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레시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레시안은 아일랜드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들로, 11세기 아일랜드의 게일인 수도사들이 쓴 『에린 침략의 서』에 따르면 아일랜드로 건너와 투어허 데 다넌족을 물리치고 아일랜드를 지배한 종족이다. 밀레시안은 히스파니아의 전사 밀 에스파너의 아들들로, 이들은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투어허 데 다넌의 세 왕비에게 자신들의 이름을 이 땅에 붙일 것을 약속받고, 3일간의 휴전 후 전쟁에서 승리하여 아일랜드의 지배자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밀레시안 이야기는 19세기까지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여졌으나, 현대 학자들은 중세 아일랜드 기독교 작가들의 창작물로 역사적 진실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이 신화는 아일랜드의 왕조를 유지하고 정치적 정통성을 얻는 데 사용되었으며, 스코틀랜드의 돌 기원과 관련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레시안 - 에레원
    에레원은 아일랜드 신화에서 밀레시안의 지도자로서 아일랜드 침공을 이끌고 투아하 데 다난을 물리친 후 아일랜드의 최고 왕이 되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으며, 그의 후손인 헤레모니안은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문장학에 상징인 붉은 사자를 남겼다.
  • 밀레시안 - 에흐리엘
밀레시안
개요
유형신화 속 민족
기원히스파니아
정착지아일랜드
관련 인물밀 에스파네
다른 이름에린의 아들, 히베르니
신화
기원 신화밀 에스파네의 후손
투아하 데 다난을 몰아내고 아일랜드를 정복
특징아일랜드의 지배 민족
강력한 전사
드루이드 신앙
주요 인물
밀 에스파네밀레시안의 조상
히스파니아의 병사
이베르밀의 아들, 아일랜드 침공 지도자 중 한 명
에레원밀의 아들, 아일랜드 침공 지도자 중 한 명
에메르밀의 아들, 아일랜드 침공 지도자 중 한 명
도나밀의 아들, 아일랜드 침공 지도자 중 한 명
관련 개념
에린아일랜드의 고대 이름
투아하 데 다난밀레시안 이전 아일랜드의 지배 민족
레프라혼아일랜드 민화 속 요정
피르 볼그밀레시안 이전 아일랜드의 민족
기타
문화적 영향아일랜드 신화, 전설, 문학에 큰 영향

2. 전승

2. 1. 『브리튼인의 역사』

9세기 라틴어 저서인 『브리튼인의 역사』에는 아일랜드가 이베리아 반도에서 온 세 그룹의 사람들에 의해 정착되었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3] 첫 번째는 파르톨론의 사람들, 두 번째는 네메드의 사람들이었다. 마지막 그룹은 히스파니아의 전사(밀레스 히스파니아이)의 세 아들이 이끌었는데, 이들은 30척의 배를 이끌고 각 배에 30명의 아내를 태워 아일랜드로 항해했다.[3]

이들은 항해 도중 바다 한가운데 솟아 있는 유리탑을 발견하고 그 위에 있는 사람들을 불렀으나, 그들은 응답하지 않았다. 밀 에스파너의 아들들은 탑을 점령하려 했지만, 30척의 배 중 1척을 제외한 모든 배가 큰 파도에 침몰하고 말았다. 살아남은 한 척의 배에 타고 있던 사람들이 모든 아일랜드인의 조상이 되었다.[3] 이후 아일랜드에서는 탑을 점령하려다 익사한 것은 네메드인의 이야기로 기록되었다.[4]

2. 2. 『에린 침략의 서』

11세기 아일랜드의 게일인 기독교 수도사들이 쓴 『에린 침략의 서』에 따르면, 모든 인류는 아담으로부터 노아의 아들들을 거쳐 비롯되었다. 그 중 야벳의 후손인 스키타이 왕 페누스 파르사드가 게일인의 시조다. 페누스는 바벨탑을 지은 72부족장 중 한 명인데, 그의 아들 넬(Nel)은 이집트 파라오의 왕녀 스코타와 결혼하고 기델 글라스라는 아들을 낳았다. 기델은 언어의 혼란에 휩싸인 72개 언어들로부터 좋은 점을 골라 새 언어(기델어 = 고이델어)를 만들었다.[26] 기델의 후손인 고이델인(게일인)들은 이스라엘인들이 이집트를 떠나던 것(출애굽기)과 같은 시기에 이집트를 떠나 스키티아에 정착했다. 얼마 뒤 스키티아도 떠난 그들은 440년간 지구상을 돌아다닌 끝에 히스파니아에 도착해 거기를 정복하고 정착했다. 기델의 후손 브로간은 도읍을 세우고 그 이름을 브리간티아라고 했으며, 높은 탑을 지었다. 브로간의 아들 이흐가 그 탑 위에 올라갔다가 바다 너머의 땅을 발견했다.[26] 브리간티아는 오늘날의 갈리시아 지방의 라코루냐(코룬나)이고 브로간의 탑은 로마인들이 코룬나에 세운 헤라클레스의 탑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흐는 한 무리의 사람들을 끌고 자신이 발견한 땅으로 건너갔다. 당시 그 땅을 다스리던 종족인 투어허 데 다넌의 세 왕 에후르 막 쿠일테후르 막 케크트・케후르 막 그레네가 그들을 환영했다. 그러나 이흐는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누군가에게 죽임을 당하고 부하들만 이베리아로 돌아간다. 이흐의 형제이자 브로간의 다른 아들인 밀 에스파너("히스파니아의 병사"라는 뜻의 별명이고 본명은 갈람)의 아홉 아들들이 삼촌의 복수를 명목으로 군대를 일으켜 쳐들어간다.[26] 상륙한 밀의 아들들(= "밀레시안")의 군대는 투어허 데 다넌의 수도 타라를 향해 가는 길에 투어허 데 다넌의 세 왕의 왕비 반바・포들라・에리우를 만난다. 세 왕비는 밀레시안에게 자신들의 이름을 이 땅에 붙이면 축복이 있으리라 말한다.[26] 아메르긴 글룽겔이 그렇게 하겠노라 약속했고, 에리우의 이름에서 "에린"이라는 지명이 비로소 유래하였다. 타라에 도착한 밀레시안은 투어허 데 다넌의 세 왕과 만난다. 세 왕은 3일간의 휴전을 제안하고, 그 동안 밀레시안은 뭍에서 아홉 파도만큼 떨어진 곳에 정박하기로 한다. 그러나 밀레시안이 약속대로 배에 타서 바다로 나가자 투어허 데 다넌은 약속을 어기고 강풍을 소환해 밀레시안의 함대를 덮친다. 아메르긴이 주문을 외어 바람을 가라앉히고, 강풍에서 살아남은 배들이 다시 상륙한다. 전쟁에 승리한 밀레시안은 에린 땅의 이승을 지배하게 되고, 투어허 데 다넌은 별세계로 물러나게 된다.[27] 아일랜드 땅 곳곳에 흩어져 있는 선사시대의 고분들("시")이 이 별세계로 통하는 통로라고 하는데, 그래서 이후 투어허 데 다넌은 "고분의 사람들"이라는 뜻의 "이스시"라고 불리게 된다. 아메르긴은 에린 땅을 남북으로 나누어 에레원이 북쪽 절반을, 에베르 핀이 남쪽 절반을 다스리게 한다.[27] 이 분할신화는 7-8세기에 아일랜드의 왕도가 북쪽의 타라와 남쪽의 카러그 파드러그로 양분된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창조된 것으로 여겨진다.[28]

3. 해석

밀레시안 이야기는 19세기까지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여졌으나,[25] 16세기에는 에드먼드 캠피언이나 에드먼드 스펜서 같은 영국인들이 영국의 아일랜드 침략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하기도 했다.[31] 현대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중세 아일랜드 기독교 작가들의 창작물이며 역사적 진실이 아니라고 판단한다.[24][25] 중세 게일인 수도사들은 구약의 이스라엘인과 게일인의 행적 간의 평행이론을 만들어 자신들의 민족적 격을 높이고, 켈트족 드루이드교 신화를 기독교에 흡수시키려 했다.[32][33] 이는 파울루스 오로시우스, 히에로니무스,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 등 고명한 인물들도 참여한, 중세의 다른 지역의 기독교 유사역사 작업들로부터 영향을 크게 받았다.[34]

게일인이 이베리아 반도의 갈리시아 지방에서 아일랜드로 건너왔다는 설정은 '이베리아/히베리아/히스파니아'와 '히베르니아',[25] '갈리시아'와 '게일'이라는 이름의 유사성,[35]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가 이베리아를 "모든 종족의 어머니(땅)"이라고 불렀던 점,[37] 오로시우스가 아일랜드를 "이베리아와 브리타니아 사이"에 있다고 썼던 점[34]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측된다. 타키투스 역시 아일랜드가 이베리아와 브리타니아 사이에 있다고 썼다.[34]

신화에서는 밀레시안들의 이름들이 게일인의 민족명 및 별명의 유래가 되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였을 것으로 보인다. 기델 글라스는 "고이델(게일)"로부터, 페누스는 "페니(Féni)로부터, 스코타는 "스코티"로부터, 에베르는 "히베르니"로부터, 에레원은 "에이레"로부터 비롯된 것이다.[25]

4. 현대적 의의 및 비판

밀레시안 이야기는 19세기까지 시인들과 학자들에게 관습적인 역사로서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졌다.[25] 수 세기 동안 밀레시안 신화는 아일랜드에서 왕조를 유지하고 정치적 정통성을 얻기 위해 사용되었다.[31] 예를 들어, 에드먼드 캠피언이나 에드먼드 스펜서 같은 영국인들은 영국의 아일랜드 침략이 고대의 권리를 되찾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데 이 신화를 이용했다.[31][19]

하지만 현대의 학자들은 밀레시안 이야기가 순전히 중세인들의 창작이며 역사적 진실이 아니라고 판단한다.[24][25] 중세 아일랜드의 게일인 수도사들은 구약의 이스라엘인과 게일인의 행적 간의 평행이론을 만들어서 자신들의 민족적 격을 높이고 또한 자기 조상들이 믿던 켈트족 드루이드교의 신화를 기독교에 흡수시키려고 했다.[32][33]

게일인이 이베리아반도의 갈리시아 지방에서 아일랜드 땅으로 건너왔다는 신화의 설정은 "이베리아/히베리아/히스파니아"라는 이름이 아일랜드의 라틴어 이름인 "히베르니아"와,[25] 그리고 "갈리시아"라는 이름이 "게일"이라는 민족명과 우연히 비슷했다는 점,[35] 이시도루스 히스팔렌시스가 이베리아를 “모든 종족의 어머니(땅)”이라고 불렀던 점,[37] 오로시우스와 타키투스가 아일랜드가 “이베리아와 브리타니아 사이”에 있다고 썼기 때문으로 추측된다.[34]

신화에서는 밀레시안들의 이름들이 게일인의 민족명 및 별명의 유래가 되었다고 하는데, 반대로 게일인이라는 이름과 별명들이 밀레시안들의 이름을 만들어내는 데 사용된 것이 맞을 것이다. 예컨대 기델 글라스는 "고이델(게일)"로부터, 페누스는 "페니(Féni)로부터, 스코타는 "스코티"로부터, 에베르는 "히베르니"로부터, 에레원은 "에이레"로부터 비롯된 것이다.[25]

제프리 키팅의 ''포라스 페사 아르 에이린''은 스튜어트가 아일랜드에서 왕권에 대한 주장의 정당성을 홍보하기 위해 이 신화를 사용했음을 보여준다.[20] 근세 시대에 많은 아일랜드인들이 스페인으로 도망갔는데, 게일 아일랜드인이 밀 에스파인과 그의 스페인 추종자들의 후손이라는 믿음은 스페인에서도 통용되어 스페인 영토에 도착한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에게 자동 시민권이 부여되기도 했다.[21]

스코틀랜드의 돌의 기원에 대한 이론 중에는 중세 스코틀랜드 변호사 발드레드 비셋이 이 돌이 스코타에 의해 아일랜드로 운반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스코타는 밀레시안의 조상이며, 이 돌은 타라 언덕의 리아 팔과 관련이 있다.[22][23]

밀레시안 신화는 민족주의적, 배타적 성격을 띨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이러한 신화는 특정 집단의 우월성을 주장하고 다른 집단을 배제하는 논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5. 유산 (Legacy)

다이히 오 호간 교수는 "밀의 아들들이 아일랜드를 차지했다는 이야기는 문학적인 날조였지만, 19세기까지 시인과 학자들에게 통설적인 역사로 받아들여졌다"고 기록했다.[2] 이 전설은 수세기 동안 아일랜드에서 왕조적, 정치적 정당성을 획득하고 확보하는 데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에드먼드 캠피언은 그의 저서 ''아일랜드 역사에 대한 두 권의 책''(1571)에서 이 신화를 사용하여 영국 군주가 아일랜드를 통치할 고대 권리를 확립하려고 시도했다. 에드먼드 스펜서는 ''아일랜드의 현재 상태에 대한 견해''에서 1590년대(영국-스페인 전쟁 절정기)에 아일랜드인을 비하하고 아일랜드에 대한 영국의 식민지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신화의 다양한 부분을 수용하고 거부했다.[19]

이 신화는 1616년부터 1624년까지 지속된 음유시인 논쟁 동안 인용되었다. 이 기간 동안 섬 북부와 남부의 시인들은 자신들에게 후원을 제공하는 왕조의 장점을 찬양하고 섬의 다른 절반의 왕조를 공격했다.

제프리 키팅의 ''포라스 페사 아르 에이린''(c.1634년 집필)은 스튜어트가 아일랜드에서 왕권에 대한 주장의 정당성을 홍보하기 위해 이 신화를 사용했으며, 찰스 1세가 브라이언 보루, 에버, 갈람을 통해 노아, 궁극적으로 아담의 후손임을 증명했다.[20]

근세 시대에 많은 아일랜드인들이 조국의 정치적, 군사적 혼란으로 인해 스페인으로 도망갔다. 게일 아일랜드인이 밀 에스파인과 그의 스페인 추종자들의 후손이라는 믿음은 아일랜드뿐만 아니라 스페인에서도 통용되었으며, 그 결과 스페인의 아일랜드인들은 스페인 국민에게 부여된 모든 권리와 특권을 받았다. 예를 들어 스페인 영토에 도착한 아일랜드 가톨릭 신자에게 자동 시민권이 부여되었다.[21]

스코틀랜드의 돌의 기원에 대한 많은 이론 중 중세 스코틀랜드 변호사 발드레드 비셋은 이 돌이 고대 이집트에서 이베리아 반도 또는 켈트이베리아를 거쳐 고이델 글라스의 아내이자 이집트 파라오의 딸인 스코타에 의해 아일랜드로 운반되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스코타는 밀레시안의 조상이다. 이 돌은 아일랜드 고위 왕의 즉위식에 사용된 타라 언덕의 리아 팔과 관련이 있다. 비셋에 따르면, 스코타는 아일랜드 전사들과 함께 스코틀랜드를 침략하여 그녀의 왕좌를 가져갔다. 궁극적으로 이 돌은 에드워드 1세에 의해 정복을 통해 몰수되었다.[22][23]

참조

[1] 간행물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http://sulis.ucc.ie/[...] University of Cambridge 1994
[2]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3] 서적 The Origin Legends of Early Medieval Britain and Ir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4] 문서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5] 서적 The Origin Legends of Early Medieval Britain and Ir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6] 서적 Lebor Gabála Érenn Mary Jones
[7]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8] 간행물 Lebor Gabála Érenn https://web.archive.[...] Mary Jones 2007-03-11
[9]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10] 문서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11] 문서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12] 문서
[13] 뉴스 Did the Irish Come from Spain? The Legend of the Milesians http://www.historyir[...] History Ireland 2001
[14]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Infobase Publishing 2004
[15] 문서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16] 문서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17] 서적 The Origin Legends of Early Medieval Britain and Ire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18] 서적 Irish Orientalism: A Literary and Intellectual History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8
[19] 간행물 Briton and Scythian: Tudor representations of Irish origins 1993
[20] 서적 The World of Geoffrey Keating: history, myth and religion in 17th century Ireland Dublin 2000
[21] 간행물 The Military Order of St Patrick 1979
[22] 웹사이트 The Lia Fail, or the Stone of Destiny http://www.sacred-te[...] Sacred-Text
[23] 웹사이트 Stone of Destiny, Masonic Library http://www.masonicli[...] Masonic Library
[24] 간행물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http://sulis.ucc.ie/[...] 케임브리지 대학교 1994
[25] 서적 Myth, Legend & Romance: An encyclopaedia of the Irish folk tradition Prentice Hall Press
[26] 서적 Lebor Gabála Érenn Mary Jones
[27] 간행물 Lebor Gabála Érenn http://www.maryjones[...] Mary Jones
[28]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2006
[29] 문서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30] 문서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31] 간행물 Briton and Scythian: Tudor representations of Irish origins 1993
[32] 문서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33] 문서
[34] 뉴스 Did the Irish Come from Spain? The Legend of the Milesians http://www.historyir[...] History Ireland 2001
[35]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Infobase Publishing 2004
[36] 서적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37] 서적 The Irish National Origin-Legend: Synthetic Pseudo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