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리엄 케이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리엄 케이틴은 1942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난 만화가이자 애니메이션 배경 디자이너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의 박해를 피해 은신 생활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2006년 그래픽 노블 《우리는 혼자였다》를 출간했다. 1956년 헝가리 혁명 이후 이스라엘로 이주하여 그래픽 아티스트로 활동했으며,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 월트 디즈니, 니켈로데온, MTV 등에서 배경 디자인을 했다. 2000년대부터 만화 제작을 시작하여 《LETTING IT GO》 등의 작품을 발표했으며, 2007년 잉크팟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에서 이스라엘로 이민간 사람 - 켈레티 아그네시
    켈레티 아그네시는 헝가리 태생의 이스라엘 체조 선수로, 올림픽에서 10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서 여자 체조 최고령 금메달리스트 기록을 세웠으며, 홀로코스트 생존 후 이스라엘로 망명하여 체조 발전에 기여, 국제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헝가리에서 이스라엘로 이민간 사람 - 아브람 헤르슈코
    아브람 헤르슈코는 헝가리 출신 이스라엘 생화학자로, 유비퀴틴 매개 단백질 분해 연구로 200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 연구를 통해 세포 항상성 유지에 기여했다.
  • 헝가리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에드워드 텔러
    헝가리 출신 이론 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는 수소폭탄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지만, 논쟁적인 활동으로 인해 과학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 인물이다.
  • 헝가리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존 폰 노이만
    헝가리 출신의 존 폰 노이만은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과학,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폰 노이만 아키텍처는 현대 컴퓨터 설계의 기초가 되었고 게임 이론의 창시자로도 알려진 20세기 과학기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미리엄 케이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리엄 케이틴
미리엄 케이틴
출생일1942년
출생지부다페스트, 헝가리
국적귀화한 미국인
직업만화가, 동화작가, 배경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
대표 작품우리만의 세상 (We Are on Our Own)
놓아주기 (Letting It Go)
수상잉크팟 어워드
프랑스 ACBD 평론 대상
웹사이트미리엄 케이틴 웹사이트

2. 생애

미리엄 케이틴은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가 헝가리 군에 복무하는 동안, 케이틴과 어머니는 죽음을 위장하고 가짜 신분증을 얻어 나치의 박해를 피해 은신 생활을 했다.[1] 이 경험은 2006년에 출판된 케이틴의 첫 그래픽 노블 《우리는 혼자였다》에 묘사되어 있다. 나치가 부다페스트에 거주하던 유대인들을 절멸 수용소로 이송하려 하자, 케이틴의 어머니는 그녀를 데리고 도피 생활을 시작했다.

전쟁이 끝난 후 헤어졌던 아버지와 재회하여 부다페스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1] 1956년 헝가리 혁명이 발발하자 이스라엘로 이주했다.[2]

미리엄 케이틴은 이스라엘 텔아비브그래픽 아트 스튜디오에서 견습생으로 일하며 경력을 시작했고, 1956년 헝가리 혁명 이후 1960년에는 이스라엘 방위군에 입대하여 2년간 그래픽 아티스트로 복무했다.[1][2] 1963년 미국 뉴욕으로 이주하여 음악 교육가 제프리 케이틴과 결혼했다.[1] 슬하에 음악가 아론과 예술가 일란 두 아들을 두었다.[1]

1981년 가족과 함께 이스라엘 엔게디로 이주하여 엔게디 애니메이션에서 배경 디자이너로 일했다.[1] 1990년 뉴욕으로 돌아와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니켈로데온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MTV 애니메이션 등에서 배경 디자인 작업을 했다.[1][3] MTV에서 그녀는 ''다리아''와 ''비비스와 버트헤드'' 작업을 했다.[4]

미리엄 케이틴은 2000년대에 만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63세에 비로소 만화를 발견했다"고 말했다.[2] 아트 슈피겔만의 그래픽 노블 ''''에서 영감을 받아,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신과 어머니의 경험을 다룬 첫 그래픽 노블 작업을 시작했다. 완성된 작품인 ''우리는 혼자였다''는 2006년 Drawn & Quarterly에 의해 출판되었다.[1] 이 작품은 흑백 연필로 그려졌으며 케이틴 가족의 사진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

2013년에는 아들의 베를린 이주 결정에 따른 트라우마를 다룬 두 번째 그래픽 노블 ''LETTING IT GO''를 발표했다.[1] ''Letting It Go'' 또한 자전적인 내용으로, 아들의 베를린 이주에 대한 그녀의 초기 반응과 베를린의 유럽 유대인 희생자 추모비를 포함한 독일 방문을 묘사하고 있다. 첫 번째 소설과 대조적으로, 이 작품은 색연필로 그려졌다.[5]

2. 1. 초기 생애와 헝가리에서의 경험

미리엄 케이틴은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가 헝가리 군에 복무하는 동안, 케이틴과 어머니는 죽음을 위장하고 가짜 신분증을 얻어 나치의 박해를 피해 은신 생활을 했다.[1] 이 경험은 2006년에 출판된 케이틴의 첫 그래픽 노블 《우리는 혼자였다》에 묘사되어 있다. 나치가 부다페스트에 거주하던 유대인들을 절멸 수용소로 이송하려 하자, 케이틴의 어머니는 그녀를 데리고 도피 생활을 시작했다.

전쟁이 끝난 후 헤어졌던 아버지와 재회하여 부다페스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1] 1956년 헝가리 혁명이 발발하자 이스라엘로 이주했다.[2]

2. 2. 이스라엘과 미국에서의 활동

미리엄 케이틴은 이스라엘 텔아비브그래픽 아트 스튜디오에서 견습생으로 일하며 경력을 시작했고, 1956년 헝가리 혁명 이후 1960년에는 이스라엘 방위군에 입대하여 2년간 그래픽 아티스트로 복무했다.[1][2] 1963년 미국 뉴욕으로 이주하여 음악 교육가 제프리 케이틴과 결혼했다.[1] 슬하에 음악가 아론과 예술가 일란 두 아들을 두었다.[1]

1981년 가족과 함께 이스라엘 엔게디로 이주하여 엔게디 애니메이션에서 배경 디자이너로 일했다.[1] 1990년 뉴욕으로 돌아와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니켈로데온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MTV 애니메이션 등에서 배경 디자인 작업을 했다.[1][3] MTV에서 그녀는 ''다리아''와 ''비비스와 버트헤드'' 작업을 했다.[4]

2. 3. 만화가로서의 활동

미리엄 케이틴은 2000년대에 만화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63세에 비로소 만화를 발견했다"고 말했다.[2] 아트 슈피겔만의 그래픽 노블 ''''에서 영감을 받아,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신과 어머니의 경험을 다룬 첫 그래픽 노블 작업을 시작했다. 완성된 작품인 ''우리는 혼자였다''는 2006년 Drawn & Quarterly에 의해 출판되었다.[1] 이 작품은 흑백 연필로 그려졌으며 케이틴 가족의 사진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

2013년에는 아들의 베를린 이주 결정에 따른 트라우마를 다룬 두 번째 그래픽 노블 ''LETTING IT GO''를 발표했다.[1] ''Letting It Go'' 또한 자전적인 내용으로, 아들의 베를린 이주에 대한 그녀의 초기 반응과 베를린의 유럽 유대인 희생자 추모비를 포함한 독일 방문을 묘사하고 있다. 첫 번째 소설과 대조적으로, 이 작품은 색연필로 그려졌다.[5]

3. 작품

미리엄 케이틴은 2013년 《LETTING IT GO》, 2006년 《우리는 혼자였다》를 D&Q에서 출간했다. 2000년에는 《땅 속 서식지 탐방(Exploring Underground Habitats)》, 1999년에는 《교환소(Trading Places)》를 공저로 출간했다. 그 외에도 1996년 《내 귓속의 세상(Tubes in my ears)》, 1995년 《헨즈, 헨즈, 헨즈(Hands, Hands, Hands)》, 1994년 《작은 갈색의 새(Little Brown Jay)》를 출간했다.

4. 수상

미리엄 케이틴은 2007년 잉크팟상을 수상했다.[6] 2006년 《우리는 우리 스스로이다》는 아이스너상과 뛰어난 스토리 부문 이그나츠상 후보로 지명되었다.[6] 《우리는 우리 스스로이다》의 프랑스어 번역본은 2008년 프리 드 라 크리틱을 수상했다.[7] 케이틴의 작품은 2007년과 2014년 《더 베스트 아메리칸 코믹스》에 수록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Miriam Katin: Coming To Terms http://www.paulgrave[...] 2015-10
[2] 서적 The Best American Comics 2014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Harcourt
[3] 웹사이트 Spotlight on our GRAPHIC DETAILS guests for this weekend! https://library.osu.[...] Billy Ireland Cartoon Library & Museum 2015-04-16
[4] 웹사이트 An Enormous Amount of Pictures: In the Studio with Miriam Katin https://www.theparis[...] 2013-04-18
[5] 웹사이트 The New York Comics Symposium: MIRIAM KATIN http://therumpus.net[...] 2013-10-04
[6] 웹사이트 Miriam Katin https://www.drawnand[...] Drawn & Quarterly
[7] 웹사이트 Miriam Katin wins Grand Prix 2008 de la critique BD https://www.drawnand[...] Drawn & Quarterly
[8] 웹인용 "2007년 코믹-콘 잉크팟 어워드"(영어) http://www.comic-con[...] 2011-07-25
[9] 웹인용 "2008년 프랑스 ACBD 평론 대상"(프랑스어) http://www.acbd.fr/l[...] 2012-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