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둑 기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둑 기전은 바둑 기사들의 실력을 겨루는 대회로, 세계 선수권, 국가 대항전, 기타 국제 기전,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각 지역의 기전으로 구분된다. 세계 선수권 대회는 개인의 최고 권위를 인정하는 대회로 응씨배, LG배, 삼성화재배 등이 있으며, 국가 대항전으로는 농심 신라면배가 대표적이다. 한국에서는 한국기원이 주최하는 GS칼텍스배, 맥심커피배 등이 주요 기전이며, 일본은 기성전, 명인전, 혼인보전 등 7대 기전을 중심으로 기전이 운영된다. 중국은 중국기원이 주관하는 천원전, 명인전 등이, 대만은 중국위기회, 대만기원, 해봉기원에서 주최하는 명인전, 국수전 등이 있다. 북미와 유럽에서도 북미 ING 마스터스, 유럽 바둑 콩그레스 등이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둑 기전 - 제1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
2023년 중국 취저우에서 열린 제1회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은 한국, 중국, 일본 등 여러 나라의 선수들이 참가하여 중국의 셰커가 대한민국의 변상일을 꺾고 우승한 세계 바둑 대회이다. - 바둑 기전 - 전국위기개인전
전국위기개인전은 1957년에 시작된 중국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바둑 대회로, 여러 조로 나뉘어 남자, 여자, 남자 을조, 중년조 등 다양한 부문에서 우승자를 가리며 중국 바둑 규칙과 스위스 시스템을 적용한다. - 바둑에 관한 - 이세돌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사 이세돌은 12세에 입단하여 2000년대 세계 바둑계를 이끌었고,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주목받았으며, 공격적인 기풍으로 '비금도 소년', '쎈돌' 등으로 불렸고, 은퇴 후에는 텍사스 홀덤 플레이어 및 보드게임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 바둑에 관한 - 충암고등학교
충암고등학교는 1965년 설립된 학교법인 충암학원이 운영하는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사립 고등학교이며, 1969년 개교하여 인문계열 교육과 국내 최대 규모의 바둑 도장 운영을 병행하고, 윤석열 대통령, 배우 김명민, 프로 바둑 기사 이창호 등 다양한 분야의 동문을 배출했다.
| 바둑 기전 | |
|---|---|
| 기본 정보 | |
| 종목 | 바둑 |
| 분류 | 스포츠 |
| 유형 | 개인전, 단체전 |
| 참가자 | 바둑 기사 |
| 주최 | 각종 기관 및 단체 |
| 후원 | 기업, 단체 |
| 개최지 |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 유럽, 미국 등 |
| 첫 개최 | 고대 (기원전) |
| 가장 권위 있는 기전 | 대한민국: 기성전, 국수전, 명인전, 최고기사 결정전 중국: 갑조리그, 이광배, 천원전 일본: 기성전, 명인전, 본인방전 |
| 상세 정보 | |
| 설명 | 바둑 기사들의 공식적인 승패를 가리는 대회 |
| 특징 | 프로 기사들의 기량 향상과 바둑 문화 발전에 기여 |
| 대한민국 주요 기전 | |
| 개인전 | 기성전 국수전 명인전 최고기사 결정전 KBS 바둑왕전 GS칼텍스배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맥심커피배 술빚는 девушки배 미래여제전 여자 기성전 여자 국수전 여자 명인전 하림배 여자국수전 쏘팔코사놀배 최고기사 결정전 |
| 단체전 | 한국바둑리그 여자바둑리그 |
2. 국제 기전
1988년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가 시작된 이래, 제한 기전, 여자 기전, 페어 기전 등 다양한 형태의 국제 기전이 생겨났다.[1]
| 기전명 | 창설 연도 | 상태 | 비고 |
|---|---|---|---|
| 중일 슈퍼 대항전 | 1984년 | 중단 | |
|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1988년 | 중단 | 최초의 세계 대회 |
| 중일 천원전 | 1988년 | 중단 | |
|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1988년 | 진행 중 | 최고의 우승상금 대회 |
| 동양증권배 | 1988년 | 중단 | |
| 중일 명인전 | 1988년 | 중단 | |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 1989년 | 진행 중 | |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 1992년 | 중단 | 단체전 |
| 취보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1993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롯데배 한중대항전 | 1994년 | 중단 | 단체전 |
| 한중 신예바둑대항전 | 1994년 | 중단 | 단체전 |
| 보해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1994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한중일 신예바둑대항전 | 1997년 | 중단 | 단체전 |
| LG배 세계기왕전 | 1996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 | 1996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한중 천원전 | 1997년 | 진행 중 | |
| BC카드배 한중 신인왕전 | 1998년 | 중단 | |
|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1998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중일 아함동산배 | 1999년 | 진행 중 | |
| 흥창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1999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 1999년 | 진행 중 | 단체전 |
| 동방항공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2000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호작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2002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도요타덴소배 | 2002년 | 중단 | |
| CSK배 아시아바둑대항전 | 2002년 | 중단 | 단체전 |
| 정관장배 세계여자바둑최강전 | 2002년 | 중단 | 여자 단체전 |
| 봉황고성배 한중정상전 | 2003년 | 진행 중 | |
| 중환배 | 2004년 | 중단 | |
| 일월성배 한중대항전 | 2005년 | 중단 | 단체전 |
| 강원랜드배 한중 바둑대전 | 2006년 | 중단 | 단체전 |
| 한중 바둑리그 우승팀 대항전 | 2006년 | 진행 중 | |
| 다리 여행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2006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위안양 부동산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2007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스포츠어코드 세계마인드 스포츠게임즈(바둑) | 2008년 | 진행 중 | 개인전, 단체전 |
|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 | 2009년 | 중단 | |
| 페어바둑 월드컵 | 2010년 | 진행 중 | |
| 한중일 명인전 | 2010년 | 진행 중 | |
| 궁륭산 병성배 | 2010년 | 진행 중 | 여자 개인전 |
| 초상부동산배 한중바둑단체대항전 | 2011년 | 진행 중 | 단체전 |
| 황룡사 쌍등배 | 2011년 | 진행 중 | 여자 단체전 |
| 바이링배 | 2012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톈타이산 세계 여자 바둑 단체 대항전 (옛 화정차업배) | 2012년 | 진행 중 | 여자 단체전 |
| 루양배 한중일 3국 바둑명인페어대회 | 2013년 | 진행 중 | |
| 몽백합배 | 2013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금룡성배 세계바둑단체전 (옛 주강배 세계바둑단체전) | 2013년 | 진행 중 | 단체전 |
| CCTV 하세배 한중일 바둑쟁패전 | 2014년 | 진행 중 | 2014년 2회 대회부터 국제대회로 변경 |
| 중일 용성전 | 2014년 | 진행 중 | |
| 이민배 세계바둑신예최강전 | 2014년 | 진행 중 | 20세 이하 |
| 글로비스배 | 2014년 | 진행 중 | 20세 이하 |
|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 2014년 | 진행 중 | 단체전 |
| 명월산배 한중일 클래식 | 2014년 | 진행 중 | |
| 오카게배 국제신예바둑대항전 | 2014년 | 진행 중 | 단체전(30세 이하) |
| 박카스배 한ㆍ중 바둑 미래 천원전 | 2015년 | 진행 중 | 단체전(20세 이하) |
| 신아오배 세계바둑오픈 | 2016년 | 진행 중 | |
| 한중 단체 명인전 | 2016년 | 진행 중 | 단체전 |
| 자스텍배 국제신예바둑대항전 | 2016년 | 진행 중 | 단체전(25세 이하) |
| 한중일 3국 신예대항전 | 2016년 | 진행 중 | |
| 월드바둑챔피언십 | 2017년 | 진행 중 | |
| 세계 시니어 바둑대회 | 2017년 | 진행 중 | |
| 세계페어바둑 최강위전 | 2017년 | 진행 중 | |
| 센코컵 월드바둑여류최강전 | 2018년 | 진행 중 | |
| 오청원배 세계여자바둑대회 | 2018년 | 진행 중 | |
| 천부배 세계프로바둑선수권 | 2018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한중일 녜웨이핑배 바둑마스터스 | 2019년 | 진행 중 | |
| 한중일 용성전 | 2019년 | 진행 중 | |
| 1004섬 신안 국제시니어바둑대회 | 2019년 | 진행 중 | |
| 호반배 세계여자바둑패왕전 | 2022년 | 진행 중 | |
|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 | 2023년 | 진행 중 | |
| 난양배 월드바둑마스터 | 2024년 | 진행 중 |
2. 1.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에게 세계 최고 권위를 인정하는 대회이다. 주요 대회로는 응씨배, 삼성화재배, LG배, 춘란배, 바이링배, 몽백합배가 있다.| 기전명 | 주최·협찬·후원 | 창설 연도 | 결승 | 제한 시간 | 초읽기 | 덤 | 우승 상금 | 출처 |
|---|---|---|---|---|---|---|---|---|
| 응씨배 세계 프로 바둑 선수권 대회 | 응창기 기금회 | 1988년 (4년마다 개최) | 5번기 | 3시간[2] | 없음 | 8목 계점제 규칙 | 40만달러 | [3] |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 마스터스 | 중앙일보 한국방송공사 삼성화재해상보험 | 1996년 | 3번기 | 2시간 | 1분 5회 | 6집 반 | 3억원 | [4] |
|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 조선일보사 LG | 1996년 | 3번기 | 3시간 | 40초 5회 | 6집 반 | 3억원 | [5] |
|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중국 위기 협회 춘란 집단 | 1999년 (2년마다 개최) | 3번기 | 2시간 30분 | 5분 전 | 7집 반 | 15만달러 | [6] |
| 백령배 세계 바둑 오픈전 | 중국 위기 협회 귀주 백령 기업단 | 2012년 (2년마다 개최) | 5번기 | 2시간 | 1분 5회 | 7집 반 | 1.8억위안 | [7] |
| 몽백합배 세계 바둑 오픈전 | 국제위기연맹 중국기원 | 2013년 (2년마다 개최) | 5번기 | 3시간 | 1분 5회 | 7집 반 | 1.8억위안 | [8] |
| 이민배 세계 바둑 신예 최강전 | 중국 위기 협회 중국기원 항저우 분원 | 2014년 | ||||||
| 글로비스배 세계 바둑 U-20 | 일본기원 글로비스 | 2014년 | 없음 | 1수 30초 1분 10회 | 6집 반 | 300만엔 | [9] | |
| 남양배 세계 바둑 마스터스 | 중국 위기 협회 싱가포르 위기 협회 | 2024년 | 3번기 | 2시간 | 1수마다 15초 추가 | 7집 반 | 25만싱가포르 달러 | |
| 소파르코 사노루 세계 최고 기사 결정전 | 한국기원 | 2025년 (2년마다 개최) | 3번기 | 1시간 | 1수마다 30초 추가 | 6집 반 | 2억원 |
종료된 기전은 다음과 같다.
| 기전명 | 주최·협찬·후원 | 창설 연도 | 폐지 연도 | 결승 | 제한 시간 | 초읽기 | 덤 | 우승 상금 | 출처 |
|---|---|---|---|---|---|---|---|---|---|
| 세계 바둑 선수권 후지쯔배 | 요미우리 신문사 후지쯔 문부과학성 | 1987년 | 2011년 | 1번기 | 2시간 | 5분 전 | 6집 반 | 1500만엔 | [10] |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 대회 | 일본방송협회 중국중앙텔레비전 한국방송공사 | 1989년 | 2019년 | 없음[52] | 1수 30초 1분 10회 | 6집 반[11] | [12] | ||
| IBM 속기 오픈전 | 주간 바둑 일본 아이비엠 | 1988년 | 1990년 | 1시간 | 30초 | 5집 반 | 300만엔 | ||
| 동양증권배 세계 선수권전 | 서울경제신문사 한국 동양증권 | 1989년 | 1998년 | 5번기 | 3시간 | 1분 | 5집 반 | ||
| 도요타 & 덴소배 바둑 세계 왕좌전 | 도요타 자동차 덴소 일본경제신문사 | 2001년 | 2009년 | 3번기 | 3시간 | 10분 전 | 6집 반 | 3000만엔 | [13] |
| 중환배 세계 바둑 선수권전 | 2004년 | 2007년 | 1번기 | 2시간 30분 | 5분 전 | 6집 반 | [14] | ||
|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 | BC카드 | 2009년 | 2012년 | 5번기 | 2시간 | 1분 3회 | 6집 반 | 3억원 | [15] |
| 신오배 세계 바둑 오픈전 | 국제위기연맹 중국기원 | 2016년 | 2021년 | 5번기 | 2시간 30분 | 1분 5회 | 7집 반 | 2.2억위안 | [16] |
| 천부배 세계 바둑 프로 선수권전 | 중국 위기 협회 중국기원 | 2018년 | 2021년 | 3번기 | 2시간 | 1분 5회 | 7집 반 | 2억위안 | [17] |
2. 2. 국가 대항전
국가대항전은 국가의 명예를 걸고 경쟁하는 단체전이다. 주요 대회로는 农心辛拉面杯|농심 신라면배중국어 (한국, 중국, 일본 3국 단체전)와 호반배 (여자 단체전)가 있다.2. 3. 기타 국제 기전
1988년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가 시작된 이후, 제한 기전, 여자 기전, 페어 기전 등 다양한 형태의 국제 기전이 생겨났다.[1]| 기전명 | 창설 연도 | 상태 | 비고 |
|---|---|---|---|
| 중일 슈퍼 대항전 | 1984년 | 중단 | |
| 후지쯔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1988년 | 중단 | 최초의 세계 대회 |
| 중일 천원전 | 1988년 | 중단 | |
| 응씨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1988년 | 진행 중 | 최고의 우승상금 대회 |
| 동양증권배 | 1988년 | 중단 | |
| 중일 명인전 | 1988년 | 중단 | |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 1989년 | 진행 중 | |
| 진로배 SBS 세계 바둑 최강전 | 1992년 | 중단 | 단체전 |
| 취보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1993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롯데배 한중대항전 | 1994년 | 중단 | 단체전 |
| 한중 신예바둑대항전 | 1994년 | 중단 | 단체전 |
| 보해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1994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한중일 신예바둑대항전 | 1997년 | 중단 | 단체전 |
| LG배 세계기왕전 | 1996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 | 1996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한중 천원전 | 1997년 | 진행 중 | |
| BC카드배 한중 신인왕전 | 1998년 | 중단 | |
| 춘란배 세계 바둑 선수권 대회 | 1998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중일 아함동산배 | 1999년 | 진행 중 | |
| 흥창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1999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농심 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 | 1999년 | 진행 중 | 단체전 |
| 동방항공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2000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호작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2002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도요타덴소배 | 2002년 | 중단 | |
| CSK배 아시아바둑대항전 | 2002년 | 중단 | 단체전 |
| 정관장배 세계여자바둑최강전 | 2002년 | 중단 | 여자 단체전 |
| 봉황고성배 한중정상전 | 2003년 | 진행 중 | |
| 중환배 | 2004년 | 중단 | |
| 일월성배 한중대항전 | 2005년 | 중단 | 단체전 |
| 강원랜드배 한중 바둑대전 | 2006년 | 중단 | 단체전 |
| 한중 바둑리그 우승팀 대항전 | 2006년 | 진행 중 | |
| 다리 여행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2006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위안양 부동산배 세계여자바둑선수권 | 2007년 | 중단 | 여자 개인전 |
| 스포츠어코드 세계마인드 스포츠게임즈(바둑) | 2008년 | 진행 중 | 개인전, 단체전 |
| BC카드배 월드 바둑 챔피언십 | 2009년 | 중단 | |
| 페어바둑 월드컵 | 2010년 | 진행 중 | |
| 한중일 명인전 | 2010년 | 진행 중 | |
| 궁륭산 병성배 | 2010년 | 진행 중 | 여자 개인전 |
| 초상부동산배 한중바둑단체대항전 | 2011년 | 진행 중 | 단체전 |
| 황룡사 쌍등배 | 2011년 | 진행 중 | 여자 단체전 |
| 바이링배 | 2012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톈타이산 세계 여자 바둑 단체 대항전 (옛 화정차업배) | 2012년 | 진행 중 | 여자 단체전 |
| 루양배 한중일 3국 바둑명인페어대회 | 2013년 | 진행 중 | |
| 몽백합배 | 2013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금룡성배 세계바둑단체전 (옛 주강배 세계바둑단체전) | 2013년 | 진행 중 | 단체전 |
| CCTV 하세배 한중일 바둑쟁패전 | 2014년 | 진행 중 | 2014년 2회 대회부터 국제대회로 변경 |
| 중일 용성전 | 2014년 | 진행 중 | |
| 이민배 세계바둑신예최강전 | 2014년 | 진행 중 | 20세 이하 |
| 글로비스배 | 2014년 | 진행 중 | 20세 이하 |
|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 2014년 | 진행 중 | 단체전 |
| 명월산배 한중일 클래식 | 2014년 | 진행 중 | |
| 오카게배 국제신예바둑대항전 | 2014년 | 진행 중 | 단체전(30세 이하) |
| 박카스배 한ㆍ중 바둑 미래 천원전 | 2015년 | 진행 중 | 단체전(20세 이하) |
| 신아오배 세계바둑오픈 | 2016년 | 진행 중 | |
| 한중 단체 명인전 | 2016년 | 진행 중 | 단체전 |
| 자스텍배 국제신예바둑대항전 | 2016년 | 진행 중 | 단체전(25세 이하) |
| 한중일 3국 신예대항전 | 2016년 | 진행 중 | |
| 월드바둑챔피언십 | 2017년 | 진행 중 | |
| 세계 시니어 바둑대회 | 2017년 | 진행 중 | |
| 세계페어바둑 최강위전 | 2017년 | 진행 중 | |
| 센코컵 월드바둑여류최강전 | 2018년 | 진행 중 | |
| 오청원배 세계여자바둑대회 | 2018년 | 진행 중 | |
| 천부배 세계프로바둑선수권 | 2018년 | 진행 중 | 메이저 대회 |
| 한중일 녜웨이핑배 바둑마스터스 | 2019년 | 진행 중 | |
| 한중일 용성전 | 2019년 | 진행 중 | |
| 1004섬 신안 국제시니어바둑대회 | 2019년 | 진행 중 | |
| 호반배 세계여자바둑패왕전 | 2022년 | 진행 중 | |
| 취저우 난가배 세계바둑오픈 | 2023년 | 진행 중 | |
| 난양배 월드바둑마스터 | 2024년 | 진행 중 | |
| 국제 명인 페어 바둑 토너먼트 | 2011년 | 진행 중 | |
| 중일한 페어 바둑 명인 선수권 대회 | 2013년 | 진행 중 | |
| 세계 청소년 바둑 선수권 대회 | |||
| 세계 대학생 바둑 왕좌전 | |||
| SG배 페어 바둑 최강전 | 2011년 | 바둑TV 주최 | |
| 리코배 중·일 프로 바둑 혼합 복식전 | 1996년 | 2003년 | 상하이시 체육국, 상하이 바둑 협회, 상하이 히타치 가전 |
| 리코배 바둑 혼합 복식전 | 2005년 | 중국 바둑 협회, 리코(중국) 투자 유한공사 | |
| 젠차오배 여자 바둑 공개전 | 2003년 | 중국기원, 상해기원, 상해 젠차오 학원 주최 | |
| 바이링배(百霊杯戦) | 2005년 | 중국 위기 협회, 구이저우 바이링 기업 집단 주최 | |
| 황룽스 자위안배 여자 명인전 | 2010년 | 중국기원, 장옌 시 주최 | |
| 전국 여자 위기 국수전 | 2012년 | 중국 위기 협회, 산시 성 체육국 주최 | |
| 리코배 바둑 혼성 기전 | 2005년 | 중국 바둑 협회, 리코(중국) 투자 유한공사 주최 |
한국기원은 한국 바둑 기전을 주관하는 단체이다. 한국의 프로 기전은 한국기원을 중심으로 실시된다.
3. 한국의 기전
한국에서는 단체전인 한국 바둑 리그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리그는 협찬 기업의 스폰서 비용으로 상금이 높아 한국기원도 주력하고 있다.
개인 기전은 2014년부터 천원전, 물가정보배, 대주배 등이 잇따라 폐지되었다. 왕위전, 패왕전, 최고위전 등 역사 있는 기전도 종료되었다. 2016년에는 5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국수전과 명인전이 중단되는 등 축소되어, 현재 매년 열리는 개인 기전은 GS칼텍스배, KBS 바둑왕전, 맥심커피배 입신연승최강전 등 소수이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리그에 들어가지 못하는 기사들의 대국 기회가 감소하고, 톱 기사 외의 대국 기회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3. 1. 현존 기전
| 기전명 | 주최 | 창설 연도 |
|---|---|---|
| 아마국수전 | 1967년 | |
| 여류국수전 | 1994년 | |
| GS칼텍스배 | 1996년 | |
| 여류명인전 | 1999년 | |
| 맥심커피배 | 2000년 | |
| 한국바둑리그 | 2004년 | |
| 국무총리배 세계 아마바둑선수권 | 2006년 | |
| 여류기성전 | 2006년 | |
| SG페어바둑 최강전 | 2011년 | |
| 하찬석 국수배 영재바둑대회 | 2013년 | |
| 내셔널바둑리그 | 2013년 | |
| 한국여자바둑리그 | 2015년 | |
| 미래의 별 신예최강전 | 2015년 | |
| 시니어바둑리그 | 2016년 | |
| 꽃보다 바둑 여왕전 | 2016년 | |
| 여자 기성전 | 2017년 | |
| 참저축은행배 프로아마오픈 | 2017년 | |
| 크라운해태배 | 2017년 | |
| 용성전 | 2018년 | |
| SGM배 월드바둑챔피언십 | 2018년 | |
| 바둑TV배 마스터스 | 2019년 | |
| 합천 역대영재VS여자정상 연승대항전 | 2019년 | |
| 대통령배 전국바둑대회 | 2019년 | |
| 쏘팔 코사놀 최고기사 결정전 | 2020년 | |
| 이붕배 신예 최고위전 | 2020년 | |
| 우슬봉조배 한국기원선수권전 | 2021년 | |
| IBK기업은행배 여자바둑마스터스 | 2021년 | |
| 호반 여자기사최고기사결정전 | 2021년 | |
| 난설헌배 전국여자바둑대회 | 2021년 | |
| 메디힐 밀레니엄 여자최강전 | 2022년 | |
| YK건기배 | 2022년 | |
| KBS배 바둑왕전 | KBS | 1980년 |
| GS칼텍스배 프로기전 | 매일경제신문, 매경TV | 1996년 |
| 맥심커피배 입신연승 최강전 | 바둑TV, 한국기원 | 2000년 |
| 프로 여류 국수전 | 한국경제신문 | 1994년 |
| 여류 명인전 | 매일신문사 | 1999년 |
| 여류 기성전 | 부안군, 한국기원 | 2006년 |
| GG 옥션배 여류 대 시니어 연승 대항전 | 한국기원 | 2007년 |
| 여류 십단전 | 2012년 |
3. 2. 중단된 기전
국수전, 명인전, KBS 바둑왕전 등 여러 기전들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기전명 | 주최·협찬·후원 | 창설년도 | 폐지년도 |
|---|---|---|---|
| 전국기사선수권전 | 연합신문 | 1948년 | 1955년 |
| 국수전 | 동아일보 | 1956년 | 2016년 |
| 경향왕좌전 | 경향신문 | 1958년 | 1969년 |
| 패왕전 | 대한매일신문사 | 1959년 | 2003년 |
| 최고위전 | 부산일보 | 1959년 | 1999년 |
| 왕위전 | 중앙일보 | 1966년 | 2007년 |
| 명인전 | 한국일보 | 1968년 | 2003년, 2007년 ~ 2016년 |
| 한국기원선수권전 | 경남매일신문 | 1969년, 1977년 | 1978년 |
| 최강자전 | 국제신보 | 1973년 | 1979년 |
| 기왕전 | 조선일보 | 1974년 | 1995년 |
| MBC배 국기전 | MBC | 1974년 | 1976년 |
| 국기전 | 경향신문 | 1975년 | 1996년 |
| TBC왕좌전 | TBC-TV | 1976년 | 1978년 |
| KBS 바둑왕전 | KBS | 1980년 | 2020년 |
| 전일왕좌전 | 전남일보, 전일방송 | 1980년 | 1980년 |
| 제왕전 | MBC TV | 1982년 | 1995년 |
| 바카스배전 | 동아제약 | 1983년 | 1994년 |
| 대왕전 | 대구매일신문 | 1983년 | 1997년 |
| 기성전 | 세계일보 | 1990년 | 2008년 |
| 배달왕전 | 한국 PC 통신 | 1992년 | 2000년 |
| SBS배 연승 바둑 최강전 | SBS | 1993년 | 1997년 |
| 바카스배 천원전 | 스포츠조선 | 1996년 | 2014년 |
| KTF배전 | 2002년 | 2002년 | |
| KT배 마스터스 프로기전 | 바둑TV, 한국기원 | 2002년 | 2003년 |
| 전자랜드배 왕중왕전 | 한국경제신문, 세계사이버기원, 바둑TV | 2004년 | 2008년 |
| 바둑 마스터스 | 한국기원 | 2005년 | 2007년 |
| 물가정보배 프로기전 | 바둑TV, 한국기원 | 2005년 | 2014년 |
| 원익배 십단전 | 한국기원 | 2006년 | 2013년 |
| OllehKT배 오픈 선수권 | 한국기원·바둑TV | 2010년 | 2013년 |
| Let's Run PARK배 오픈 토너먼트 | 한국마사회 | 2014년 | 2015년 |
4. 일본의 기전
산토리 홀딩스(특별 협찬)
다이와 증권 그룹(특별 협찬)
다이와 하우스 공업(특별 협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