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에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에네는 고대 이오니아 도시로, 현재 터키 서부에 위치해 있으며, 기원전 4세기에 계획 도시로 재건되었다. 지리적으로는 메안데르강 어귀에 위치했으나, 강물의 퇴적 작용으로 인해 현재는 내륙에 자리 잡고 있다. 프리에네는 작은 폴리스였지만, 부유한 도시로 해상 무역을 통해 번영했으며, 민주주의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주요 유적으로는 아테나 폴리아스 신전, 아고라, 불류테리온, 헬레니즘 극장 등이 있으며, 18세기부터 고고학적 발굴이 이루어져 도시의 구조와 사회상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딘주의 지리 - 밀레토스
밀레토스는 이오니아 지역의 고대 도시로서, 무역과 식민 활동으로 번성했고 밀레토스 학파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튀르키예에 유적지로 남아있다. - 아이딘주의 지리 - 미우스
미우스는 에게해의 메안데르 강 어귀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로, 이오니아 도시 중 하나였으며, 리디아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오니아 반란의 배경이 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쇠퇴했으며, 스트라보 시대에 밀레투스에 통합되었다. - 아이딘주의 건축물 - 밀레토스
밀레토스는 이오니아 지역의 고대 도시로서, 무역과 식민 활동으로 번성했고 밀레토스 학파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아 현재 튀르키예에 유적지로 남아있다. - 아이딘주의 건축물 - 미우스
미우스는 에게해의 메안데르 강 어귀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로, 이오니아 도시 중 하나였으며, 리디아와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오니아 반란의 배경이 되었으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중 쇠퇴했으며, 스트라보 시대에 밀레투스에 통합되었다.
프리에네 | |
---|---|
개요 | |
이름 | 프리에네 |
원어명 | 그리스어: Πριήνη 터키어: Prien |
별칭 | 삼손 |
![]() | |
지리 | |
위치 | 귈뤼바흐체, 쇠케, 아이딘 주, 터키 |
지역 | 이오니아 |
면적 | 약 37 헥타르 |
역사 | |
건설 | 테베 식민지 주민 |
건축 시기 | 기원전 약 1000년 |
거주민 | 비아스, 피티우스 |
기타 | |
종류 | 정착지 |
비고 | 아이딘에서 남서쪽으로 67km 떨어져 있음 |
2. 지리
프리에네는 오늘날 튀르키예 서부 해안에 위치해 있으며, 고대에는 미칼레 산맥의 가파른 경사면과 메안데르강 삼각주 사이에 자리 잡고 있었다.[6] 기원전 4세기에 프리에네는 밀레투스만을 내려다보는 두 개의 항구를 가진 깊은 항구였으며, 좀 더 동쪽에는 메안데르 삼각주의 늪지가 있었다.[6] 바다와 가파른 미칼레 사이의 농업 자원은 제한적이어서, 도시를 지원하기 위해 메안데르 계곡의 일부가 프리에네의 영토에 포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프리에네는 북쪽으로는 에페소스와 테베와 경계를 접하고 있었다.
프리에네는 15ha에 불과한 제한된 공간에 6,000명이 거주하는 작은 폴리스였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면적은 20ha에서 37ha에 달했다. 주거 지역의 인구 밀도는 1헥타르당 약 33채의 집이 밀집된 도시 블록으로 배치되어 1헥타르당 166명으로 추정된다.[7] 성벽 안의 전체 공간은 1헥타르당 108명의 밀도를 보였다.
2. 1. 초기 도시
원래의 프리에네는 당시 마이안드로스 강 어귀에 위치한 항구 도시였다. 이 위치는 강바닥의 느린 퇴적과 퇴적의 전진으로 인해 에게해 방향으로 걷잡을 수 없는 환경적 어려움을 야기했다. 일반적으로 항구는 토사가 쌓여 거주민들이 해충이 창궐하는 늪과 갯벌에서 살게 되었다.마이안드로스 강은 서서히 침강하는 지구대침강 해안선를 지나 흐르며, 침강 해안선을 형성한다. 이전에 숲이 우거졌던 경사면과 계곡에 대한 인간의 사용은 나무를 제거하고 토양을 침식에 노출시켰다. 퇴적물은 강 어귀의 골짜기에 점진적으로 퇴적되었고, 골짜기는 서쪽으로 이동하여 침강을 보상했다.
원래 프리에네의 물리적 유물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그것들은 수 미터의 퇴적물 아래에 묻혀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현재 그 꼭대기는 가치 있는 농경지로 경작되고 있다. 평균 퇴적 전진 속도에 대한 지식은 항구로 운영하기 위해 몇 세기마다 다시 물가에 가까이 옮겨진 도시의 위치를 추정하는 데 기초가 된다.
고대 그리스 도시(밀레투스와 같이 다른 민족의 알려지지 않은 거주지가 있었을 수 있다)는 기원전 1000년경 고대 테베 인근 아네온에서 테베의 식민지에 의해 세워졌다. 기원전 700년경, 일련의 지진이 기원전 4세기의 위치에서 8km 이내로 도시를 이동시키는 촉매제가 되었다. 기원전 500년경, 도시는 다시 나울로코스 항구로 이동했다.[2]
2. 2. 기원전 4세기 도시

기원전 350년경, 페르시아 제국의 사트라프 마우솔로스(카리아 출신)는 미칼레의 가파른 경사면에 웅장한 신도시 건설을 계획했다. 그는 이 도시가 해안 절벽에 위치한 많은 그리스 섬 도시들처럼 영구적인 깊은 물의 항구가 되기를 희망했다. 건설은 페르시아 제국에서 마케도니아인들이 이 지역을 점령했을 때 시작되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직접 개발 책임을 맡았다. 알렉산드로스와 마우솔로스는 프리에네를 모범 도시로 만들고자 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저명한 건축가 피테오스가 설계한 아테나 신전 건설 비용 지불을 제안했고, 기원전 323년에 신전을 헌납했다. 대영 박물관에 소장된 헌납 비문[3]은 "알렉산드로스 왕이 아테나 폴리아스에게 신전을 바치다"로 번역된다.
유력 시민들은 즉시 그 뒤를 따랐으며, 대부분의 공공 건물은 사비로 건설되었고 기부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 도시의 폐허는 통째로 보존된 고대 그리스 도시의 가장 훌륭한 사례로 꼽히며, 시간의 풍화 작용 외에는 온전하게 남아 있다. 최소한 18세기부터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도시는 미칼레 인근 채석장의 대리석과 지붕, 바닥재 등에 쓰인 나무로 건설되었다. 공공 구역은 가파른 경사면에 격자 무늬로 배치되었고, 일련의 수로를 통해 배수된다. 물 공급 및 하수 시스템도 남아 있다. 무너진 기둥과 블록 사이에서 기초, 포장된 거리, 계단, 부분적인 문틀, 기념물, 벽, 테라스를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나무는 남아 있지 않다. 도시는 미칼레에서 돌출된 절벽 기저부까지 뻗어 있으며, 좁은 길은 위의 아크로폴리스로 이어진다.
2. 3. 현재의 지리
메안데르강의 오랜 퇴적 작용으로 해안선이 멀어져, 현재 프리에네 유적은 내륙에 위치한다.[6] 기원전 4세기경 프리에네는 밀레투스만을 내려다보는 두 개의 항구를 가진 깊은 항구였으며, 동쪽에는 메안데르 삼각주의 늪지가 있었다.[6]오늘날 밀레투스는 바다에서 수 km 떨어져 있으며, 프리에네는 현재 개인 소유의 밭들이 체스판처럼 펼쳐진 비옥한 평야 가장자리에 있다.
3. 역사
프리에네는 기원전 11세기에 아이오니아인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이후 킴메르인, 리디아, 페르시아 제국의 침략을 받았다.[1] 키루스는 기원전 545년에 프리에네를 점령했지만, 이오니아 반란 (기원전 499년-기원전 494년)에 참여하기도 했다.[1]
기원전 5세기에 아테네가 주도한 델로스 동맹의 일원이었으나, 기원전 387년에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때까지 지속되었다.[9] 사모스 섬과의 분쟁과 알렉산드로스 사후의 혼란으로 쇠퇴하였고, 로마는 기원전 155년에 프리에네를 페르가몬과 카파도키아의 왕들로부터 구해야 했다.
카파도키아 왕의 반역적인 형제인 오로페르네스는 로마의 개입으로 그곳에 보물을 맡겼다가 되찾았고, 감사의 표시로 아테나 신전을 복원했다. 로마와 비잔틴 제국의 지배하에 프리에네는 번영하는 역사를 가졌다. 13세기 말에 이슬람 세력에게 넘어갔다.[10]
3. 1. 고대
프리에네는 기원전 11세기에 아이오니아인들이 벨루스의 아들이자 코드로스 왕의 손자인 아이깁토스에 의해 처음 정착했다고 전해진다. 킴메르인, 리디아의 아르디스 및 페르시아인의 잇따른 공격을 받은 후, 기원전 6세기 중반에 "현자" 비아스의 지휘 아래 살아남아 번영했다.[1] 키루스는 기원전 545년에 프리에네를 점령했지만, 이오니아 반란 (기원전 499년-기원전 494년)에 참여하기 위해 12척의 배를 보낼 수 있었다.
프리에네는 기원전 5세기에 아테네가 주도한 델로스 동맹의 일원이었다. 기원전 387년에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때까지 지속되었다.[9]
3. 2.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
프리에네는 기원전 5세기에 아테네가 주도한 델로스 동맹의 일원이었다. 기원전 387년에 다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때까지 지속되었다.[9] 사모스 섬과의 분쟁과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의 혼란으로 프리에네는 쇠퇴했다. 로마는 기원전 155년에 프리에네를 페르가몬과 카파도키아의 왕들로부터 구해야 했다.
카파도키아 왕의 반역적인 형제인 오로페르네스는 로마의 개입으로 그곳에 보물을 맡겼다가 되찾았고, 감사의 표시로 아테나 신전을 복원했다. 로마와 비잔틴 제국의 지배하에 프리에네는 번영하는 역사를 가졌다. 13세기 말에 이슬람 세력에게 넘어갔다.[10]
3. 3. 중세 이후

예상과는 달리, 프리에네는 몇 세기 동안만 심해 항구로 유지되었다. 서기 2세기에 파우사니아스는 마에안드로스 강이 이미 뮈우스가 있던 입구를 막았고, 주민들이 밀레토스로 떠났다고 보고했다.[4] 최근의 고고지질학 연구에 따르면 밀레토스는 그 당시에도 항구를 열어두었지만, 프리에네는 기원전 1세기에 이미 항구를 잃고 바다로의 열린 연결을 상실했다.[5] 프리에네의 상인들은 대부분의 주민보다 먼저 밀레토스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높다. 서기 300년경에는 바파 호를 제외한 밀레토스 만 전체가 토사로 막혔다.
오늘날 밀레토스는 바다에서 여러 마일 떨어져 있으며, 프리에네는 비옥한 평야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현재는 개인 소유의 밭들이 체스판처럼 펼쳐져 있다. 인구 감소 후에도 그리스 마을이 남아 있었다. 서기 12세기 이후에는 더 많은 터키인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 서기 13세기, 프리에네는 그리스어로 성경 속 영웅 삼손을 따서 "삼손"(터키어로 Samsun Kale, "삼손의 성")으로 알려졌다. 1204년, 지역 유력자 사바스 아시데노스는 스스로 도시의 통치자가 되었지만, 곧 니케아 제국의 지배를 인정해야 했다. 이 지역은 13세기 후반까지 비잔틴의 지배를 받았다.
1923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으로 남아 있던 그리스인들이 모두 추방되었다. 그 직후, 터키인들은 더 유리한 위치로 이주하여 귈뤼 바흐체("장미 정원")라고 불렀다. 부분적으로 아직 사용 중인 옛 그리스 정착지는 오늘날 게레베치 또는 케레베시로 알려져 있으며, 프리에네의 관광 명소는 거기에서 접근할 수 있다.
4. 도시 구조
프리에네는 격자형 가로망을 갖춘 계획도시로, 아크로폴리스, 아고라, 신전, 극장, 주거지 등이 체계적으로 배치되었다.
4. 1. 주요 시설



프리에네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 | 설명 |
---|---|
아테나 폴리아스 신전 | 피티오스가 설계한 이오니아식 건물.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의 건축 양식을 따름.[3]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 비용을 지원, 기원전 323년에 헌납. 1870년 아테나 조각상 기단 아래에서 카파도키아 복원 시대 매장 추정 은색 테트라드라크마와 보석 발굴. |
아고라 | 도시 중심 광장. 주요 거리와 교차, 주변에 여러 홀 배치. |
불레우테리온 | 시청 건물. 아고라 북쪽에 위치. |
프뤼타네이온 | 아고라 북쪽에 위치. |
상부 체육관 | 로마 목욕탕 존재. 아고라 북쪽에 위치. |
극장 | 보존 상태가 좋은 헬레니즘 시대 극장. 아고라 북쪽에 위치. |
아스클레피오스 신전, 이집트 신전 (이시스, 세라피스, 아누비스) | 계획 중심부에 위치. |
경기장 | 도시 남쪽 가장 낮은 지점, 성벽 내 위치. 헬레니즘 시대 체육관과 연결.[12] |
프리에네 회당 | 조각된 메노라 이미지 발견.[11] |
주거지 | 약 80개 인술라 구성. 개인 주택은 인술라당 8개 배정. 폼페이 초기 주택과 유사. 급수 및 배수 시스템 흔적 잔존. |
데메테르 신전 | 아크로폴리스 낮은 경사면에 위치. |
이 외에도 도시 곳곳에서 무너진 기둥, 블록, 기초, 포장된 거리, 계단, 부분적인 문틀, 기념물, 벽, 테라스 등을 볼 수 있다.
5. 사회
프리에네는 대리석으로 된 훌륭한 도시 주택과 공공 건물의 사적 헌납에서 알 수 있듯이 부유한 도시였다. 마우솔로스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관심을 가졌다는 역사적 언급은 그 지위를 나타낸다.[8] 주택의 3분의 1에는 실내 화장실이 있었는데, 이는 이 사회에서는 드문 일이었다. 프리에네는 미칼레 산의 샘과 시냇물을 포획하여 수로로 물을 저수조로 가져오고, 거기에서 집과 분수로 파이프나 도랑을 통해 보냈다. 프리에네 사회의 상위 3분의 1은 실내 물을 이용할 수 있었다.
이오니아의 부의 원천은 해상 활동이었다. 이오니아는 다른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사치스러운 곳으로 명성이 높았다. 헤라클레이토스와 같은 지식인들은 종종 그들의 관행에 대해 비난했다.
기원전 4세기에 프리에네는 민주주의 국가였다. 국가 권력은 Πριηνείς (Priēneis), 즉 "프리에네인"이라고 불리는 기관에 있었으며, 이들은 모든 법령 및 기타 공문서를 그들의 이름으로 발행했다. 프리에네에서 주조된 동전에는 앞면에 헬멧을 쓴 아테나의 머리가, 뒷면에는 만곡선 패턴이 새겨져 있었고, 한 동전에는 돌고래와 ΠΡΙΗΝΕΩΝ (Priēneōn), 즉 "프리에네인의"을 의미하는 ΠΡΙΗ 문구가 새겨져 있었다.[8] 이 상징들은 프리에네인들이 아테네와 연대하여 아시아에 위치한 해양 민주주의 국가임을 나타낸다.
민주주의의 운영 방식은 아테네인들의 방식과 유사했지만 더 단순했다. 시민들의 회의가 정기적으로 열려 그들에게 제시된 주요 결정들을 내렸다. 일상적인 입법 및 행정 업무는 ''불레'', 즉 시의회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불레우테리온에서 열렸다. 국가의 공식 수장은 ''프뤼타네스''였다. 그와 더 전문적인 집정관들은 정기적으로 선출되었다. 아테네와 마찬가지로 모든 인구가 참정권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시골에 거주하는 비프리에네인 인구의 일부인 ''페디에이스'', 즉 "평원인"의 재산권과 세금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었다.
6. 고고학 발굴
이 유적은 1765년과 1868년에 영국 딜레탄티 협회에서 파견한 조사단의 조사를 받았다.[11] 테오도르 비간트는 1895년부터 1899년까지 알테스 박물관을 위해 발굴 작업을 진행했다.[12]
4세기에 이 지역에 새로 개발된 도시는 직사각형 구조로 설계되었음이 밝혀졌다. 가파른 지역은 남쪽을 향하고 있으며, 아크로폴리스는 그 뒤로 약 200m 높이로 솟아 있다. 이 도시는 2m 두께의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간격마다 탑이 있고 세 개의 주요 문이 있었다.
아크로폴리스의 낮은 경사면에는 데메테르 신전이 있었다. 이 도시에는 동서 방향으로 뻗은 6개의 주요 거리(약 6m 폭)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15개의 거리(약 3m 폭)가 있었으며, 모두 균등하게 간격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약 80개의 ''인술라''로 나뉘었다. 개인 주택은 인술라당 8개로 배정되었다. 급수 및 배수 시스템은 현재까지도 확인 할 수 있다. 이 주택들은 폼페이의 초기 주택들과 많은 유사점을 보인다.
도시의 서쪽 절반, 주요 거리 북쪽의 높은 테라스에 위치하며 훌륭한 계단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아테나 폴리아스 신전이 있었다. 이 신전은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의 건축가인 프리에네의 피티우스가 건설한 6주랑 주위 익랑식 구조의 이오니아식 건물로,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이다. 1870년에는 오로페르네스의 은색 테트라드라크마와 일부 보석이 아테나 조각상 기단 아래에서 발굴되었다. 이는 아마도 카파도키아 복원 시대에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각된 메노라 이미지가 있는 고대 프리에네 회당도 발견되었다.[11]
참조
[1]
서적
A Guide to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Barnes & Noble, Inc.
[2]
문서
Crouch (2004) pages 199-200.
[3]
웹사이트
British Museum Highlights
https://www.britishm[...]
[4]
문서
Description of Greece Book 7 Section 2.11.
[5]
문서
Marc Müllenhoff ''Geoarchäologische, sedimentologische und morphodynamische Untersuchungen im Mündungsgebiet des Büyük Menderes (Mäander), Westtürkei'' Marburg/Lahn 2005
[6]
문서
This article uses this term in preference to the Gulf of Latmus, which remains as Lake Bafa. In ancient times they were continuous.
[7]
문서
Hansen (2004), pages 14–16, estimates the walled area as 1.33 to 2 times a measured habitation area of {{convert|15|ha}}. Rubinstein (2004), pages 1091–1093, gives a slightly larger measure of the walled area: {{convert|37|ha}}. Hansen (2004), pages 14–16, estimates 8 persons per house for 500 counted houses and a ratio of 2:1 of urban over rural.
[8]
문서
Rubinstein (2004), pages 1091–1093.
[9]
간행물
Priene
[10]
간행물
Priene
[11]
논문
The Late Antique Synagogue in Priene: Its History, Architecture, and Context
https://www.academia[...]
[12]
서적
Priene: A Guide to the Pompeii of Asia Minor
Ege Yayınlar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