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나모토노 다메요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나모토노 다메요시는 헤이안 시대 후기의 무장으로, 가와치 겐지의 일족이다. 그는 미나모토노 요시치카 또는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의 아들로 추정되며, 14세에 좌위문소위에 임명되었다. 초기에는 시라카와 법황과 가까이하며 무력으로 인을 수호했으나, 이후 잦은 문제와 노토들의 난동으로 관위가 침체되었다. 셋칸케와의 관계를 강화하려 했으나, 아들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와의 대립으로 호겐의 난에서 스토쿠 상황 편에 섰다. 고시라카와 천황 측의 승리로 난이 끝나자 요시토모에게 항복했으나, 결국 요시토모의 손에 의해 처형되었다. 그는 가와치 겐지의 도료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생존 당시에는 그 지위가 확실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96년 출생 - 스티븐 (잉글랜드)
    스티븐은 1135년부터 1154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헨리 1세의 후계자 지명을 어기고 왕위를 차지하여 "무정부 시대"로 불리는 내전을 야기했으나, 헨리 피츠엠프레스(훗날 헨리 2세)를 후계자로 인정하며 평화를 이룬 혼란의 시대의 왕이다.
  • 1096년 출생 - 이자슬라프 2세
    이자슬라프 2세는 므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로 페레야슬라우 공작과 투라우 공작을 거쳐 1146년 키예프 대공에 즉위했으나 유리 돌고루키에게 대공위를 빼앗기기도 했으며, 다비드 가문과 동맹을 맺고 올레크 가문과 대립하다가 1154년 사망했다.
  • 1156년 사망 - 도바 천황
    도바 천황은 호리카와 천황의 아들로 즉위 후 시라카와 법황의 섭정을 받았으며, 스토쿠 천황에게 양위한 후 인세이를 시작하여 실권을 장악하고 고노에 천황을 즉위시키는 등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다가 말년에 법황이 되어 붕어했다.
  • 1156년 사망 - 푸아티에 백작 기욤 9세
    푸아티에 백작 기욤 9세는 1071년 푸아티에에서 앙주 백작 앙리 2세와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사이에서 태어나 푸아티에 백작령의 상속자가 되었으며, 그의 출생은 잉글랜드 왕위 계승에 영향을 미쳤다.
  • 가와치 겐지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아버지 요리토모 사후 쇼군에 올랐으나 고케닌들의 반발과 권력 다툼으로 물러난 뒤 암살당해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가와치 겐지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미나모토노 사네토모는 호조 씨의 영향력 아래 가마쿠라 막부의 3대 쇼군으로 즉위했으나, 뛰어난 와카 시인으로서 『금해와가집』을 남기고 송나라 문화에 관심을 가졌지만 조카 구교에게 암살당해 겐지 쇼군가의 혈통이 끊겼다.
미나모토노 다메요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나모토노 다메요시, [[시라미네 신궁]] 소장
미나모토노 다메요시, 시라미네 신궁 소장
이름미나모토노 다메요시 (源 為義)
다른 이름무쓰 시로 (陸奥 四郎), 로쿠조 한간(六条判官)
출생1096년
사망1156년 8월 17일
묘소교토 시모교구 스자쿠우라하타초 곤겐지
소속미나모토 씨 (源氏)
씨족미나모토 씨 (源氏), 가와치 겐지 (河内源氏)
아버지미나모토노 요시치카(源義親) 또는 미나모토노 요시이에(源義家)
관직 정보
직위가와치 겐지 수장
계승자미나모토노 요시토모
관위종5위하, 좌위문대위, 검비위사
주군시라카와 천황도바 천황후지와라노 다다자네후지와라노 요리나가
가족 관계
배우자후지와라노 다다키요의 딸
자녀미나모토노 요시토모 (아들)
미나모토노 다메토모 (아들)
미나모토노 유키이에 (아들)
군사 활동
전투호겐의 난

2. 생애

미나모토노 다메요시는 1096년(에이초 원년)에 태어났다. 무로마치 시대에 편찬된 『존비분맥』에는 미나모토노 요시치카의 넷째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사사키 노리카즈는 『존비분맥』 성립 이전의 중세 계도[2]나 후지와라노 타다자네의 일기 『덴랴쿠[3] 등을 통해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의 넷째 아들이라는 설을 주장했다.[4] 후지와라노 요리나가의 일기 『다이키』에도 타메요시를 요시이에의 친자식으로 보는 기록이 있다.[5]

『존비분맥』에 따르면, 아버지 요시치카가 서쪽에서 문제를 일으켜 조부 미나모토노 요시이에는 넷째 아들 미나모토노 요시타다를 후계자로 정하고, 손자 타메요시를 다음 후계자로 삼도록 했다. 어린 타메요시는 숙부 요시타다나 조부 요시이에와 함께 교토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1106년(가쇼 원년)에 요시이에가 사망하고 요시타다가 가독을 이었지만, 1109년(덴닌 2년)에 암살되었다(미나모토노 요시타다 암살 사건). 요시타다의 숙부 미나모토노 요시쓰나 일족이 범인으로 몰려[8] 타메요시는 미노 겐지의 미나모토노 미쓰쿠니와 함께 이들을 추토하여 교토로 개선했다. 이 공로로 14세에 사에몬노쇼(좌위문소위)에 임명되었다.

초기에 타메요시는 원(院)과 관계가 깊었고, 섭관가와는 친밀하지 않았다. 『구간초』에는 시라카와 법황이 타메요시 등을 검비위에 임명하여 도바 천황을 경호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호안 4년(1123년) 엔랴쿠지의 강소에서는 다이라노 타다모리와 함께 방어에 동원되는 등 원을 수호하는 무력으로 기대받았다. 타메요시의 첫 번째 부인은 시라카와 원 측근인 후지와라노 타다키요의 딸로, 장남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를 낳았다. 1124년(호안 5년)경에는 검비위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동갑인 타다모리가 수령을 역임한 것과 달리, 타메요시는 검비위로 오랫동안 머물렀고, 관위는 침체하게 된다.

다이라노 다다모리와 달리 미나모토노 다메요시가 승진하지 못한 주된 이유는 다메요시 본인과 노토(郎党, 낭당)들의 잦은 난동 때문이었다. 기록에 남은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내용
1114년(에이큐 2년)
1129년(다이지 4년)
1130년(다이지 5년) 5월엔랴쿠지 악승 추포 때 다메요시의 노토가 실수로 기이 국(紀伊) 기이노카미에게 폭행을 가해 감사에 처해졌다. 미나모토노 모로토키(源師時)는 이를 "애새끼들 장난 같다"라고 비웃었다.[48]
1133년(조쇼 2년) 9월다메요시의 노토가 단바 국(丹波国)에서 많은 사람들을 살해하였다.[49]



1135년(호엔 원년) 4월, 해적 추토 때 다이라노 다다모리와 함께 추토사 후보로 올랐지만 도바 상황은 다메요시를 보내면 가는 길의 구니(國)들이 멸망할 것이라며 반대했다.[50]

1136년(호엔 2년) 다메요시는 사에몬노쇼이(左衛門少尉)를 사임하였다. 1139년(호엔 5년) 관직이 없게 된 다메요시는 고야 산(高野山) 승려 가쿠반(覚鑁)에게 자신의 명부(名簿)를 제출하고 인의 불쾌한 기분이 풀려 다시 측근에서 섬기며 관직에 복귀할 수 있기를 기도해 줄 것을 탄원했다.[51][52]

이 무렵 장남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는 도고쿠(東国)로 갔기 때문에 차남 미나모토노 요시카타(源義賢)가 후계자 지위에 있었다. 요시카타는 1140년(호엔 6년)에 살인범에 협력하여 파면되었다.[53]

인의 신임을 잃은 다메요시는 셋칸케로 접근을 시도하였다. 고지 원년(1142년) 8월 고후쿠지의 악승이 오슈로 유배되었는데,[54] 다메요시는 후지와라노 다다자네의 명을 받아 이들을 포박하여 연행하였다. 이후 다메요시는 다다자네 ・요리나가 부자의 경호, 셋칸케 게닌들에 대한 통제, 셋칸케 소유 장원에 대한 관리 등 셋칸케의 가정 경찰권을 행사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고지 2년(1143년) 다메요시는 후지와라노 요리나가에게 신종하고 차남 요시카타도 노토 국에 있던 요리나가 소유 장원의 예소(마름)가 되었다. 규안 2년(1146년) 정월, 다메요시는 10년 만에 관직에 복귀하여 사에몬노다이이(左衛門大尉)가 되어 게비이시로 복귀했다.[58] 규안 3년(1147년)에는 기온 투란 사건에서 인의 명령으로 강소 방어에 출동하기도 했다.

다메요시가 복귀할 때 도고쿠에서 장남 요시토모가 돌아왔다.[60] 요시토모는 도바 법황에게 접근했고, 셋칸케와 이어져 있던 아버지 다메요시와 경쟁, 대립했다.

규안 6년 9월, 후지와라노 다다자네는 아들 후지와라노 다다미치와 의절하고 도지 초자(藤氏長者) 지위를 후지와라노 요리나가에게 주었다. 이때 다메요시는 다다자네의 명으로 넷째 아들 미나모토노 요리카타와 함께 히가시산조도노(東三条殿)와 보물 주기칠반(朱器台盤)을 접수한다. 요리카타는 규안 5년에 사에몬노쇼이(左衛門少尉)로 임명되어 요시카타를 대신해 후계자 지위에 있었다.

닌표 3년 요시토모가 시모쓰케노카미(下野守)로 임명되어 아버지를 제치고 먼저 수령이 되었다. 다메요시는 요시토모의 세력 기반을 무너뜨리기 위해 요시카타를 고즈케의 다호 장(多胡荘)으로 내려 보냈다.

규주 원년 11월, 진제이(鎮西)에 파견했던 여덟째 아들 미나모토노 다메토모의 난행에 대한 책임을 물어 관직에서 해임되었다. 이듬해 규주 2년에는 아들 요리카타도 가스가 사(春日社)의 고소로 관직에서 해임되었다.[63] 도바인의 견책으로 다메요시의 일족이 농거(칩거) 처분되었다. 미나모토노 요시카타 역시 오쿠라 합전(大蔵合戦)에서 요시토모의 아들 미나모토노 요시히라(源義平)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호겐 원년, 호겐의 난(保元の乱)에서 다메요시는 요리카타, 다메토모 등 일족을 거느리고 스토쿠 상황 - 후지와라노 요리나가 편에 섰고, 고시라카와 천황 편에는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와 다이라노 기요모리 등이 섰다. 전쟁은 고시라카와 천황편의 승리로 끝났다. 패전 뒤 다메요시는 아들 요시토모에게 항복하여 출가하였다. 요시토모는 아버지와 동생들의 목숨을 구해주기를 호소했지만 허락되지 않았고, 미나모토노 다메요시는 7월 30일 요시토모의 손으로 처형되었다. 향년 61세였다.

미나모토노 다메요시가 처형된 장소는 『호겐 이야기(保元物語)』에는 시치조 스자쿠(七条朱雀)라고 되어 있다.

평생 중앙에서의 영달과는 연이 없었지만, 가와치 국 이시카와 군 쓰보이(壷井)의 가와치 겐지 본거지 재산도 있었으며, 미나모토노 요시이에의 저택 로쿠조 호리카와다이(六条堀河第)를 이어받아 생활은 유복했다. 또한 자녀들도 많이 두었다. 다메요시의 딸 도리이 젠니(鳥居禅尼)는 구마노 수군(熊野水軍)의 지도자 구마노 신궁 벳토 집안에게 시집갔다.[64]

2. 1. 성장 과정

에이초 원년(1096년)에 태어났다. 무로마치 시대에 편찬된 『존비분맥』의 기록에서 미나모토노 요시치카의 넷째 아들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이지만, 사사키 노리카즈는 『존비분맥』 성립 이전의 중세 계도[2]나 후지와라노 타다자네의 일기 『덴랴쿠』의 문구[3] 등을 통해, 타메요시는 요시이에의 넷째 아들이었다는 설을 제창하고 있다.[4] 또한, 후지와라노 요리나가의 일기 『다이키』 코지 원년 8월 3일 조 등의 기술도 타메요시를 요시에의 친자식으로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고 여겨진다.[5]

『존비분맥』의 타메요시 옆 주석에 따르면, 아버지 요시치카가 서국에서 난행을 일으켰기 때문에, 조부 미나모토노 요시이에는 넷째 아들 미나모토노 요시타다를 후계자로 정하는 동시에, 손자 타메요시를 차기 적자로 삼도록 명했다고 한다. 이 기술에 따르면, 어린 타메요시는 숙부 요시타다나 조부 요시이에와 함께 교토에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가쇼 원년(1106년)에 요시이에가 사망하자 요시타다가 가독을 잇지만, 텐닌 2년(1109년)에 암살되었다(미나모토노 요시타다 암살 사건). 요시타다의 숙부 미나모토노 요시쓰나 일족이 혐의를 받아 추토 대상이 되자,[8] 타메요시는 미노 겐지의 미나모토노 미쓰쿠니와 함께 추토사로 기용되어, 요시쓰나를 체포하여 교토로 개선했다. 이 공로로 타메요시는 14세에 사에몬노쇼, 즉 좌위문소위에 임명되었다.

초기의 타메요시는 원(院)과의 관계가 깊었고, 섭관가와는 친밀한 관계가 아니었다. 『구간초』에는 시라카와 법황이 "미쓰노부, 타메요시, 야스기요 3명을 검비위에 임명하여, 즉위한 지 얼마 안 된 토바 천황을 경호하게 했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에이큐의 강소나 호안 4년(1123년)의 엔랴쿠지의 강소에서는 다이라노 타다모리와 함께 방어에 동원되는 등, 원을 수호하는 무력으로서 기대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타메요시의 첫 번째 부인 또한 시라카와 원 측근인 후지와라노 타다키요의 딸로, 장남 요시토모를 낳았다. 호안 5년(1124년)경에는 검비위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동갑이며 임관도 거의 동시였던 타다모리가 수령을 역임한 것에 반해, 타메요시는 일개 검비위로 오랫동안 머물렀고, 관위는 침체하게 된다.

2. 2. 잦은 문제와 좌절

다이라노 다다모리와는 달리 미나모토노 다메요시가 승진하지 못한 가장 큰 원인은 다메요시 본인, 그리고 본인의 노토(郎党, 낭당)에 의한 잇따른 난동 행위 때문이었다. 기록에 남아 있는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내용
1114년(에이큐 2년)
1129년(다이지 4년)
1130년(다이지 5년) 5월엔랴쿠지의 악승 추포 때에 다메요시의 노토가 실수로 전 기이 국(紀伊) 기이노카미 후지와라노 스에스케(藤原季輔, 도바 상황의 생모인 후지와라노 이시의 조카)에게 폭행을 가하였는데, 게비이시(検非違使)벳토(別当, 장관) 산조 사네유키(三条実行)에 의해 감사에 처해졌다. 미나모토노 모로토키(源師時)는 자신의 일기 『조슈키』에서 이를 두고 "다메요시네의 하는 짓거리는 애새끼들 장난 같다"라고 비웃었다.[48]
1133년(조쇼 2년) 9월다메요시의 노토가 단바 국(丹波国)으로 나아가 많은 사람들을 살해하였다.[49]



다메요시 본인에 대해서는 범죄자 은닉, 다른 동료와의 알력, 다메요시 본인의 노토들에 대해서는 온갖 폭행 행위들이 눈에 띈다. 1135년(호엔 원년) 4월, 사이카이(西海)의 해적 추토 때에는 다이라노 다다모리와 함께 추토사 후보로 올랐지만 도바 상황은 "다메요시를 보냈다가는 그 가는 길의 구니(國)들이 저 스스로 멸망할 터인데"라며 강하게 반대하였다.[50] 다메요시의 노토에 의한 추토를 빙자한 약탈, 폭행 행위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1136년(호엔 2년) 다메요시는 사에몬노쇼이(左衛門少尉)를 사임하였다. 이제까지의 다메요시의 오명들을 감안하면 사임이라기보다는 해고에 가까운 것이었다고 추측되고 있다. 1139년(호엔 5년) 관직이 없게 된 다메요시는 고야 산(高野山) 개혁파로 도바 상황의 존숭을 받고 있던 승려 가쿠반(覚鑁)에게 자신의 명부(名簿)를 제출하고 인의 불쾌한 기분이 풀려 자신이 다시금 인의 측근에서 섬기며 관직에도 복귀할 수 있기를 기도해 줄 것을 탄원한다.[51][52]

이 무렵 장남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는 도고쿠(東国)로 낙향해 있었기 때문에 차남 미나모토노 요시카타(源義賢)가 다메요시의 후계자 지위에 있었다. 요시카타는 1139년(호엔 5년) 나리히토 친왕(体仁親王, 훗날의 고노에 천황)이 태자로 책봉되고 동궁대도선생(東宮帯刀先生)에 임명되었는데, 이듬해인 1140년(호엔 6년)에 또 살인범에 협력하였다는 실책을 범하여 파면되고 만다.[53]

2. 3. 셋칸케와의 관계 강화

인의 신임을 잃은 다메요시는 사태를 타개하고자 셋칸케로 접근을 시도하였다. 고지 원년(1142년) 8월 고후쿠지의 악승 15명이 오슈로 유배되었다.[54] 이는 셋칸케의 큰어른인 후지와라노 다다자네의 뜻으로 권상좌(権上座) ・ 신시쓰에게 절의 사무를 통괄하게 하기 위해 반신시쓰파 숙청을 단행한 것이었는데, 다메요시는 다다자네의 명을 받아 악승을 포박하여 연행하였다. 이후 다메요시는 다다자네 ・요리나가 부자의 경호, 셋칸케 게닌들에 대한 통제, 셋칸케 소유 장원에 대한 관리 등 셋칸케의 가정 경찰권을 행사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고지 2년(1143년) 다메요시는 후지와라노 요리나가에게도 신종하고 차남 미나모토노 요시카타도 노토 국에 있던 요리나가 소유의 장원의 예소(마름)가 되었다. 다메요시의 봉사에 대해서 후지와라노 다다자네는 "천하에 비길 굳건함을 가졌으니 수령이 될 자격이 있다"라고 높이 평가하였다.[57] 규안 2년(1146년) 정월, 다메요시는 10년 만에 관직에 복귀할 수 있었고, 당시로써는 이례적으로 사에몬노다이이(左衛門大尉)가 되어 게비이시로의 복귀를 달성하였다.[58] 도바 법황의 기분도 풀린 것인지 규안 3년(1147년)에는 기온 투란 사건에서 인의 명령으로 강소 방어에 출동하기도 했다.

2. 4. 아들 요시토모와의 대립

다메요시가 복귀한 것과 때를 같이하여 도고쿠에서 장남 요시토모가 돌아왔다.[60] 요시토모는 아내의 친정인 아쓰타 대궁사 집안을 통해 도바 법황에게 접근했고, 셋칸케와 이어져 있던 아버지 다메요시와 경쟁, 대립하는 사이가 되었다.

셋칸케에서는 후지와라 다코 ・ 후지와라 데이시의 입궐 경쟁으로 후지와라노 다다자네요리나가 부자와 다다자네의 장남(즉 요리나가의 형) 후지와라노 다다미치 사이의 대립이 정점에 달하고, 규안 6년 9월, 격노한 다다자네는 다다미치와 의절하고 다다미치에게서 도지 초자(藤氏長者)의 지위도 삭탈하여 요리나가에게 주었다. 이때 다메요시는 다다자네의 명으로 넷째 아들 요리카타와 함께 셋칸케의 정저(正邸) ・ 히가시산조도노(東三条殿)와 셋칸케 대대로 내려오는 보물 주기칠반(朱器台盤)을 접수한다. 요리카타는 규안 5년에 사에몬노쇼이(左衛門少尉)로 임명되어, 불상사가 일어난 요시카타를 대신해 후계자의 지위에 있었다.

다메요시가 닌표 2년에 게비이시벳토 ・ 도쿠다이지 긴요시(徳大寺公能)의 소송으로 공구(恐懼)에 처해지는[61] 등 실책을 저지르고 있는 것도 모른 체하면서 요시토모는 닌표 3년 시모쓰케노카미(下野守)로 임명되어 아버지를 제치고 먼저 수령이 되었다. 다메요시는 요시토모의 세력 기반을 무너뜨리기 위해 앞서 노토 장원의 예소로 있었지만 연공 미납으로 개역되어 물러나 있던 요시카타를 고즈케의 다호 장(多胡荘)으로 내려 보냈다. 교토에서는 요리카타에게 체포된 범인을 미나모토노 요시야스(源義康, 그의 아내가 아쓰타 대궁사 집안 출신이었다)가 탈취하면서 합전 직전까지 가는 등[62] 셋칸케와 마찬가지로 가와치 겐지 내부에서도 다메요시파와 요시토모파, 부자의 대립이 심각해져갔다.

규주 원년이 되어 다메요시에게 차츰 재난이 닥쳐왔다. 11월, 진제이(鎮西)에 파견했던 여덟째 아들 다메토모의 난행에 대한 책임을 물어 관직에서 해임되었다. 이듬해 규주 2년에는 아들 요리카타도 가스가 사(春日社)의 고소로 관직에서 해임되었다.[63] 『효한키(兵範記)』 호겐 원년 7월 10일조에 따르면 도바인의 견책에 의해 다메요시의 일족이 한꺼번에 농거(칩거) 처분되었다고 한다. 이 시기, 도바인의 주변에는 비후쿠몬인(美福門院) 후지와라노 도쿠시 ・ 후지와라노 다다미치신제이 등에 의해 후지와라노 다다자네 ・ 요리나가 부자를 몰락시키기 위한 공작이 진행되고 있었고, 셋칸케와 가까웠던 미나모토노 다메요시의 일족에 대한 압박도 그에 연동되어 이루어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다메요시의 뜻으로 도고쿠로 내려갔던 미나모토노 요시카타 역시 오쿠라 합전(大蔵合戦)에서 요시토모의 아들 미나모토노 요시히라(源義平)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요시카타의 아들이 미나모토노 요시나카이다).

호겐 원년, 호겐의 난(保元の乱)에서 다메요시는 요리카타, 다메토모 등 일족을 거느리고 스토쿠 상황 - 후지와라노 요리나가 편에 섰고, 고시라카와 천황 편에는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와 다이라노 기요모리 등이 섰다. 전쟁은 고시라카와 천황편의 승리로 끝났다. 패전 뒤 다메요시는 도고쿠로 달아나려 했지만, 아들 요시토모에게 항복하여 출가하였다. 요시토모는 자신이 호겐의 난에서 세운 전공을 대가로 아버지와 동생들의 목숨을 구해주기를 호소했지만 허락되지 않았고, 일족의 미래를 요시토모에게 맡긴 채 미나모토노 다메요시는 7월 30일 요시토모의 손으로 처형되었다. 향년 61세였다.

미나모토노 다메요시가 처형된 장소는 『효한키』에는 후나오카 산(船岡山), 『호겐 이야기(保元物語)』에는 시치조 스자쿠(七条朱雀)라고 되어 있다.

평생 중앙에서의 영달과는 연이 전혀 없었던 미나모토노 다메요시였지만, 경제적으로는 가와치 국의 이시카와 군(石川郡) 쓰보이(壷井, 일본 오사카부 하비키노시 쓰보이)의 가와치 겐지 본거지 전래의 재산도 있었으며, 요시이에의 저택 로쿠조 호리카와다이(六条堀河第)를 이어받아 생활은 유복했다. 또한 자녀들도 많이 두어서 양자연조(養子)나 유자(猶子)도 많이 있었다. 다메요시의 딸 가운데 도리이 젠니(鳥居禅尼)는 구마노 수군(熊野水軍)의 지도자 ・ 구마노 신궁 벳토 집안(熊野新宮別当家)의 교한(行範, 19대 벳토)에게 시집가서 한예(範誉, 나치 집행那智執行) ・ 교카이(行快, 22대 벳토) ・ 한메이(範命, 23대 벳토) 등을 낳았다.[64]

3. 가와치 겐지의 도료(棟梁)

미나모토노 요시타다 사후, 가독 계승이 다메요시, 요시토모, 요리토모로 이어진다는 것은 요리토모가 세이이타이쇼군(征夷大将軍)이 되어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를 연 전후에 성립된 인식이다. 다메요시가 살아있을 당시에는 도료(棟梁)였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말하기 어렵다. 요시이에가 요시타다 다음으로 다메요시를 후계로 지명했다는 사료가 일부 남아 있지만, 이는 후세의 것으로 당대의 사료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65]

다메요시와 마찬가지로 그의 맏형인 미나모토노 요시노부(源義信)나 요시타다의 차남 요시타카(義高), 요시이에의 셋째 아들 미나모토노 요시쿠니(源義国) 등도 당시 가와치 겐지 세력의 일부를 계승하고 요시타다의 후계를 자임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가와치 겐지 및 그 대종(大宗)인 세이와 겐지(清和源氏)는 제각기 계통이 독자적인 길을 걸었고, 다메요시 시점에서는 각 계통들 위에 선 「적류」(嫡流)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견해도 있다.[65]

다메요시와 같은 시기에 세력을 떨치고 있었던 가와치 겐지(河内源氏)의 일족은 다음과 같다.

이름관직가계비고
미나모토노 요시쿠니(源義国)종5위하 가가노스케(加賀介)요시이에의 셋째 아들닛타 씨(新田氏) ・ 아시카가 씨(足利氏)의 시조, 요시시게(義重) ・ 요시야스(義康)의 아버지
미나모토노 요시노부(源義信)종4위하 사효에노스케(左兵衛佐)요시치카의 장남
미나모토노 쓰네쿠니(源経国)요시타다의 장남
미나모토노 요시타카(源義高)종4위하 사효에노곤노스케(左兵衛権佐)요시타다의 차남
미나모토노 요시미쓰(源義光)종5위하 형부소보(刑部少輔)요시이에의 셋째 동생
미나모토노 요시토키(源義時)사효에노이(左兵衛尉)요시이에의 여섯째 아들가와치 겐지 본거지인 이시카와 장(石川荘)을 상속



다메요시가 가와치 겐지의 도료였다고 해도, 그 후계자가 요시토모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사료는 없다. 오히려 1139년 나리히토 친왕(体仁親王)의 태자 책립에서 요시토모의 동생인 요시카타(義賢)가 동궁대도(東宮帯刀)로 임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요시토모는 무위무관(無位無官)으로 관위도 관직도 없는 상태로 도고쿠로 낙향했다. 이는 다메요시가 요시토모를 폐적(廃嫡)하고 요시카타를 자신의 후계자로 삼은 결과로 여겨진다. 그런데 요시카타는 살인사건에 협력한 일로 인해 관직에서 해임되었기 때문에 후계자에서 제외될 수밖에 없었던 반면, 요시토모는 도고쿠에서 세력을 뻗치며 인 세력과도 결탁하여 독자적인 세력을 쌓기 시작했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다메요시는 요시카타도 도고쿠로 내려 보내서 지치부토(秩父党)나 고타마토(児玉党)의 협력을 얻어서 아들 요시토모와 대항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 결과 요시토모 부자는 오쿠라 합전에서 요시카타를, 호겐의 난에서 다메요시와 그의 새로운 후계자가 되었던 요리카타를 제거하여 실력으로 그 지위를 탈취한 것이 실상이었다고 보인다. 그러나 미나모토노 요시토모가 가와치 겐지의 도료가 된 경위와 그 지위가 헤이지의 난(平治の乱)까지 겨우 3년 정도였는데, 그 뒤의 지쇼의 난(治承の乱, 겐페이 전쟁)에서 요시토모의 후계자로써 가마쿠라(鎌倉)에 거점을 둔 요리토모가 아니라 요시카타의 후계자인 미나모토노 요시나카(源義仲)나 여전히 건재하고 있었던 다메요시의 친아들 미나모토노 유키이에(源行家) 등을 도료로 볼 여지를 남기게 된다.

지쇼의 난 과정에 있어서 각지의 여러 겐지들로 구성된 미야코부샤(京武者)의 통합에 실패했던 요시나카 ・ 유키이에에 대해 도고쿠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확립하는 데에 전념했던 요리토모가 최종적으로 그 분열된 가와치 겐지 ・ 세이와 겐지를 군사력으로 배제 또는 자신의 통제하에 끌어들임으로써 명실상부한 겐지의 도료, 「적류」의 지위를 확립시키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66]

4. 가족 관계

아버지미나모토노 요시치카 또는 미나모토노 요시이에
어머니불명
배우자
자녀
비고생모를 알 수 없는 자녀 다수


5. 관련 작품


  • 新・平家物語|신 헤이케 이야기일본어』(1972년, NHK대하드라마, 배우: 사사키 코마루)
  • 다이라노 기요모리|다이라노 기요모리일본어』(1992년, TBS, 배우: 다카마츠 히데오)
  • 다이라노 기요모리|다이라노 기요모리일본어』(2012년, NHK 대하드라마, 배우: 코히나타 후미요)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Stanford University Press
[2] 문서 北酒出本『源氏系図』、長楽寺本『源氏系図』、妙本寺『源家系図』、『佐竹家系譜』
[3] 문서 天仁2年2月17日条の「義家朝臣四郎男為義」
[4] 간행물 源義忠の暗殺と源義光 https://yone.repo.ni[...] 山形県立米沢女子短期大学 2009-12
[5] 간행물 鎌倉幕府の草創神話
[6] 서적 河内源氏 頼朝を生んだ武士本流 中公新書
[7] 문서 源為義の母 東京堂出版
[8] 문서 『尊卑分脈』の義忠傍注によれば義綱は冤罪であり、真犯人は義綱の弟の源義光|義光とされている。ただし、この『尊卑分脈』の記述は同時代史料である『殿暦』と比べて齟齬が多く、信頼性に劣るとされる。
[9] 문서 『河内源氏』109頁
[10] 문서 『中右記』5月13日条
[11] 문서 『中右記』5月16日条
[12] 문서 『中右記』8月3日条
[13] 문서 『中右記』8月16日条
[14] 문서 『中右記』正月7日条
[15] 문서 『長秋記』11月17日条
[16] 문서 『長秋記』5月14日条
[17] 문서 『長秋記』9月15日条
[18] 문서 『中右記』4月8日条
[19] 문서 『平安遺文』4710、4713~4717
[20] 문서 覚鑁に出した書状の署判は「正六位上源朝臣為義」で官名がない。為義は書状の中で「院のきそくのあしく候へハ、よにはゝかりて何事もしらぬやうにて候也」と苦境を訴えている。
[21] 문서 『古今著聞集』巻15
[22] 문서 『台記』8月3日条
[23] 문서 『本朝世紀』6月13日条
[24] 문서 『本朝世紀』7月16日条
[25] 문서 『中外抄』
[26] 문서 『本朝世紀』正月23日、26日条
[27] 문서 『玉葉』建久2年(1191年)4月1日条
[28] 문서 熱田大宮司藤原季範|季範の娘を母とする頼朝は久安3年(1147年)生まれなので、義朝の上京は遅くても久安2年(1146年)と見られる。
[29] 문서 『本朝世紀』8月26日条
[30] 문서 『本朝世紀』仁平3年6月5日条
[31] 문서 『台記』5月15日条
[32] 서적 熊野三山と熊野別当 清文堂出版
[33] 서적 頼朝の武士団 洋泉社
[34] 간행물 鎌倉幕府の草創神話
[35] 문서 北酒出本『源氏系図』、長楽寺本『源氏系図』、妙本寺『源家系図』、『佐竹家系譜』
[36] 문서 義家朝臣四郎男為義
[37] 저널 源義忠の暗殺と源義光 https://yone.repo.ni[...] 山形県立米沢女子短期大学 2009-12
[38] 저널 鎌倉幕府の草創神話
[39] 서적 源為義の母 東京堂出版 1977
[40] 문서 『손피빈먀쿠』의 요시타다 항목 방주(傍注)
[41] 문서 『河内源氏』109頁
[42] 문서 『주우키』(中右記) 5월 13일
[43] 문서 『주우키』 5월 16일조
[44] 문서 『주우키』8월 3일조
[45] 문서 『주우기』 8월 16일조
[46] 문서 『주우키』정월 7일조
[47] 문서 『조슈키』(長秋記) 11월 17일조
[48] 문서 『조슈키』 5월 14일조
[49] 문서 『조슈키』 9월 15일조
[50] 문서 『주우키』4월 8일조
[51] 문서 『平安遺文』4710、4713~4717
[52] 문서 가쿠반에게 제출했던 다메요시의 서장의 서판(署判)
[53] 문서 『고금저문집』(古今著聞集) 권15
[54] 문서 『다이키』(台記) 8월 3일조
[55] 문서 『본조세기』(本朝世紀) 6월 13일조
[56] 문서 『본조세기』7월 16일조
[57] 문서 『중외초』(中外抄)
[58] 문서 『본조세기』 정월 23일, 26일조
[59] 문서 『교쿠요』(玉葉) 겐큐 2년(1191년) 4월 1일조
[60] 문서 아쓰타 대궁사(熱田大宮司) 후지와라노 스에노리(藤原季範)을 어머니로 하는 아들 요리토모는 규안(久安) 3년(1147년)생이어서, 요시토모의 상경은 늦어도 규안 2년(1146년)의 일로 보인다.
[61] 문서 『본조세기』 8월 26일조
[62] 문서 『본조세기』닌표 3년 6월 5일조
[63] 문서 『다이키』 5월 15일조
[64] 서적 熊野三山と熊野別当 清文堂出版 2005
[65] 서적 頼朝の武士団 洋泉社 2012
[66] 저널 鎌倉幕府の草創神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