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극여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극여우는 "토끼발여우"라고도 불리며, 털갈이를 통해 계절에 따라 털 색깔이 변하는 개과 동물이다. 여름에는 갈색과 회색, 겨울에는 흰색 또는 푸른색 털을 가지며, 추위에 강한 적응력을 보인다. 툰드라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레밍과 같은 설치류를 주로 먹고, 북극곰이나 붉은여우에게 위협을 받는다. 과거 모피 거래로 개체수가 감소하였으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어, IUCN에 의해 관심 대상 종으로 분류되지만, 일부 지역 개체군은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극의 포유류 - 회색늑대
    회색늑대(Canis lupus)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는 개과 포유류로, 1758년 린네에 의해 처음 개와 구별되었으며 무리 생활, 의사소통, 뛰어난 사냥 능력을 특징으로 한다.
  • 아이슬란드의 포유류 - 점박이물범
    점박이물범은 물범과의 포유류로, 전 세계에 서식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다.
  • 아이슬란드의 포유류 - 북숲쥐
    북숲쥐는 숲, 초원 등 다양한 서식지에 분포하며 씨앗, 곤충 등을 먹고, 여우, 뱀 등을 천적으로 가지며, 번식은 2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진다.
  • 그린란드의 포유류 - 밍크고래
    밍크고래는 긴수염고래과에 속하는 고래로, 과거에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일반 밍크고래와 남극 밍크고래 두 종으로 분류되며, 몸집이 작고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여 사람에게 접근하기도 하지만, 상업적 포경으로 인해 보존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그린란드의 포유류 - 혹등고래
    혹등고래는 긴수염고래과의 수염고래로, 큰 가슴지느러미와 등에 있는 혹으로 구별되며, 전 세계 바다에 분포하고 회유하는 동물로, 과거 포경으로 개체 수가 급감했으나 현재는 회복 중이지만, 일부 개체군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위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북극여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북극 여우
북극 여우
학명Vulpes lagopus
이명Alopex lagopus (린네, 1758)
Canis lagopus (린네, 1758)
Canis fuliginosus (베히슈타인, 1799)
Canis groenlandicus (베히슈타인, 1799)
Vulpes arctica (오켄, 1816)
Vulpes hallensis (메리엄, 1900)
Vulpes pribilofensis (메리엄, 1903)
Vulpes beringensis (메리엄, 1903)
한국어 이름북극여우, 흰여우
영어 이름Arctic fox
보전 상태최소 관심종
분포 지역북극 지역
생태
몸길이46 ~ 68 cm
서식지캐나다 유콘 준주 허셜 섬
사회 구조일부일처제에서 복잡한 사회 조직으로 다양함
분류학적 정보
개과
여우속
기타

2. 특징

여름에 북극 여우의 털은 주로 갈색과 회색을 띤다.


북극여우의 학명(Alopex lagopus)은 "토끼발여우"라는 의미를 지니는데, 이는 북극토끼의 발처럼 북극여우의 앞발에도 빽빽한 털이 나 있기 때문이다. 외형은 전형적인 여우와 비슷하지만, 붉은여우에 비해 머리와 주둥이가 다소 뭉툭한 편이다.

북극여우는 개과 동물 중 유일하게 계절에 따라 털갈이를 통해 털 색깔을 바꾸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름에는 주변 툰드라 환경에 맞춰 갈색과 베이지색이 섞인 보호색을 띠며, 겨울에는 추위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눈 속에서 위장하기 위한 두꺼운 털로 바뀐다.

겨울털은 크게 두 가지 색상 형태로 나뉜다. 하나는 겨우내 순백색을 띠는 "하얀여우"이고, 다른 하나는 밝은 회색부터 어두운 푸른색, 심지어 검은색까지 다양한 색을 보이는 "푸른여우"이다. 털 색깔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지역에 따라 분포 비율이 다르다. 예를 들어 캐나다 북부 지역에서는 하얀여우가 압도적으로 많지만, 알류산 열도 등 일부 지역에서는 푸른여우가 더 흔하게 발견된다. 남부 그린란드에서는 두 형태의 비율이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눈 덮인 환경에서의 위장 효과 때문에 하얀여우가 더 널리 퍼져 있다.

북극여우는 극한의 추위에 매우 잘 적응한 동물이다. 몸 전체 털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매우 빽빽한 솜털은 탁월한 보온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사막여우와 달리 귀가 작고, 주둥이와 다리가 짧으며 몸집이 둥근 편인데, 이는 신체 표면적을 줄여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응이다. 이러한 신체적 특징과 뛰어난 방한 능력 덕분에 혹독한 극지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생존한다.

2. 1. 외형



북극여우의 학명은 "토끼발여우"를 의미하는데, 이는 북극여우의 앞발이 북극토끼처럼 빽빽한 털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외형은 전형적인 여우와 비슷하지만, 붉은여우에 비해 머리와 주둥이가 더 뭉툭한 형태를 가진다.

수컷의 평균 머리-몸 길이는 55cm (범위 46cm 에서 68cm)이며, 암컷은 평균 52cm (범위 41cm 에서 55cm)이다.[33][31] 일부 지역에서는 암수 간 크기 차이가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꼬리 길이는 암수 모두 약 30cm이며, 어깨 높이는 25cm 에서 30cm이다.[32] 평균적으로 수컷의 몸무게는 3.5kg (범위 3.2kg 에서 9.4kg)이고, 암컷은 평균 2.9kg (범위 1.4kg 에서 3.2kg)이다.[33]

북극여우는 개과 동물 중 유일하게 계절에 따라 털갈이를 통해 털 색깔을 바꾸는 특징을 지닌다. 여름에는 머리, 등, 꼬리, 다리 부분이 갈색을 띠고 옆구리와 배는 밝은 베이지색으로 변한다. 이 변화는 7~8월에 가장 뚜렷하며, 겨울털보다 짧은 여름털은 툰드라 환경에서 효과적인 보호색 역할을 한다.

여름털은 모든 개체가 동일하지만, 겨울털은 흰색과 푸른색의 두 가지 다형성을 보인다.[15] 이에 따라 각각 "하얀여우"와 "푸른여우"로 불린다. 하얀여우는 겨울 동안 순백색 털을 유지하는 반면, 푸른여우는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푸른색, 심지어 검은색에 가까운 어두운 털 색깔을 띤다. 털 색깔은 유전적으로 결정되며 지역에 따라 분포 비율이 다르다. 예를 들어, 캐나다의 누나부트노스웨스트 지역에서는 흰색 형태가 압도적으로 많아(99%) 푸른색 형태는 내륙에서 1%, 해안 및 극지 섬에서 5% 정도만 차지한다.[13][17] 반면 알류산 열도와 프리빌로프 제도에서는 푸른색 형태가 더 흔하게 발견된다. 남부 그린란드에서는 두 형태의 비율이 비슷하다. 유전적으로 푸른색 대립유전자가 흰색 대립유전자에 대해 우성이지만, 흰색 형태는 눈 덮인 환경에서 더 나은 보호색을 제공하여 자연선택을 통해 보존된 것으로 보인다.[13][17] MC1R 유전자의 두 가지 유사한 돌연변이가 푸른색 털과 계절적 색상 변화 부재의 원인으로 밝혀졌다.[23]

북극여우는 극한의 추위 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다양한 적응을 보여준다. 사막여우와 달리 귀가 작고, 주둥이와 다리가 짧으며 몸 전체가 콤팩트한 형태를 띠는데, 이는 표면적 대 부피비를 낮춰 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25] 이러한 신체적 특징은 알렌 법칙의 예시로 볼 수 있다.

또한, 북극여우는 매우 빽빽하고 두꺼운 털을 가지고 있어 뛰어난 단열 효과를 자랑한다. 전체 털의 약 70%가 속털(솜털)로 이루어져 있으며(붉은여우는 50%), 이는 다른 어떤 포유류보다도 우수한 보온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실험 결과 북극여우는 -80°C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며, 기온이 -70°C까지 내려가야 비로소 몸을 떨기 시작한다고 한다.[33][22] 발바닥까지 털로 덮여 있는 유일한 개과 동물이라는 점, 의 동결을 막기 위한 대향류 열교환계, 그리고 충분한 체지방 저장 능력 역시 혹독한 극지 환경에 적응한 결과이다.

2. 2. 털 색깔



북극여우는 계절에 따라 털갈이를 통해 털 색깔을 바꾸는 유일한 개과 동물이다.[15] 여름에는 머리, 등, 꼬리, 다리가 갈색을 띠고 옆구리와 배는 밝은 베이지색으로 변한다. 이 변화는 7월에서 8월 사이에 가장 뚜렷하며, 겨울털보다 짧은 여름털은 툰드라 환경에서 효과적인 보호색 역할을 한다.

여름털의 색깔은 모든 북극여우가 동일하지만, 겨울털은 크게 두 가지 유전적 다형성을 보인다: 흰색과 푸른색.[15] 하나는 순백색 털을 가진 '하얀여우'이고, 다른 하나는 푸른빛이 도는 어두운 털을 가진 '푸른여우'이다. 푸른여우의 털 색깔은 연중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푸른색, 갈색, 심지어 검은색까지 다양하다.[15] 유전적으로는 푸른색 대립유전자가 흰색 대립유전자보다 우성이지만[13][17], 실제 북극여우 개체수의 약 99%는 흰색 형태이다.[13][17] 이는 흰색 털이 겨울철 눈 덮인 환경에서 더 나은 계절 위장을 제공하여 자연선택에서 유리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MC1R 유전자의 두 가지 유사한 돌연변이가 푸른색 털과 계절적 색상 변화의 부재를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3]

털 색깔의 분포는 지역적으로 차이를 보인다. 캐나다의 누나부트 준주노스웨스트 준주에서는 하얀여우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푸른여우는 내륙에서 1%, 해안 및 극지 섬에서 5% 정도만 차지한다. 반면, 미국의 알류산 열도와 프리빌로프 제도에서는 푸른여우가 더 많이 분포한다. 그린란드 남부 지역에서는 하얀여우와 푸른여우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난다.

북극여우의 털은 어떤 포유류보다도 최고의 단열 효과를 제공한다.[24] 전체 털의 약 70%를 차지하는 빽빽하고 다층으로 이루어진 솜털[33][22] 덕분에 극한의 추위에서도 체온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험에 따르면 북극여우는 -80°C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며, 기온이 -70°C까지 떨어져야 비로소 몸을 떨기 시작한다.[33][22] 또한, 북극여우는 발바닥까지 털로 덮여 있는 유일한 개과 동물로[22], 이는 눈이나 얼음 위를 걸을 때 발을 보호하고 보온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3. 방한 능력

북극여우는 지구상에서 가장 혹독한 추위에도 잘 적응한 동물로, 기온이 -70°C까지 떨어져야 떨기 시작할 정도이다.[33][22] 실험 결과 -80°C에서도 생존 가능함이 밝혀졌으며, 이는 외부 환경과 내부 체온 사이의 온도 차이를 최대 90°C까지 견딜 수 있음을 의미한다.[14]

이러한 뛰어난 방한 능력은 여러 신체적, 생리적, 행동적 적응 덕분이다. 우선, 북극여우는 표면적 대 부피비를 낮추는 신체 구조를 지녔다. 몸집이 콤팩트하고 둥글며, 사막여우와 달리 귀가 작고 두껍고, 주둥이와 다리도 짧다.[25] 이는 추위에 노출되는 표면적을 줄여 체온 손실을 최소화한다.

털이 복슬복슬한 꼬리를 몸에 감고 얼굴 위로 덮은 채 잠든 북극여우


북극여우의 은 어떤 포유류보다도 뛰어난 단열 효과를 제공하는데,[24] 전체 털의 약 70%를 차지하는 빽빽한 솜털 덕분이다. 이는 붉은여우의 솜털 비율(약 50%)보다 훨씬 높다. 또한, 북극여우는 발바닥까지 털로 덮여 있는 유일한 개과 동물이다.

생리적으로는 의 동상을 막는 대향류 열교환계를 갖추고 있으며, 가을에는 체지방을 축적하여 체중을 50% 이상 늘리기도 한다. 이 지방층은 겨울철 단열 효과를 높이고 부족한 먹이를 대체할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49]

행동을 통해서도 열 손실을 최소화한다. 추울 때는 다리와 머리를 몸 아래로 집어넣고 털이 많은 꼬리로 몸을 감싸 웅크린다.[14] 이 자세는 몸의 표면적을 최소화하여 열이 빠져나가기 쉬운 부위를 보호한다. 또한 바람을 피할 수 있는 에서 생활하며,[15][14] 겨울잠을 자지는 않지만 겨울철에는 활동량을 줄여 에너지를 보존한다.[15][16]

3. 서식처

북극여우는 극지 주변, 수목한계선 북쪽의 북극권 전역에 분포한다. 분포 지역은 북유럽(스칸디나비아, 스발바르 제도, 아이슬란드, 얀마옌 섬[39] 등), 북아시아(러시아, 시베리아, 베링 해의 섬들 등), 북아메리카(캐나다 북부, 알래스카(미국), 그린란드)를 포함한다.[1] 캐나다의 경우 허드슨 만까지 남하하며, 앨버타, 서스캐처원, 매니토바, 온타리오, 퀘벡,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의 북부 북방림에서도 발견된다.[40] 알래스카의 케나이 반도에도 서식한다.

주된 서식지툰드라북극해유빙이며, 때때로 먹이를 찾아 북방침엽수림까지 남하하기도 한다. 해발 3000m 고도까지 발견되고 북극점 근처 해빙에서도 관찰된다.[41]

서식 환경에 따라 털 색깔 변이가 나타나는데, 흰색 털을 가진 개체는 주로 눈 덮인 내륙 툰드라에 서식하며 위장 효과를 높이고, 푸른빛이 도는 회색 털(블루 변이)을 가진 개체는 주로 어두운 절벽과 바위가 많은 해안가에 서식한다.[17]

전 세계적으로 북극여우의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나, 스칸디나비아 본토(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의 개체군은 수십 년간의 보호 노력에도 불구하고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성체 수가 약 120마리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툰드라에서는 붉은여우와 경쟁 관계에 있으며, 최근 붉은여우의 북상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새끼가 포식당하는 경우도 있다. 질병 또한 어린 개체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3. 1. 이주

북극여우는 활동적이며, 새로운 환경을 찾기 위해 육지와 얼음 위를 장거리 이동할 수 있다. 원래 살던 서식지를 떠나 2000km를 이동한 개체가 보고된 바 있다.

겨울 동안 북극여우의 95.5%는 자신의 활동 영역 내에서 이루어지는 통근 이동을 한다. 이러한 통근 이동은 3일 미만 지속되며, 한 달에 0~2.9회 발생한다. 여우의 3.4%는 새로운 영역으로 이동하는 유목 생활을 하며, 1.1%는 새로운 영역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원래 활동 영역으로 돌아오는 루프 이동을 한다. 유목 생활과 이동을 하는 캐나다의 북극여우는 캐나다 북극 제도에서 그린란드와 캐나다 북서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동 기간과 거리는 수컷과 암컷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44]

먹이 가용성은 이동 패턴에 영향을 미친다. 거위 서식지(주로 해안에 위치) 근처에 사는 북극여우는 이동할 가능성이 낮다. 반면, 레밍 개체수가 적은 지역의 여우는 해빙을 따라 이동할 가능성이 더 높다. 많은 북극여우는 자신의 영역을 지키기 위해 한 곳에 정착하는 생활을 한다. 이동하는 여우는 정착한 여우보다 사망률이 3배 이상 높으며, 나이가 들수록 유목 생활을 하는 경향이 더 커진다.[44]

3506


2018년 노르웨이 극지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GPS 추적 장치를 부착한 어린 암컷 북극여우의 장거리 이동을 보고했다. 이 여우는 스발바르 제도스피츠베르겐섬 동해안에서 출발하여 21일 만에 극지 얼음을 건너 그린란드까지 1512km를 이동했다. 이후 캐나다 북부의 엘즈미어섬까지 계속 이동하여, 총 76일 동안 3506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한 후 추적 장치가 멈췄다. 이 여우는 하루 평균 46km 이상을 이동했으며, 가장 빠른 날에는 155km를 이동하기도 했다.[63][64][45][46]

이러한 연구는 북극여우의 이동 능력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빙 감소 문제와 이것이 북극여우의 이동 경로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시사한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해 북쪽으로 서식지를 넓히는 붉은여우와의 경쟁 심화 및 포식 위험 증가도 북극여우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65][66]

북극여우는 역사적으로도 먼 거리를 이동해왔다. 아이슬란드에 서식하는 유일한 토착 육상 포유류인 북극여우는 마지막 빙하기 말에 얼어붙은 바다를 건너 이 섬에 도착한 것으로 여겨진다.[42] 당시 북극여우의 분포 범위는 현재보다 훨씬 넓었으며, 유럽시베리아 대부분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다.[1]

한편, 19세기 후반에는 인간에 의해 알래스카 남서부의 알류샨 열도에 북극여우가 도입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개체군은 해당 지역 조류 개체군 보호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현재 제거되고 있다.[1]

4. 생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함)

4. 1. 먹이

겨울에 북극여우의 털은 흰색이다.


북극여우의 주식은 레밍을 비롯한 설치류이며, 이들의 개체 수 변동은 북극여우 개체 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서식지에 따라 노르웨이레밍(''Lemmus lemmus''), 북극레밍(''Dicrostonyx torquatus''), 시베리아갈색레밍(''Lemmus sibiricus''), 툰드라밭쥐(''Microtus oeconomus''), 큰밭쥐(''Myodes rufocanus'') 등을 주로 사냥한다.[49] 레밍이 풍부한 지역에서는 북극여우 한 가족이 하루에 수십 마리를 먹기도 한다. 뛰어난 후각으로 두꺼운 눈 아래의 설치류 둥지나 터널 입구를 찾아내고, 땅이나 눈을 빠르게 파헤쳐 사냥한다. 여름에는 눈이 녹은 툰드라에서 사냥 활동을 한다.

설치류 외에도 극지에서 번식하는 조류의 알과 병아리, 토끼, 물고기 등 다양한 작은 동물을 먹는다. 해안가에서는 떠내려온 동물의 사체나 패각류를 먹기도 한다. 북극곰이나 북극늑대가 먹다 남긴 찌꺼기를 먹는 청소동물이며, 먹이가 부족할 때는 곤충, 열매, 해초, 심지어 다른 동물의 배설물까지 먹는 잡식성이다.[19] 큰 툰드라 조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새의 알을 노리는 중요한 포식자이기도 하다.[20]

연어와 함께 있는 북극여우(여름 형태)


사냥 방식은 다양하다. 눈 속에 구멍을 파고 숨어 있다가 눈 아래에서 활동하는 나그네쥐 등을 매복하여 잡기도 한다. 설치류가 부족하면 새를 집중적으로 사냥한다. 4월과 5월에는 눈 속 굴에 갇혀 움직임이 둔한 어린 바다표범을 사냥하기도 하며, 때로는 북극곰의 사냥 방식을 모방하여 직접 어린 점박이물범을 사냥하기도 한다. 북극곰은 성체와 어린 개체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물범류를 사냥하지만, 북극여우는 주로 어린 점박이물범만을 노린다. 먹이를 얻기 위해 북극곰을 따라다니는 모습도 자주 관찰된다.

혹독한 겨울과 식량 부족에 대비하여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 캐나다에서는 눈기러기 알을 시간당 2.7~7.3개 속도로 모아 80~97%를 저장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저장된 알은 1년 후에도 섭취 가능하며, 저장 60일 후에도 에너지 감소는 11%에 불과하다. 여름에 저장한 알은 다음 해 봄 번식기 전에 중요한 식량원이 된다.[21] 또한, 피하 및 내장 지방을 축적하여 에너지를 비축한다. 겨울 시작 시점에 평균 체중 3.5kg의 북극여우는 지방만으로 약 14,740 kJ의 에너지를 저장하며, 생존을 위해 하루 약 471 kJ가 필요하다.

때로는 북극여우끼리 먹이를 빼앗거나, 부상당한 동족을 공격하여 먹는 공식 행위도 나타난다. 인간의 시체를 먹은 기록도 있다. 알류샨 열도에서는 북극여우가 무덤을 파헤쳐 미라화된 시신의 가죽을 먹었다는 보고가 있으며, 1741년 베링섬에 좌초된 베링 탐험대원 중 괴혈병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이 북극여우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4. 2. 번식

북극여우는 번식과 새끼 양육을 위해 늦겨울에 보금자리인 굴을 만든다. 이들은 주로 영구동토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강가나 호숫가의 진흙 또는 모래 언덕, 서리가 없고 약간 솟아 있는 땅을 선호하며, 과거 빙하 지역에 퇴적된 긴 에스커 언덕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많다.[49] 굴은 접근성이 좋고 입구가 많으며, 눈과 얼음이 없어 파기 쉬운 곳에 만든다. 특히 햇빛을 향하도록 만들어 굴 내부를 더 따뜻하게 유지하며, 포식자, 특히 붉은여우를 피해 재빨리 도망갈 수 있도록 크고 미로 같은 복잡한 터널 시스템(최대 1000m2)을 갖춘다.[12] 출생 굴은 보통 험한 지형에서 발견되어 새끼에게 더 나은 보호를 제공하지만, 부모는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새끼들을 근처 다른 굴로 옮기기도 한다.[12] 적합한 굴 자리는 찾기 어렵기 때문에 수십 년, 심지어 여러 세대에 걸쳐 사용되며, 한 굴이 500년 동안 사용된 기록도 있다. 버려진 북극여우 굴은 다른 동물이 사용하기도 한다. 굴의 품질은 봄철 먹이의 근접성보다 더 중요한 선택 기준이다.[12] 붉은 여우가 없는 지역에서는 이전에 붉은 여우가 사용했던 굴을 사용하기도 한다.[12]

북극여우는 주로 일부일처제를 따르며, 부모 모두 새끼를 돌본다.[13] 한 쌍은 평생 함께 지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포식자와 먹이가 풍부한 환경에서는 수컷과 암컷 모두 여러 상대와 짝짓기를 하는 등 더 복잡한 사회 구조를 보이기도 한다. 이 경우, 번식하거나 번식하지 않는 여러 개체로 구성된 무리가 하나의 영역을 더 효율적으로 보호하여 새끼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13] 반대로 자원이 부족하면 경쟁이 심화되어 한 영역 내 여우의 수가 줄어든다.[13] 이러한 사회 구조의 복잡성은 지역에 따라 다른데, 먹이 가용성이 높은 스발바르 제도 해안이나 붉은 여우가 존재하는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일부일처제를 유지하는 내륙 여우보다 복잡한 구조가 더 자주 나타난다.[13] 아이슬란드에서는 일부일처제가 가장 일반적이며, 포식자가 없고 자원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나이가 많은 새끼(1년생)가 부모의 영역에 남아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친족 선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13] 한 가족의 사냥 반경은 최소 3km2에서 30km2 이상으로 비교적 넓다.

번식은 보통 4월과 5월에 이루어지며, 새끼는 3월과 4월에 수태된다.[13] 이전 겨울이 혹독했다면 수태가 늦춰지거나 아예 번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임신 기간은 약 52일이며[13][49], 새끼는 보통 5월 중순이나 6월 중순에 태어난다. 한 배에 낳는 새끼 수는 먹이 가용성과 기후 환경에 크게 좌우된다. 툰드라 지역의 주요 먹이인 레밍 개체수는 3~5년 주기로 변동하는데, 레밍이 풍부할 때는 최대 18마리까지 낳을 수 있지만 부족할 때는 번식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7][13] 이 때문에 북극여우를 "레밍 여우"라고 부르기도 한다. 먹이 가용성이 비교적 일정한 해안가에 사는 "푸른 여우"는 매년 최대 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3] 한 배에 낳는 새끼 수는 최대 25마리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포유류 계통 분류에서 가장 많은 수이다.[18]

여름 모프를 가진 북극 여우의 새끼들


갓 태어난 새끼는 주름지고 미숙하며, 이빨이 없고 눈과 귀가 닫혀 있다. 처음에는 어두운 갈색 털을 가졌다가 빠르게 성장하며 털 색깔이 희어진다. 새끼들은 생후 3~4주가 되면 굴 밖으로 나오기 시작하며[49], 약 6주 후에 젖을 뗀다.[49] 이 시기 새끼들은 매우 활동적이다. 8월 중순쯤에는 먼저 아비로부터, 이후 어미로부터 독립하여 겨울 동안 흩어져 홀로서기를 시작한다. 성적 성숙은 태어난 지 10개월 후에 이루어진다.

4. 3. 천적과 질병

캐나다에서 촬영된 북극여우


일반적으로 북극여우는 대략 4년의 기대수명을 가지고 있다. 인간을 제외하면 천적은 적은 편이다. 북극늑대는 북극여우에게 특히 위협적이며, 북극곰 또한 위험할 수 있다. 위협에 직면하면 북극여우는 대개 도망치지만, 때로는 격렬하게 저항하기도 한다.

북극여우에게 가장 치명적인 질병은 광견병이다. 뇌염개 홍역 역시 연중 발생 빈도가 높아 위험하다. 이 외에도 대부분의 북극여우는 외부 또는 내부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다. 여우촌충의 숙주가 되기도 하며, 드물지 않게 진드기에 의한 에 걸리기도 한다.

5. 분류

북극여우는 오랫동안 독립된 북극여우속(''Alopex'')으로 분류되어 왔으나 DNA 분석을 통해 여우속(''Vulpes'')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67]

5. 1. 계통 분류

아이슬란드 흰여우


북극여우는 과거 독립된 ''Alopex''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DNA 분석을 통해 여우속(''Vulpes'')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34] 북극여우는 개과(Canidae) 개아과(Caninae)의 여우족(Vulpini)에 속하는 '진짜 여우' 중 하나이다.[29]

이 종은 1758년 칼 폰 린네가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처음 ''Canis lagopus''라는 학명으로 기술했다. 모식 표본은 스웨덴 라플란드에서 발견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속명 ''Vulpes''는 라틴어로 "여우"를 의미한다.[36] 종명 ''lagopus''는 고대 그리스어 λαγώς|lagōsgrc("토끼")와 πούς|pousgrc("발")에서 유래했으며, 추운 기후에 사는 토끼처럼 발에 털이 많은 특징을 나타낸다.[37]

최근의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북극여우와 붉은여우(''Vulpes vulpes'')는 약 317만 년 전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되었다.[29] 북극여우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종은 북아메리카의 스위프트여우(''Vulpes velox'')이며[67], 자매군인 키트여우(''Vulpes macrotis'')와는 약 90만 년 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된다.[29] 유전적으로 북극여우는 키트여우와 가장 가까우며[35], 이 두 종은 스위프트여우와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형성한다.[37]

5. 2. 아종

북극여우는 오랫동안 독립된 ''북극여우속''(Alopexla)으로 분류되어 왔으나, DNA 분석을 통해 여우속(''Vulpes'')의 계통수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북극여우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북아메리카의 스위프트여우(''V. velox'')이다.[67]

털빛이 파란 북극여우, 프리빌로프 제도


일반적인 북극여우(''V. l. lagopus'') 외에 여러 아종이 있으며, 주요 아종은 다음과 같다.

  • 베링 섬 북극여우 (''Vulpus lagopus beringensis'')
  • 아이슬란드 북극여우 (''Vulpus lagopus fuliginosus'')
  • 그린란드 북극여우 (''Vulpus lagopus groenlandicus'')
  • 홀 섬 북극여우 (''Vulpus lagopus hallensis'')
  • 배로 곶 북극여우 (''Vulpus lagopus innuitus'')
  • 프리빌로프 제도 북극여우 (''Vulpus lagopus pribilofensis'')
  • 메드니 섬 북극여우 (''Vulpus lagopus semenovi'')
  • 시베리아 북극여우 (''Vulpus lagopus sibiricus'')
  • 스발바르 제도 북극여우 (''Vulpus lagopus spitzbergensis'')
  • 앙가바 북극여우 (''Vulpus lagopus ungava'')

6. 인간과의 관계

19세기와 20세기 초, 가치가 높은 북극여우의 겨울 모피는 이누이트유럽인 사이의 주요 거래 품목으로 성행했다. 이러한 모피를 얻기 위한 사냥은 오늘날에도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와 누나부트 준주 등 일부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냥철은 주로 11월 초에서 4월 초까지이다.

6. 1. 보존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북극여우의 전체적인 상태를 관심 대상(Least Concern)으로 평가하고 있다.[1] 그러나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가치가 높은 북극여우의 겨울 모피 거래가 성행했으며, 이는 이누이트유럽인의 주요 거래 품목이었다. 현재 북아메리카, 시베리아, 그린란드에서는 개체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와 누나부트 준주에서는 여전히 모피 공급원으로 사냥되고 있다. 사냥철은 11월 초에서 4월 초까지이며, IUCN은 이러한 포획 활동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2009년 국제 연합 기후변화회의에 제출된 IUCN 보고서는 지구 온난화가 북극여우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요인임을 지적했다.[71]

1890년 St. George Mivart가 그린 북극여우 두개골 그림


북극여우 두개골


전체적으로는 관심 대상으로 분류되지만, 특정 지역의 개체군은 심각한 위협에 처해 있다. 특히 스칸디나비아 본토(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의 개체군은 수십 년간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이 지역 전체의 성체 개체수는 200마리 미만으로 추정되며,[49] 특히 핀란드에서는 1940년 보호종으로 지정되었음에도 개체수가 회복되지 않아 심각한 위기 상태로 분류된다.[47][48] 이 때문에 빈델피엘렌스 자연 보호구역(스웨덴)과 같은 곳에서는 북극여우 개체군을 면밀히 연구하고 기록하고 있으며, 이 보호구역은 북극여우를 상징으로 삼고 있다.

북극여우의 개체수는 주요 먹이인 레밍과 들쥐의 개체수 변동에 따라 주기적으로(3~4년 주기)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20] 먹이가 부족한 해에는 개체수가 특히 취약해지며, 통제되지 않은 덫으로 인해 일부 아개체군이 거의 사라지기도 했다.[49]

과거 푸른색을 띠는 북극여우 모피는 특히 가치가 높아, 1920년대에는 여우가 없던 알류샨 열도의 여러 섬으로 옮겨졌다. 이로 인해 푸른 여우의 수는 늘었지만, 이들이 알류샨 캐나다 기러기를 포식하면서 기러기 보존 목표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했다.[50]

기후 변화는 북극여우에게 또 다른 위협이 되고 있다. 눈 덮개가 줄어들면서 흰 털의 위장 효과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더 큰 포식자인 붉은 여우에게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51] 붉은 여우는 북극여우의 서식지로 영역을 넓히면서 북극여우와 그 새끼를 죽이는 등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52] 붉은 여우 증가의 또 다른 원인으로는 회색 늑대 개체수 감소가 지목된다. 과거 늑대는 붉은 여우의 개체수를 억제했지만, 인간의 사냥으로 늑대가 이전 서식지 대부분에서 거의 멸종되면서 붉은 여우가 최상위 포식자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53] 이에 따라 북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북극여우 서식지 내 붉은 여우 사냥을 허용하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과거 대규모 개체군 데이터의 주요 출처는 사냥 기록과 설문지이지만, 이러한 자료에는 오류 가능성이 있다.[54] 또한, 개체수 변동이 커 연도별 차이가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북극여우 개체수는 수십만 마리 규모로 추정된다.[55]

세계적으로는 멸종 위기가 아니지만, 두 개의 아개체군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다.

  • 메드니 섬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러시아): 1970년대 개를 통해 유입된 귀 진드기에 의한 으로 개체수가 약 85~90% 급감하여 현재 약 90마리만 남았다.[56] 현재 항기생충 약물 치료가 진행 중이지만 결과는 불확실하다.
  • 페노스칸디아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콜라 반도): 20세기 초 극심한 모피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과도한 사냥으로 개체수가 급감했다.[57] 이후 90년 이상 낮은 밀도를 유지했으며, 최근 10년간 추가 감소가 있었다.[58] 1997년 추정치에 따르면 스웨덴 60마리, 핀란드 11마리, 노르웨이 50마리, 콜라 반도 약 20마리로, 페노스칸디아 전체의 번식 가능한 성체는 약 140마리에 불과하다. 이 지역에서는 레밍 개체수가 정점에 달한 후에도 북극여우 개체수가 생존 가능성이 희박한 수준으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55]


뉴질랜드에서는 유해 물질 및 신규 유기체법 1996에 따라 북극여우를 "금지된 신규 유기체"로 분류하여 국내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59] 질병 역시 어린 개체들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6. 2. 경쟁과 위협



북극여우의 기대수명은 일반적으로 약 4년 정도이다. 인간을 제외하면 천적이 많지 않으나, 북극늑대는 특히 위험한 포식자이며 북극곰 역시 위협이 될 수 있다. 위협에 직면하면 주로 도망치지만, 때로는 격렬하게 저항하기도 한다.

북극여우에게 가장 치명적인 질병은 광견병이다. 뇌염개 홍역 또한 연중 발생 빈도가 높아 위험하다. 대부분의 북극여우는 내·외부 기생충에 감염되어 있으며, 여우촌충의 숙주가 되기도 한다. 드물지 않게 진드기에 감염되어 을 앓기도 한다.

19세기와 20세기 초에는 가치가 높은 북극여우 겨울 모피 거래가 성행했다. 이 모피는 이누이트유럽인 사이의 주요 교역품이었다. 북아메리카, 시베리아, 그린란드에서는 개체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반면, 스칸디나비아나 아이슬란드에서는 개체수가 감소했다. 하지만 캐나다의 노스웨스트 준주와 누나부트 준주에서는 여전히 북극여우가 모피 공급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사냥철은 11월 초부터 4월 초까지이다. IUCN은 이러한 모피 거래와 환경 파괴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북극여우는 2004년부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으로 분류되고 있다.[1] 그러나 스칸디나비아 본토의 개체군은 수십 년간 사냥과 박해로부터 법적 보호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전체의 성체 개체수는 200마리 미만으로 추정된다.[49] 특히 핀란드에서는 1940년에 보호종으로 지정되었음에도 개체수가 회복되지 않아 심각한 위기 종으로 분류된다.[47][48] 이 때문에 빈델피엘렌스 자연 보호구역(스웨덴)과 같은 곳에서는 북극여우 개체군을 면밀히 연구하고 기록하고 있으며, 이 보호구역은 북극여우를 상징으로 삼고 있다.

북극여우의 개체수는 주요 먹이인 레밍들쥐의 개체수 변동(3~4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20] 먹이가 급감하는 해에는 개체군이 특히 취약해지며, 통제되지 않은 덫 놓기로 인해 일부 아개체군이 거의 사라지기도 했다.[49]

푸른색을 띠는 북극여우의 모피는 특히 가치가 높아, 1920년대에는 이전에 여우가 살지 않던 여러 알류샨 열도로 옮겨졌다. 이 프로그램으로 푸른 여우의 수는 늘었지만, 이들이 알류샨 캐나다 기러기를 포식하면서 해당 기러기 종 보존 목표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했다.[50]

최근 북극여우는 몸집이 더 큰 붉은 여우에게 밀려나고 있는데, 이는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눈 덮개가 줄어들면서 북극여우의 흰 털이 지닌 위장 효과가 감소하기 때문이다.[51] 붉은 여우는 서식지가 겹치기 시작하는 지역에서 북극여우와 그 새끼를 공격하며 우위를 점하고 있다.[52] 붉은 여우가 증가한 또 다른 이유로는 회색 늑대 개체수 감소가 지목된다. 역사적으로 늑대가 붉은 여우의 수를 억제했지만, 인간의 사냥으로 늑대가 거의 멸종되면서 붉은 여우가 최상위 포식자의 지위를 차지하게 된 것이다.[53] 북유럽 일부 지역에서는 북극여우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붉은 여우 사냥을 허용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과거 북극여우 개체수에 대한 정보는 주로 사냥 기록과 설문지에 의존하는데, 이 자료들에는 잠재적인 오류가 있을 수 있다.[54] 또한 개체수 변동이 커서 연도별 차이가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북극여우 개체수는 수십만 마리 규모로 추정된다.[55]

따라서 전 세계적으로 북극여우는 멸종 위기종은 아니지만, 두 개의 아개체군은 심각한 위협에 처해 있다. 하나는 러시아코만도르스키예 제도에 속한 메드니 섬 개체군으로, 1970년대에 개를 통해 유입된 귀 진드기로 인한 때문에 개체수가 약 85~90% 감소하여 현재 약 90마리만 남아있다.[56] 현재 항기생충 약물 치료가 진행 중이지만 결과는 불확실하다.

다른 하나는 페노스칸디아(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콜라 반도) 개체군이다. 이 지역에서는 20세기 초 극심했던 모피 가격 상승으로 인해 개체수가 적을 때조차 심각한 남획이 이루어져 개체수가 급감했다.[57] 이후 90년 이상 낮은 밀도를 유지했으며, 지난 10년간 추가적인 감소가 있었다.[58] 1997년 추정치에 따르면 스웨덴에 약 60마리, 핀란드에 11마리, 노르웨이에 50마리가 있었고, 콜라 반도에는 약 20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페노스칸디아 전체의 번식 가능한 성체는 약 140마리에 불과하다. 이 지역에서는 레밍 개체수가 정점을 찍은 후에도 북극여우 개체수가 생존 가능성이 거의 없는 수준으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55]

뉴질랜드에서는 유해 물질 및 신규 유기체법 1996에 따라 북극여우를 "금지된 신규 유기체"로 분류하여 국내 반입을 금지하고 있다.[59]

참조

[1] 간행물 "''Vulpes lagopus''" 2021-11-19
[2] 웹사이트 Vulpes lagopus https://explorer.nat[...] 2024-04-17
[3]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2012-11-23
[4] 서적 Lehrbuch der Naturgeschichte https://archive.org/[...] August Schmid und Comp. 1816
[5] 논문 Papers from the Harriman Alaska Expedition. I. Descriptions of twenty-six new mammals from Alaska and British North America https://www.biodiver[...] 1900
[6] 논문 Four New Arctic Foxes https://www.biodiver[...] 1902
[7] 간행물
[8] 웹사이트 Arctic Fox {{!}} National Geographic https://www.national[...] 2019-01-28
[9] 웹사이트 Arctic fox {{!}} mammal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08
[10] 웹사이트 Arctic Fox https://www.flr.gov.[...] Fisheries and Land Resources
[11] 웹사이트 Arctic Fox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12] 논문 Natal den selection by sympatric arctic and red foxes on Herschel Island, Yukon, Canada 2014
[13] 논문 From monogamy to complexity: social organization of arctic foxes (''Vulpes lagopus'') in contrasting ecosystems 2012
[14] 논문 Seasonal variations in basal metabolic rate, lower critical temperature and responses to temporary starvation in the arctic fox (''Alopex lagopus'') from Svalbard 2006
[15] 논문 Adaptations by the Arctic Fox (''Alopex lagopus'') to the Polar Winter 1991
[16] 논문 An Infrared Thermographic Study of Surface Temperature in Relation to External Thermal Stress in Three Species of Foxes: The Red Fox (''Vulpes vulpes''), Arctic Fox (''Alopex lagopus''), and Kit Fox (''Vulpes macrotis'') 1991
[17] 논문 Difference in diet and age structure of blue and white Arctic foxes (''Vulpes lagopus'') in the Disko Bay area, West Greenland 2008
[18]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Canids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Furs and frontiers in the far north: the contest among native and foreign nations for the Bering Strait fur trad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an Arctic oil field: development and the biota Academic Press
[21] 논문 Surviving on cached foods — the energetics of egg-caching by Arctic foxes 2008
[22] 간행물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http://www.carnivore[...] 2004
[23] 논문 Two cysteine substitutions in the MC1R generate the blue variant of the arctic fox (Alopex lagopus) and prevent expression of the white winter coat
[24] 웹사이트 Adaptations by the arctic fox to the polar winter http://pubs.aina.uca[...] Arctic, vol.44 no.2 2015-10-08
[25] 웹사이트 Arctic Fox ''Alopex lagopus'' http://www.env.gov.n[...]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Government of Newfoundland and Labrador
[26] 논문 Behavioral audiogram of two Arctic foxes (''Vulpes lagopus'') 2014
[27] 서적 The Polar Worlds https://archive.org/[...] Taplinger Pub. Co., Inc. 1973
[28] 논문 Spatio–temporal hotspots of satellite– tracked arctic foxes reveal a large detection range in a mammalian predator 2015
[29] 논문 Genetic signatures of adaptation revealed from transcriptome sequencing of Arctic and red foxes 2015
[30] 논문 Peripheral Thermoregulation: Foot Temperature in Two Arctic Canines 1972
[31] 웹사이트 Arctic fox: ''Alopex lagopus'' http://animals.natio[...] 2014-10-06
[32] 서적 "Simon & Schuster's Guide to Mammals" Simon & Schuster/Touchstone Books 1984
[33] 웹사이트 "''Alopex lagopus''" http://www.mnh.si.ed[...] Smithsonian
[34] 논문 Building large trees by combining phylogenetic information: a complete phylogeny of the extant Carnivora (Mammalia) https://www.research[...]
[35] 논문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36] 논문 "''Vulpes zerda''" http://www.science.s[...]
[37] 논문 "''Alopex lagopus''" http://www.science.s[...]
[38] 논문 Cenozoic vertebrate evolution and paleoenvironment in Tibetan Plateau: Progress and prospects 2015
[39] 웹사이트 The isolated beauty of Jan Mayen https://web.archive.[...]
[40] 웹사이트 Arctic fox http://www.naturecon[...]
[41] 서적 Wild Mammals of North America: Biology, Management,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JHU Press
[42] 웹사이트 Wildlife http://www.iww.is/pa[...] iww.is 2010-04-22
[43] 웹사이트 The Arctic Fox Center http://www.arcticfox[...] 2011-05-19
[44] 논문 Movement tactics of a mobile predator in a meta-ecosystem with fluctuating resources: the arctic fox in the High Arctic 2017
[45] 뉴스 An Arctic Fox's Epic Journey: Norway to Canada in 76 Days https://www.nytimes.[...] 2019
[46] 뉴스 Scientists 'speechless' at Arctic fox's epic trek https://www.bbc.com/[...] 2019-07-01
[47] 웹사이트 Naali ''Alopex lagopus'' http://www.metsa.fi/[...] Metsähallitus 2011-08-01
[48] 서적 Sammuuko suuri suku? – Luonnon puolustamisen biologiaa Suomen luonnonsuojelun tuki
[49] 웹사이트 Arctic fox (''Vulpes lagopus'') http://www.arctic.no[...] NOAA Arctic Research Program 2012
[50] 서적 Ecology of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51] 서적 Climate Change Bi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52] 서적 The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canid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3] 간행물 2024-02-21
[54] 서적 Wild furbeare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in North America Ontario Trappers Association
[55] 서적 Population fluctuations and life history consequences in the Arctic fox. Dissertation, Stockholm University
[56] 논문 The Mednyi Arctic foxes: treating a population imperilled by disease
[57] 서적 Fjällrävsstammen i Sverige 1926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58] 논문 Dynamics of the Arctic fox population in Sweden http://su.diva-porta[...]
[59] 웹사이트 Hazardous Substances and New Organisms Act 2003 – Schedule 2 Prohibited new organisms http://legislation.g[...] New Zealand Government 2012-01-26
[60]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http://www.biodivers[...] Laurentius Salvius 2012-11-23
[61] 논문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https://www.nature.c[...]
[62] 논문 From 'third pole’to north pole: a Himalayan origin for the arctic fox http://rspb.royalsoc[...]
[63] 뉴스 암컷 북극여우는 왜 얼음길 3500km를 걸었나 https://www.hani.co.[...] 한겨레신문
[64] 간행물 Arctic fox dispersal from Svalbard to Canada: one female’s long run across sea ice- Eva Fuglei & Arnaud Tarroux https://polarresearc[...]
[65] 간행물 Arctic fox dispersal from Svalbard to Canada: one female’s long run across sea ice ,Eva Fuglei1 & Arnaud Tarroux2 - Polar Research 2019, 38, 3512 http://dx.doi.org/10[...]
[66] 뉴스 "'여우 잡아먹는 여우'..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작가상" http://www.greenpost[...] 그린포스트코리아
[67] 논문 "Phylogeny of Recent Canidae (Mammalia, Carnivora): Relative Reliability and Utility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sets." 2004-07
[68] 저널 인용
[69] 저널 인용 http://www.biomedcen[...]
[70] 저널 인용
[71] 웹사이트 http://www.fr-onl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