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우스는 에게해의 만이었던 메안데르 강 어귀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이다. 지리적으로는 라트무스 산에서 북서쪽으로 뻗은 반도에 자리 잡았으며, 메안데르 강과 퇴적 작용의 영향으로 쇠퇴했다. 이오니아 도시 중 하나였으며, 리디아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 이오니아 반란의 배경이 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아테네가 패배하기도 했다. 스트라보 시대에 인구가 감소하여 밀레투스에 통합되었고,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유적과 신전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딘주의 지리 - 밀레토스
밀레토스는 이오니아 지역의 고대 도시로서, 무역과 식민 활동으로 번성했고 밀레토스 학파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튀르키예에 유적지로 남아있다. - 아이딘주의 지리 - 프리에네
프리에네는 터키 서부에 위치한 고대 이오니아 도시로, 기원전 4세기에 계획 도시로 재건되었으며,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갖춘 작은 폴리스였다. - 아이딘주의 건축물 - 밀레토스
밀레토스는 이오니아 지역의 고대 도시로서, 무역과 식민 활동으로 번성했고 밀레토스 학파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튀르키예에 유적지로 남아있다. - 아이딘주의 건축물 - 프리에네
프리에네는 터키 서부에 위치한 고대 이오니아 도시로, 기원전 4세기에 계획 도시로 재건되었으며,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갖춘 작은 폴리스였다. - 아이딘주의 관광지 - 밀레토스
밀레토스는 이오니아 지역의 고대 도시로서, 무역과 식민 활동으로 번성했고 밀레토스 학파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튀르키예에 유적지로 남아있다. - 아이딘주의 관광지 - 프리에네
프리에네는 터키 서부에 위치한 고대 이오니아 도시로, 기원전 4세기에 계획 도시로 재건되었으며,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하고 민주주의 체제를 갖춘 작은 폴리스였다.
미우스 |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Μυοῦς, Μύης, Μυήσιοι, Μυήσσιοι (그리스어) |
다른 이름 | Myous, Myos |
![]() | |
위치 | Avşar, 아이딘 주, 터키 |
지역 | 고대 카리아 |
유형 | 폴리스 |
소속 | 이오니아 동맹 |
상세 정보 |
2. 지리
미우스는 메안데르 강(Büyük Menderes River) 어귀의 작은 반도에 위치해 있었는데, 이 반도는 라트무스 산에서 북서쪽으로 뻗어 나와 에게 해의 만(kolpos)을 형성했다.[2] 같은 둑 하류에는 그리온 산에서 뻗어 있는 다소 더 큰 반도가 있었고, 이곳이 밀레투스의 자리였다. 만 건너편에는 미칼레 산이 우뚝 솟아 있었고, 그 남쪽 기슭에 프리에네가 자리 잡고 있었다. 그리온 산과 라트무스 산 사이에는 라트미안 콜포스(Latmian kolpos)라는 만에 또 다른 만이 있었으며,[3] 그 내륙 해안에는 작은 정착지인 헤라클레이아가 있었다. 이곳은 이오니아 동맹의 일부가 아니었고, 카리아인이었을 수도 있다. 이 가파른 지형에는 농지를 위한 공간이 거의 없었지만, 여러 개의 보호된 항구가 있는 지질학적 환경은 해상 강국의 이상적인 기반이었다.
2. 1. 지형
미우스 유적은 터키 아이딘 주 쇠케 구역의 현대 마을 아브샤르 북쪽에 위치한다. 현재 공원으로 조성된 옛 아스티 미우스(미우스 안티크 켄티(터키어))는 라트무스 산의 연장선인 이전의 곶에 자리 잡고 있으며, 현재 삼각주 가장자리에서 24.7km 떨어져 있다.[7] 이 곶은 현재 평원 위 두 개의 섬으로 나타나는데, 북서쪽 끝에 있는 작은 섬은 그 위에 있는 비잔틴 요새 때문에 고고학자들이 캐슬 힐이라고 부르며, 해발 약 17.07m이다. 반도 기저부에 있는 다른 섬은 정착지 흔적이 있어서 정착지 언덕이라고 불린다. 이곳은 라트무스 산을 따라 점차 넓어지고 높아지는 단계로 올라간다. 약 약 0.80km 길이의 전체 반도는 항상 도시의 위치로 알려져 왔으나, 몇 개의 신전을 제외하고는 성벽, 주거 구역, 공공 건물, 부두 시설 등 도시 경계를 정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7]동쪽의 정착지 언덕은 아자프 호수 기슭과 접해 있는데, 이 호수는 얕고 간헐적인 수역으로, 분명히 그쪽의 옛 하구 자리에 있다. 호수가 가득 찼을 때의 길이는 2.17km이다. 미우스 거주 당시 이 호수는 곶의 동쪽 각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만약 항구가 거기에 있었다면 한때 항구에 정박했던 것으로 알려진 200척의 배가 들어갈 공간이 충분히 있었을 것이다. 호수 남쪽에 접하는 동서 방향 선의 북쪽 땅을 곶으로 간주한다면, 남북 방향으로는 1.8km, 동서 방향으로는 1.98km이 되며, 현대 마을이 남서쪽 구석에 있어 200척의 배를 수용하고 해상 무역 파트너가 될 수 있는 아스티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다.[7]
아직까지 그런 증거는 없다. 곶의 서쪽 만에서 얻은 코어 샘플은 고대 시대와 고전 시대 항구의 잠재적 위치를 식별한다. 어떤 항구가 어떤 시대에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었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7] 양쪽 모두 석호였으며, 거의 갇힌 만이었지만 여전히 탁 트인 바다와 연결되어 해양 환경을 가지고 있었다. 헬레니즘 시대에 발달하여 시민들을 모기로 몰아낸 연못의 위치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곶 기저부 위는 고도가 100미터 선을 넘는다. 미우스의 영토는 더 넓었을 것이고, 라트무스 산의 전부가 아니더라도 일부를 포함했을 것이다. 또 다른 옛 만인 바파 호수의 기슭까지 뻗어 있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도시는 밀레투스를 벽으로 요새화하기 위해 라트미안 석재를 채석하여 수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2. 2. 메안데르 강

지질학에서 굽이치는 형태로 잘 알려진 메안데르 강(Maeander River)은 동쪽 고지대에서 가파르게 깎인 수지상 패턴으로 시작하여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열곡으로 흘러든다. 많은 지류와 주기적인 홍수로 인해 물은 높은 퇴적물을 부유 상태로 운반하여 열곡에 쏟아붓고, 서쪽으로 전진하는 평평한 토지 리본을 만든다. 강은 매 홍수마다 형태를 바꾸면서 굽이치는 여러 갈래의 물줄기로 흘러 내려가며, 수백 년 전에 에게 해에 도달했고, 계속해서 삼각주를 바다로 내보내고 있다.[5]
강 유역은 2600967ha로, 터키 표면적의 3.3%를 차지한다. 약 44%가 농업에 사용되고, 나머지는 대부분 산업 및 주거 지역으로 사용된다. 강은 10개 주를 통과하며, 아이딘 시는 강어귀에서 68.27km 떨어져 있다.[6] 강어귀는 에 위치하며, 이는 사주와 석호 복합체의 가장 먼 지점이다.
2. 3. 도시의 위치
도시 유적지는 터키 아이딘 주 쇠케 구역의 아브샤르 마을 북쪽에 있다. 현재 공원으로 조성된 옛 아스티 미우스, 즉 미우스 안티크 켄티(터키어)는 라트무스 산의 연장선인 이전의 곶에 자리 잡고 있으며, 현재 삼각주 가장자리에서 24.7km 떨어져 있다.[7] 이 곶은 현재 평원 위 두 개의 섬으로 나타나는데, 북서쪽 끝에 있는 작은 섬은 그 위에 있는 비잔틴 요새 때문에 고고학자들이 캐슬 힐이라고 부른다. 해발 56피트이다. 반도의 기저부에 있는 다른 섬은 정착지 흔적이 있어서 정착지 언덕이라고 불린다. 이곳은 라트무스 산을 따라 점차 넓어지고 높아지는 단계로 올라간다. 약 0.5마일 길이의 전체 반도는 항상 도시의 위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몇 개의 신전을 제외하고는 벽, 주거 구역, 공공 건물, 부두 시설이 없다. 도시의 경계를 정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2. 4. 퇴적 작용
메안데르 강의 퇴적 작용은 미우스의 흥망성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퇴적 작용으로 인해 항구가 막히고 해안선이 변화하면서 도시의 기능이 상실되었다.[8]아나톨리아 해안은 침강 해안선으로, 해수면은 약 14,000년 전부터 상승하여 신석기 시대인 6,000~5,500년 전에 현재 수준에 도달했다. 이로 인해 긴 만이 형성되었고, 이후 아이딘의 메안데르 강에서 퇴적 작용이 시작되어 현재 강어귀에서 65km 떨어진 곳까지 퇴적물이 쌓였다.[10]
20세기 후반부터 고생물화분학자들과 지질학자들이 수백 개의 코어 샘플을 채취하여 연구했지만,[9] 다수의 색상 등시선 표현이 존재하지만, 그 결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코어 샘플링은 계속 진행 중이다.
가장 오래된 삼각주 선은 기원전 15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에서 까지 밸리를 가로질러 거의 직교하며, 폭은 15.61km, 현재 강의 입구에서 29.43km 떨어져 있다. 이 선은 당시의 해안선을 나타낸다.
기원전 800년의 선은 더 남쪽에 있으며, 기원전 1500년의 선과 거의 평행하다. 그것은 미우스 항구에 매우 가까이 있는, 미우스에 속하는 이전의 히반다 섬을 포함한다. 프리에네는 매몰되었고, 이제 메안데르 강의 북쪽 지류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대 플리니우스는 "한때 이오니아 섬이었던 히반다는 현재 바다에서 25마일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라고 기록했다.[14]
3. 역사
미우스는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은 도시이다.
코드로스의 아들 Κυάρητος|키아레투스grc(키드렐루스로도 불림)가 미우스를 건설했다고 전해진다.[20][21] 이 도시는 열두 개의 이오니아 도시 중 가장 작았다. 페르시아 왕은 테미스토클레스에게 미우스를 포함한 세 도시를 주었다.[22][23][24]
밀레투스의 아리스토고라스가 주도한 이오니아 반란은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아테네는 미우스 근처에서 카리아인에게 패배했다.[1]
스트라보 시대에 미우스는 인구가 너무 줄어 정치 공동체를 이루지 못하고 밀레투스에 통합되었으며, 미우스인들은 도시를 버리고 밀레투스로 이주했다.[26] 파우사니아스는 이 사건이 파리 떼 때문이었다고 설명한다.[27]
3. 1. 이오니아인의 도래
코드로스의 아들 Κυάρητος|키아레투스grc(키드렐루스로도 불림)가 미우스를 건설했다고 전해진다.[20][21] 이 도시는 열두 개의 이오니아 도시 중 가장 작았다.3. 2. 리디아와 페르시아의 지배
페르시아 왕은 테미스토클레스에게 미우스를 포함한 세 개의 도시를 주었다.[22][23][24]3. 3. 이오니아 반란
밀레투스의 아리스토고라스가 주도한 이오니아 반란이 이곳에서 일어났다. 이는 그리스-페르시아 전쟁의 발단이 되었다.3. 4. 델로스 동맹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아테네는 미우스 근처에서 카리아인에게 패배했다.[1]3. 5. 밀레투스와의 통합
스트라보 시대에 미우스는 인구가 너무 줄어 정치 공동체를 이루지 못하고 밀레투스에 통합되었으며, 결국 미우스인들은 도시를 완전히 버리고 밀레투스로 이주했다.[26] 파우사니아스는 이 사건이 주민들을 괴롭힌 파리 떼 때문이었다고 설명한다.[27]4. 고고학
H. 웨버는 1934년과 1936년에 미우스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를 수행했다. 그는 두 개의 사원 유적을 발견했지만, 다른 유물은 거의 찾지 못했다. 주민들이 소지품을 가지고 밀레투스로 이주한 후, 이 지역은 석재 채석장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0]
4. 1. 발굴
H. 웨버는 1934년과 1936년에 미우스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를 수행했다. 그는 두 개의 신전 유적을 발견했지만, 다른 것은 거의 찾지 못했다. 인구가 소지품을 가지고 밀레투스로 이주한 후, 이 지역은 석재 채석장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30]4. 2. 신전
미우스에는 아테나 신전과 디오니소스 신전이 있었다.[27] 특히 디오니소스 신전은 흰 대리석으로 지어졌다고 한다.[27]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학위논문
Cave and City: A Procedural Reconstruction of the Urban Topography of Magnesia on the Maeander
UCLA
2015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Troia and the Troad: Scientific Approaches
Springer-Verlag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Myus 11
https://topostext.or[...]
2023-07-18
[14]
웹사이트
Hybanda 1
https://topostext.or[...]
2023-07-18
[15]
서적
[16]
간행물
Redating Croesus: Herodotean Chronologies, and the Dates of the earliest Coinages
[17]
학위논문
Paths and Places: The Landscape Identity of Colophon 1300-302 BC
University of Oslo
2007
[18]
서적
Part III: Priene, Iasos, and Ephesos
Clarendon Press
[19]
웹사이트
Sylloge Inscriptionum Graecarum: 599 The Rhodians Arbitrate between Priene and Samos
https://www.attalus.[...]
2023-08-02
[20]
웹사이트
Strabo, Geography, 14.1.3
https://www.perseus.[...]
[21]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7.2.10
https://www.perseus.[...]
[22]
기타
Thucydides
[23]
기타
Diodorus
[24]
기타
Plutarch Them. 29; Athen. 1.29; Nep. Them. 10
[25]
기타
Thucydides
[26]
기타
Strabo
[27]
기타
Pausanias
[28]
기타
Vitruvius Pollio,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29]
기타
Athen. 3.78
[3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