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모토노 요시히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나모토노 요시히라는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장남으로, 가마쿠라 시대에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아버지의 숙부인 미나모토노 요시카타를 공격하여 '가마쿠라 악겐타'라고 불렸다. 호겐의 난과 헤이지의 난에 참전했으며, 헤이지의 난에서 패배한 후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교토로 돌아와 다이라노 기요모리를 암살하려다 실패하여 처형당했다. 요시히라는 여러 전설과 문학 작품에 등장하며, 특히 『헤이지 이야기』에서 씩씩한 무사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60년 사망 - 에리크 9세
에리크 9세는 12세기 스웨덴 국왕으로 핀란드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스웨덴 법률 개혁과 교회 지원에 기여하여 성왕으로 숭배받았으나, 1160년 암살당한 인물이다. - 1160년 사망 - 미나모토노 요시토모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무장으로, 호겐의 난에서 아버지와 동생들을 처형하고 헤이지의 난에서 패배하여 암살당했으며, 그의 아들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세웠다. -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자녀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하고 최초의 세이이타이쇼군이 된 무장으로, 헤이지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가 반 다이라 씨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막부를 설립했으나, 권력 다툼과 낙마 사고사 등 논란 속에 일본 봉건 사회의 기틀을 마련했다. -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자녀 -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는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이복형과의 갈등으로 자결한 비극적인 무장으로, 일본 대중문화에서 영웅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1141년 출생 - 구마가이 나오자네
구마가이 나오자네는 무사시 국 출신의 무장으로, 이치노타니 전투에서 다이라노 아쓰모리를 죽이고 정토교 승려가 되어 렌쇼라는 법명으로 염불 수행에 전념했으며, 그의 이야기는 문학 작품과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1141년 출생 - 양간
남송 시대 육구연의 심학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학자이자 청렴한 관료였던 양간은 보모각 학사에 이르렀고 사후 문원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자호시전》, 《양씨역전》 등의 저서를 남겼다.
미나모토노 요시히라 | |
---|---|
기본 정보 | |
![]() | |
시대 | 헤이안 시대 말기 |
출생 | 에이지 원년 (1141년) |
사망 | 에이랴쿠 원년 1월 19일 (21일, 22일, 25일이라고도 함) (1160년2월 27일, 2월 29일, 3월 1일, 3월 4일이라고도 함) |
향년 | 20세 |
이명 | 가마쿠라 아쿠겐타 (아쿠겐타, 가마쿠라 겐타) |
관위 | 사에몬노쇼조 |
씨족 | 세이와 겐지다메요시 류 (가와치 겐지) |
부모 | 아버지: 미나모토노 요시토모 |
형제자매 | 요시히라, 도모나가, 요리토모, 요시카도, 기요시, 노리요리, 젠조, 기엔, 요시쓰네, 보몬히메, 여자 |
배우자 | 정실: 쇼주히메 |
자녀 | 딸: 다케다 노부미쓰 실 |
일본어 표기 | |
씨명 | 미나모토 (源) |
이름 | 요시히라 (義平) |
가나 표기 | みなもとの よしひら |
인물 정보 | |
별칭 | 악원태 (悪源太) |
2. 생애
2. 1. 가계와 초기 활동
요시히라는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미우라 요시아키의 딸이다. 1155년, 아버지 요시토모가 숙부 미나모토노 요시카타(요시토모의 이복 동생,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의 아버지)와 대립했을 때, 요시카타의 거관 무사시 국 히키군의 오쿠라관[7]을 급습하여 요시카타나 요시카타의 장인 치치부 시게타카를 토벌하였다. 이 전투는 치치부 일족 내부의 가독 다툼에서 시작된 것으로, 겐지 내부의 다툼이 결합된 것이다. 이 사건 후에 요시히라가 처벌받지 않은 것은, 당시 무사시노카미였던 후지와라노 노부요리와 요시토모가 관계를 돈독히 하고 있었고, 노부요리의 묵인이 있어서 일어난 사건이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8][9]이 오쿠라 전투 이후 "가마쿠라 악겐타"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악(惡)"은 선악의 악이 아니라, "강하다", "사납다" 정도의 의미이며, "가마쿠라의 강용한 겐지의 장남"이라는 뜻이다.
2. 2. 호겐의 난 (1156년)
보원 원년(1156년) 보원의 난이 발발하자, 아버지 요시토모는 고시라카와 천황 측에 서서 참전했고, 전쟁 후에는 사마노카미(左馬頭)에 임명되었지만, 요시히라의 동향은 분명하지 않다.2. 3. 헤이지의 난 (1159년)
1159년 후지와라노 노부요리와 함께 반(反) 신제(信西) 파에 가담하여 거병했다.[13] 초기에는 정권을 장악하는 듯했으나, 다이라노 기요모리가 돌아오면서 상황이 역전되었다.[1][2] 요시히라는 분전했지만, 병력 열세로 패배하고 요시토모와 함께 동국으로 도주했다.[13] 도주 중 아버지 요시토모가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복수를 결심, 교토로 돌아와 다이라노 기요모리를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1160년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1][2]2. 4. 최후
요시히라는 헤이지의 난에서 패배한 후 도주했으나,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교토로 돌아와 타이라노 키요모리를 암살하려 했다.[1][2] 그러나 가신이었던 시나이 카게즈미의 변명으로 협력하는 척 했지만, 결국 배신당하고 붙잡혔다.[14] 오미 국에 잠복했으나, 이시야마데라에서 발견되어 난바 츠네후사에게 생포되었다.로쿠조가와라로 연행된 요시히라는 키요모리에게 심문을 받았고, "빨리 베어라"라며 입을 다물었다. 그는 로쿠조가와라에서 난바 츠네후사에 의해 참수되었는데, 참수 직전 "번개가 되어 걷어차 죽여주겠다"라고 말하며 죽었다고 전해진다.[14] 향년 20세였다. 8년 후, 난바 츠네후사는 셋츠 국누노비키 폭포에서 벼락을 맞아 죽었다고 한다.[14]
3. 요시히라의 입장
요시히라는 당시 궁정 사회에서 군사 귀족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던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장남이었지만, 차남인 토모나가가 호겐 4년(1159년) 니조 천황의 중궁(후의 다카마츠인)의 종5위하·중궁대부진에, 셋째 동생인 요리토모도 호겐 3년(1158년)에 황후궁 소진에 임명된 것에 반해, 관위를 얻었다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이로 미루어 요시히라는 요시토모의 장남이지만 적자로 취급받지 못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생모의 신분이 크게 관여했을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4. 헤이지모노가타리 속 요시히라
『헤이지 이야기』에서의 요시히라는 『호겐 이야기』에서의 미나모토노 타메토모와 마찬가지로 주인공적인 존재로, 훗날 정벌 대장군이 된 요리토모의 형이어서 매우 씩씩한 젊은 무사로 그려져 있다. 군기물이기 때문에 그대로 사시(史実)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이하는 '곤피라본' 등 후세에 새롭게 작성된 『헤이지 이야기』에 의한 기재이다.
미나모토노 요시히라는 동국에서 원군을 이끌고 도착하여, 후지와라 노부요리에게 아베노(오사카시 아베노구)로 출진하여 기요모리를 격파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노부요리는 이를 거절했고, 결과적으로 요시토모와 노부요리는 승기를 놓치게 된다.[10] 이 대화는 『호겐 이야기』에서 미나모토노 다메토모와 후지와라노 요리나가 사이에 오간 대화와 매우 유사한 창작으로 보인다.
시게모리가 타이켄몬을 공격했을 때, 요시히라는 17명의 반도 무사를 이끌고 시게모리의 500기와 격돌했다. 요시히라는 시게모리를 쫓아 내리의 '''사콘노 사쿠라'''와 '''우콘노 타치바나''' 사이를 7, 8번이나 쫓아다녔다.[12] 요시히라는 시게모리에게 일기토를 신청했으나, 시게모리는 응하지 않고 후퇴했다. 겐지 군은 헤이케 군을 추격했지만, 이는 헤이케의 계략이었다.
로쿠조가와라 전투에서 요시히라는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의 군세를 공격하여 적으로 돌리는 실책을 범했다.[8] 요시히라는 반도 무사들을 이끌고 로쿠하라를 공격했지만, 헤이케 군의 계속된 병력 투입에 패배했다.
요시토모는 동국으로 도망쳤으나, 나가타 타다무치의 배신으로 살해당했다. 요시히라는 복수를 위해 교토로 잠입했으나, 결국 체포되어 로쿠조가와라에서 참수되었다.[14] 요시히라는 참수 직전 번개가 되어 복수하겠다고 외쳤고, 8년 후 난바 쓰네후사는 벼락에 맞아 죽었다고 전해진다.[13]
4. 1. 주요 장면
미나모토노 요시히라는 동국에서 원군을 이끌고 도착하여, 후지와라 노부요리에게 아베노(오사카시 아베노구)로 출진하여 기요모리를 격파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노부요리는 이를 거절했고, 결과적으로 요시토모와 노부요리는 승기를 놓치게 된다.[10] 이 대화는 『호겐 이야기』에서 미나모토노 다메토모와 후지와라노 요리나가 사이에 오간 대화와 매우 유사한 창작으로 보인다.시게모리가 타이켄몬을 공격했을 때, 요시히라는 17명의 반도 무사를 이끌고 시게모리의 500기와 격돌했다. 요시히라는 시게모리를 쫓아 내리의 '''사콘노 사쿠라'''와 '''우콘노 타치바나''' 사이를 7, 8번이나 쫓아다녔다.[12] 요시히라는 시게모리에게 일기토를 신청했으나, 시게모리는 응하지 않고 후퇴했다. 겐지 군은 헤이케 군을 추격했지만, 이는 헤이케의 계략이었다.
로쿠조가와라 전투에서 요시히라는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의 군세를 공격하여 적으로 돌리는 실책을 범했다.[8] 요시히라는 반도 무사들을 이끌고 로쿠하라를 공격했지만, 헤이케 군의 계속된 병력 투입에 패배했다.
요시토모는 동국으로 도망쳤으나, 나가타 타다무치의 배신으로 살해당했다. 요시히라는 복수를 위해 교토로 잠입했으나, 결국 체포되어 로쿠조가와라에서 참수되었다.[14] 요시히라는 참수 직전 번개가 되어 복수하겠다고 외쳤고, 8년 후 난바 쓰네후사는 벼락에 맞아 죽었다고 전해진다.[13]
5. 전승
5. 1. 아오바노 후에 전설
후쿠이현오노시 이즈미 지역에는 미나모토노 요시히라가 남겼다고 전해지는 아오바의 피리가 있다. 전승에 따르면 요시히라는 그 마을 촌장의 딸인 미츠와의 사이에 딸 하나를 두었다. 그 피리는 현재 부러져서 불 수 없지만, 자손인 아사히 가문에 대대로 전해져 내려오며 지금도 소중히 보관되어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가마쿠라 시대보다 전에 만들어진 피리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5. 2. 기타
기후현 구쓰 하치만구 사당 건립 족자에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당국의 하치만구는 미나모토노 요시히라가 호겐 연간에 간토 쓰루오카에서 이곳으로 권청했다…"라는 기술이 있다. 미노 각지에서 발견된 고문서에는 호겐 연간 (1156년 - 1159년)의 요시히라의 기진장이 발견되었으며, 히다에도 요시히라에 관한 전승이 몇몇 (게로시 가네야마 지역의 요시히라의 히히 퇴치 전설 등) 있다. 요시히라는 이 지역을 과거에도 방문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헤이지의 난에서 거병할 때, 무운을 기원하며 구쓰 하치만구에 쓰루오카 하치만구의 어신체를 모셨다.6. 관련 작품
- 『신・헤이케 이야기』(1972년, NHK 대하드라마, 배역: 이시카와 테츠로(소년기: 타카다 나오히사))
- 『타이라노 키요모리』(1992년, TBS, 배역: 니시무라 카즈히코)
- 『타이라노 키요모리』(2012년, NHK 대하드라마, 배역: 나미오카 카즈키)
6. 1. 텔레비전 드라마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Legends of the Samurai
Overlook Duckworth
[3]
Kotobank
源義平
[4]
서적
コンサイス日本人名辞典 第5版
株式会社三省堂
[5]
문서
尊卑分脈
[6]
문서
清和源氏系図
[7]
문서
(埼玉県比企郡嵐山町)など、大蔵館の場所には諸説有る
[8]
서적
保元・平治の乱をよみなおす
NHKブックス
[9]
서적
源氏と坂東武士
吉川弘文館
[10]
간행물
保元・平治の乱を読み直す
[11]
문서
この義平等の装束については金比羅本等の後出本『平治物語』には記載されているが、古態本には一切出てこない。
[12]
간행물
平治物語の成立と展開
[13]
문서
古態本では朝長に信濃へ行くように命じた記載はない。
[14]
문서
古態本には志内景澄は登場しな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