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화과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화과나무는 꽃이 피지 않고 열매를 맺는 것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된 이름으로, 낙엽 활엽 소교목이다.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고, 꽃은 꽃받침 내부에 피는 무화과상화서 형태를 갖는다. 열매는 식용으로 사용되며, 생과, 건조과, 잼 등으로 가공된다. 무화과는 다양한 문화적 상징성을 가지며, 고대부터 재배되어 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20년 기준, 터키가 세계 최대 생산국이며, 한국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뽕나무과 - 반얀
반얀은 *Ficus* 속의 수목성 무화과나무를 통칭하며, 교살식물의 특징과 거대한 크기, 문화적 중요성, 분재 활용, 다양한 문화 콘텐츠 등장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뽕나무과 - 닥나무
닥나무는 뽕나무과의 낙엽활엽관목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높이 2~5m까지 자라고, 한지의 원료로 재배되어 사람이 사는 곳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나무 - 커스터드애플
커스터드애플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이 원산인 뽀뽀나무과에 속하는 작은 교목으로, 전 세계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며, 단맛이 나는 열매는 생으로 먹거나 가공하여 섭취하고 씨앗, 잎, 나무껍질 등은 약재로도 사용되는 식물이다. - 나무 - 가로수길
가로수길은 고대 이집트, 중국, 프랑스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래되었으며, 주택이나 특정 지점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나무들의 배열로, 햇빛을 가리고 바람을 막아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상 기후로 인한 피해와 교통사고의 위험도 존재하는 조경 요소이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무화과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Ficus carica L. |
한국어 이름 | 무화과나무 |
영어 이름 | fig tree |
분류 | |
계 | 식물계 Plantae |
문 (계급 없음) |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강 (계급 없음)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아강 (계급 없음) | 장미군 Rosids |
목 | 장미목 Rosales |
과 | 뽕나무과 Moraceae |
속 | 무화과나무속 Ficus |
동의어 |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LC (최소 관심) |
2. 어원
'무화과(無花果)'라는 명칭은 꽃이 피지 않고 열매를 맺는 것처럼 보인다는 데서 유래한 한자어이다.[72] 일본에서는 '무화과(イチジク)'라는 숙자훈을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중세 페르시아어 '안지르(anjīrfa)'[73]에서 유래한 '영일과(映日果)'라는 별칭을 사용했다.
무화과나무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한국에서는 높이가 3m에서 5m 정도 자란다. 조건이 좋으면 높이 20m, 줄기 지름 1m 이상이 되는 낙엽 교목이 되기도 한다.[79] 수피는 회색이고 피목이 있으며, 거의 매끄럽다. 가지는 옆으로 퍼지고, 1년생 가지는 굵고 자갈색이나 녹갈색이며 짧은 털이 있다. 작은 가지에는 가로로 길고 힘줄 모양의 탁엽 흔이 있으며, 종종 가지를 한 바퀴 돈다.
3. 생물학적 특징
잎은 크고 손바닥 모양으로 3~5갈래로 갈라지며, 어긋나기를 하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잎 뒷면에는 거친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흰 젖액이 나온다.
개화기는 6~9월이다. 새 가지가 뻗어 나오면 잎겨드랑이에 꽃을 넣은 다육질의 봉투인 꽃받침이 생긴다. 아래쪽부터 차례로 자라며, 꽃받침은 열매받침이 되어 비대해진다. 꽃받침은 도란형이고 두꺼운 육질의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초여름에 꽃받침 내면에 무수한 꽃(작은 열매)이 핀다. 이러한 꽃이 피는 방식을 숨은꽃차례(은화과)라고 한다.
열매는 꽃받침이 비대해진 것으로, 내부에 작은 꽃들이 무수히 피는 숨은꽃차례 형태이다. 재배 품종은 단위결과성(단성 결실)이 있어 수분 없이도 열매가 맺히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 재배되는 품종은 대부분 단위결과성이며, 무화과벌과의 공생 관계는 일반적이지 않다. 결실기는 8~10월이다. 대부분 종류의 꽃받침(소위 과실이라고 부르는 것)은 가을에 익으면 짙은 보라색이 되고, 아래 부분부터 수확할 수 있다. 단맛이 있는 식용 부분은 과육이 아니라 작은 열매와 꽃받침이다.
동아는 작은 가지에 어긋나게 난다. 정아는 뾰족한 원뿔형으로, 2장의 아린에 싸인 린아로 털이 없다. 측아는 둥글고, 옆에 부아(副芽)가 늘어선다. 잎자국은 원형으로 크고, 관다발 흔이 다수 있어 둥글게 배열된다.
3. 1. 생태
무화과나무는 뿌리를 깊게 내려 물을 찾는 능력이 뛰어나 사막 지역의 과수원에서도 재배되고 있다.[79] 새와 포유류가 배설물에 씨앗을 흩뿌려 번식하며, 뿌리와 조직에서도 싹이 튼다.
3. 2. 수분
무화과는 원산지 근처인 지중해 연안이나 서아시아에서는 재배 품종의 결실에 암수 나무가 모두 필요하며, 무화과벌과의 공생 관계를 통해 수분이 이루어진다. 식용으로 사용되는 스미르나계 무화과는 암꽃만 피며, 달고 즙이 많은 열매가 열리지만, 열매가 열리기 위해서는 카프리계 수꽃의 꽃가루를 무화과벌이 옮겨 수분해야 한다.
카프리계 무화과는 수꽃과 암꽃이 모두 피며, 건조한 열매가 열린다. 카프리계 수꽃 안에서 무화과벌이 부화하는데, 부화 전 수꽃낭 안에서 암수가 교미를 한다. 수컷은 꽃낭에 출구 구멍을 내고 죽고, 암컷은 꽃가루를 묻힌 채 구멍을 통해 탈출한다. 밖에 나온 암컷은 냄새를 따라 어린 꽃낭의 작은 구멍으로 들어가는데, 이 과정에서 날개와 촉수를 잃는다. 카프리계 수꽃낭에 들어간 암컷은 알을 낳을 수 있고, 부화하면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
스미르나계 무화과에 들어간 무화과벌 암컷은 꽃가루를 묻히지만, 신체 구조상 알을 낳을 수 없다. 스미르나계 무화과는 수분에 의해 비대해지고 작은 씨앗이 생기지만, 산란하지 못한 암컷은 과낭 안에서 죽고, 시체는 무화과가 분비하는 효소에 의해 소화된다.
보통계 무화과는 품종 개량을 통해 수분 없이 열매가 열리는 단위결과성을 갖게 되어, 무화과벌이 없는 일본에서도 재배된다. 일본에서 재배되는 무화과는 대부분 단위결과성 품종의 암나무이다.
4. 역사
무화과는 인류가 재배한 최초의 작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요르단 계곡의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1만 1천 년 이상 된 탄화된 무화과 열매가 발견되기도 했다.[80] 중근동에서는 4000년 이상 전부터 재배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에서는 BC 2700년경부터 재배되었다.[77] 고대 그리스 등에서도 기원전부터 재배되었고,[76] 고대 로마에서는 가장 흔한 과일 중 하나이자 감미료로도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성경의 아담과 하와 이야기에 무화과가 등장하며,[77] 이집트 피라미드 벽화에도 나타나는 등[77]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일본에는 에도 시대 간에이 연간(1624-1644)에 중국을 거쳐 전래되었다는 설과,[76][77] 페르시아에서 중국을 거쳐 나가사키에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다.[76][77][81] 처음에는 약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열매의 단맛을 즐기게 되었고, 꺾꽂이로 쉽게 번식할 수 있어 가정 정원 등에도 널리 심어지게 되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주로 미국에서 다수의 품종이 도입되었지만,[76][89] 다이쇼 시대에 들어서 경제적 재배가 이루어졌다.[76]
5. 품종
한국에서는 주로 마스이 도핀(桝井ドーフィン|마스이 도핀일본어), 봉래시(蓬莱柿) 등의 품종이 재배된다. 마스이 도핀은 일본에서 육묘된 품종으로, 재배가 쉽고 보존성이 좋아 널리 퍼졌다.[94] 과피는 익으면 진한 적자색을 띤다. 일본에서는 전체 재배량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주류 품종이다.[93][94] 봉래시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온 품종으로, '재래종', '일본 무화과'라고도 불린다.[76][94] 일본 국내 생산량의 20%를 차지하며 마스이 도핀 다음으로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94]
그 외에 블랙 미션, 킹, 화이트 제노아 등의 서양 품종도 일부 재배된다. 블랙 미션은 과피가 검은색에 가까운 자색이며 껍질이 얇고 맛이 진하다. 킹은 큼지막한 서양종으로 과실이 익어도 과피가 녹색이지만 과육은 붉고 단맛이 강하다. 화이트 제노아는 "서양 무화과"라고도 불리는 소형 품종으로 과실이 연두색으로 익는다.
최근에는 '토요미츠히메'와 같이 한국에서 육종된 품종도 등장하고 있다. 토요미츠히메는 후쿠오카현 농림업 종합시험장 부젠 분장에서 육종되었으며, 마스이 도핀보다 하얀 과육과 높은 당도를 자랑한다.[98]
6. 재배
무화과는 꺾꽂이로 번식시키며, 정원이나 밭에서 재배한다. 얕은 뿌리를 가지고 있어 여름철 건조할 때는 물을 주어야 한다. 고온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며, 추위와 건조에 약하다.[32]
미국에서는 가로수로 키우기도 하며, 여러 품종이 개발되어 지중해 연안 지방이나 캘리포니아 지방 등에서는 중요한 생산물이 되고 있다.[35]
7. 이용
7. 1. 식용
무화과는 신선한 상태로 먹거나 말려서 먹을 수 있으며, 잼을 만들 때 사용된다. 완숙된 열매는 운송이 어렵고 수확 후 보관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 상업적으로 건조하거나 다른 형태로 가공한다. 널리 생산되는 피그 롤("피그 뉴턴영어"은 나비스코의 상표임)은 무화과로 속을 채운 비스킷(또는 쿠키)이다.북반구에서 신선한 무화과는 8월부터 10월 초까지 제철이다. 요리에 사용되는 신선한 무화과는 통통하고 부드러우며 멍이나 갈라짐이 없어야 한다. 시큼한 냄새가 나면 무화과가 너무 익은 것이다. 약간 덜 익은 무화과는 실온에서 1~2일 동안 보관하여 숙성시킨 후 제공할 수 있다. 무화과는 실온에서 가장 풍미가 좋다.[42]
갓 수확한 무화과는 보존을 위해 두 가지 건조 방법을 거친다. 첫 번째는 자연 건조로, 무화과를 햇볕에 쬐어 따뜻함과 빛을 받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오븐 건조로, 무화과를 오븐 내의 온도 조절 환경에 넣는 것이다.[43] 각 과정은 건조된 무화과의 질감과 풍미에 고유한 영향을 미친다.[43]
열매는 생식 외에 '''건조 무화과'''(드라이 피그)로 많이 유통된다[90]。구미에서는 생식이 극히 적고[77], 대부분 건과로 이용된다[76][77]。열매의 붉은 부분의 식감은 꽃 부분에 의한 것이다. 식재료로서의 제철은 8 - 11월로, 열매가 통통하고 둥글며, 과피에 탄력과 탄성이 있는 것이 상품 가치가 높은 양품으로 여겨진다.
생과·건조품 모두 빵, 케이크, 비스킷 등에 넣어 굽거나, 잼이나 콩포트로 만들거나[77], 수프나 소스의 재료로 쓰인다. 또한 와인이나 식초의 양조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77] 그 외 페이스트, 농축 과즙, 파우더, 냉동품 등 중간 제품도 유통되고 있다. 일본 국내에서는 조림으로 하는 지방도 있다[81]。특히 미야기현에서는 조림을 전제로 가공용 종자가 주로 재배되고 있다[81]。또한, 무화과의 튀김도 있다.
열매에는 과당, 포도당, 단백질, 비타민류, 칼륨, 칼슘, 펙틴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구연산이 소량 함유되어 있지만, 당분이 더 많아서 단맛이 난다. 식이섬유는 불용성과 수용성 모두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7. 2. 영양 및 효능
''생''영어 무화과는 79%가 수분, 19%가 탄수화물, 1%가 단백질이며, 지방은 거의 함유하지 않는다. 식이 섬유의 중간 공급원(1일 섭취량의 14%)이며 310kJ의 음식 에너지를 제공하며, 필수적인 미량영양소는 상당한 양으로 공급하지 않는다.식품 건조를 통해 30%의 수분으로 건조하면 무화과는 탄수화물 함량이 64%, 단백질 함량이 3%, 지방 함량이 1%이다.[44] 100g당 1041kJ의 음식 에너지를 제공하는 ''건조'' 무화과는 식이 섬유와 필수 무기질 망간(26% DV)의 풍부한 공급원(20% DV 이상)이며, 칼슘, 철, 마그네슘, 칼륨, 비타민 K는 적당량 함유하고 있다.[44]
무화과 열매에는 포도당과 과당이 거의 같은 수준으로 들어있고, 포도당이 약간 더 많으며, 자당은 거의 없다.[45][46][47] 무화과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피신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를 돕고, 펙틴이 풍부하여 변비에 효과가 있다.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벤즈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민간에서는 소화불량과 변비는 물론 설사와 각혈, 신경통, 빈혈, 부인병, 피부질환 등을 치료하는 데 활용한다.[124]
6~7월경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과실(무화과)에는 수분 약 20–30%, 전화당 약 20–50%, 단백질 약 4–8%, 유지유 1-2%, 유기산, 효소, 비타민 C,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다.[124] 무화과는 완하 작용(설사, 변비, 목의 통증에 대한 효과)[77], 정장 작용이 있으며,[92] 식이 섬유의 일종인 펙틴은 장의 작용을 활성화하여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된다.[76] 과실에 포함된 효소 피신은 소화 촉진 작용이 있어, 체함이나 숙취 예방에 좋다.
민간요법에서는 과실을 말린 것 3–5개를 600ml의 물에 넣고 약한 불로 반이 될 때까지 졸여서 찌꺼기를 제거한 것 또는 30분 정도 달인 것을 1일 3회 나누어 복용하여 변비의 완하제로 사용했다.[124] 생과실을 그대로 1일 2–3개 정도 매일 계속 먹어도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24] 변비 외에도 자양에 이용되거나, 가래가 많은 기침, 목의 통증, 치질에도 효능이 있다고 한다.[124]
7–9월경에 채취한 잎을 햇볕에 말린 무화과엽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 혈압 강하 작용이 있는 프렐라렌, 탄닌이 포함되어 있다.[124] 목욕물에 넣어 사용하면 냉증, 피부 트러블, 치질의 출혈 방지, 탈항, 요통, 신경통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124]
또한 과육이나 잎에서 나오는 흰 유액에는 고무에 가까운 수지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민간약으로 사마귀에 바르거나[124] 구충제로 복용했다. 정상적인 피부에 유액이 닿으면 옻이 오르거나 가려움이 생길 수 있다.[124]
7. 3. 약용
한의학에서 잘 익은 무화과 열매와 잎은 건조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열매를 건조한 것은 '무화과(無花果)'라고 부르며, 완하, 정장 작용이 있어 변비, 목의 통증 등에 사용된다.[77][92] 잎을 건조한 것은 '무화과엽(無花果葉)'이라고 하며, 목욕제로 사용하면 냉증, 피부 질환, 치질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4]무화과는 단백질 분해 효소인 피신을 함유하여 소화를 돕고, 펙틴이 풍부하여 변비에 효과적이다.[76] 또한,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벤즈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있다.
무화과(열매)는 6~7월경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는데, 여기에는 수분, 전화당, 단백질, 유지방, 유기산, 효소, 비타민 C, 미네랄 등이 포함되어 있다.
민간요법에서는 말린 무화과 3~5개를 물에 넣고 졸여 복용하거나, 생과일을 매일 2~3개씩 먹으면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자양, 가래, 기침, 목 통증, 치질에도 효능이 있다고 한다.
무화과엽(잎)은 7~9월경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는데, 여기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 혈압 강하 작용을 하는 프렐라렌, 탄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무화과의 과육이나 잎에서 나오는 흰 유액은 고무와 비슷한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민간약으로 사마귀에 바르거나 구충제로 복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유액이 정상 피부에 닿으면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7. 4. 기타
무화과 수액에는 피신이라는 효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일본의 기존첨가물 명부에 수재되어 식품첨가물의 원료로 사용이 허가되어 있다.[1] 그 외에 무화과 잎 추출물은 제조용제 등의 용도로 과거 동 명부에 게재되었으나, 최근 판매 실적이 없어 2005년에 삭제되었다.[1]8. 생산 현황
무화과 생산량 – 2020년 | |
---|---|
국가 | (톤) |
터키 | 320,000 |
이집트 | 201,212 |
모로코 | 144,246 |
알제리 | 116,143 |
이란 | 107,791 |
스페인 | 59,900 |
시리아 | 46,502 |
미국 | 27,084 |
알바니아 | 21,889 |
그리스 | 19,840 |
브라질 | 19,601 |
전 세계 | 1,264,943 |
출처: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STAT)[41] |
2020년 기준 전 세계 무화과 생산량은 126만 톤이며, 터키가 전 세계 생산량의 25%로 가장 많았고, 이집트, 모로코, 알제리가 그 뒤를 이었다. 이들 4개국은 전 세계 생산량의 62%를 차지한다.[41] 2022년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 자료에 따르면 튀르키예가 35만 톤으로 1위, 이집트가 18.7만 톤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알제리와 모로코가 그 뒤를 잇는다.[99]
지중해 연안에서 남아시아에 걸친 비교적 건조한 기후의 국가들이 주요 생산국이며, 미국(11위)과 브라질(14위)도 순위에 올랐다.[99] 상위 국가들은 건조 무화과 수출도 많이 하며, 특히 튀르키예산, 이란산 건조 무화과가 유명하다. 일본은 약 1만 톤을 생산하여[100] 세계 생산량 18위에 랭크되어 있다.[99]
한국에서는 무화과나무가 중·남부 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125]
8. 1. 세계
2020년 기준 전 세계 무화과 생산량은 126만 톤이며, 터키가 전 세계 생산량의 25%로 가장 많았고, 이집트, 모로코, 알제리가 그 뒤를 이었다. 이들 4개국은 전 세계 생산량의 62%를 차지한다.[41]무화과 생산량 – 2020년 | |
---|---|
국가 | (톤) |
터키 | 320,000 |
이집트 | 201,212 |
모로코 | 144,246 |
알제리 | 116,143 |
이란 | 107,791 |
스페인 | 59,900 |
시리아 | 46,502 |
미국 | 27,084 |
알바니아 | 21,889 |
그리스 | 19,840 |
브라질 | 19,601 |
전 세계 | 1,264,943 |
출처: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STAT)[41] |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무화과 생산량 1위는 튀르키예(35만 톤), 2위는 이집트(18.7만 톤)이며, 그 뒤를 알제리, 모로코가 잇는다.[99] 지중해 연안에서 남아시아에 걸친 비교적 건조한 기후의 국가들이 순위에 올랐으며, 11위에 미국, 14위에 브라질이 있다.[99] 상위 국가들은 건조 무화과의 수출량도 많으며, 특히 튀르키예산, 이란산의 것이 유명하다. 일본에서는 약 1만 톤을 생산하며[100], 세계 생산량 18위에 랭크되어 있다.[99]
8. 2. 한국
한국에서는 무화과나무가 중·남부 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125]9. 문화적 의미
고타마 붓다는 기원전 500년경, 7주(49일) 동안 보리수 아래에서 명상한 후 깨달음(''보디'')을 얻었다. 이 보리수는 ''Ficus religiosa''로 알려져 있다.[59] 성경 창세기에서 아담과 이브는 선악과를 먹은 후 무화과 잎으로 몸을 가렸다(창세기 3:7). 마찬가지로, 무화과 잎, 또는 무화과 잎의 묘사는 오랫동안 회화와 조각에서 누드 인물의 생식기를 가리는 데 사용되었다.[60]
신명기는 무화과를 7가지 작물 중 하나로 명시하며(신명기 8:7–8), 가나안 땅의 비옥함을 묘사한다. "각자 자기 포도나무와 무화과나무 아래에서" (미가 4:4)라는 성경 구절은 평화와 번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62] 테오도어 헤르츨은 미래 시온주의 유대인 고향을 묘사하는 데 이 구절을 사용했다.[63] 조지 워싱턴은 1790년 로드아일랜드 뉴포트의 투로 시나고그에 보낸 서한에서 이 비유를 모든 미국인의 신앙에 관계없이 평등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했다.[64]
코란의 수라 95장은 "무화과"를 뜻하는 ''알-틴''이라는 이름으로, "무화과와 올리브를 두고 맹세하노라."라는 맹세로 시작한다.[65]
『구약성서』의 창세기(3장 7절)에는 에덴 동산에서 선악과를 먹은 아담과 이브가 자신들이 벌거벗은 것을 깨닫고 무화과 잎으로 만든 허리띠를 몸에 걸쳤다고 기록되어 있다.[77]
또한, 『신약성서』의 루가 복음서(13장 6~9절)에서 예수는 열매가 열리지 않는 무화과나무를 베어 버리는 것이 아니라, 열매가 열리도록 돌보고 비료를 주어 키운다는 비유를 이야기하고 있다 (열매 맺지 못하는 무화과나무의 비유)。
무화과는 브라만교에서는 비슈누 신, 고대 그리스에서는 디오니소스에게 바치는 제물이었으며, 로마 건국 신화의 로물루스와 레무스는 무화과나무 그늘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무화과를 따면 꽃자루에서 라텍스라고 불리는 수액이 떨어진다. 이 수액은 모유나 정액에 비유되어, 아프리카 여성들 사이에서는 불임 치료나 유즙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연고로 사용되어 왔다.[123]
고대 로마의 정치가 카토는 포에니 전쟁을 치른 적국인 카르타고를 멸망시킬 필요성을 설파하기 위해, 연설 중에 카르타고산 무화과 열매를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영어 등에서 "무화과 잎" (''fig leaf'')은 "숨기고 싶은 것을 덮어 가리는 것"이라는 비유 표현으로 사용된다.
10. 기타
참조
[1]
그림
1771 illustration from Trew, C.J., ''Plantae selectae quarum imagines ad exemplaria naturalia Londini, in hortis curiosorum nutrit'', vol. 8: t. 73 (1771), drawing by G.D. Ehret
[2]
웹사이트
Search results — 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2014-12-29
[3]
문서
''The Fig: its History, Culture, and Curing''
Washington, Govt. print. off.
1901
[4]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5]
문서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6]
문서
The Fig
Chronica Botanica Co.
1947
[7]
웹사이트
Wayne's Word: Sex Determination & Life Cycle in ''Ficus carica''
http://waynesword.pa[...]
[8]
웹사이트
Fig, ''Ficus carica''
http://www.hort.purd[...]
Purdue University: Horticulture & Landscape Architecture
2014-12-06
[9]
웹사이트
Carnivorous Figs: The Relationship Between Wasps and Figs
http://ucanr.edu/blo[...]
2014-08-27
[10]
간행물
The Fig: Overview of an Ancient Fruit
http://hortsci.ashsp[...]
2007-08
[11]
서적
Fruit: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Firefly Books
2003
[12]
웹사이트
Ficus carica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2015-08-19
[13]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4 county distribution map
http://bonap.net/Map[...]
2015-08-19
[14]
논문
Early Domesticated Fig in the Jordan Valley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5]
논문
Response to Comment on "Early Domesticated Fig in the Jordan Valley"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6]
논문
Comment on "Early Domesticated Fig in the Jordan Valley"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7]
논문
The History of the Fig in the Holy Lan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1965
[18]
서적
The Lagoon: How Aristotle Invented Science
Bloomsbury
2014
[19]
서적
Cato, the Censor, on Farmin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
서적
Confronting the Classics
https://archive.org/[...]
Liveright Publishing Corporation, a division of W.W. Norton & Company
[21]
서적
Roman History 56.30
[22]
서적
Confronting the Classics
https://archive.org/[...]
Liveright Publishing Corporation, a division of W.W. Norton & Company
[23]
문서
The Smyrna Fig: At Home and Abroad
the author
1903
[24]
문서
The Fig, Ficus carica Linnaeus: Its Biology, History, Culture, and Utilization
Jurupa Mountains Discovery Center
1977
[25]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Mushrooms, Fruits, and Nuts: How to Find, Identify, and Cook Them
FalconGuides
[26]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Ficus carica '' 'Brown Turkey'
https://www.rhs.org.[...]
2020-04-15
[27]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Ficus carica'' 'Ice Crystal'
https://www.rhs.org.[...]
2020-04-17
[28]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07
[29]
뉴스
Die Feigenernte in Kraichgau und Pfalz läuft auf Hochtouren
https://www.rnz.de/n[...]
Rhein-Neckar-Zeitung
2018-11-01
[30]
서적
Feigen aus dem eigenen Garten
2016
[31]
서적
Feigen aus dem eigenen Garten.
2016
[32]
웹사이트
Figs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6-12-11
[33]
웹사이트
Fig
http://www.crfg.org/[...]
California Rare Fruit Growers
1996
[34]
웹사이트
North American Fruit Explorers: Figs.
http://www.nafex.org[...]
[35]
문서
Advances in Fruit Breeding
Purdue University Press
1975
[36]
뉴스
Growing Fig Trees in Cooler Climates
https://www.conngard[...]
Connecticut Gardener
2022-12-19
[37]
뉴스
Winter Coats No Longer the Fashion for Fig Trees
https://www.nytimes.[...]
2018-04-09
[38]
뉴스
Why Bury Fig Trees? A Curious Tradition Preserves a Taste of Italy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8-04-09
[39]
간행물
"100 years of breeding: UC Davis Plant Breeding Program"
"Dean's Office, Department of Plant Sciences, & Seed Biotechnology Center, Davis, CA, USA"
2008
[40]
웹사이트
New fig cultivar comparison report released by UC Kearney REC
http://westernfarmpr[...]
2016-02-01
[41]
웹사이트
Raw fig production in 2018; Crops/World Regions/Production Quantity from picklists
http://www.fao.org/f[...]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20-06-07
[42]
웹사이트
Fig
http://www.bbcgoodfo[...]
2016-02-02
[43]
논문
Effect of Drying of Figs (Ficus carica L.) on the Contents of Sugars, Organic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https://doi.org/10.1[...]
2024-02-22
[44]
웹사이트
Nutrition facts for dried figs, uncooked per 100 g
http://nutritiondata[...]
Conde Nast for th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version SR-21
2020-06-07
[45]
논문
Assessment of Morphological Traits and Fruit Metabolites in Eleven Fig Varieties ( ''Ficus Carica'' L.)
https://doi.org/10.1[...]
2024-02-22
[46]
논문
Seasonal changes in photosynthetic activity and carbohydrate content in leaves and fruit of three fig cultivars (Ficus carica L.)
https://doi.org/10.1[...]
2024-02-22
[47]
논문
Internal Fruit Quality of Figs (''Ficus carica'' L.) in the Northern Mediterranean Region
http://www.chiriotti[...]
2024-02-22
[48]
문서
Vinson
1999
[49]
논문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of fig fruit (Ficus carica L.) in the northern Mediterranean region
[50]
논문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hocyanin content of fresh fruits of common fig (Ficus carica L.)
[51]
서적
Mediċina popolari ta' l-imgħoddi fil-gżejjer Maltin
Klabb Kotba Maltin
2001
[52]
논문
Phytophotodermatitis due to ''Ficus carica''
https://escholarship[...]
2018-12-11
[53]
논문
Five Cases of Phytophotodermatitis Caused by Fig Leaves and Relevant Literature Review
2017-02
[54]
웹사이트
FDA Poisonous Plant Database
https://www.accessda[...]
U.S.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8-12-11
[55]
논문
Botanical Dermatology
http://telemedicine.[...]
Internet Dermatology Society
2018-11-29
[56]
논문
"''Ficus carica''; isol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photoactive components"
1984-07
[57]
논문
Analysis on Volatile Constituents in Leaves and Fruits of ''Ficus carica'' by GC-MS
https://www.scienced[...]
2023-02-28
[58]
서적
The Woman's Dictionary of Symbols and Sacred Objects
Harper One
[59]
웹사이트
Rocky Mountain Tree-Ring Research, OLDLIST
http://www.rmtrr.org[...]
2011-07-03
[60]
웹사이트
Was the 'forbidden fruit' in the Garden of Eden really an apple?
https://www.livescie[...]
2021-03-27
[61]
웹사이트
Holy and Great Monday Synaxarion
https://www.johnsani[...]
2023-06-24
[62]
서적
The Parables of Jesus Christ:: A Brief Analysis
Booktango
[63]
서적
Old New Land
https://books.google[...]
M. Wiener
2020-10-06
[64]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and his Letter to the Jews of Newport
http://www.tourosyna[...]
2014-01-08
[65]
웹사이트
Surah At-Tin
https://quran.com/at[...]
2021-07-31
[66]
웹사이트
Hadith Encyclopedia
https://dorar.net/h/[...]
[67]
간행물
A review of the early Miocene Mastixioid flora of the Kristina Mine at Hrádek nad Nisou in North Bohemia, The Czech Republic, January 2012 by F. Holý, Z. Kvaček and Vasilis Teodoridis – ACTA MUSEI NATIONALIS PRAGAE Series B – Historia Naturalis • vol. 68 • 2012 • no. 3–4 • pp. 53–118
[68]
문서
Ficus carica L. イチジク(標準)
2023-03-20
[69]
웹사이트
植物 難読漢字学園 きらめく雑学
https://hatena.michi[...]
2020-03-29
[70]
문서
1631年に[[로마]]で出版された[[ドミニコ会]]宣教師のディエゴ・[[コリャード]]編纂『[[羅西日辞典]]』にはイチジクのことを南蛮柿(Nanbangaqi)と書かれている。イチジク:Ficus(ラテン語).higos(スペイン語).Nanbangaqi(日本語).[[大塚光信]]『[[コリャード]][[羅西日辞典]]』臨川書店、1966年、49頁。[https://www.amakusa.tv/in1co8me/news_fig_m.html#tyu13l 天草テレビ ウェブサイト「日本に初めて持ち込まれた西洋イチジク/長崎の宣教師の庭に/実らず、普及、定着しなかった?!」註13]
[71]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72]
문서
実際には花をつけている。[[#形態・生態]]節を参照。
[73]
문서
中国の特産地である新疆ウイグル自治区の[[ウイグル語]]や、中央〜南アジアの多くの言語で類似の語形をもつ。また[[トルコ語]]や[[ロシア語]]には「インジール」に近い語形で伝わっていて、これは「映日」の中国語音(現代語音では {{unicode|yìngrì}} 「インジー」)にも近い。
[74]
문서
[[音位転換]]も参照。
[75]
문서
『[[酉陽雑俎]]』に記載があるという。
[76]
웹사이트
イチジク
https://www.japanfru[...]
中央果実協会
2022-07-08
[77]
간행물
恵泉果物の文化史(5):イチジク
http://id.nii.ac.jp/[...]
恵泉女学園大学園芸文化研究所
2008-05
[78]
문서
1631年に[[ローマ]]で出版された[[ドミニコ会]]宣教師のディエゴ・[[コリャード]]編纂『[[羅西日辞典]]』にはイチジクのことを南蛮柿(Nanbangaqi)と書かれている。イチジク:Ficus(ラテン語).higos(スペイン語).Nanbangaqi(日本語).[[大塚光信]]『[[コリャード]][[羅西日辞典]]』臨川書店、1966年、49頁。
[79]
문서
栽培種のイチジクや日本に自生する[[イヌビワ]]、[[オオイタビ]]などは後者、やはり日本に自生する[[アコウ (植物)|アコウ]]、[[ガジュマル]]や[[観葉植物]]として普及している[[インドゴムノキ]]、[[ベンジャミンゴムノキ]]などは前者に属する。
[80]
논문
Early Domesticated Fig in the Jordan Valley
https://www.science.[...]
[81]
웹사이트
いちじくの甘露煮 宮城県 {{!}} うちの郷土料理:農林水産省
https://www.maff.go.[...]
2021-09-19
[82]
문서
Diogo de Mesquita(1553-1614)
[83]
문서
Juan de Ribera (1565-1622)
[84]
문서
de lo qual todo yo tengo alguna experiencia porque desde Lisbona hasta este Japon he traido una planta de buenos higos brigesotes, de que agora este Japon esta lleno, es verdad, que muchas plantas se me secaron mas fue por infortunios,"ARSI, Japonica-Sinica, 13 II, fls. 348v.Letter from Father Diogo de Mesquita to Father Juan de Ribera, Rector of the Manila College, Nagasaki, 28 October 1599."
[85]
문서
Correia, Pedro. "Father Diogo de Mesquita (1551-1614) and the cultivation of Western plants in Japan Bulletin of Portuguese - Japanese Studies, núm. 7, december, 2003, pp. 73-91Universidade Nova de Lisboa Lisboa, Portugal. "p81
[86]
문서
[[海老沢有道]]『地方切支丹の発掘』柏書房、1976年。49〜50頁。金子寛昭「天草発祥の『南蛮柿』?イチジク伝来の謎を追う 立証困難 地域浮揚には一役」西日本新聞2023年9月19日。
[87]
문서
ブリゲソテスのイチジクは白系(casta blanca)「そのお礼にイチジク・ブリゲソテスの苗を送りたい。まだ何らかの形で実を結ぶ可能性があると思われるからだ。白い品種である。」と書かれており、マニラのコレジオ院長、ファン・デ・リベラ神父(Juan de Ribera 、1565-1622)に苗木を送る際、手紙に「まだ何らかの形で実を結ぶ可能性がある」と書いており、日本ではまだ実を結んでいないことがうかがえる。" quiero yo tambien en parte recompensarlo en la misma moneda embiandole una planta de los higos brigesotes,que atra´s digo, porque parece que aun podran en algun modo fructificar, pues los ay de casta blanca. "ARSI, Japonica-Sinica, 13 II, fls. 349.Letter from Father Diogo de Mesquita to Father Juan de Ribera, Rector of the Manila College, Nagasaki, 28 October 1599.
[88]
문서
恵泉女学園大(東京)小林幹夫名誉教授[https://www.amakusa.tv/in1co8me/news_fig_m.html 天草テレビ ウェブサイト「日本に初めて持ち込まれた西洋イチジク/長崎の宣教師の庭に/実らず、普及、定着しなかった?!」]
[89]
웹사이트
今月の園芸特産作物:10月 いちじく いちじくの品種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2-07-08
[90]
문서
[[イラン]]、[[トルコ]]などでは伝統的に収穫後に天日乾燥させるのに対し、米国[[カリフォルニア州]]では樹上で乾燥させてから収穫する方法がとられている{{要出典|date=2010年5月}}。
[91]
문서
"[https://foodslink.jp/syokuzaihyakka/syun/fruit/ichijiku-ViolletteDeSollies.htm]"
[92]
뉴스
イチジクソース 甘さ絶妙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12-09-25
[93]
웹사이트
桝井ドーフィン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2-07-08
[94]
웹사이트
プレスリリース (研究成果) 株枯病抵抗性のイチジク台木新品種「励広台(れいこうだい)1号」- 野生種との種間雑種で株枯病に極めて強い -
https://www.naro.go.[...]
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2022-07-08
[95]
웹사이트
18 いちじく (6) いちじく品種特性表
https://www.pref.yam[...]
山口県
2022-07-08
[96]
웹사이트
わかやまのいちじく
https://www.pref.wak[...]
和歌山県
2022-07-08
[97]
웹사이트
イチジク 「とよみつひめ」
https://www.jataff.o[...]
2023-10-03
[98]
웹사이트
Home > 知る > 福岡県農産物カタログ > 福岡の果物 > いちじく
https://www.fs-fukuo[...]
2023-10-03
[99]
웹사이트
世界のイチジク生産量 国別ランキング・推移
https://www.globalno[...]
GLOBAL NOTE
2024-07-28
[100]
웹사이트
【都道府県】イチジクの産地・生産量ランキング
https://urahyoji.com[...]
About Us
2024-07-28
[101]
문서
"[https://www.jaac.or.jp/agriculture/product/ichijiku/index.html JAあいち中央 イチジク]"
[102]
뉴스
イチジク 紀の川市 生産量全国1位、芳醇な香り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07-28
[103]
문서
"[http://www.ja-f-mirai.or.jp/topics/?id=266 JAふくしま未来 加工用いちじく収穫最盛期]"
[104]
문서
"[http://www.pref.ibaraki.jp/nourinsuisan/nosose/cont/brand/2009/6107/index.html 茨城県農業総合センター 「稲敷のいちじく」ブランド化を目指す]"
[105]
문서
"[http://www.pref.saitama.lg.jp/b0907/kitasaitama-nousanbutu/kisai-ichijiku.html 彩の国埼玉県 北埼玉の農産物 - 騎西のいちじく]"
[106]
웹사이트
千葉県公式 教えてちばの恵み いちじく
https://www.pref.chi[...]
[107]
웹사이트
宝達志水の農産物 県内一の生産地 デリケートな実を愛情で育む いちじく
http://www.hodatsush[...]
[108]
웹사이트
静岡県公式ページふじのくに ふじのくに農芸品 - いちじく
http://www.pref.shiz[...]
[109]
뉴스
食卓ものがたり イチジク(愛知県) 秋と一緒に深まる甘み
中日新聞社
2016-10-01
[110]
웹사이트
かにえ白いちじく街道
https://www.pref.aic[...]
[111]
웹사이트
高島イチジク
https://www.biwako-v[...]
[112]
웹사이트
https://i-koka.jp/74[...]
[113]
뉴스
イチジク甘く熟す 京都・城陽で収穫ピーク
http://www.kyoto-np.[...]
京都新聞
2016-08-31
[114]
웹사이트
大阪府 なにわ特産品 - 大阪いちじく
https://www.pref.osa[...]
[115]
웹사이트
大阪のいちじく名産地から生まれた『ツヅミいちじくソース』は粉もん以外にも大いに使える名ソース!
https://www.shokusen[...]
[116]
웹사이트
川西市 川西のいちじくについての情報 無花果(いちじく)
http://www.city.kawa[...]
[117]
웹사이트
https://www.city.ono[...]
[118]
웹사이트
近畿農政局 奈良産地一覧(奈良北部地域)いちじく
http://www.maff.go.j[...]
[119]
웹사이트
和歌山県 那賀振興局 農林水産振興部 農業水産振興課 イチジク
https://www.pref.wak[...]
[120]
뉴스
尾道ブランド第1号に「蓬莱柿」
http://www.chugoku-n[...]
中国新聞社
2015-10-11
[121]
웹사이트
香川県 農政 イチジク
http://www.pref.kaga[...]
[122]
웹사이트
ゆくゆくゆくはし 旬を迎える、行橋特産の「いちじく」
http://yukuhashi-kan[...]
[123]
서적
世界食物百科
原書房
1998
[124]
뉴스
"[건강정보] 무화과 효능... 소화촉진·변비 개선·강장·암 치료&빈혈·부인병 개선"
http://www.futurekor[...]
2018-11-10
[125]
웹인용
Raw fig production in 2018; Crops/World Regions/Production Quantity from picklists
http://www.fao.org/f[...]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20-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