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아우스틀라네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은 스발바르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영국 해마 사냥꾼들에 의해 1617년에 처음 발견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의 기상 관측대가 주둔하기도 했다. 섬 면적의 약 80%는 빙하로 덮여 있으며,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빙하인 아우스트포나가 위치한다. 섬은 4개의 지역으로 나뉘며, 북동 스발바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무인도 - 부베섬
남대서양의 외딴 곳에 위치한 빙하로 덮인 순상화산 섬인 부베섬은 세계에서 가장 고립된 섬 중 하나로, 노르웨이의 속령이자 자연보호구역이며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다. - 노르웨이의 무인도 - 바렌트쇠위아섬
바렌트쇠위아섬은 스발바르 제도 최남단에 위치한 섬으로, 빌럼 바렌츠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빙하 지형과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남동 스발바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스발바르 제도의 섬 - 비에르뇌위아섬
비에르뇌위아섬은 스발바르 제도에 속하며 바렌츠해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바다코끼리 사냥 기지 및 탄광 개발지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기상 관측소와 라디오 방송국이 운영되고 섬 대부분이 자연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 - 스발바르 제도의 섬 - 스피츠베르겐섬
스피츠베르겐섬은 스발바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1596년 빌럼 바렌츠에 의해 발견되었고 스피츠베르겐 조약에 따라 노르웨이 주권 하에 있지만 조약 가입국 시민에게 거주 및 상업 활동의 자유가 보장되며, 석탄 채굴, 관광, 연구가 주요 산업이고 롱이어비엔이 행정 중심지이며 스발바르 국제 종자 저장고가 위치해 있다.
노르아우스틀라네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위치 | 북극해 |
군도 | 스발바르 제도 |
면적 | 14443 km2 |
빙하 면적 | 11009 km2 |
순위 | 58번째 |
해안선 길이 | 1688 km |
최고점 | 스뇌토펜 |
해발고도 | 764 m |
국가 | 노르웨이 |
행정 구역 이름 | 자치령 |
행정 구역 | 스발바르 제도 |
인구 | 0명 |
추가 정보 | |
노르웨이어 이름 | Nordaustlandet |
2. 역사
영국 해마 사냥꾼들이 1617년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의 남쪽 지점을 처음 발견한 이후, 여러 차례 탐험과 지도 제작이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모스크바 회사의 지도에 'Sir Thomas Smyth's Iland'로 표기되었으며, 이후 네덜란드 지도 제작자들에 의해 'Oostlandt', 'Het Noord Ooster Land' 등으로 불리며 점차 정확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군이 이 섬에 주둔하기도 했다. 1944년 8월, 11명의 독일군이 날씨 보고를 위해 파견되었는데, 이들은 나치의 항복 소식을 라디오를 통해 접하고 본국에 귀환을 요청했으나 오랫동안 응답을 받지 못했다. 결국 노르웨이가 보낸 포경선에 의해 구조되었다.[1]
2. 1. 초기 발견과 지도 제작
영국 해마 사냥꾼들은 1617년에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의 남쪽 지점을 처음 발견했다. 이 발견은 1625년 ''Muscovy Company's map''(1622년 이전의 발견을 기반으로 함)에 Sir Thomas Smyth's Iland|Sir Thomas Smyth's Iland영어로 표기되었으며, 북쪽의 케이프(''Point Purchas'')도 표시되었다. 1662년 네덜란드 지도에서는 이 섬이 처음으로 Oostlandt|Oostlandtnl(동쪽 땅)라는 이름으로 불렸고, 다음 해 또 다른 네덜란드 지도에서는 서쪽과 북쪽 해안선을 더 뚜렷하게 표시하여 Sjuøyane에서 분리했다. 1710년의 네덜란드 지도에는 섬이 처음으로 정확하게 표시되어 Het Noord Ooster Land|Het Noord Ooster Landnl(북동쪽 땅)라고 명명되었다.2. 2. 제2차 세계 대전과 독일군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4년 9월, 독일 해군 기상 관측대가 노르아우스틀라네섬에 상륙하여 하우데겐 작전에 따라 관측 거점을 설치했다.[1] 1945년 5월 독일이 항복한 후에도 관측을 계속하던 이들은, 1945년 9월 4일 노르웨이 당국이 파견한 물개 사냥 어선에 의해 구조되었다.[1] 하우데겐 관측대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마지막으로 항복한 독일군 부대로 기록되었다.[1]3. 지리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은 다양한 지질 시대를 반영하는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부는 대리석, 석영암, 운모 편암, 편마암, 화강암 등 오래된 결정질 기반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레이디 프랭클린피오르덴 동쪽, 보트니아할브외야 반도와 듀베피오르덴 동쪽에는 화산암이, 리이프피오르덴 동쪽과 남쪽에는 붉은색 화강암이 분포하며, 이 화강암은 후기 실루리아기에 형성되었다.[1]
카프 라우라, 스토뢰야 섬, 크비토야 섬 동부에서는 실루리아기 층상 반려암과 돌러라이트가 발견된다. 안드레에네세트와 크비토야 섬 남부에서는 편마암과 화강암이 흔하다. 아우스트포나 동쪽 이시스퓐텐에는 편마암, 각섬암, 회색 및 분홍색 화강암 등 4세대 암석이 존재한다. 발렌베르그피오르덴 남쪽에는 탄산염 및 페름기 퇴적암(주로 석회암과 백운암)이 넓게 분포한다. 쥐라기-백악기 돌러라이트 암맥은 로고야 섬과 브레네빈스피오르덴 출구 기반암을 관입한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의 가장 젊은 암석이다.[1]
섬의 미고결 퇴적물은 스크리 경사면, 블록 지대 및 융기된 해안 퇴적물로 구성되며, 강 퇴적물은 소량이다. 가장 큰 스트란드플랫은 북서쪽, 머치슨피오르덴 주변, 로고야 섬에서 발견된다. 남부 스바르트크나우스플리야는 브로스벨브레엔 빙하 서쪽에 위치한 또 다른 큰 스트란드플랫으로, 최대 120m 높이까지 융기된 해안 퇴적물이 있으며, 오늘날 해수면에서 70m 높이에서 고대 고래 뼈가 발견되었다. 스바르트크나우스플리야는 약 70km2 면적의 노르아우스틀라네섬 최대 모레인 지역이다.[1]
3. 1. 지형과 빙하
스피츠베르겐섬과는 대조적으로,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은 전체적으로 완만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해발 400m 미만의 지역이 많으며, 최고점은 Snøtoppenno(해발 764m)이다.섬에는 Austfonnano, Vestfonnano, Sørfonnano라고 불리는 3개의 빙모 (50,000km2 이하의 빙괴)가 있으며, 섬 면적의 8할을 덮고 있다. 특히 Austfonnano는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빙모이다 (가장 큰 것은 아이슬란드의 바트나외쿨 빙하이다).[1]
얼음이 없는 일부 지역은 툰드라이지만, 식생은 매우 빈약하다. 암석 표면을 지의류가 덮고 있으며, 드문드문 풀과 꽃이 자란다. 북극여우, 순록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해안에는 바다코끼리가 있다.[1]
빙하 활동은 여러 빙하기를 거쳐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의 지형을 형성했다. 완만한 고원과 둥근 산이 가장 흔하게 보인다. 가장 높고 가파른 산은 최대 600 m.a.s.l.로, 북부에서 발견된다.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의 동부는 빙하로 덮여 있으며, 얼음이 없는 지역은 거의 없다. 비베부크타와 카프 라우라 사이에는 아우스트포나 빙모의 가파른 전선이 지배적이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빙하가 약간 후퇴하면서 이 주변에서 발견될 수 있는 몇몇 곶(예: 이시스퓐텐)에서 새로운 육지가 드러났다. 베가포나를 포함한 아우스트포나는 8450km2 면적에 걸쳐 있으며,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의 약 58%를 덮고 있다. 베스트포나는 2445km2 면적이다. 얼음이 없는 가장 넓은 지역은 아우스트포나와 베스트포나 사이, 그리고 노르아우스틀라네섬 북부와 북서부의 반도에 있다.[1]
브로스벨브레엔 빙하는 베스트포나의 지류이다. 1937-1938년에 스발바르에서 기록된 가장 큰 급증 중 하나가 발생했는데, 30km 너비의 빙하 전선이 20km 전진하여 바다로 들어갔다.[1]
3. 2. 동식물과 자연 보호
섬의 얼음이 없는 일부 지역은 툰드라이지만, 식생은 매우 빈약하다. 암석 표면을 지의류가 덮고 있으며, 드문드문 풀과 꽃이 자란다. 북극여우, 순록 등이 서식하고 있으며, 해안에는 바다코끼리가 있다.섬 전체가 북동 스발바르 자연 보호 구역(Nordaust-Svalbard naturreservatno)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출입에는 총독부의 허가가 필요하다. 건설·채굴 등은 금지되어 있다.[1]
4. 지질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은 다양한 암석과 지질 시대, 그리고 빙하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섬 북부는 오래된 결정질 기반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리석, 석영암, 운모 편암, 편마암, 화강암 등이 발견된다. 레이디 프랭클린피오르덴 동쪽 등 일부 지역에는 화산암도 분포한다. 리이프피오르덴 동쪽과 남쪽에는 붉은색 화강암이, 발렌베르그피오르덴 남쪽에는 석회암과 백운암 등 탄산염 및 페름기 퇴적암이 넓게 분포한다. 섬에서 가장 젊은 암석은 로고야 섬과 브레네빈스피오르덴 출구에서 발견되는 쥐라기-백악기 돌러라이트 암맥이다.[1]
빙하 활동은 여러 빙하기를 거쳐 섬의 지형을 형성했다. 완만한 고원과 둥근 산이 흔하며, 동부는 대부분 빙하로 덮여 있다. 얼음이 없는 가장 넓은 지역은 아우스트포나와 베스트포나 사이, 그리고 섬 북부와 북서부의 반도에 위치한다. 브로스벨브레엔 빙하는 1937-1938년에 크게 전진하여 바다로 들어간 기록이 있다.[1]
섬의 미고결 퇴적물은 스크리 경사면, 블록 지대, 융기된 해안 퇴적물 등으로 구성되며, 강 퇴적물은 소량 존재한다. 가장 큰 스트란드플랫은 북서쪽, 머치슨피오르덴 주변, 로고야 섬 등에서 발견된다. 남부의 스바르트크나우스플리야는 융기된 해안 퇴적물과 큰 모레인 지역이 특징이다.[1]
4. 1. 암석 유형과 지질 시대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의 암석은 여러 지질 시대에 걸쳐 형성되었다. 북부 지역은 대리석, 석영암, 운모 편암, 편마암, 화강암과 같은 오래된 결정질 기반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이디 프랭클린피오르덴 동쪽, 보트니아할브외야 반도와 듀베피오르덴 동쪽에는 화산암이 분포한다. 리이프피오르덴 동쪽과 남쪽의 기반암은 붉은색 화강암인데, 이 화강암은 후기 실루리아기에 만들어졌다.실루리아기의 층상 반려암과 돌러라이트는 노르아우스틀라네섬 최동단의 카프 라우라, 스토뢰야 섬, 크비토야 섬 동부에서 볼 수 있다. 안드레에네세트와 크비토야 섬 남부에서는 편마암과 화강암이 가장 흔하다. 아우스트포나 동쪽의 곶인 이시스퓐텐에는 편마암, 각섬암, 회색 및 분홍색 화강암 등 4세대 암석이 있다. 발렌베르그피오르덴 남쪽에는 탄산염 및 페름기의 퇴적암(주로 석회암과 백운암)이 넓게 분포한다. 노르아우스틀라네섬에서 가장 젊은 암석은 쥐라기-백악기 돌러라이트 암맥으로, 로고야 섬과 브레네빈스피오르덴 출구의 기반암을 관입한다.[1]
4. 2. 지형 형성 과정
빙하 활동은 여러 빙하기를 거쳐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의 지형을 형성했다. 완만한 고원과 둥근 산이 가장 흔하게 보인다. 가장 높고 가파른 산은 북부에서 발견되며, 최대 600 m.a.s.l.이다.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의 동부는 빙하로 덮여 있으며, 얼음이 없는 지역은 거의 없다. 비베부크타와 카프 라우라 사이에는 아우스트포나 빙모의 가파른 전선이 지배적이다. 최근 수십 년 동안 빙하가 약간 후퇴하면서 이 주변에서 발견될 수 있는 몇몇 곶(예: 이시스퓐텐)에서 새로운 육지가 드러났다.[1]노르아우스틀라네섬에서 가장 큰 스트란드플랫은 북서쪽, 머치슨피오르덴 주변, 그리고 로고야 섬에서 발견된다. 또 다른 큰 스트란드플랫은 브로스벨브레엔 빙하 바로 서쪽에 위치한 남부의 스바르트크나우스플리야이다. 여기에는 최대 120 m.a.s.l.까지 융기된 해안 퇴적물이 있는데, 고대 고래 뼈가 오늘날의 해수면에서 70m 높이에서 발견되었다. 스바르트크나우스플리야는 또한 노르아우스틀라네섬에서 가장 큰 모레인 지역으로, 약 70km2 면적을 차지한다.[1]
5. 지역 구분
노르아우스틀라네섬은 학술적으로 크게 4개 지역으로 나뉜다. 이 지역들은 섬 남동부를 덮고 있는 아우스트포나(Austfonna)를 제외한 지역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 구스타브 5세 란드(Gustav V Land): 섬 북서부 지역으로, 베스트포나(Vestfonna) 빙하가 있다. 구스타프 5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구스타브 아돌프 란드(Gustav Adolf Land): 섬 남서부 지역으로, 구스타프 6세 아돌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프린스 오스카르 란드(Prins Oscars Land): 섬 북부 지역으로, 오스카르 2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오르빈 란드(Orvin Land): 섬 동부 북안 지역으로, 지질학자 안데르스 크리스티안 오르빈(Anders Kristian Orvin)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5. 1. Gustav V Land
Gustav V Landno는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5세를 기리는 북서부 지역으로, Vestfonnano 빙하가 위치한다.5. 2. Gustav Adolf Land
Gustav Adolf Landno는 스웨덴 국왕 구스타프 6세 아돌프를 기리는 노르아우스틀라네섬 남서부 지역이다.5. 3. Prins Oscars Land
오스카르 2세를 기리는 북부 지역이다.5. 4. Orvin Land
Orvin Landno는 노르웨이 지질학자 안데르스 크리스티안 오르빈(Anders Kristian Orvin)을 기리는 동부 북안 지역이다.[1]6. 대한민국의 북극 정책과 노르아우스틀라네섬
이전 결과물은 원본 소스가 비어 있어 내용을 생성할 수 없다는 안내였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과 동일하게 출력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으므로, 대한민국의 북극 정책과 노르아우스틀라네섬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빈 소스에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요약(summary)이 주어졌더라도 내용을 생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참조
[1]
간행물
Den sista tyska kapitulationen
Bonnier Publications International
[2]
서적
北極・南極探検の歴史 極限の世界を体感する19のアクティビティ
丸善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