235]
웹사이트
Packingham v. North Carolina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17-09-25
[236]
웹사이트
Federal Judge Advocates Jury Nullification After Being Shocked by Overzealous Child Pornography Prosecution
https://reason.com/2[...]
reason.com
2016-06-11
[236]
웹사이트
Mandatory minimum drives US District Judge to countenance arguments for jury nullification in federal child porn case
https://sentencing.t[...]
entencing.typepad.com
2018-11-06
[236]
웹사이트
Nullifying Nullification: Will the Second Circuit Prohibit a Defendant's Jury Nullification Defense?
https://www.law.com/[...]
ww.law.com
2019-05-17
[236]
웹사이트
Defending a Court's Discretion To Allow Arguments for Conscientious Acquittal
https://www.cato.org[...]
www.cato.org
2018-12-20
[237]
문서
Regina v. Hicklin
[238]
문서
Rosen
[239]
웹사이트
Obscenity
http://www.law.corne[...]
Legal Information Institute,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2013-04-10
[240]
문서
Roth v. United States
[241]
문서
Roth
[242]
문서
Jacobellis v. Ohio
[243]
문서
Jacobellis
[244]
뉴스
The Origins of Justice Stewart's 'I Know It When I See It'
https://blogs.wsj.co[...]
LawBlog at The Wall Street Journal Online
2014-12-31
[245]
문서
Miller v. California
[246]
문서
Miller
[247]
논문
Pope v. Illinois
[248]
문서
New York v. Ferber
[249]
문서
Osborne v. Ohio
[250]
문서
Ferber
[251]
문서
Stanley v. Georgia
[252]
문서
Ashcroft v. Free Speech Coalition
[253]
문서
Free Speech Coalition
[254]
문서
Free Speech Coalition
[255]
문서
United States v. Williams
[256]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Williams (No. 06-694)
https://www.law.cor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at Cornell Law School at Cornell University
2008-05-19
[257]
웹사이트
Protecting children speech that crosses the line
https://www.questia.[...]
2009-06-01
[258]
웹사이트
Interview: Julie Hilden discusses laws and ethics surround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prisoners
http://www.highbeam.[...]
NPR
2013-04-28
[259]
문서
Simon & Schuster v. Crime Victims Board
[260]
웹사이트
Simon & Schuster v. Members of the New York State Crime Victims Board 1991
http://www.highbeam.[...]
2013-04-10
[261]
문서
Sullivan
[262]
웹사이트
New York Times v. Sullivan
https://www.oyez.org[...]
2014-03-11
[263]
문서
Westmoreland v. CBS
[264]
논문
Philadelphia Newspapers v. Hepps
[265]
문서
Hepps
[266]
논문
Dun & Bradstreet, Inc. v. Greenmoss Builders, Inc.
[267]
문서
Greenmoss
[268]
간행물
Dun & Bradstreet, Inc. v. Greenmoss Builders, Inc. 472 U.S. 749 (1985)
http://www.highbeam.[...]
2013-04-19
[269]
논문
Gertz v. Robert Welch, Inc.
[270]
간행물
Gertz v. Robert Welch, Inc.
http://www.highbeam.[...]
2013-04-19
[271]
논문
Hustler Magazine v. Falwell
[272]
웹사이트
Hustler Magazine v. Falwell 1988
http://www.highbeam.[...]
2013-04-19
[273]
논문
Milkovich v. Lorain Journal Co.
[274]
간행물
Milkovich v. Lorain Journal Co. 497 U.S. 1 (1990)
http://www.highbeam.[...]
2013-04-19
[275]
논문
Milkovich revisited: "Saving" the Opinion Privilege'
http://scholarship.l[...]
[276]
뉴스
The Google memo is a reminder that we generally don't have free speech at work
https://www.washingt[...]
2019-03-01
[277]
뉴스
The First Amendment doesn't guarantee you the rights you think it does
https://www.cnn.com/[...]
2019-03-01
[278]
문서
Pruneyard Shopping Center v. Robins
[279]
웹사이트
Returning to the PruneYard: the unconstitutionality of state-sanctioned trespass in the name of speech
https://www.questia.[...]
2009-01-01
[280]
문서
Pruneyard
[281]
논문
Finding A Forum in the Simulated City: Mega Malls, Gated Towns, and the Promise of ''Pruneyard''
[282]
웹사이트
Empresas Puertorriqueñas de Desarrollo, Inc. v. Hermandad Independiente de Empleados Telefónicos
http://www.ramajudic[...]
2020-12-15
[283]
문서
''Golden Gateway Ctr. v. Golden Gateway Tenants Ass'n'',
http://online.ceb.co[...]
[284]
서적
The Heritage Guide to the Constitution
http://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285]
논문
Reconsidering Citizens United as a Press Clause Case
http://www.yalelawjo[...]
2013-11
[286]
문서
ussc
[287]
문서
Lovell v. City of Griffin
[288]
문서
Lovell
[289]
웹사이트
Justices Reject Ban on Violent Video Games for Children
https://www.nytimes.[...]
2011-06-27
[290]
웹사이트
Bloggers, Media Shield Laws, And The First Amendment
http://www.outsideth[...]
Outside The Beltway
2013-05-28
[291]
웹사이트
First Amendment: An Overview
https://www.law.cor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of the Cornell University
[292]
웹사이트
The American Heritage Foundation's Guide to the Constitution: Freedom of Speech and of the Press
http://www.heritage.[...]
The American Heritage Foundation
[293]
문서
Bartnicki v. Vopper
[294]
문서
Cohen v. Cowles Media Co.
[295]
문서
Henry v. Collins
[296]
문서
First National Bank of Boston v. Bellotti
[297]
웹사이트
Pennekamp v. Florida, 328 U.S. 331 (1946), at 364. Concurring opinion by Felix Frankfurter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46-06-03
[298]
웹사이트
Mills v. Alabama, 384 U.S. 214 (1966), at 218-219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66-05-23
[299]
문서
Near v. Minnesota
[300]
문서
New York Times Co. v. United States
[301]
간행물
New York Times Co. v. United States 403 U.S. 713 (1971)
http://www.highbeam.[...]
2000-01-01
[302]
문서
Miami Herald Publishing Co. v. Tornillo
[303]
웹사이트
Dan Paul, 85, leading lawyer for press freedom
http://www.highbeam.[...]
2010-02-02
[304]
문서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v. Pacifica Foundation
[305]
문서
Grosjean v. American Press Co.
[306]
문서
Arkansas Writers' Project v. Ragland
[307]
문서
Leathers v. Medlock
[308]
문서
Leathers
[309]
문서
Branzburg v. Hayes
[310]
문서
Branzburg
[311]
간행물
Branzburg v. Hayes 408 U.S. 665 (1972)
http://www.highbeam.[...]
2000-01-01
[312]
간행물
First Amendment (United States Constitution)
https://www.britanni[...]
2014-01-08
[313]
웹사이트
Findlaw Annotation 21—First Amendment—Rights of assembly and petition
https://constitution[...]
[314]
문서
California Motor Transport Co. v. Trucking Unlimited
[315]
문서
California Motor Transport Co.
[316]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Petition
https://web.archive.[...]
First Amendment Center
2013-04-19
[317]
판례
[318]
판례
[319]
문서
Freedom of Association
Hodder Arnold
[320]
판례
[321]
문서
Cruikshank
[322]
웹사이트
The Successes of the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https://www.aclu.org[...]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
2020-06-26
[323]
웹사이트
Hague v. Committee for Industrial Organization, 307 U.S. 496 (1939), at 516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39-06-05
[324]
웹사이트
Hague v. Committee for Industrial Organization, 307 U.S. 496 (1939), at 525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39-06-05
[325]
웹사이트
Competition and the Noerr-Pennington doctrine: When should political activity be barred under European community competition law?
https://www.questia.[...]
The George Washington International Law Review
2003-01-01
[326]
판례
[327]
문서
Citizens United and the Paradox of "Corporate Speech": From Freedom of Association to Freedom of The Association
http://socialchangen[...]
[328]
웹사이트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lored People v. Alabama 1958
https://web.archive.[...]
2013-04-13
[329]
판례
[330]
웹사이트
What is Really Wrong with Compelled Association?
https://www.questia.[...]
2005-01-01
[331]
판례
[332]
백과사전
Hurley v. Irish-American Gay, Lesbian, And Bisexual Group of Boston 515 U.S. 557 (1995)
https://web.archive.[...]
2013-04-13
[333]
판례
[334]
웹사이트
Boy Scouts of America v. Dale
https://web.archive.[...]
2013-04-13
[335]
웹사이트
Divided Court Invalidates California Donor Disclosure Rules
https://www.scotusbl[...]
2021-07-01
[336]
웹인용
First Amendment
https://web.archive.[...]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Legal Information Institute
2013-05-03
[337]
서적
Religion and the American constitutional experiment
https://www.worldcat[...]
Westview Press
20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미국 입국심사 땐 ‘MAGA’ 모자 어때요? [특파원 칼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