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렌트쇠위아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렌트쇠위아섬은 노르웨이령의 섬으로, 네덜란드 탐험가 빌럼 바렌츠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스발바르 제도의 일부이며, 면적은 1,288 km²이다. 섬의 상당 부분이 빙하로 덮여 있으며, 최고봉은 슈바인푸르트산이다. 북극곰의 번식지이며, 1973년 남동 스발바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무인도 - 부베섬
남대서양의 외딴 곳에 위치한 빙하로 덮인 순상화산 섬인 부베섬은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섬 중 하나로, 노르웨이의 속령이자 자연보호구역이며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다. - 노르웨이의 무인도 - 노르아우스틀라네섬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은 북극해의 섬으로, 독일군 기상 관측 기지가 있었던 전략적 요충지이며, 빙모와 툰드라 기후, 북극 동물들의 서식지이자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스발바르 제도의 섬 - 비에르뇌위아섬
비에르뇌위아섬은 스발바르 제도에 속하며 바렌츠해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바다코끼리 사냥 기지 및 탄광 개발지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기상 관측소와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고 섬 대부분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스발바르 제도의 섬 - 스피츠베르겐섬
스피츠베르겐섬은 스발바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1596년 빌럼 바렌츠에 의해 발견되었고 스피츠베르겐 조약에 따라 노르웨이 주권 하에 있지만 조약 가입국 시민에게 거주 및 상업 활동의 자유가 보장되며, 석탄 채굴, 관광, 연구가 주요 산업이고 롱이어비엔이 행정 중심지이며 스발바르 국제 종자 저장고가 위치해 있다.
바렌트쇠위아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 |
위치 | 북극해 |
좌표 | 북위 78° 25', 동경 21° 27' |
군도 | 스발바르 제도 |
면적 | 1288 km² |
빙하 면적 | 558 km² |
해안선 길이 | 205 km |
최고점 | 솔베이그도멘 산 |
해발고도 | 666 m |
일반 정보 | |
국가 | 노르웨이 |
인구 | 0명 |
지명 |
2. 역사
이 섬은 오랫동안 스피츠베르겐섬의 일부로 여겨졌으나, 19세기 중반 노르웨이인에 의해 섬임이 밝혀졌다. 섬의 이름은 네덜란드 탐험가 빌럼 바렌츠의 이름을 땄으며, 20세기 초 노르웨이가 공식적으로 지배권을 확립하였다.[1]
2. 1. 초기 역사
17세기 말의 지도에는 바렌트쇠위아섬에 해당하는 해안선이 그려져 있었지만, 오랫동안 스피츠베르겐섬에서 뻗어 나온 반도로 여겨졌다. 1710년경 네덜란드 포경선 선장들은 이 섬을 지도에서 Zuyd Ooster Land|자위트 오스터르 란트nld("남동부 랜드")라고 불렀다.[1] 1858년에 노르웨이인 사냥꾼이 해협을 발견하면서 비로소 섬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현재의 섬 이름은 스발바르 제도를 발견한 네덜란드 탐험가 빌럼 바렌츠의 이름을 딴 것이다. 그러나 정작 바렌츠 자신은 이 섬을 직접 보지 못했다. "바렌츠 란"(Barents Land|바렌츠 란드swe)이라는 이름은 1865년 스웨덴 탐험대 이후에 붙여졌다.[1]
1936년 노르웨이는 섬에 대한 공식적인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해 4개의 오두막을 지었다.[1]
2. 2. 노르웨이령 확립
17세기 말의 지도에는 바렌트쇠위아섬에 해당하는 해안선이 그려져 있었지만, 오랫동안 스피츠베르겐섬에서 뻗어 나온 반도로 여겨졌다. 1858년에 이르러서야 노르웨이인 사냥꾼이 해협을 발견하여 섬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1] 섬의 이름은 스발바르를 발견한 네덜란드 탐험가 빌럼 바렌츠의 이름을 땄지만, 정작 바렌츠 본인은 이 섬을 보지 못했다. '바렌츠 란'이라는 이름은 1865년 스웨덴 탐험대 이후에 붙여진 이름이며, 그 이전인 1710년경 네덜란드 포경선 선장들은 지도에서 이 섬을 Zuyd Ooster Land|자위트 오스터르 란트nl("남동부 랜드")라고 불렀다.[1]1936년 노르웨이는 섬에 대한 공식적인 지배권을 확립하고자 4개의 오두막을 건설하였다.[1]
3. 지리
바렌트쇠위아섬은 스발바르 제도를 구성하는 섬 중 하나로, 에지섬의 북쪽에 위치한다. 섬의 총 면적은 1288km2이며, 이 중 약 43%가 빙하로 덮여 있다.[22] 섬 곳곳에서는 수직으로 깎아지른 달러어라이트의 주상절리 지형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3. 1. 주요 지형

바렌트쇠위아섬은 대략 사각형 모양이며, 최대 길이와 너비는 약 50km이다.[3] 섬의 면적은 1288km2이며, 이 중 약 43%인 500km2 이상이 빙하로 덮여 있다.[22] 섬 표면의 많은 암석은 수백만 년 동안 빙하 작용으로 침식되었다.[22] 수직으로 깎아지른 달러어라이트의 주상절리가 특징적인 지형이다.
섬의 중앙부에는 바렌트쇠쿨렌(Barentsjøkulen)이라는 거대한 빙모가 넓게 펼쳐져 있으며, 면적은 558km2에 달한다. 이 빙모는 여러 개의 큰 빙하로 나뉘어 바다로 흘러든다. 주요 빙하로는 북쪽의 베셀스브린(Wesselsbreen), 서쪽의 덕비츠브린(Duckwitzbreen), 남쪽의 프리먼브린(Freemanbreen), 남동쪽의 휘브너브린(Hübnerbreen)이 있다.[4][5][6][7][8] 특히 프리먼 빙하는 1956년 프리먼 해협으로 갑작스럽게 많은 양의 얼음이 흘러들어 주목받기도 했다. 바렌트쇠쿨렌 빙모에는 피어 귄트슬로테트(Peer Gyntslottet)와 솔베이돔멘(Solveigdomen)이라는 두 개의 큰 얼음 돔이 있으며,[9][10] 이는 헨리크 입센의 희곡 페르 귄트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다. 섬의 최고점은 바렌트쇠쿨렌 동부에 위치한 슈바인푸르트산(Schweinfurthbergetno)으로, 해발 590m이다.[11] 이 산의 이름은 독일 과학자 게오르크 아우구스트 슈바인푸르트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12]
섬 북쪽에는 빙하가 없는 프랑켄할뵈야(Frankenhalvøyano) 반도가 서쪽의 지네브라만(Ginevrabotnen)과 동쪽의 도르스트부크타(Dorstbukta)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13][14] 그림헤이아(Grimheia)는 섬 북부에 약 13km에 걸쳐 뻗어 있는 얼음 없는 산악 지역이다.[15] 섬의 가장 서쪽 끝은 미스타코덴(Mistakodden) 곶이다.[16] 섬 남부에는 크레프트베르겟(Krefftbergetno) 산과 호그린덴(Høgrindenno) 산이 있으며,[17][18] 예페베르겟(Jeppebergetno) 산은 남동쪽에 위치한다.[19] 섬에서 가장 큰 호수로는 헤이마르카(Heimarkano)에 있는 베슬묀사(Veslemjøsano)와 쇼달렌(Sjodalenno) 계곡 및 그림달렌(Grimdalenno) 계곡 사이에 있는 달스킬바트네트(Dalskilvatnetno)가 있다.[20][21]

바렌트쇠위아섬 주변에는 다른 섬과 해협이 있다. 북서쪽으로는 스피츠베르겐섬과의 사이에 큐켄탈섬(Kükenthaløyano)이 있으며, 남서쪽으로는 에지섬과의 사이에 프리먼 해협(Freemansundetno)이 있다. 큐켄탈섬과 스피츠베르겐섬 사이의 해협은 헬레이 해협(Heleysundetno)이라 불리고, 큐켄탈섬과 바렌트쇠위아섬 사이의 좁은 해협은 Ormholet|오름홀레트no("벌레 먹은 구멍"이라는 뜻)이라고 불린다. 이 두 해협은 모두 조류가 매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2. 주변 해역
북서쪽으로는 스피츠베르겐섬과의 사이에 Kükenthaløyanor이 위치하며, 남서쪽으로는 에지섬과의 사이에 Freemansundetnor이 있다. 큐켄탈섬과 스피츠베르겐섬 사이의 해협은 Heleysundetnor이라 불리고, 큐켄탈섬과 바렌트쇠위아섬 사이의 해협은 Ormholetnor("벌레 먹은 구멍"이라는 뜻)라고 한다. 이 두 해협은 모두 조류가 매우 빠른 것이 특징이다.4. 생태계
바렌트쇠위아섬은 에지 섬과 더불어 북극곰의 중요한 번식지이며, 다양한 조류와 포유류가 서식하는 풍부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 때문에 섬 전체가 1973년부터 남동 스발바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4. 1. 주요 서식 동물
에지 섬과 함께 북극곰의 중요한 번식지이며, 1973년에 남동 스발바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그 외에도 약 450마리의 순록이 서식하고 있으며, 북극여우도 많이 발견된다.세가락갈매기는 남동 스발바르 자연 보호 구역을 대표하는 바닷새 중 하나로, 바렌트쇠위아섬에도 대규모 번식지가 존재한다. 그 밖에 흰뺨기러기, 흰갈매기, 바다쇠오리, 바다오리 등 다양한 조류가 서식한다.
섬 북부에는 북극 송어가 서식하는 호수가 있지만, 이곳에서의 낚시는 금지되어 있다.
4. 2. 기타
에지 섬과 함께 북극곰의 중요한 번식지이며, 1973년에 남동 스발바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이 섬에는 약 450마리의 순록과 많은 북극여우도 서식하고 있다.세가락갈매기는 남동 스발바르 자연 보호 구역의 대표적인 바닷새로, 바렌트쇠위아섬에도 대규모 번식지가 있다. 그 외에도 흰뺨기러기, 흰갈매기, 바다쇠오리, 바다오리 등이 서식한다.
섬 북부에는 북극 송어가 서식하는 호수가 있지만, 낚시는 금지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arentsøya
https://snl.no/Baren[...]
Store norske leksikon
2016-11-01
[2]
문서
C. Michael Hogan, 2008
[3]
웹사이트
Barentsøya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4]
웹사이트
Barentsjøkulen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5]
웹사이트
Besselsbreen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6]
웹사이트
Duckwitzbreen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7]
웹사이트
Freemanbreen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8]
웹사이트
Hübnerbreen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9]
웹사이트
Peer Gyntslottet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10]
웹사이트
Solveigdomen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11]
웹사이트
Schweinfurthberget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12]
서적
Arctic Pilot: Sailing directions Svalbard–Jan Mayen
The Norwegian Hydrographic Service and The Norwegian Polar Institute
[13]
웹사이트
Frankenhalvøya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14]
웹사이트
Dorstbukta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15]
웹사이트
Grimheia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16]
웹사이트
Mistakodden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17]
웹사이트
Krefftberget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18]
웹사이트
Høgrinden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19]
웹사이트
Jeppeberget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20]
웹사이트
Veslemjøsa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21]
웹사이트
Dalskilvatnet (Svalbard)
http://placenames.np[...]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5-02-12
[22]
문서
Svalbard Imag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