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에로니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에로니무스는 347년경 로마 제국 달마티아 속주에서 태어난 기독교 신학자이다. 그는 라틴어 성경 번역본인 불가타를 완성하여 서방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번역가, 사서, 백과사전 편찬자의 수호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히브리어와 그리스어에 능통했고 로마에서 고전 문학을 공부했으며, 수도 생활을 하며 신학 사상을 발전시켰다. 그의 저술은 성경 주석, 서간, 신학 논쟁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으며, 그의 신학 사상은 한국 천주교 성경 번역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47년 출생 - 테오도시우스 1세
    379년부터 395년까지 동로마 황제였던 테오도시우스 1세는 군인 출신으로, 기독교를 국교로 확립하고 고트족 문제를 해결하는 등 로마 제국의 종교적, 군사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히에로니무스
기본 정보
성 예로니모, 마티아스 스톰, 1635년
성 예로니모, 마티아스 스톰, 1635년
이름예로니모
칭호교회 박사
출생일342년경–347년경
사망일420년 9월 30일 (대략 73–78세)
출생지스트리돈 (아마도 달마티아와 판노니아 경계의 스트리고 달마티애)
사망지팔라에스티나 프리마, 베들레헴
신학 정보
교육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
직업번역가, 신학자
주요 저서불가타
데 비리스 일루스트리부스
크로니콘
시대교부 시대
언어라틴어, 코이네 그리스어, 히브리어, 아람어, 일리리아어
전통 운동삼위일체론
주요 관심사변증론
연금술
신학
기독교 신비주의
주요 사상마리아의 영원한 동정
종교 정보
축일9월 30일 (가톨릭 교회)
6월 15일 (동방 정교회)
공경 교파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
상징물사자, 추기경 복장, 십자가, 해골, 나팔, 올빼미, 책과 필기구
수호고고학자
기록 보관인
성경 학자
사서
도서관
학교 어린이
학생
번역가
리살 주 모롱
달마티아
분노에 대항
주요 성지이탈리아, 로마,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
영향을 준 인물파울라 로마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베르길리우스
키케로
이소크라테스
필론
세네카
에우세비오스
바울로
에즈라
온켈로스
시노페의 아퀼라
오리게네스
살루스티우스
데모스테네스
크세노폰
요세푸스
바로
카토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호라티우스
영향을 받은 인물사실상 이후의 모든 기독교 신학, 가톨릭 신학, 동방 정교회 신학, 일부 개신교 신학 포함

2. 생애

히에로니무스는 달마티아 출신으로, 기독교 집안에서 성장했지만 젊은 시절에는 기독교에 큰 관심이 없었다. 그는 로마에서 수사학과 철학을 공부했고, 그리스어를 익히며 갈리아와 소아시아를 여행하며 고전 연구에 매진했다. 그러나 373년경 안티오키아에서 중병을 앓으면서 신학 연구에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하고, 시리아 사막에서 은둔 생활을 하며 히브리어를 배웠다.[46]

378년 서품을 받은 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382년에는 로마로 가서 교황 다마수스 1세의 후원을 받으며 라틴어 성서 번역 작업에 착수했다. 그는 히브리어와 아람어 원전을 바탕으로 구약 성서를 번역하는 데 힘썼다.

384년 다마수스 1세가 사망하자, 히에로니무스는 예루살렘으로 떠났다. 베들레헴예루살렘, 이집트를 방문하며 신학 연구의 폭을 넓혔고, 이후 베들레헴에 정착하여 저술 활동과 성서 번역을 계속하여 405년경 불가타 역 성서를 완성했다. 불가타 성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가톨릭 교회의 표준 성서였다. 히에로니무스는 420년 베들레헴에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 신학 저술과 서간을 남겼으며, 그리스어와 히브리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와 고전 지식을 바탕으로 신학 발전과 성서 연구 역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46]

2. 1. 유년기와 초기 활동

공부에 열중하는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는 347년경 로마 제국 달마티아 속주의 스트리돈(지금의 크로아티아)에서 태어났다. 일리리아계 혈통으로,[46] 부유하고 신실한 기독교인 가정에서 성장했지만, 어릴 적부터 하느님을 온전히 믿지는 않았다.[48] 354년경 로마에서 저명한 문법학자 엘리우스 도나투스에게 수사학과 키케로, 비질리오라틴어 고전 문학을 배웠고, 코이네 그리스어도 습득했다.[48]

당시 로마 제국은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기독교가 공인된 지 4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그리스-로마 문명의 다신교를 믿는 사람들이 남아 있었고, 히에로니무스 또한 초기에는 이러한 사상에 관심을 가졌다.

중병을 앓게 된 히에로니무스는 이를 신의 징벌이라 생각하고 죄를 반성했으며, 병이 치유된 후 기독교 신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주일마다 카타콤베를 방문하는 등 성지 순례를 하였고, 360년에 로마 대주교 리베리오에게서 세례를 받고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세례 후 로마를 떠나 게르마니아 지역의 트레비스 시에서 연구 활동을 하였다. 이후 여러 지역을 여행하다 370년경 고향인 아퀼레이아로 돌아와 테르툴리아누스, 키프리아누스 등 라틴 교부들의 저서를 탐독하며 수도사가 되었다.

학생 시절, 히에로니무스는 로마 학생들의 성적 실험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후에 죄책감을 느껴 카타콤베에 있는 순교자들과 사도들의 무덤을 방문하며 양심의 가책을 달랬다.

2. 2. 수도 생활과 성경 번역

373년경 히에로니무스는 예루살렘을 순례한 뒤 안티오키아로 가서 성경 주석 방법과 헬라어를 배웠다. 그러던 중 예수 그리스도의 환시를 경험하고 칼키스 사막에서 은둔 생활을 하며 히브리어를 배웠다.[7] 그는 유대교 랍비에게서 히브리어를 배웠고, 테베스의 성 바울로 전기를 집필했다.

378년, 은둔 수도사들 간의 이단 논쟁에 환멸을 느낀 히에로니무스는 안티오키아로 돌아와 사제 서품을 받았다.[49] 379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에게 오리게네스알레고리 성경해석 방법을 배웠고,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와 교류했다. 이때 코이네 그리스어 문헌들을 라틴어로 번역했다.

382년, 히에로니무스는 로마로 가서 교황 다마소 1세의 비서가 되어 라틴어 성경 번역을 시작했다.[49] 4개의 복음서와 파울로 서신, 시편의 라틴어 사본을 만들었다. 386년, 팔레스타인베들레헴에 정착하여 405년경 불가타역 라틴어 성경 번역을 완성했다.[13][14]

2. 3. 말년과 죽음

386년 팔레스타인 베들레헴에 정착한 히에로니무스는 여가를 이용하여 라틴어 성서 번역 사업을 다시 시작하여 386년부터 404년까지 번역을 완료하였다. 406년에는 라틴어 성경 사본을 작성하여 로마 제국 지역에 배포하였는데, 이것이 현재의 불가타역 라틴어 성서이다.[49]

394년 아우구스티누스와 연대하여 당시 교회의 골칫거리였던 펠라기우스파를 몰아내는 데 성공하였다. 이에 앙심을 품은 펠라기우스 지지자들은 416년에 무장을 하고 베들레헴 수도원에 쳐들어와 수도원을 불태우고 그를 해치려고 하였으나, 무사히 빠져나와 목숨을 부지하였다.

사자의 발에 박힌 가시를 빼주는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는 420년 9월 30일 80세의 나이로 베들레헴의 수도원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의 유해는 현재 로마에 있는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에 안장되어 있다.[46]

3. 성경 번역 (불가타)

히에로니무스는 로마 교황 다마소 1세[49]의 비서로 일하던 중, 성서를 라틴어로 새로 번역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49] 이미 여러 라틴어 성서 번역본이 존재했지만, 다마소 1세는 로마교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유일한 라틴어 성서본을 만들고자 했다.

히에로니무스는 4개의 복음서와 파울로 서신, 시편의 라틴어 사본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391년부터는 신약성경을 그리스어에서 직접 라틴어로 번역했고, 구약성경은 처음에는 그리스어 칠십인역을 바탕으로 번역했다. 그러나 이후 히브리어 원문에서 직접 라틴어로 번역하는 원칙을 세우고, 칠십인역을 배척하는 유대교 랍비들과 토론하며 번역 작업을 진행했다.[13][14]

405년(또는 406년)에 번역이 완료된 라틴어 성경은 13세기 이후 'versio vulgatala'(불가타)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불가타 성경은 원문에 충실하고 정확할 뿐만 아니라, 당시 대중들이 사용하던 라틴어로 작성되어 5세기 이후 기독교 사회에 널리 보급되었다. 1546년 트리엔트 공의회에서는 천주교회의 공식 성경으로 인정받았다.[46]

하지만 히에로니무스는 히브리어 성경(타나크)에는 없고 칠십인역에만 있는 외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외경 번역을 꺼렸으나, 압력으로 인해 마지못해 번역하면서 정경과 구분하여 '''교회의 책'''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불가타 성경 서문에서 '교회의 책'은 읽어서 신앙에 유익을 얻을 수는 있지만, 교리를 도출해서는 안 된다고 하여 동방교회 교부들의 관점에 동조했다.

4. 신학 사상

히에로니무스는 오리게네스의 영향을 받아 알레고리 성경해석 방법을 사용했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의 강의를 듣고 오리게네스의 성서 주석 방법에 매료되었으며,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와도 교류했다.[49] 그는 오리게네스의 기독교 옹호 서적과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등을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히에로니무스는 금욕주의와 수도 생활을 강조했으며, 여성들에게 수도 생활을 권장하는 편지를 많이 썼다. 그는 당시 로마 제국의 사회 풍토를 사치와 냉담이 만연하다고 비평하며, 귀족 부인들에게 올바른 기독교인의 삶과 성서 연구를 가르치기도 했다.

또한, 히에로니무스는 펠라기우스주의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정통 교리를 옹호했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연대하여 펠라기우스파를 몰아내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28]

히에로니무스는 종말론에 대한 글에서 적그리스도에 대한 경고와 로마 제국의 멸망을 예측했으며, 이는 중세 시대의 종말론적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성경의 실제 의미를 대체하는 거짓 해석을 하는 자들은 "적그리스도의 회당"에 속한다고 경고했다.[22] 히에로니무스는 다마소 1세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리스도의 것이 아닌 것은 적그리스도의 것이다"라고 썼다.[23]

5. 저술 활동

히에로니무스는 성경 주석, 서간, 신학 논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특히 그의 서간들은 당대 사회상과 그의 신학 사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20] 392년경에 저술된 『히라리온 성인전』에는 비타민 A 결핍증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나타나기도 한다.[18]

히에로니무스는 어느 유대교 랍비로부터 히브리어를 배워 연구하였으며, 테베스의 성 바울로에 관한 전기를 집필하였다.[48] 그는 보편교회와 서방교회의 전통에 반대하는 논제들에 대해 변론했는데, 마리아의 동정성 부인이나 사제 독신 철폐, 성인들의 유해 공경 반대에 대해서 반박하는 글을 집필하기도 하였다.[49] 성모 마리아가 예수 외에도 여러 명의 자녀를 두었다고 주장한 헬비디우스의 이론에 반박하는 글을 쓰기도 하였다.

히에로니무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가서 나지안조의 그레고리오스 주교의 강의를 듣고 알레고리 성경해석오리게네스의 성서 주석 방법에 매료되었으며, 니사의 그레고리오스 주교와도 교류했다. 이때 그는 나지안조의 그레고리오스의 권유로 오리게네스의 기독교 옹호 서적과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등의 문헌들을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히에로니무스는 로마 교황 다마소 1세의 비서로 일하면서, 성서를 라틴어로 새로 번역하는 대업을 맡았다. 4개의 복음서와 파울로 서신 그리고 시편의 라틴어 사본을 만들기 시작했다. 386년부터 404년까지 불가타역 라틴어 성경 번역을 완수하고, 406년 라틴어 성경 사본을 작성하여 로마제국 지역에 배포하였다.

히에로니무스는 사망할 때까지 15년 동안 성경에 대한 여러 주석을 작성했는데, 종종 의심스러운 번역본 대신 원어인 히브리어를 사용한 자신의 번역 선택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다. 그의 교부 주석은 유대 전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알렉산드리아 학파필론의 방식에 따라 비유적이고 신비주의적인 미묘함을 보여준다. 당대의 다른 학자들과 달리 그는 히브리어 성경의 "외경"과 정경에 속한 책들의 ''Hebraica veritas''의 차이점을 강조했다. 그의 불가타 서문에서 그는 칠십인역에서 발견되지만 히브리어 성경에는 없는 책의 일부분을 비정경적으로 묘사했다.[15]

히에로니무스의 편지 또는 서간들은 다양한 주제와 문체적 특징으로 그의 문학적 유산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는 학문적 문제를 논하거나 양심의 문제를 논하며, 고통받는 자를 위로하거나 친구들에게 즐거운 말을 건네고, 당시의 악덕과 부패, 특히 성직자들의 성적 부도덕에 대해 질책하며,[19] 금욕적인 삶과 세상의 포기를 촉구하거나, 신학적 반대자들과 논쟁하는 등, 자신의 생각뿐만 아니라 당시 시대와 그 특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6. 평가와 영향

히에로니무스는 고대 라틴 기독교에서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354~430) 다음으로 많은 저술을 남긴 인물이다. 천주교회는 그를 번역가, 사서, 백과사전 편찬자의 수호 성인으로 공경한다.[31]

히에로니무스는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에서 많은 성서 본문을 라틴어로 번역했다. 그의 번역본은 ''불가타''의 일부가 되었고, ''불가타''는 결국 이전의 라틴어 성서 번역본들(''베투스 라티나'')을 대체하게 되었다. 1546년 트리엔트 공의회는 ''불가타''를 "공개 강연, 논쟁, 설교 및 해설에서" 권위 있는 것으로 선포했다.[32][33]

그는 추상적인 사변보다는 금욕적인 이상에 더 많은 열정과 관심을 보였다. 시리아 사막에서 4~5년, 베들레헴 근처에서 34년 동안 금욕적인 삶을 살았다. 그의 저술은 뛰어난 학문성을 보여주며,[34] 그의 서신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35]

잉글랜드 교회는 9월 30일을 히에로니무스 기념일로 정했다.[36]

카라바조(Michelangelo Merisi da Caravaggio)의 ''성 히에로니무스의 글쓰기'', 1607년, 몰타 발레타의 성 요한 공동 대성당


히에로니무스는 종종 사자와 함께 묘사되는데, 이는 그가 광야에서 사자의 발톱을 치료하여 길들였다는 전기적 신앙을 반영한 것이다. 이 이야기의 출처는 2세기 로마 이야기인 안드로클레스이거나, 게라시무스(후기 라틴어에서 예로니무스는 "게로니무스"임)[37]의 업적과 혼동되었을 수도 있다. 이는 13세기 황금 전설의 야코부스 데 보라지네가 만들어낸 "허구"이다. 히에로니무스의 전기에서는 그가 시리아 사막에서 수년간 보냈다고 말하며, 화가들은 그를 종종 "황야"에 있는 모습으로 묘사하는데, 서유럽 화가들에게는 숲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38]

후기 중세부터 더 넓은 배경에서 히에로니무스를 묘사하는 것이 유행했다. 그는 책과 학자의 장비로 둘러싸인 서재, 바위투성이 사막, 바위면이나 동굴 입구 아래에서 책을 공부하는 등 두 가지 측면을 결합한 환경에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의 서재는 종종 크고 잘 갖춰져 있으며, 그는 종종 깨끗하게 면도하고 잘 차려입고 있으며, 추기경 모자가 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복음서 화가 초상화의 전통에서 유래했지만, 히에로니무스는 종종 진지한 학자의 서재와 책상을 가지고 있다. 그의 속성인 사자는 종종 더 작은 규모로 묘사되며, 어느 배경에서든 그의 옆에 있을 수 있다. "참회하는 히에로니무스"라는 주제는 15세기 후반 이탈리아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는 보통 사막에 있으며 누더기 옷을 입고, 종종 허리 위는 알몸이다. 그의 시선은 보통 십자가에 고정되어 있으며, 주먹이나 돌로 자신을 때릴 수도 있다.[39] 조르주 드 라 투르의 17세기 프랑스식 성 히에로니무스 버전 중 하나에서 그의 참회는 붉은 추기경 모자와 함께 묘사되어 있다.[40]

예로니무스는 종종 덧없음(vanitas) 모티프와 관련하여 묘사되는데, 이는 지상의 삶의 무의미함과 모든 지상의 재화와 추구의 일시적인 본성에 대한 반영이다. 16세기 --와 그의 작업실이 그린 ''서재에 있는 성 히에로니무스''에서 성인은 해골과 함께 묘사되어 있다. 그의 뒤 벽에는 "Cogita Mori"(죽음을 생각하라)라는 경고가 붙어 있다. 시간의 흐름과 죽음의 임박함을 나타내는 덧없음 모티프에 대한 추가적인 상기는 성인의 성경에 보이는 최후의 심판 이미지, 촛불, 모래시계이다.[41]

아고스티노 카라치와 도메니키노 모두 히에로니무스의 최후의 성찬을 묘사했다.

히에로니무스는 때때로 지혜와 학문의 상징인 올빼미와 함께 묘사되기도 한다.[42] 필기 재료와 최후의 심판의 나팔도 그의 이콘의 일부이다.[42]

7. 비판적 시각

히에로니무스는 로마 상류층 여성들에게 금욕적인 생활을 권장하고, 세속적인 삶을 비판하는 내용의 편지를 많이 썼다.[20] 이는 여성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그의 보수적인 관점을 보여준다.

몇몇 여성들은 히에로니무스의 가르침에 따라 극단적인 금욕 생활을 하다가 건강을 해치거나 사망하기도 했다. 특히, 블라에실라는 히에로니무스의 권고에 따라 금욕적인 생활을 실천하다가 건강이 악화되어 4개월 만에 사망했다.[9] 로마 사람들은 젊은 여성의 죽음에 히에로니무스가 영향을 주었다고 비난했다. 또한 히에로니무스가 파울라에게 딸 블라에실라의 죽음을 슬퍼하지 말라고 한 것은 로마인들에게 무정하게 비춰져 여론이 더욱 악화되었다.[10] 이는 히에로니무스의 가르침이 가진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t. Jerome (Christian scholar) https://www.britanni[...] Britannica Encyclopedia 2017-03-23
[2] 서적 A Select Library of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of the Christian Church https://books.google[...] The Christian Literature Company 2010-06-07
[3] 서적 The Linguistic Classification of the Reading Traditions of Biblical Hebrew: A Phyla-and-Waves Model Open Book Publishers 2023-08-30
[4] 성경
[5] 논문 Commentarius in Ezzechielem
[6] 웹사이트 P. Vergilius Maro, Aeneid Theodore C. Williams, Ed. Perseus Project https://www.perseus.[...] 2013-08-23
[7] 논문 Nazarene Jewish Christianity: from the end of the New Testament
[8] 웹사이트 Saint Jerome in His Study https://web.archive.[...] The Walters Art Museum 2012-09-18
[9] 서적 Cartas de S. Jerónimo Madrid
[10] 서적 Epistle 45,2-3; 54,2; 65,1; 127,5.
[11] 서적 Die antike Kultur und das Christentum
[12] 서적 Christianity's Criminal History. Volume 1.
[13] 서적 Hieronymuss Walter de Gruyter
[14] 서적 Jerome's Hebrew Philology: A Study Based on his Commentary on Jeremiah Brill
[15] 웹사이트 The Bible http://www.thelatinl[...] 2015-12-14
[16] 웹사이트 Jerome's Prologue to Jeremiah http://www.bombaxo.c[...] 2015-12-14
[17] 웹사이트 Jerome's Preface to Samuel and Kings http://www.ccel.org/[...] 2015-12-14
[18] 학술지 St. Jerome and Vitamin A 1944-12-23
[19] 서적 regulae sancti pachomii 84 rule 104.
[20] 서적 Prolegomena to Jerome
[21] 웹사이트 Hiëronymus in zijn studeervertrek https://lib.ugent.be[...] 2020-10-02
[22] 서적 St. Jerome: Letters and select works, 1893
[23] 서적 St. Jerome: Letters and select works, 1893
[24] 서적 St. Jerome: Letters and select works, 1893
[25] 서적 St. Jerome: Letters and select works, 1893
[26] 서적 note on Jerome's commentary on Daniel
[27] 웹사이트 Commentario in Danielem http://www.tertullia[...] 2008-05-06
[28] 웹사이트 Philip Schaff: NPNF2-06. Jerome: The Principal Works of St. Jerome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4-03-08
[29] 서적 Early Christian Doctrines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0-11-20
[30] 서적 The Birth of Purga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12-15
[31] 웹사이트 St. Jerome: Patron saint of librarians http://www2.luther.e[...] Luther College 2014-06-02
[32] 블로그 Is the Vulgate the Catholic Church's official Bible? https://www.ncregist[...] 2017-09-05
[33] 백과사전 Vulgat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A Legacy of Learning: A history of western educati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1
[35] 백과사전 Jerom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36]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4-08
[37] 서적 Continuum encyclopaedia of animal symbolism in art 2006
[38] 웹사이트 Saint Jerome in Catholic Saint info http://www.catholic-[...] Catholic-saints.info 2014-06-02
[39] 논문 Gossart, Italy, and the National Gallery's Saint Jerome Penitent https://www.jstor.or[...] 1969
[40] 서적 Georges de La Tour and the Enigma of the Visible Fordham University Press 2018
[41] 웹사이트 Saint Jerome in His Study http://art.thewalter[...] The Walters Art Museum 2012-09-06
[42] 웹사이트 The Collection: Saint Jerome http://artdepartment[...]
[43] 웹사이트 Sculpture https://www.kiselews[...] 2023-04-27
[44] 웹사이트 Egisto Bertozzi – Stone Carver https://saintjameslu[...] 2023-04-27
[45] 백과사전 히로니무스 연구사
[46] 논문 성서번역이 가져온 축복과 저주-Vulgata를 예로- http://repository.se[...] 서남학원대학 2020-03-17
[47] 서적 초대교회사 고신대학교 2007
[48] 서적 성인의 집사의 삶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arperCollins Publishers 1991
[49]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