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리터리 SF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리터리 SF는 SF의 하위 장르로, 전통적인 군사적 가치를 강조하며 전투를 병사의 시점에서 묘사하는 특징을 갖는다. 기술은 현대보다 발전된 형태로 묘사되며, 사회적 변화와 기술 발전이 스토리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장르는 스페이스 오페라와 스페이스 웨스턴과 같은 다른 SF 하위 장르와 관련이 있으며, 은하 제국, 초광속 여행 등의 요소를 활용하여 성간 전쟁을 다루기도 한다. 밀리터리 SF는 전쟁의 의미와 영향, 군사 기술과 윤리 등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주제를 탐구하며, 작가들은 전쟁의 현실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군대의 역할과 한계를 고찰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리터리 SF - 건담
    건담은 토미노 요시유키 감독의 『기동전사 건담』으로 시작된 일본의 로봇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우주세기를 배경으로 '모빌 슈트'라 불리는 인간형 병기를 중심으로 전쟁과 평화, 인간의 존엄성 등 심오한 주제를 다루며 일본 대중문화의 중요한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 밀리터리 SF - 기동전사 건담
    기동전사 건담은 1979년 선라이즈에서 제작된 TV 애니메이션으로, 인류의 우주 이민 시대를 배경으로 지구 연방군과 지온 공국의 전쟁, 주인공 아무로 레이와 샤아 아즈나블의 갈등을 통해 전쟁의 비극을 그렸으며, 현실적인 묘사와 뉴타입 설정을 도입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 SF의 하위 장르 - 패러노멀 로맨스
    패러노멀 로맨스는 현실과 초자연적 요소를 결합하여 뱀파이어, 늑대인간 등 초자연적 존재나 초능력자 등을 다루며, 다양한 시대를 배경으로 2000년대 이후 인기를 얻은 로맨스 소설의 한 장르이다.
  • SF의 하위 장르 - 스팀펑크
    스팀펑크는 19세기 산업혁명 시대 증기기관 기술에 기반한 대체 역사를 배경으로 하는 공상과학 및 예술 장르로, 19세기 과학소설과 초현실주의 그림의 영향을 받아 빅토리아 시대 대체 역사 소설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미디어와 문화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며 장르의 폭을 넓혀왔다.
밀리터리 SF
군사 과학 소설 정보
장르
하위 장르
미디어
도서
영화
게임
관련 항목
참고 문헌

2. 특징

밀리터리 SF는 용기, 의무감, 명예, 희생, 충성심, 동료애 등 전통적인 군사적 가치를 강조한다. 이야기는 주로 전투의 SF적 배경이나 그 근처에 있는 병사의 관점에서 묘사된다.[1] 기술은 일반적으로 현재보다 더 발전되어 있으며 자세하게 묘사된다. 그러나 일부 이야기에서는 기술 발전이 정체되어 현대 군인에게 익숙한 무기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사회의 다른 측면, 예를 들어 여성이 전투 역할에 대한 동등한 파트너로 받아들여지거나 남성보다 선호되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우주 오페라에서 "과장된" 전쟁 묘사가 사라지면서, 밀리터리 SF는 "행성 간 및 성간 전쟁을 벌일 수 있는 군대의 종류와 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무기의 종류에 대한 더 훈련되고 현실적인 개념"으로 발전했다.[10]

많은 이야기에서 새로운 무기나 우주선 배치와 같이 특정 기술의 사용 또는 발전이 플롯 전개의 주요 역할을 한다. 일부 작품은 인류 역사, 과학적 돌파구, 새로운 군사 교리가 전쟁 방식, 전투 결과, 전투원의 운명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유사점을 그린다. 또한 인간의 진보, 발견, 고통이 군사 교리나 전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주인공과 적대자가 그러한 변화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탐구한다.

은하를 아우르는 가상 제국은 많은 작가들이 이야기 배경으로 사용하거나 제국의 성장 및 쇠퇴를 탐구하는 대상이다. 은하 제국의 수도는 종종 은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 근처 행성처럼 현재 인간 문명보다 과학과 기술이 상당히 발전된 "핵심 세계"로 묘사된다. 이러한 제국의 특성은 동정적인 피해자를 공격하는 악의적인 세력에서 무관심하거나 비도덕적인 관료주의, 사회적 진보에 초점을 맞춘 합리적인 존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초광속 여행성간 전쟁의 엄청난 규모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가정된다. 인간 군인이 상대론적 속도로 이동할 때 성간 거리를 이동하는 데 필요한 긴 시간(수십 년 또는 수 세기)과 그 결과는 조 할데만, 알래스터 레이놀즈 같은 작가들이 연구하는 딜레마이다. 래리 니븐 같은 작가들은 현재 이해되는 물리 법칙을 활용하는 기술을 통해 소행성대와 외행성에 인간이 식민지를 건설하는 것을 기반으로 한 그럴듯한 행성 간 갈등을 만들었다.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도 많은데, 데이비드 드레이크(David Drake)는 전쟁의 공포와 허무함, 군대의 정치적 이용을 주제로 다룬다.

데이비드 웨버(David Weber)는 밀리터리 SF를 "군대 생활과 민간 생활의 차이를 이해하고 군사적 상황을 현실적으로 묘사하는 SF"라고 정의하며, "단순한 문제 해결(전쟁)을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라 전쟁에 휘말린 인간과 다른 종을 그리는 것"이라고 말했다.[18]

2. 1. 기술적 특징

밀리터리 SF에서는 용감함, 자기 희생, 의무감, 우정 등 전통적인 군사적 가치가 강조되며, 전투는 병사나 장교의 시점에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16]. 병사가 사용하는 기술은 현대보다 진보한 경우가 많고, 사회 전체도 변화한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게 전투원으로 활약하기도 한다. 최종적인 승리는 연구 개발이나 병참이 아닌, 근성, 용감함, 전술적 예측 등 실제로 싸우는 병사들의 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기술의 진보는 스토리 전개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2. 1. 1. 무기 및 장비

밀리터리 SF에서는 용감함, 자기 희생, 의무감, 우정 등 전통적인 군사적 가치가 강조되며, 전투는 병사나 장교의 시점에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16] 병사가 사용하는 기술은 현대보다 진보한 경우가 많고, 사회 전체도 변화한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어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게 전투원으로 활약하기도 한다. 최종적인 승리는 연구 개발이나 병참이 아닌, 근성, 용감함, 전술적 예측 등 실제로 싸우는 병사들의 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많은 경우, 기술의 진보가 스토리 전개의 원동력이 된다.

2. 1. 2. 우주선

밀리터리 SF에서 병사들이 사용하는 기술은 현대보다 진보한 경우가 많고, 사회 전체도 변화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여성도 전투원으로서 남성과 동등하게 활약한다[16]. 최종적인 승리는 연구 개발이나 병참에 의해서가 아니라, 근성, 용감함, 전술적 예측 등 실제로 싸우는 병사들의 힘에 의한 경우가 많다. 많은 경우, 기술의 진보가 스토리를 전개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2. 2. 사회적 특징

밀리터리 SF의 사회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전통적인 군사적 가치 강조: 용기, 의무감, 명예, 희생, 충성심, 동지애와 같은 가치가 강조된다.
  • 병사의 관점: 이야기는 주로 전투의 SF적 배경 또는 그 근처에 있는 병사의 관점에서 묘사된다.[1]
  • 발전된 기술: 기술은 현재보다 발전되어 자세하게 묘사되지만, 일부에서는 기술이 정체되고 현재 군인에게 익숙한 무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 변화된 사회: 여성 전투원이 남성과 동등하게 활약하는 등 사회적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 기술의 중요성: 새로운 무기나 우주선 배치와 같은 특정 기술의 발전이 플롯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역사적 유사성: 인류 역사, 과학적 돌파구, 새로운 군사 교리가 전쟁 방식, 전투 결과, 전투원의 운명을 바꾸는 방식에 대한 유사점이 그려진다.
  • 인간적 요소 탐구: 인간의 진보, 발견, 고통이 군사 교리나 전투에 미치는 영향, 주인공과 적대자의 적응 방식이 탐구된다.
  • 은하 제국: 많은 작가들이 은하를 아우르는 가상의 제국을 배경으로 사용하거나 제국의 성장/쇠퇴를 다룬다.
  • 핵심 세계: 은하 제국의 수도는 종종 은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 근처 행성처럼 과학과 기술이 발전된 "핵심 세계"로 묘사된다.
  • 다양한 제국: 제국의 특성은 악의적인 세력부터 무관심하거나 비도덕적인 관료주의, 사회적 진보에 초점을 맞춘 합리적인 존재까지 다양하다.
  • 초광속 여행: 초광속 여행성간 전쟁의 বিশাল 규모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가정된다.
  • 상대론적 시간: 인간 군인의 상대론적 속도 이동으로 인한 시간 지연과 결과는 조 할데만, 알래스터 레이놀즈 같은 작가들이 탐구하는 주제이다.
  • 정치적 메시지: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도 많으며, 데이비드 드레이크는 전쟁의 공포와 허무함, 군대의 정치적 이용을 주제로 다룬다.


데이비드 웨버(David Weber)는 밀리터리 SF를 "군대 생활과 민간 생활의 차이를 이해하고 군사적 상황을 현실적으로 묘사하는 SF"라고 정의하며, "단순한 문제 해결(전쟁)을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라 전쟁에 휘말린 인간과 다른 종을 그리는 것"이라고 말했다.[18]

3. 역사

밀리터리 SF의 기원은 적어도 조지 체스니의 소설 『도킹 전투(1871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7] H. G. 웰스의 『육상의 철갑함』 등 유사한 소설도 출판되었다. SF가 장르로 확립되면서 밀리터리 SF도 그 하위 장르로 확립되었다. 초기 작품으로는 H. 빔 파이퍼의 ''Uller Uprising''(1952년, 인도 대반란을 소재)과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스타쉽 트루퍼스』(1959년), 고든 R. 디콘의 『돌세이!』(1960년)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젊은이들에게 밀리터리 SF를 널리 알렸다.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이 있는 데이비드 드레이크와 조 홀드먼은 그 경험에 기반한 SF를 썼다. 1970년대에 홀드먼의 『영원한 전쟁』, 드레이크의 ''Hammer's Slammers'' 시리즈는 밀리터리 SF를 더욱 널리 알렸다.[17] 고든 R. 디콘이 편집한 앤솔로지 ''Combat SF''(1975년)에는 ''Hammer's Slammers'' 시리즈 초기작, 키스 라우머의 ''BOLO'' 시리즈, 프레드 새이버해겐의 《버서커》 시리즈가 포함되었다. 파넬과 존 F. 카가 편찬한 앤솔로지 시리즈 ''There Will be War''(1983년부터 1990년에 걸쳐 9권 발행)는 새로운 작가를 끌어들이는 효과를 냈다.

3. 1. 초기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밀리터리 SF의 선구적인 작품은 적어도 조지 톰킨스 체스니의 단편 "도킹 전투"(1871)에서 찾아볼 수 있다.[11]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프로이센의 승리 직후에 쓰인 이 작품은 독일어를 사용하는 국가가 영국을 침략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로열 해군이 미래형의 놀라운 무기("치명적인 엔진")에 의해 파괴되는 모습을 묘사한다.

이후 H.G. 웰스의 "육상 철갑선"을 포함한 다른 밀리터리 SF 작품들이 등장했다. 이 작품은 약 24.38m~약 30.48m 길이의 탱크와 같은 "육상 철갑선"을 묘사하는데, 이들은 소총수, 기술자, 그리고 선장을 태우고 반자동 소총으로 무장한 장갑 전투 차량이었다.

일러스트레이터 프랭크 R. 폴이 그린, 발명가 니콜라 테슬라가 묘사한 미래 전쟁의 모습을 담은 1922년 삽화.

3. 2. 발전기 (20세기 중반)

과학 소설이 하나의 장르로 자리 잡으면서, 밀리터리 SF 역시 하위 장르로 발전하였다. H. 빔 파이퍼의 《율러 봉기》(1952)(Uller Uprising영어)는 세포이 항쟁을 소재로 한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스타쉽 트루퍼스》(1959)는 고든 R. 딕슨의 《도르사이》(1960)와 함께 젊은 독자들에게 밀리터리 SF의 인기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10]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스타쉽 트루퍼스''를 바탕으로 한 2022년 팬 제작 영화 포스터. 소설과 동명의 영화 및 속편들은 우주 해병대의 활약을 묘사한다.


베트남 전쟁은 SF 커뮤니티를 양분화시켰는데, 1968년 6월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에서 친전 및 반전 작가들의 명단이 각각 다른 페이지에 실릴 정도였다.[10] 이 전쟁은 엘리자베스 앤 스카보로의 《화염 속에서》(1987)와 《더 힐러의 전쟁》(1988), 브루스 맥앨리스터의 《드림 베이비》(1989) 등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10] 조 할데만의 《영원한 전쟁》(1972-1975)과 루시우스 셰퍼드의 《전쟁 중의 삶》(1987)과 같은 소설에도 간접적으로 그 영향이 나타난다.[10]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이 있는 조 할데만, 데이비드 드레이크 등의 작가들은 과학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1970년대에 할데만의 《영원한 전쟁》과 드레이크의 《해머의 슬래머스》는 밀리터리 SF의 인기를 더욱 높였다.[11] 고든 R. 딕슨이 편집한 《컴뱃 SF》와 같은 단편집도 인기를 얻었다. 이 책에는 최초의 해머의 슬래머스 이야기, 키스 로머의 볼로 이야기, 프레드 세이버하겐의 버서커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쟁을 주제로 한 이야기들을 모아 판매한 최초의 사례로 여겨진다. 푸르넬과 존 F. 카가 편집한 "전쟁이 있을 것이다" 앤솔로지 시리즈(1983-1990, 총 9권)는 이 장르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작가들을 발굴하는 데 기여했다.

데이비드 드레이크는 미래의 용병 전차 연대의 이야기를 다룬 《해머의 슬래머스》 시리즈(1979)를 썼다. 드레이크의 시리즈는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의 《워리어의 견습생》(1986)을 포함하여 "용병에 대한 SF 유행"을 일으키는 데 영향을 주었다.[10]

해리 터틀도브의 월드워 시리즈는 1942년 외계인의 침공으로 2차 세계 대전이 중단되고 인류가 공동의 적에 맞서 싸우는 대체 역사를 다룬다. 터틀도브는 이 새로운 전쟁의 전술과 전략, 미국, 영국, 소련, 독일 병사들과 유대인 게릴라들이 이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 그리고 침략자들의 관점을 상세히 묘사한다. 침략자들은 우수한 무기를 가졌지만, 인간이 극복할 수 없을 정도는 아니었다. 예를 들어, 침략자들의 전차는 더 발전했지만, 독일 국방군 전차 승무원들은 더 숙련되고 경험이 많았다.

주목할 만한 여성 작가로는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엘리자베스 문(특히 《헌팅 파티》(1993)를 포함한 ''패밀리어스 레그난트'' 이야기), 카렌 트래비스가 있다.[10]

3. 3. 베트남 전쟁과 그 이후

베트남 전쟁은 "SF 커뮤니티의 양극화"를 초래했는데, 이는 1968년 6월호 ''갤럭시 사이언스 픽션''에서 볼 수 있다. 한 페이지에는 친전 SF 작가들이 이름을 올렸고 다른 페이지에는 반전 SF 작가들이 이름을 올렸다.[10]

''과학 소설 백과사전''은 베트남 전쟁의 영향이 엘리자베스 앤 스카보로의 ''화염 속에서''(1987)와 ''더 힐러의 전쟁''(1988), 브루스 맥앨리스터의 ''드림 베이비''(1989)와 같은 앤솔로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언급했다.[10]

또한, ''과학 소설 백과사전''은 조 할데만의 ''영원한 전쟁'' (1972-1975년에 ''아날로그''에 게재) 및 루시우스 셰퍼드의 ''전쟁 중의 삶''(1987)과 같은 소설에 베트남 전쟁의 영향이 간접적으로 나타난다고 말한다.[10]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조 할데만과 데이비드 드레이크를 포함한 참전 경험이 있는 퇴역 군인들이 과학 소설을 쓰기로 결정했다. 1970년대 내내, 할데만의 ''영원한 전쟁''과 드레이크의 ''해머의 슬래머스''와 같은 작품들은 이 장르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11] 고든 R. 딕슨이 편집한 ''컴뱃 SF''와 같은 책에는 단편 소설들이 묶여 출판되었다. 이 앤솔로지에는 최초의 해머의 슬래머스 이야기 중 하나와 키스 로머의 볼로 이야기 중 하나, 프레드 세이버하겐의 버서커 이야기 중 하나가 포함되어 있다. 이 앤솔로지는 전쟁을 주제로 다룬 이 이야기들이 처음으로 수집되어 그렇게 판매된 것으로 보인다. 푸르넬과 존 F. 카가 편집한 "전쟁이 있을 것이다"라는 제목의 일련의 앤솔로지(1983년부터 1990년까지 9권)는 이 범주를 활발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며, 새로운 작가들이 이를 추가하도록 장려했다.

데이비드 드레이크는 미래의 용병 전차 연대의 경력을 따라가는 ''해머의 슬래머스'' 시리즈(1979)를 포함하여 미래의 용병에 관한 이야기를 썼다. 드레이크의 시리즈는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의 ''워리어의 견습생''(1986)을 포함하여 "용병에 대한 SF의 유행을 시작하는 데 기여했다".[10]

4. 다른 SF 하위 장르와의 관계

1927년 8월호 ''Amazing Stories'' 표지에는 H. G. 웰스의 ''우주 전쟁''이 묘사되어 있다. (프랭크 R. 폴 그림)


극단적인 경우, 밀리터리 SF 이야기는 미래, 우주, 또는 우주 여행에서의 전쟁이나 그러한 전쟁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측할 수 있다. 반면에 허구의 군사적 음모를 가진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피상적인 SF 요소를 가질 수도 있다. 비평가 실비아 켈소는 로이스 맥마스터 부욜드의 ''보르코시건 사가''를 설명할 때 "밀리터리 스페이스 오페라"라는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후자의 스타일을 나타낼 수 있다.[2] ''배틀스타 갈락티카'' 프랜차이즈와 로버트 A. 하인라인의 1959년 소설 ''스타쉽 트루퍼스''는 밀리터리 SF와 스페이스 오페라의 측면을 모두 갖춘 예이다.

MSF의 "주제적 하위 부문"은 전직 군인 주인공이 민간 생활에서 강하고 폭력적인 작전을 위해 자신의 전투 경험을 활용하는 작품으로, 일반적으로 법 집행 환경을 배경으로 한다. 리처드 모건의 ''타카시 코바치'' 책(예: ''얼터드 카본''(2002))과 엘리자베스 베어의 제니 케이시 책(예: ''해머드''(2004)) 등이 그 예이다.[10]

4. 1. 스페이스 오페라

성간 전쟁에서 미래형 무기를 사용한 대규모 우주 전투에 집중하는 밀리터리 SF의 몇몇 하위 장르는 스페이스 오페라 하위 장르의 특징을 공유한다. 앨런 콜과 크리스 번치의 ''스텐 연대기'', 오슨 스콧 카드의 ''엔더의 게임 시리즈'', 데이비드 웨버의 ''명예의 전장'', 사이먼 R. 그린의 ''데스토커'', 그리고 존 스테클리의 ''아머''와 같은 많은 이야기는 밀리터리 SF와 스페이스 오페라 하위 장르 둘 다에 속한다고 간주될 수 있다.[2]

밀리터리 SF와 스페이스 오페라의 주요 차이점은 스페이스 오페라가 모험적인 이야기와 멜로드라마에 더 집중하는 반면, 밀리터리 SF는 전쟁과 기술적 측면에 더 집중한다는 것이다. 스페이스 오페라의 주요 등장인물은 군인이 아니라 민간인 또는 준군사 조직이다. 두 하위 장르의 이야기는 종종 인간이 자신과 싸우거나 비인간적인 존재와 싸우는 성간 전쟁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밀리터리 SF는 스페이스 오페라나 스페이스 웨스턴처럼 반드시 외우주나 여러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3]

4. 2. 스페이스 웨스턴

밀리터리 SF와 스페이스 웨스턴은 모두 은하 제국의 성간 전쟁과 억압을 이야기의 배경으로 삼을 수 있다. 이들은 미래형 우주 개척지를 배경으로 외로운 총잡이, 군인 또는 퇴역 군인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밀리터리 SF의 서부적 요소와 관습은 우주 카우보이와 같이 명시적이거나, 개척지에서 공격으로부터 방어를 요구하는 우주 식민지와 같이 더 미묘할 수 있다.[4] 진 로덴베리는 ''스타 트렉: 오리지널 시리즈''를 스페이스 웨스턴(또는 더 시적으로는 "별을 향한 ''웨건 트레인''")이라고 묘사했다.[5] TV 시리즈 ''파이어플라이''와 영화 후속작 ''세레니티''는 ''스타 트렉''으로 대중화된 스페이스 웨스턴 하위 장르의 서부적 측면을 문자 그대로 구현했다. 그것은 개척지 마을, 말, 그리고 고전 존 포드 웨스턴을 연상시키는 시각적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6][7] 테라포밍된 세계는 고전적인 웨스턴의 개척지 정착지와 유사한 도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묘사될 수 있다.[8] 6연발 권총과 말은 광선총과 로켓으로 대체될 수 있다.[9]

5. 정치적, 사회적 주제

여러 작가들은 작품의 주요 또는 부차적인 주제로 다양한 유형의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이야기를 선보였다.

데이비드 드레이크는 전쟁의 공포와 무의미함에 대해 자주 글을 썼다. 그는 소설을 쓰는 이유 중 하나로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독자에게 전쟁의 진실을 전하고, 군대가 정치의 도구로 이용되는 모습을 전하는 것을 꼽았다.

데이비드 웨버는 군사 SF가 군대 생활과 민간 생활의 차이를 이해하고 군사적 상황을 SF적 맥락에서 현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5. 1. 전쟁의 의미와 영향

밀리터리 SF에서는 용기, 의무감, 명예, 희생, 충성심, 동지애와 같은 전통적인 군사적 가치가 종종 강조된다.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전투의 SF적 배경 또는 그 근처에 있는 병사의 관점에서 묘사된다.[1] 기술은 현재보다 더 발전되어 있으며 자세하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 이야기에서는 기술이 상당히 정체되어 현재의 군인들에게 익숙한 무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야기에서는 기술이 등장인물의 군대 생활, 문화 또는 사회의 다른 측면만큼 강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은 전투 역할에 대한 동등한 파트너로 받아들여지거나 남성보다 선호될 수 있다.

많은 이야기에서 새로운 무기나 우주선 배치와 같이 특정 기술의 사용 또는 발전이 플롯을 진행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부 작품은 인류 역사와 과학적 돌파구 또는 새로운 군사 교리가 전쟁 방식, 전투 결과 및 전투원의 운명을 어떻게 크게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유사점을 많이 그린다.

데이비드 드레이크는 전쟁의 공포와 무의미함에 대해 자주 글을 썼다. 그는 전쟁을 경험하지 못했지만 전쟁을 시작하거나 지지하는 결정을 내려야 할 사람들에게 전쟁이 실제로 어떤 것인지, 그리고 정책 수단으로서 군대의 권한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교육하기 위해 글을 쓴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웨버는 군사 SF가 군대 생활과 등장인물이 민간인 생활과 등장인물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군사적 상황에 대해 쓰여진 SF라고 말했다. 그는 군사 SF가 SF적 맥락에서 군대를 현실적으로 묘사하려는 시도이며, 전쟁과 참혹함에 휩싸인 인간, 그리고 다른 종족의 구성원들에 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12]

5. 2. 군사 기술과 윤리

전통적인 군사적 가치인 용감함, 자기 희생, 의무감, 우정 등이 강조되며, 전투는 병사나 장교의 시점에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16] 병사가 사용하는 기술은 현대보다 진보한 경우가 많고, 사회 전체도 변화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여성도 전투원으로서 남성과 동등하게 활약한다. 최종적인 승리는 연구 개발이나 병참에 의해서가 아니라, 근성이나 용감함이나 전술적 예측 등 실제로 싸우는 병사들의 힘에 의한 경우가 많다. 많은 경우, 기술의 진보가 스토리를 전개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도 많다.

데이비드 드레이크(David Drake)는 전쟁의 공포와 허무함을 주제로 하는 경우가 많다. 그는 소설을 쓰는 이유 중 하나로 전쟁을 모르는 독자에게 전쟁의 진실을 전하고, 군대가 정치의 도구로 이용되는 모습을 전하는 것을 꼽고 있다.

데이비드 웨버(David Weber)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18]

> 나에게 밀리터리 SF는 군대 생활과 군인이 민간의 생활과 어떻게 다른지를 근본적으로 이해한 상태에서 군사적 상황을 묘사하는 SF다. SF적인 배경 속에서 군대를 현실적으로 묘사하려고 하는 소설이다. 외계인을 쏘아대는 소설이 아니다. 그것은 전쟁과 학살에 휘말린 인류나 다른 종을 그리는 것이다. 그것은 문제의 단순한 해결책(즉, 전쟁)을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다.

6. 군사적 응용

1980년과 1981년에 링월드 시리즈의 작가 래리 니븐과 제리 푸르넬은 위성으로 핵미사일을 격추하는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전략 방위 구상 비전에 영감을 주었다.[13] 이들은 뜻을 같이하는 동료들과 함께 우주 문제에 대해 미국을 로비하고 레이건의 우주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위원회를 결성했다. 푸르넬은 "강력하고 기술 관료적인 군사 국가"를 옹호했으며, SF 소설 외에도 "국가 안보에서 안정의 역할에 대한 공군 보고서"를 작성했다.[13] 레이건 대통령은 니븐, 푸르넬 및 동료들이 준비한 우주 관련 조언을 읽었고, 이는 레이건의 1983년 전략 방위 구상에 영향을 미쳤다.[13] 반면, 아서 C. 클라크아이작 아시모프와 같은 SF 작가들은 전략 방위 구상을 비판했다.[13]

9.11 테러 이후, 푸르넬과 니븐을 포함한 SF 작가 그룹 시그마는 "테러리스트 위협을 격퇴하기 위한 기술 전략에 대해 국토 안보부에 조언했다."[13]

2021년, 프랑스 군은 "자율 치명 무기 시스템(ALWS)이나 증강 인간과 같은 윤리적 이유로 군이 직접 연구할 수 없는 상황을 포함하여 미래 전쟁 시나리오를 개발하기 위해 소설 작가를 고용했다"고 알려졌다.[14] 프랑스 군은 작가들에게 "새로운 실전 시나리오"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두렵게 만들고, 비난하거나 심지어 이기게 할" 전쟁 상황을 상상하도록 요청했다.[14] 군사 기획자들은 SF 작가들의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이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상황에 대비하고", "창의성을 높이고", 군대가 "더 창의적으로" 되도록 돕는다.[14]

독일 군도 SF를 활용하여 군대를 돕지만, 시나리오 개발을 위해 SF 작가를 고용하는 대신 "기존 SF를 사용"하여 "세계의 다음 잠재적 갈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받는다.[14]

영국 국방부(MOD)는 "내일의 전쟁이 어떤 모습일지"에 대한 단편 소설을 쓰도록 두 명의 SF 작가를 고용했다.[15] 인공 지능(AI), 데이터 모델링, 드론 군집, 양자 컴퓨팅 및 인간 강화"를 포함한 "새로운 기술"의 위협에 대한 8개의 단편 소설을 쓰도록 피터 워렌 싱어와 어거스트 콜을 고용했다.[15] 국방부는 SF 작가들이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상상하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용했으며, 두 작가 모두 "안보 문제와 현대 전쟁"에 대해 잘 알고 있다.[15]

그들은 "유용한 허구"로 정의하는 픽션 인텔리전스(FicInt)의 사용을 옹호한다. FicInt는 2015년에 콜이 개발한 개념으로, "현실에 기반한 방식으로 미래 시나리오를 상상하기 위해 허구의 글쓰기와 정보를 결합"한다.[15]

7. 주요 작품 예시

밀리터리 SF는 소설, 영화, TV 드라마,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7. 1. 소설


  • 로버트 애스프린: 『은하 소동 중대』 시리즈
  • L. M. 비조르드: 『명예의 조각』, 『유전자의 사명』, 『전사 지망』
  • 잭 캠벨: 『방황하는 함대』 시리즈
  • 오슨 스콧 카드: 『엔더의 게임
  • C. J. 체리: 『색 바랜 태양』 3부작
  • 고든 R. 딕슨: 『차일드 사이클』 시리즈
  • 데이비드 파인택: 『은하의 황태자 시포트』 시리즈
  • 조 홀드먼: 『영원한 전쟁』
  • 해리 해리슨: 『우주 병사 브루스』 (밀리터리 SF의 패러디)
  • 로버트 A. 하인라인: 『영광의 스페이스 아카데미』, 『스타쉽 트루퍼스』
  • 엘리자베스 문: 『여선장 카이라라 바타』 시리즈
  • 리처드 모건: 『타케시 코바치』 시리즈
  • 앤드레 노턴: 『타오르는 혹성 스타 가드』
  • 제리 퍼넬: 『우주의 용병들』 등
  • 프레드 새이버해겐: 『버서커』 시리즈
  • 존 스칼지: 『노인과 우주』 시리즈
  • 로버트 부트너: 『고아들의 군대』 시리즈
  • 하야마 토오루: 『9S<나인 에스>』
  • 데이비드 웨버: 『오너 해링턴』 시리즈, 『반역자의 달』 시리즈
  • H. G. 웰스: 『우주 전쟁』
  • 타니 코슈: 『항공우주군사』 시리즈
  • 다나카 요시키: 『은하영웅전설
  • 칸바야시 쵸헤이: 『전투요정 유키카제』 시리즈, 『오늘 밤, 은하를 술잔 삼아』
  • 야노 토오루: 『연방 우주군』 시리즈
  • 곤노 빈: 『우주 해병대 기가스』
  • 하야시 죠지: 『루나 슈터』 『성계 이즈모의 병참』 『성계 이즈모의 병참 - 원정 -』
  • 오이시 에이지: 『사일런트 코어』 시리즈

7. 2. 영화 및 TV 시리즈

7. 3. 게임

밀리터리 SF는 소설, 영화, TV 드라마,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Welcome to Windycon 35! ISFiC 2008-11-14
[2] 서적 The Space Opera Renaissance Tor Books
[3] 웹사이트 23 Best Military Science Fiction Books – The Best Sci Fi Books http://best-sci-fi-b[...] 2015-03-14
[4] 서적 Encyclopedia of Weird Westerns: Supernatural and Science Fiction Elements in Novels, Pulps, Comics, Films, Television and Gam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21-01-04
[5] 뉴스 A First Showing for 'Star Trek' Pilot https://www.nytimes.[...] 1986-07-22
[6] 웹사이트 Firefly: "Serenity" http://www.avclub.co[...] 2012-06-01
[7] 간행물 12 Signs It's a Joss Whedon Project http://www.ew.com/ew[...] 2021-01-04
[8]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Science Fi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1-04
[9] 웹사이트 The Emancipation of Bat Durston, or: "I'm from Iowa, I Only Work in Outer Space" http://www.strangeho[...] 2009-12-30
[10] 웹사이트 Military SF https://sf-encyclope[...] The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2023-02-18
[11] 웹사이트 Defining the Genre: Military Science Fiction http://fandomania.co[...] Fandomania 2008-11-11
[12] 웹사이트 Interview by Stephen Hunt http://www.sfcrowsne[...]
[13] 웹사이트 How Two Sci-Fi Writers Fueled a U.S. President's Wild Quest to Weaponize Space https://www.thrillis[...] Thrillist 2023-02-18
[14] 웹사이트 Why The World's Military Leaders Are Drafting Science Fiction Writers https://worldcrunch.[...] Worldcrunch 2023-02-18
[15] 웹사이트 UK Government Employs Science Fiction Writers To Predict What WW3 Will Look Like https://www.iflscien[...] IFLS 2023-03-04
[16] 간행물 Welcome to Windycon 35! ISFiC 2008-11-14
[17] 웹사이트 Defining the Genre: Military Science Fiction http://fandomania.co[...] Fandomania 2008
[18] 웹사이트 Interview by Stephen Hunt http://www.sfcrows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