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레인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레인섬은 페르시아만 내 바레인만에 위치한 섬으로, 바레인 왕국의 주요 지역이다. 섬의 지형은 저지대로, 북부 해안을 따라 비옥한 지대가 존재하며, 내륙에는 두칸산이 솟아 있다. 기후는 건조하지만 습도가 높고, 연평균 기온은 28°C이다. 바레인 왕국의 수도 마나마와 주요 항구 미나살만이 위치하며, 3개의 주로 행정 구역이 나뉜다. 주변 섬 및 사우디아라비아 본토와 둑길 및 해상교로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레인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링크 | 아랍어 |
별칭 | 알=아왈섬 |
위치 | 페르시아만 |
군도 | 바레인 |
수역 | 페르시아만 |
총 섬 수 | 5 |
면적 | 604km2 |
길이 | 51km |
너비 | 18km |
해안선 길이 | 130km |
최고점 | 두한산 |
해발고도 | 134m |
국가 | 바레인 |
행정 구역 종류 | 주 |
행정 구역 | 북부주 남부주 수도주 |
최대 도시 | 마나마 |
최대 도시 인구 | 350,000 |
인구 | 940,000 |
인구 조사 기준 | 2010년 |
인구 밀도 | 1556 |
민족 구성 | 바레인인, 비바레인인 |
시간대 | 아라비아 표준시 (AST) |
UTC 오프셋 | +3 |
웹사이트 | 바레인 공식 웹사이트 |
ISO 코드 종류 | ISO 코드 |
ISO 코드 | BH-14 |
2. 지리
바레인섬의 대부분은 페르시아만 내에서도 비교적 얕은 수심의 바레인만과 마주한다. 바다와 인접한 곳은 바위가 많은 험한 지형이며, 섬 북부 해안에는 광활한 규모의 산호초가 펼쳐져 있다. 섬 대부분은 저지대이며 척박한 사막 지대이다. 이곳의 석회암에는 다양한 밀도의 염사 (鹽沙)로 덮여 있어 주로 가시나무나 덤불 같은 생명력이 강한 사막 초목들만 자생한다.
바레인섬 지역의 기후는 매우 건조하나, 섬으로 되어 있는 지형이기 때문에 대기 중의 습도는 높은 편이다.[10] 연간 평균 기온은 28 °C이다. 최난월인 8월에는 평균 기온이 38 °C이며 최한월인 1월에도 평균 기온은 18 °C이다. 연간 평균 총 강수량은 144mm이다. 최대 평균 강수량은 11월 강수량인 38mm이고 최소 평균 강수량은 10월 강수량인 1mm이다. 4월부터 낮 기온이 보통 40~45 °C를 넘으며, 야간의 습도는 80~90%에 달한다.[10]
바레인 왕국의 수도인 마나마가 바레인섬 동북쪽 끝에 위치해 있다. 주요 항구인 미나살만도 바레인섬에 있으며 석유 정제 시설과 상업센터도 이곳에 있다. 섬 내는 3개의 주로 나뉘는데, 섬의 북동부는 수도주, 북서부는 북부주이며, 나머지 중부에서 남부에 걸쳐서는 남부주에 속한다.
바레인 왕국의 수도인 마나마는 바레인섬 북동쪽 끝에 위치해 있다. 주요 항구인 미나살만과 주요 정유 시설 및 상업 중심지도 이 섬에 위치해 있다.
바레인섬은 주변의 작은 섬 및 사우디아라비아 본토와 둑길이나 해상교로 연결되어 있다. 1929년에 처음 건설된 가장 오래된 둑길은 바레인섬과 무하라크섬을 잇는다. 마나마와 무하라크섬 사이에는 세 개의 둑길이 건설되었다.
북부 해안가를 따라 5km 길이의 좁지만 비옥한 지대가 있어 대추야자, 아몬드, 무화과, 석류나무 따위가 자란다. 섬 안쪽에는 단층애가 형성되어 최대고도 134m까지 올라가는데 이는 바레인섬의 최고봉인 두칸산을 이룬다. 두칸산은 담배 산이라는 뜻으로 정상 부근에 옅은 안개가 자주 끼는 점에 빗대어 붙여진 이름이다. 바레인의 대다수 유정들은 이 산 부근에 위치해 있다.
3. 기후
4. 행정
5. 도시
6. 교통
동해안 앞바다에는 석유 수출 터미널이 있는 시트라가 있으며, 바레인섬과 시트라섬은 두 섬을 가르는 좁은 해협에 놓인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서해안 쪽에는 움 안 나산 섬이 있으며, 파흐드 국왕 둑길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본토 도시 알코바르까지 연결된다. 움안나산섬은 국왕의 사유 재산이며, 수렵을 위한 자연 보호 구역이 있다.
7.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Case Concerning Maritime Delimitation and Territorial Questions between Qatar and Bahrain
http://www.icj-cij.o[...]
2001
[2]
Geonames
Geonames Bahrain
http://www.geonames.[...]
[3]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of Bahrain
http://www.slrb.gov.[...]
2016-04-16
[4]
서적
Bahrain: The Modernization Of Autocr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Geonames
Geonames Bahrain
http://www.geonames.[...]
[6]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of Bahrain
http://www.slrb.gov.[...]
2016-04-16
[7]
웹인용
Case Concerning Maritime Delimitation and Territorial Questions between Qatar and Bahrain
http://www.icj-cij.o[...]
2001
[8]
Geonames
Geonames Bahrain
http://www.geonames.[...]
[9]
웹인용
바레인에 대한 지식과 통계
http://www.slrb.gov.[...]
2016-04-16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ma.mofa.go.k[...]
2016-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