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둑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바둑리그는 2004년 시작된 대한민국의 프로 바둑 기전으로, 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된다. 리그 방식은 더블 리그, 단일리그, 전후기 리그, 양대리그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 왔으며, 2024-25 시즌부터는 8개 팀이 단일리그로 5판 3선승제로 경쟁한다. 각 팀은 감독과 여러 명의 선수로 구성되며, 역대 우승팀으로는 SK브로드밴드, 영남일보 등이 있으며, 개인 MVP는 박정환, 신진서 등이 여러 차례 수상했다. 2012년부터는 젊은 기사들의 등용문인 퓨처스리그도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바둑리그 - 김수장 (바둑 기사)
김수장은 1974년 입단하여 1993년 9단으로 승단한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며, 2013년 미추홀배 바둑최강전에서 우승했고, 저서로 《묘수풀이 1, 2》 등이 있다. - 한국바둑리그 - 강훈 (1957년 바둑 기사)
강훈은 1974년 프로 바둑 기사로 입단하여 1996년 9단으로 승단한 한국의 바둑 기사로서, 박카스배 우승 등 국내 기전에서 활약했고, 한국바둑리그 팀 감독을 역임하며 지도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한국바둑리그 | |
---|---|
기본 정보 | |
제목 | 한국바둑리그 |
![]() | |
종목 | 바둑 |
표어 | 이것이 승부다! |
설립 연도 | 2004년 |
리그 개시 | 2004년 |
웹사이트 | 한국바둑리그 공식 웹사이트 |
시즌 정보 | |
현재 시즌 | 2024~2025 KB국민은행 바둑리그 |
팀 수 (2023~24 시즌) | 8개 |
최근 우승 팀 (2023~24) | 고려아연 |
최다 우승 팀 | 영남일보, 티브로드 (3회) |
2. 역대 리그 방식
한국바둑리그는 출범 이후 리그 운영 방식과 대국 규정에서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리그 진행 방식은 초기에 더블리그를 채택했다가, 2021-22 시즌에는 전반기-후반기 리그, 2022-23 시즌에는 양대리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23-24 시즌부터는 다시 단일리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대부분 5판 다승제로 진행되지만 2024-25 시즌부터는 5판 3선승제로 변경되었다. 2022-23 시즌부터는 2-2 동률일 경우 에이스 결정전을 통해 승리 팀을 가리는 승점제가 도입되었다.
대국 규정 역시 여러 차례 변화를 거쳤다. 초기에는 제한시간 10분에 40초 초읽기 3회가 주어졌으나, 이후 제한시간 없이 초읽기만 주어지는 방식, 속기/장고 대국 구분, 착수 시 시간 추가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했다.
2. 1. 참가 팀 및 선수 구성
초창기 한국바둑리그는 8개 팀, 각 팀당 4명의 선수로 구성되었다. 2006년부터는 5명의 선수로 팀을 구성하고 자유 오더제를 채택했다.[1] 2012년에는 10개 팀으로 확대되었다가, 2023-24 시즌부터 다시 8개 팀으로 운영되고 있다.[1] 각 팀은 감독 1명과 여러 명의 선수로 구성된다.[1]선수 선발 방식은 초창기와 현재가 다르다. 1~3기에는 상금 랭킹과 시드 선수 중심으로 출전 선수를 선발했으나, 4기부터는 한국기원 기사 랭킹, 시드 선수, 예선 통과자를 포함하여 총 48명을 선발하고 각 팀에 6명씩 배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팀에 보호 선수가 있는 경우에는 나머지 5명의 선수를 지정한다.[1]
대국은 지명 순번 또는 자유 오더제로 진행된다.[1]
2. 2. 리그 진행 방식
1장~4장 지명 순번별 대국방식승리 2점, 무승부 1점
40초 초읽기 3회
1장~4장 지명 순번별 대국방식
4:0 승리 3점, 3:1 승리 2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
1분 초읽기 1회
자유 오더제
승리 3점, 무승부 1점
1분 초읽기 1회
30초 초읽기 3회
장고 : 제한시간 각 1시간, 30초 초읽기 5회
장고 : 제한시간 각 1시간, 30초 초읽기 5회
장고 : 제한시간 각 1시간, 40초 초읽기 5회
장고 : 제한시간 각 1시간, 40초 초읽기 5회
장고 : 제한시간 각 1시간, 40초 초읽기 5회
장고 : 제한시간 각 1시간 30분, 40초 초읽기 5회
장고 : 제한시간 각 1시간, 1분 초읽기 1회
장고 : 제한시간 각 1시간, 1분 초읽기 1회
장고 A : 제한시간 각 2시간, 1분 초읽기 1회
장고 B :제한시간 각 1시간, 1분 초읽기 1회
장고 A : 제한시간 각 2시간, 1분 초읽기 1회
장고 B :제한시간 각 1시간, 1분 초읽기 1회
장고 : 각자 40분, 착수시 20초 추가
초속기 :각자 1분 착수시 20초 추가
장고 : 각자 40분, 착수시 20초 추가
초속기 :각자 1분 착수시 20초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