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벳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벳은 히브리 성경에 등장하는 노아의 아들 중 한 명으로, 이름의 의미는 '확장하다' 또는 '아름다움'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는 노아의 홍수에서 방주를 통해 구원받았으며, 창세기에 따르면 셈, 함과 함께 노아의 세 아들 중 한 명이다. 야벳은 고멜, 마곡 등 일곱 아들을 두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여러 민족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19세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야벳은 유럽인, 특히 백인의 조상으로 여겨졌으며, 이슬람 전통에서는 튀르크인, 하자르인 등의 조상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아의 자식 - 함 (성경 인물)
    함은 성경에 등장하는 노아의 아들로, 아버지의 벌거벗은 모습을 보고 형제들에게 알린 죄로 인해 노아로부터 아들 가나안이 저주를 받아 셈과 야벳의 종이 되리라는 저주를 받았으며, 그의 후손들은 여러 민족의 조상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 노아의 자식 - 셈 (성경 인물)
    셈은 노아의 아들 중 한 명으로, 창세기에 등장하며 그의 후손들은 여러 민족으로 나뉘었고 유대교, 이슬람교, 영지주의, 만다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 성경계보학 - 셈 (성경 인물)
    셈은 노아의 아들 중 한 명으로, 창세기에 등장하며 그의 후손들은 여러 민족으로 나뉘었고 유대교, 이슬람교, 영지주의, 만다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 성경계보학 - 예수의 계보
    예수의 계보는 마태오 복음과 누가복음에 기록된 혈통으로, 마태오는 아브라함부터 예수를 14대씩 세 그룹으로 나누어 다윗 왕의 후손임을 강조하고, 누가는 아담부터 예수로 거슬러 올라가 하나님의 아들임을 나타내지만, 스룹바벨 이후 계보는 서로 다르다.
  • 야벳 - 하이크
    하이크는 아르메니아 민족의 시조로, 폭군 벨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아르메니아인들의 자유를 지킨 전설적인 영웅으로, 그의 이름은 아르메니아와 아르메니아인을 뜻하는 말의 어원으로 여겨지며 아르메니아 문화와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야벳 - 곡과 마곡
    곡과 마곡은 성경에 등장하는 종말론적 인물 및 지명으로, 이스라엘을 공격하거나 사탄의 유혹으로 전쟁을 일으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과 동일시되어 종교적 전승에서 종말론적 적대 세력으로 해석된다.
야벳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야벳
"노아의 세 번째 아들 야벳", Promptuarii Iconum Insigniorum ()에 묘사됨
다른 이름야페트, 야페투스, 야페투스
가족 관계
부모노아
자녀고멜
마곡
마대
야완
두발
메섹
디라스

2. 어원

야벳(יפת)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 이름의 의미에 대한 가능한 두 가지 출처가 있다.[3]


  • 아람어 어근 p-t-h/פתהarc에서 유래되었으며, "확장하다"를 의미한다. 이 경우, 이름은 라쉬의 해석에 따르면 "그가 확장하시기를"을 의미한다.[3]
  • 히브리어 어근 y-p-h/יפהhe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름다움"을 의미한다. 이 경우, 이름은 "아름다운"을 의미한다.[3]

윌리엄 존스는 "여러 민족의 기원과 계통에 관하여"라는 강연에서 야벳을 "인도 계통"의 기원으로 삼았다.[17]

2. 1. 어근 '확장하다'

야벳(יפת)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가능한 두 가지 어원으로는 아람어 어근 פתה(p-t-h)에서 유래한 "확장하다"와 히브리어 어근 יפהhe(y-p-h)에서 유래한 "아름다움"이 있다.[3] 라쉬의 해석에 따르면 아람어 어근에서 유래한 "확장하다"는 "그가 확장하시기를"을 의미한다.[3] 윌리엄 존스는 "여러 민족의 기원과 계통에 관하여"라는 강연에서 야벳을 "인도 계통"의 기원으로 삼았다.[17]

2. 2. 어근 '아름다움'

야벳(יפת)이라는 이름의 의미는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히브리어 어근 y-p-h/יפהhe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름다운"을 의미한다.[3] 윌리엄 존스(William Jones)는 "여러 민족의 기원과 계통에 관하여"라는 강연에서 야벳을 "인도 계통"의 기원으로 삼았다.[17]

3. 창세기

야벳은 히브리 성경에서 노아의 세 아들 중 한 명으로 처음 등장하며, 홍수에서 방주를 통해 구원받았다.[3] 창세기에서 세 아들이 모두 언급될 때, ", 함, 야벳" 순서로 나열된다.[4] 창세기 9장 24절은 함을 막내라고 부르고, 창세기 10장 21절은 셈을 "야벳의 형"이라고 언급하여 출생 순서가 명확하지 않다.

홍수 이후, 야벳은 노아의 술 취함 이야기에 등장한다.[3] 함이 노아가 텐트 안에서 술에 취해 벌거벗은 것을 보고 형제들에게 알렸고, 셈과 야벳은 옷으로 아버지를 덮어주었다.[3] 제임스 티소의 그림 ''노아의 술 취함''(1896년에서 1902년 사이, 유대 박물관)에는 이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노아의 술 취함'', 제임스 티소의 그림 (1896년에서 1902년 사이), 유대 박물관 (맨해튼, 뉴욕 시). 그림은 노아가 그의 텐트에 누워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과 야벳은 노아를 등지고 옷자락을 들고 있다; 함이 옆에 서 있다.
노아는 함의 아들 가나안을 저주하고 셈과 야벳을 축복했다.[3]

창세기 10장(민족 표)은 야벳의 후손들이 어떻게 땅에 퍼져나갔는지를 묘사한다.[5]

야벳
고멜마곡마대야완두발메섹디라스
아스그나스리밧도갈마엘리사다시스깃딤도다님



윌리엄 존스(William Jones)는 야벳을 "인도 계통"의 기원으로 삼았다.[17]

4. 야벳의 후손

히브리 성경에서 야벳에게는 고멜, 마곡, 티라스, 야완, 메섹, 두발, 메대 등 일곱 아들이 있었다.[6] 로마-유대 역사가인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자신의 저서 ''유대 고대사''에서 야벳의 아들들이 토로스와 아마누스 산맥에서 시작하여 아시아를 따라 타나이스 강(돈 강)까지, 유럽을 따라 카디스까지 진출하여 정착했다고 기록했다.[6]

노아의 아들들에 대한 지리적 식별(플라비우스 요세푸스, ); 야벳의 아들들은 빨간색으로 표시됨.


17세기에 탈무드의 랍비들이 쓴 ''야살의 책''("Sefer haYashar")은 야벳의 손자들에게 히브리 성경에 없는 새로운 이름을 부여하고 더 자세한 계보를 제공했다. 유대교 전통에서 아브라함의 아내 게두라는 때때로 야벳의 후손으로 여겨진다.[6] 윌리엄 존스(William Jones)는 "여러 민족의 기원과 계통에 관하여"라는 강연에서 야벳을 "인도 계통"의 기원으로 삼았다.[17]

5. 인종적 해석

19세기부터 20세기 후반까지 야벳은 이스라엘과 유다 왕정 이전 및 초기 왕정 시대에 가나안을 지배했던 블레셋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견해는 블레셋이 여전히 존재했던 솔로몬 왕 시대부터 시작하여 여러 단계로 구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창세기의 기원에 대한 이해와 일치한다. (블레셋은 아시리아의 가나안 정복 이후 역사에서 사라졌다). 그러나 창세기 10장 14절은 그들의 조상을 야벳이 아닌 함으로 규정한다.

노아의 자손의 분포를 보여주는 지도. 열국의 표에 따르면 야벳의 자손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5. 1. 유럽인

제임스 티소의 그림인 ''셈, 함, 그리고 야벳''에서 야벳은 하얀 피부, 붉은 머리, 푸른 눈을 가진 전형적인 유럽인의 특징을 가지고 왼쪽에서 묘사된다.[7] 이 그림은 맨해튼 뉴욕시에 있는 유대인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서기 7세기에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어원집''에서 대부분의 유럽 민족의 기원을 야벳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했다.[7][8] 19세기까지 거의 모든 유럽 국가의 학자들은 세비야의 이시도르의 주장을 반복하고 발전시켰다. 최초로 인쇄기로 인쇄된 세비야의 이시도르의 ''어원집'' (아우크스부르크 1472)에 포함된 T와 O 지도는 세 개의 알려진 대륙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을 각각 셈, 야벳, 함의 후손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식별한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헨리 4세, 2부''에는 야벳과 왕족의 관련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2]

조지아의 역사학자 이바네 자바히슈빌리는 야벳의 아들들을 아나톨리아에 거주했던 고대 부족들과 연관시켰다.

폴란드 전통인 사르마티즘에서는, 사르마티아인을 야벳의 후손이라고 여겼다.

5. 2. 이슬람 전통

야벳(아랍어: 야피스/يافثar)[9]은 꾸란에 직접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지만, 누 알레이히 살람(노아)의 이야기에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9] 그러나 무슬림의 꾸란 주석에서는 누 알레이히 살람의 모든 아들의 이름을 언급하며, 야벳도 그에 포함된다.[10]

이슬람 전통에서 그는 보통 야주즈와 마주즈 부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슬람 전통은 야벳의 후손에 튀르크인, 하자르인, 중국인, 몽골인, 그리고 슬라브족이 포함된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9][12] 아부 알 가지 바하두르에 따르면, 야벳은 볼가 강우랄 강 유역으로 가서 8명의 아들을 두었다. 야벳은 죽어가면서 맏아들 튀르크를 자신의 후계자로 삼았다.

18세기의 회족 무슬림 작가 류지에 따르면, 노아의 홍수 이후, 야벳은 지구의 동쪽 부분을 차지하는 중국을 상속받았고, 셈은 아라비아를, 함은 유럽을 상속받았다.[12]

5. 3. 인도-유럽어족과의 관계 (일본어 위키백과)

윌리엄 존스는 "여러 민족의 기원과 계통에 관하여"라는 강연에서 야벳을 "인도 계통"의 기원으로 삼았다.[17]

6. 대중문화

스티븐 슈워츠의 뮤지컬 《Children of Eden》에서 야벳은 2막의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17] 이 각색에서 야벳은 가족의 하인 요나와 사랑에 빠진다. 그는 홍수에서 살아남도록 요나를 방주에 데려오고 싶어하지만, 노아는 카인의 후손들을 세상에서 쓸어버리려는 아버지(하나님)의 뜻 때문에 이를 금지한다. 요나는 착한 마음과 가족에 대한 사랑에도 불구하고 카인의 후손이다. 야벳은 몰래 그녀를 배에 태우고, 결국 함과 셈에게 발각된다. 야벳은 노아로부터 그녀를 변호하고 분노하여 셈을 죽이려 한다. 요나가 그를 막아 진정시키고, 노아는 그녀를 머물게 하기로 결정한다. 홍수가 지나가고 형제들은 모두 세상을 채우기 위해 다른 지역으로 떠나지만, 야벳과 요나는 에덴 동산을 찾기로 결심한다. 노아는 아담의 지팡이를 야벳에게 넘겨주며 그들의 여정을 축복한다. 쇼의 작은 배역들은 보통 카인을 연기하는 배우가 야벳도 연기한다.[17]

참조

[1] 논문 Medieval ''Origines Gentium'' and the Community of the Realm Wiley-Blackwell 1983-10
[2] 서적 'Historical-Ethnological problems of Georgia, the Caucasus and the Near East' Tbilisi 1950
[3] 백과사전 Japheth http://www.jewishenc[...] Kopelman Foundation 2024-02-27
[4] 성경 Genesis
[5] 성경 Genesis
[6] 웹사이트 Keturah https://www.encyclop[...] 2024-02-08
[7] 서적 Communications and Power in Medieval Europe: The Carolingian and Ottonian Centuries https://books.google[...] A & C Black 2019-08-10
[8] 서적 Fear and Loathing in the North: Jews and Muslims in Medieval Scandinavia and the Baltic Region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5
[9] 백과사전 Yāfith Brill Publishers
[10] 서적 Prophets and Patriarchs
[11] 서적 Prophets and Patriarchs
[12] 논문 Japhet in China American Oriental Society
[13] 문서 創世記(口語訳)#9:20
[14] 서적 ユダヤ古代誌1 株式会社筑摩書房 1999
[15] 문서 『創世記』10章ではペリシテ人はハム系だが、第9章のノアの言動の不自然な点から「ハム」は本来カナン人のみを指していたとするもの。
[16] 서적 旧約聖書 創世記 株式会社岩波書店 2007
[17] 간행물 リベラリズムとオリエンタリズム : ウィリアム・ジョーンズの政治思想とインド論 http://hermes-ir.lib[...] 一橋大学社会科学古典資料センター 1991-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