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베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베섬은 남대서양의 순상 화산섬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서쪽 약 2,500km 지점에 위치하며, 세계에서 가장 외딴 섬 중 하나이다. 93%가 빙하로 덮여 있으며, 최고봉은 해발 780m의 올라브 봉이다. 1739년 발견되었으며, 1927년 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주장하여 1930년 노르웨이 의존령으로 확립되었다. 1971년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바닷새와 해양 포유류의 번식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베섬 - .bv
    .bv는 남대서양 부베 섬에 할당된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이며, 노리드가 관리하고 미래 사용을 위해 예약되어 .no 도메인과 동일한 규칙이 적용될 예정이다.
  • 부베섬 - 에이리언 VS. 프레데터 (영화)
    2004년 개봉한 SF 액션 영화 에이리언 VS. 프레데터는 남극 고대 피라미드에서 에이리언과 프레데터 두 외계 종족이 벌이는 사투를 웨이랜드 사 탐사대의 시선으로 그린 폴 W. S. 앤더슨 감독의 크로스오버 작품이다.
  • 노르웨이의 화산 - 베에렌베르크 화산
    베에렌베르크 화산은 북극해 얀마이엔 섬에 위치한 해발 2,277m의 활화산으로, 현무암질 용암과 화산재로 이루어진 성층 화산이며 얀마이엔 핫스팟 활동과 관련되어 여러 차례 분화했다.
  • 노르웨이의 해외 영토 - 페테르 1세섬
    페테르 1세 섬은 남극 대륙 엘즈워스 랜드 해안에서 450km 떨어진 화산섬으로, 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주장하며, 1929년 상륙 후 1931년 노르웨이 주권 하에 선포되었고, 154km²의 면적에 빙하로 덮여 있으며, 남극 조약의 적용을 받는다.
  • 노르웨이의 해외 영토 - 퀸모드랜드
    퀸모드랜드는 남극 대륙의 일부로 코츠랜드와 엔더비랜드 사이에 있으며 5개의 해안 지역으로 나뉘고, 1930년 노르웨이 탐험대가 발견하여 노르웨이 왕비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현재 노르웨이 속령으로 여러 국가의 연구 기지가 위치한 남극 연구 중심지이다.
부베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부베섬의 위치 (남극 중심)
부베섬의 위치 (대서양, 빨간색 원으로 표시)
공식 명칭부베외위아
노르웨이어 명칭Bouvetøya
위치대서양
소속 국가노르웨이
유형노르웨이의 속령
행정 구역종속 영토
설치1928년 1월 23일 노르웨이에 의해 병합됨
종속 지위1930년 2월 27일
자연 보호 구역 선언1971년 12월 17일
정부 형태입헌 군주제 하의 종속 영토
국왕하랄 5세
관리 기관법무공공안전부
명예 남작 (법률상)닐스 올랍 3세
면적49 km²
빙하 면적93%
최고 해발고도780 m
추정 인구0
ISO 3166-2 코드BV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no
.bv
지리
면적49 km²
해안선 길이29.6 km
최고점780 m
위치대서양
언어
공용어노르웨이어
기타
시간대UTC+1
ISO 3166-1BV / BVT

2. 지리

부베섬은 화산 작용으로 만들어진 섬으로, 섬 전체가 빙하로 뒤덮여 있다. 섬에서 가장 높은 지형은 올라브 봉(Olavtoppen)으로, 높이는 780m이다. 섬의 지형상 배가 정박할 수 없어 헬기로만 접근할 수 있다. 섬의 90% 이상은 빙하로 덮여 있으며, 표범, 바닷새, 펭귄 등이 서식한다. 바다표범의 보호구역이자 남극 크릴새우의 서식지로도 유명하다.

부베 섬 지도


부베 섬 서쪽 해안의 빙하


부베 섬(Bouvetøya)은 남대서양의 남서인도양장(Southwest Indian Ridge) 바로 외곽에 위치한 순상화산의 꼭대기로 이루어진 화산섬이다.[18] 섬의 면적은 49km²이다. 주변에는 여러 개의 작은 바위와 암초, 그리고 하나의 큰 섬인 라스 섬(Larsøya)이 있다.

부베 섬은 남극 수렴선 남쪽의 아남극 지역에 위치하며,[19] 어떤 정의에 따르면 남극해에 속한다.[20] 섬의 93%는 빙하로 덮여 있어 돔 모양을 하고 있다. 섬의 정상 지역은 빌헬름 고원(Wilhelmplatået)으로, 섬 중앙에서 약간 서쪽에 위치하며, 올라브 봉(Olavtoppen) (해발 780m), 뤼케 봉(Lykketoppen) (해발 766m),[31] 모스비 봉군(Mosbytoppane) (해발 670m)등 여러 봉우리로 둘러싸여 있다.[32]

섬의 총 해안선 길이는 29.6km이다. 섬에 상륙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일반적으로 높은 파도가 치고 급경사 해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겨울에는 해빙(pack ice)에 둘러싸인다.

2. 1. 위치

부베섬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남서쪽 약 2,500km,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동쪽 약 1,900km 지점에 위치한다. 부속 도서를 제외하면 주변에 다른 섬이 없는 외딴 섬이며, 가장 가까운 육지는 약 1,700km 떨어진 남극 대륙의 드론닝 모드 랜드이다.[43]

사람이 거주하는 가장 가까운 곳은 약 2,260km 떨어진 트리스탄다쿠냐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서쪽으로 2,525km, 트리스탄다쿠냐 제도 고흐섬 남쪽으로 1,600km, 남아공 케이프 아굴라스 북동쪽으로 2,200km 떨어져 있다. 가장 가까운 땅은 남극 대륙 퀸 모드 랜드로 1,750km 떨어져 있다. 부베섬을 중심으로 약 1609.34km 반경 안에는 바다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면적은 49 제곱킬로미터이다.

2. 2. 지형

부베섬은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섬으로, 표면은 빙하로 덮여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서쪽 2,525km 지점에 위치하며, 면적은 49km²이다. 가장 가까운 육지는 1,750km 떨어진 남극 대륙의 퀸 모드 랜드이다. 섬의 최고봉은 해발 780m의 올라브 봉(Olavtoppen)이다. 섬에는 항구가 없어 배로 접근하기 어렵고, 헬리콥터를 이용해야 한다. 섬의 90% 이상은 빙하로 덮여 있으며, 바다표범, 바닷새, 펭귄 등이 서식한다.

부베 섬은 남대서양의 남서인도양장 바로 외곽에 있는 순상화산의 꼭대기 부분이다.[18] 섬의 크기는 9.5km × 7km이며, 면적은 49km²이다. 주변에는 여러 개의 작은 바위와 암초, 그리고 라르스 섬(Larsøya)이 있다.

부베 섬은 남극 수렴선 남쪽의 아남극 지역에 위치하며,[19] 남극해에 속하기도 한다.[20] 세계에서 가장 외딴 섬 중 하나로,[21] 가장 가까운 육지는 남극 대륙의 퀸 모드 랜드(1700km), 고프 섬(1845km)이다. 가장 가까운 거주 지역은 트리스탄 다 쿠냐 섬(2250km)이다.

뉘뢰이사(Nyrøysa)는 섬의 북서쪽 해안에 있는 테라스(2km × 0.5km)로, 1955년과 1957년 사이의 산사태로 생성되었다. 이곳에는 자동 기상 관측소가 있다. 북서쪽 끝은 순정곶(Cape Circoncision) 반도이다.[22] 순정곶에서 발디비아 곶(Cape Valdivia)까지는 모겐스티에르네 해안(Morgenstiernekysten)이다.[23]

스토어 카리암(Store Kari Rock)은 작은 섬으로, 곶에서 동쪽으로 1.2km 떨어져 있다.[24] 발디비아 곶에서 롤로 곶(Cape Lollo)까지는 빅토리아 테라스(Victoria Terrasse)이다.[25] 롤로 곶에서 피 곶(Cape Fie)까지는 모윈켈 해안(Mowinckelkysten)이다. 스바르트스트란다(Svartstranda)는 검은 모래 해변으로, 메테오 곶(Cape Meteor)에서 피 곶까지 1.8km에 걸쳐 있다.[26]

피 곶 남쪽 해안은 포그트 해안(Vogtkysten)이다.[27] 서쪽 끝에는 쇠엘레판트스트란다(Sjøelefantstranda) 해변(300m)이 있다.[28]

남서쪽 끝의 카토오덴(Catoodden) 앞에는 라르스 섬(Larsøya)이 있다. 카토오덴에서 뉘뢰이사까지는 에스마르크 해안(Esmarchkysten)이다. 해안 중간에는 노르베지아 곶(Cape Norvegia)(Norvegiaodden)[29]과 벤스케라(Bennskjæra) 암초(0.5km)가 있다.[30]

섬의 93%는 빙하로 덮여 돔 모양을 이룬다. 정상 지역은 빌헬름 고원(Wilhelmplatået)으로, 섬 중앙에서 약간 서쪽에 있다. 이 고원은 3.5km 너비이며, 여러 봉우리로 둘러싸여 있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올라브 봉(Olavtoppen, 780m), 뤼케 봉(Lykketoppen, 766m),[31] 모스비 봉군(Mosbytoppane, 670m)이다.[32] 빌헬름 고원 아래에는 섬을 형성한 주 분화구가 있다. 마지막 분화는 기원전 2000년경에 발생했으며, 메테오 곶에서 용암류를 생성했다. 화산 활동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표면 아래 30cm의 온도는 25℃이다.

섬의 총 해안선 길이는 29.6km이다. 섬에 상륙하기는 매우 어려운데, 높은 파도와 급경사 해안 때문이다. 겨울에는 해빙에 둘러싸인다. 부베 삼중점은 부베 섬에서 서쪽으로 275km 떨어져 있으며, 남아메리카 판, 아프리카 판, 남극 판과 중앙해령, 남서인도양장, 아메리카-남극 해령의 삼중점이다.

섬의 93%는 빙하로 덮여 있으며, 섬의 동쪽 해안과 남쪽 해안을 뒤덮고 있다. 파랑의 침식 작용으로 해안은 험준한 절벽을 이루고 있으며, 해안선을 따라 라스 섬(Lars Island)과 같은 작은 바위와 부속도서들이 산재해 있다. 섬에는 항만 시설이 없고, 외해에 계류지만 존재하여 접근이 어렵다.

해안선은 자주 해빙(Polar ice packs)에 덮인다. 섬의 최고봉은 올라프 봉(Olavtoppen)이라 불리는 780m의 산이다. 섬 중앙에는 빙하로 덮인 화산 분화구가 있으며, 빌헬름 2세 고원(Wilhelm II Plateau)이라 불린다. 섬의 서해안에 있는 용암대지는 1955년부터 1958년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조류의 좋은 번식지가 되고 있다.

이 섬은 대서양 중앙 해령의 최남단에 위치한다.[44] 섬의 서쪽 약 275km에는 아프리카 판과 남아메리카 판, 남극 판의 경계가 되는 부베 삼중점이 있으며, 대서양 중앙 해령과 남서 인도양 해령이 연결된다.

3. 역사

1898년 부베 섬 남동쪽 해안의 착색 사진


부베섬은 1739년 처음 발견된 이후 여러 탐험가와 국가의 관심을 받았다. 1822년부터 1895년 사이에는 적어도 세 척의 물개잡이 배가 이 섬을 방문했고, 1927년에서 1928년까지의 탐험 항해에서도 물개 가죽을 가져갔다.

1825년 12월 10일, 새뮤얼 엔더비 앤 선즈(Samuel Enderby & Sons) 소속의 조지 노리스는 섬에 상륙하여 영국 왕실(British Crown)을 위해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1927년 노르웨이가 섬에 장기 체류하며 영유권을 선포하면서 분쟁이 발생했다. 결국 영국은 1929년 11월 영유권 주장을 포기했다.

노리스는 톰슨 섬(Thompson Island)을 발견했다고 보고했지만, 1898년 칼 춘(Carl Chun)의 발디비아 탐험(Valdivia Expedition) 이후 톰슨 섬은 발견되지 않았고 1943년까지 지도에 나타났다. 1997년에는 해당 지역의 수심이 2400m가 넘는다는 것이 밝혀졌다.[1]

195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호위함 SAS 트란스발(SAS Transvaal)이 부베섬을 방문했다.[2] 1964년에는 영국 해군 함정 HMS 프로텍터(HMS Protector, A146)가 섬을 방문하여 버려진 구명정을 발견했지만, 그 출처는 밝혀지지 않았다.[4] 1971년 섬 전체와 영해는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79년 9월 22일, 부베섬 인근에서 베라 사건(Vela incident)이 발생하여 핵실험 의혹이 제기되었지만,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1980년대 중반, 부베섬은 노르웨이 국제선박등록부의 위치로 고려되었지만, 1987년 베르겐(Bergen)에 설립되었다. 2007년, 섬은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추가되었다.[6]

2000년대 이후 남극해 크릴 어업이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협약(Convention for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의 적용을 받게 되면서 부베섬 주변의 크릴 어업에 대한 논란이 있다.[8] 2009년 노르웨이는 섬 주변 200해리 너머로 대륙붕을 확장하기 위해 유엔 대륙붕 한계위원회(UN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에 신청했다.[9]

2012년, 탐험선 한세 익스플로러(Hanse Explorer)호가 부베섬을 방문하여 최고봉 등반에 성공했다.

부베섬에는 아마추어 무선 호출 부호 접두사 3Y0가 할당되어 있으며,[10] 여러 아마추어 무선 DX 원정이 실시되었다. 2023년에는 부베섬 DX 원정 3Y0J가 진행되었지만, 기상 악화로 조기 중단되었다.[11][12]

3. 1. 발견

이 섬은 1739년 1월 1일 프랑스 함선 ''Aigle''호와 ''Marie''호의 함장 장-바티스트 샤를 부베 드 로지에(Jean-Baptiste Charles Bouvet de Lozier)에 의해 발견되었다. 부베는 상상 속의 거대한 남쪽 대륙을 찾던 중 안개 속에서 섬을 발견하고 자신이 본 곶을 할례절 곶(Cap de la Circoncision)이라고 명명했다. 그는 상륙하지 못했고, 발견한 땅을 일주하지도 못했기 때문에 섬인지 아니면 테라 아우스트랄리스(Terra Australis)(대륙)의 일부인지 확인할 수 없었다. 그의 위치 측정은 부정확했고, 여러 탐험대가 섬을 찾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1772년 11월 22일, 제임스 쿡(James Cook)의 두 번째 항해는 카보베르데(Cape Verde)에서 출발하여 섬을 찾으려고 했지만 역시 실패했다.

다음으로 섬을 발견한 탐험은 1808년 새뮤얼 엔더비 앤 선즈(Samuel Enderby & Sons)(SE&S)의 선장 제임스 린드세이가 눈(snow)형 포경선 ''Swan''호를 타고 이루어졌다. ''Swan''호와 또 다른 엔더비의 포경선은 함께 섬에 도착하여 위치를 기록했지만 상륙하지는 못했다. 린드세이는 그 "곶"이 실제로 섬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섬에 도착한 탐험은 미국인 벤저민 모렐(Benjamin Morrell)과 그의 물개 사냥 배 ''Wasp''호였다. 모렐은 자신의 기록에 따르면 (역사가 윌리엄 밀스의 말을 빌리자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쉽게") 섬을 어려움 없이 찾았고, 상륙하여 196마리의 물개를 사냥했다. 그의 후속 상세한 묘사에는 섬의 가장 분명한 물리적 특징인 영구적인 얼음 덮개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 때문에 일부 해설가들은 그가 실제로 섬을 방문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1825년 12월 10일, SE&S의 조지 노리스는 ''Sprightly''호의 선장으로 섬에 상륙했고, 섬의 이름을 리버풀 섬(Liverpool Island)으로 짓고 12월 16일 영국 왕실(British Crown)과 조지 4세(George IV)를 위해 이 섬을 영유권 주장했다.

다음으로 섬을 발견한 탐험은 1893년 조셉 풀러와 그의 배 ''Francis Allyn''호였지만, 그는 섬에 상륙하지 못했다. 독일의 칼 춘(Carl Chun)의 발디비아 탐험(Valdivia Expedition)은 1898년에 이 섬에 도착했다. 그들은 상륙하지 못했지만 지질 샘플을 채취하기 위해 해저를 준설했다. 그들은 또한 섬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한 최초의 사람들이었다.

3. 2. 노르웨이의 영유권 주장

섬 점령, 1927년 12월 1일


1929년 건설된 최초의 오두막, 서혜절벽(Cape Circoncision)


1927년, 라르스 크리스텐센(Lars Christensen)이 후원하고 하랄드 호른트베트(Harald Horntvedt)가 이끈 노르웨이 최초의 ''노르베지아(Norvegia)'' 탐험대가 이 섬에 장기 체류한 최초의 탐험대였다. 탐험대는 섬에 대한 관측과 측량을 실시했고, 주변 해역에서는 해양학적 측정을 했다. 니 산데피오르(Ny Sandefjord)에 작은 오두막을 세우고, 12월 1일 노르웨이 국기를 게양하며 노르웨이령으로 선포했다. 이 합병은 1928년 1월 23일 왕실령에 의해 확정되었다.

영국은 처음에 노리스의 상륙과 합병을 근거로 이 영유권 주장에 항의했다. 그러나 노리스가 두 개의 섬을 목격했고, 그가 톰슨 섬(Thompson Island)에 있었는지 리버풀 섬(Liverpool Island, 즉 부베 섬)에 있었는지 불확실했기 때문에 영국의 입장은 약화되었다. 노리스의 위치가 정확한 위치와 달랐고, 섬의 크기가 작았으며 자연 항구가 없었던 점 때문에 영국은 노르웨이의 영유권 주장을 받아들였다. 이로 인해 두 국가 간 외교 협상이 진행되었고, 1929년 11월 영국은 이 섬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포기했다.

두 번째 ''노르베지아'' 탐험대는 1928년 기상 무선 방송국을 설치할 목적으로 도착했지만, 적절한 장소를 찾을 수 없었다. 그때까지 전년도에 세워졌던 깃대와 오두막은 모두 파도에 휩쓸려 사라졌다. 세 번째 ''노르베지아'' 탐험대는 히알마르 리세르-라르센(Hjalmar Riiser-Larsen)이 이끌었으며, 이듬해 서혜절벽(Cape Circoncision)과 라르쇠야(Larsøya)에 새로운 오두막을 건설했다. 이 탐험대는 섬의 항공 사진을 촬영했으며, 항공기를 사용한 최초의 남극 탐험이었다. 1930년 2월 27일 노르웨이 의회가 통과시킨 ''의존령 법(Dependency Act)''은 부베 섬을 페테르 1세 섬과 퀸 모드 랜드와 함께 노르웨이의 의존령으로 확립했다. 1929년 섬과 그 주변에서는 물개가 보호되었고, 1935년에는 섬 주변의 모든 물개가 보호되었다.

3. 3. 최근 역사

1927년, 노르웨이의 배 ''Norvegia''호의 승무원이 상륙하여 오두막을 건설하고 수개월간 생활하였다. 이를 “점유”의 실적으로 간주하여, 노르웨이 탐험대 대장인 라스 크리스텐센(Lars Christensen)은 1927년 12월 1일 이 섬이 노르웨이 영토라고 주장하였다. 1928년 1월 23일, 노르웨이 국왕의 재가를 거쳐 부베섬(Bouvetøya)은 노르웨이의 영역에 편입되었다.[2]

영국은 노르웨이의 주장을 인정하고 영유권을 포기하였다. 1930년에 노르웨이 법률이 제정되어 노르웨이 왕국의 주권 하의 “속령”(왕국 일부는 아님)이 되었다. 그러나 1939년 독일의 남극 탐험대가 방문하였다.

195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호위함 SAS 트란스발(SAS Transvaal)이 부베섬을 방문했다.[2] 1964년, 영국 해군 함정 HMS 프로텍터(HMS Protector, A146)가 섬을 방문했다. 이때, 프로텍터(Protector)의 헬리콥터가 측량팀을 니뢰이사에 내려놓았는데, 측량팀은 버려진 구명정을 발견했다. 구명정의 출처는 수년간 미스터리로 남았다.[4]

195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에서 기상 관측 기지로서의 관심을 보였으나, 혹독한 기상 조건 때문에 포기하였다. 1971년 12월 17일, 부베섬과 그 영해는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77년에는 노르웨이에 의해 무인 기상 관측 기지가 설치되었다. 1978년 과학 탐사에서 지하 온도가 25°C로 측정되었다.

1979년 9월 22일, 미국의 인공위성 베라가 부베섬과 프린스에드워드 제도 사이에서 대규모 핵폭발과 같은 섬광을 관측하였다(베라 사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실험이 아니냐는 설이 있으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46]

1980년대 중반(1984~1987년) 부베섬, 얀마옌섬(Jan Mayen), 스발바르(Svalbard)가 새로운 노르웨이 국제선박등록부의 위치로 고려되었지만, 편의치적 등록부는 결국 1987년 노르웨이 베르겐(Bergen)에 설립되었다.

2007년, 이 섬은 대서양 중앙 해령의 초국가적 지명으로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추가되었다.[6]

2000년대에 들어 남극해의 크릴 어업이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협약(Convention for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의 적용을 받게 되었고, 2004년 아케르 바이오마린(Aker BioMarine)은 크릴 어업 허가를 받았다.[7] 2009년 노르웨이는 대륙붕의 외곽 한계를 섬 주변 200해리(약 370km) 너머로 확장하기 위해 유엔 대륙붕 한계위원회(UN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에 신청했다.[9]

2012년, 탐험선 한세 익스플로러(Hanse Explorer)호가 부베섬을 방문하여 섬의 최고봉에 상륙하고 등반하는 데 성공했다.

1996년, 노르웨이는 38세제곱미터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현장 기지를 건설하였다. 2007년 10월 19일, 노르웨이 극지 연구소(Norwegian Polar Institute)는 현장 기지가 위성 사진에서 확인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후속 조사에 의해 빙하의 산사태 또는 눈사태로 건물이 유실된 것으로 밝혀졌다. 2012년 12월, 새로운 현장 기지가 건설되었다.[47] 무인 기상 관측 기지는 손상되지 않았다.

부베섬에는 아마추어 무선 호출 부호 접두사 3Y0가 할당되어 있으며,[10] 여러 아마추어 무선 DX 원정이 실시되었다. 2023년 1월과 2월 사이에는 부베섬 DX 원정 3Y0J(3Y0J Bouvet Island DXpedition)가 진행되었지만, 악화되는 기상 조건으로 조기에 중단되었다.[11][12]

4. 행정

부베섬은 노르웨이의 세 속령 중 하나이다. 피터 1세 섬과 퀸 모드 랜드는 남극 조약 체제의 적용을 받지만, 부베섬은 분쟁 대상이 아니다. 속령 지위는 부베섬이 노르웨이 왕국에 속하지 않지만 여전히 노르웨이의 주권 아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노르웨이 헌법 제1조를 위반하지 않고도 섬을 할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노르웨이 정부는 오슬로에 위치한 법무경찰부의 극지 담당 부서를 통해 섬을 관리한다.[36]

섬의 병합은 1933년 3월 24일의 속령법에 의해 규정된다. 이 법은 노르웨이 형법, 민법 및 소송법이 섬에 적용되며, 섬에 유효함을 명시적으로 규정한 다른 법률도 적용됨을 명시한다. 또한 모든 토지는 국가에 속하며 핵 물질의 저장과 폭발을 금지한다.

부베섬에는 ISO 3166-2 코드 BV가 지정되었고,[37] 이후 1997년 8월 21일에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bv가 부여되었다.[38] 이 도메인은 Norid에서 관리하지만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39]

섬 주변의 배타적경제수역은 441163km2의 면적을 차지한다.[40] 자원법 및 규정 준수 여부는 노르웨이를 포함한 27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CCAMLR)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를 통해 이루어진다. 정보 공유 방식을 활용하여 불법, 무규제 또는 무보고 어업에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선박은 회원국과 인터폴을 통해 블랙리스트에 등재되고 잠재적인 집행 조치가 취해진다.[41]

에든버러 동물원에 있는 황제펭귄 닐스 올라프, 부베 제도의 남작


에든버러 동물원에 있는 황제펭귄 닐스 올라프 3세 소장은 "부베 제도의 남작"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42]

5. 통신

부베섬으로의 전화는 위성 회선으로만 가능하며, 국제전화 지역번호는 할당되어 있지 않다. 우편번호도 없다.

인터넷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은 ISO 3166 국가 코드에 따라 설정되므로, 부베섬에는 .bv가 할당되어 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아마추어 무선 콜사인으로 노르웨이 통신 당국은 부베섬에 3Y 접두사를 할당하고 있으며, 미국무선중계연맹(ARRL)이 작성한 DXCC 목록에서는 부베섬을 독립된 지역(엔티티)으로 취급하고 있다. 매우 드물게 학술 조사원 등이 면허를 얻어 운용한 정도이며, 다른 엔티티와의 교신을 모두 성공시킨 베테랑조차도 교신을 목표로 할 정도로[49] 교신이 어려운 엔티티이다.[50]

1989년 말부터 1990년까지 약 2주간 3Y5X 콜사인으로 진행된 이동 운용(DX 페디션)은 일본에서도 많은 아마추어국이 교신에 성공하여 저녁 TV 뉴스에서도 보도되었다.

6. 자연 및 환경

부베섬은 화산작용으로 만들어진 섬으로, 섬의 윗부분은 빙하로 덮여 있다. 면적은 49km2이며, 섬의 90% 이상이 빙하로 덮여 있어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환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베섬에는 표범, 바닷새, 펭귄 등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바다표범의 보호구역이자 남극크릴새우의 주요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미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에서 본 부베 섬 사진


혹독한 기후와 얼음으로 뒤덮인 지형 때문에 동물 외의 생물은 균류(자낭균류, 공생하는 지의류 포함)와 비관속식물(이끼류와 태류)로 제한된다. 식물상은 남극 해양 지역을 대표하며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사우스셰틀랜드 제도의 식물상과 식물지리학적으로 유사하다. 빙하로 인해 식물이 제한적이지만 눈 조류가 발견된다. 나머지 식물은 누나탁 산등성이와 정상 고원의 다른 부분, 해안 절벽, 곶, 해변과 같은 눈이 없는 지역에 위치한다. 니뢰이사에서는 다섯 종의 이끼, 여섯 종의 자낭균류(다섯 종의 지의류 포함) 및 스무 종의 조류가 기록되었다. 대부분 눈이 없는 지역은 매우 가파르고 잦은 산사태의 영향을 받아 각피상 지의류와 조류 형성만이 유지될 수 있다. 6종의 고유종 자낭균류가 있으며, 그중 3종은 지의류화되어 있다.

부베 섬은 바닷새의 중요한 번식지이기 때문에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IBA(중요조류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78년~1979년에는 섬에 약 11만 7천 마리의 번식하는 펭귄이 있었는데, 마카로니펭귄이 대부분이었고, 그 외에도 소량의 턱끈펭귄아델리펭귄이 있었다. 1989년~1990년에는 이 수가 6만 2천 마리로 추정되었다. 니뢰이사는 펭귄의 가장 중요한 번식지이며, 포사도브스키브레엔, 카프 시르콩시지옹, 노르베기아오덴, 라르쇠야 건너편도 번식지에 포함된다. 남극슴새는 10만 마리로 펭귄이 아닌 새 중 가장 흔하다.

다른 번식 바닷새는 케이프슴새, 남극슴새, 윌슨바다제비, 검은배바다제비, 남극도둑갈매기, 큰남극슴새, 눈썹바다제비, 가는부리슴새, 남극제비갈매기가 있다. 켈프갈매기는 이전에 섬에서 번식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섬에서 발견될 수 있는 비번식 조류는 황제펭귄, 알바트로스, 검은눈썹알바트로스, 캠벨알바트로스, 대서양노랑코알바트로스, 검은알바트로스, 회색머리알바트로스, 북방큰슴새, 남극슴새, 푸른슴새, 부드러운깃털슴새, 커겔렌슴새, 흰머리슴새, 요정슴새, 흰턱슴새, 큰슴새, 흰배슴새, 남극도둑갈매기, 검은도둑갈매기가 있다.

섬에 서식하는 유일한 조류가 아닌 척추동물은 핀니페드인 물개이며, 특히 섬에서 번식하는 남방코끼리물범과 남극털갈매기가 있다. 1998년~1999년 니뢰이사에는 코끼리물범 새끼 88마리와 털갈매기 새끼 1만 3천 마리가 있었다. 남방긴수염고래, 혹등고래, 긴수염고래, 남방긴수염고래, 모래시계돌고래, 범고래는 주변 해역에서 목격된다.[33][34][35]

6. 1. 기후

부베섬은 남극 수렴대 남쪽에 위치하여, 짙은 구름과 안개가 지배적인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평균 기온은 -1°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1°C, 9월 평균 기온은 -3°C이다. 월별 최고 평균 기온은 연중 변화가 거의 없다. 1980년 3월에는 강한 태양 복사로 인해 14°C의 최고 기온이 기록되었다. 햇살이 비치는 바위면에서는 최고 20°C의 기온이 관측되기도 했다. 섬에서는 주로 약한 서풍이 분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10.210.210.67.75.65.23.85.97.38.78.310.6
평균 최고 기온 (°C)3.74.03.32.51.0-0.4-1.2-1.1-0.80.51.83.0
평균 기온 (°C)1.72.01.50.9-0.8-2.2-3.3-3.6-3.3-1.8-0.30.9
평균 최저 기온 (°C)-0.3-0.1-0.4-0.8-2.5-3.9-5.3-6.0-5.8-4.1-2.5-1.2
최저 기온 기록 (°C)-2.6-2.2-3.2-4.7-9.7-10.2-14.8-15-18.7-15.2-8.4-4.1


6. 2. 생태계

부베섬은 화산 활동으로 생겨났으며, 섬의 윗부분은 빙하로 덮여 있다. 섬의 면적은 49km2이다. 섬의 90% 이상은 빙하로 덮여 있어, 생명체가 살기 어려운 환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베섬에는 표범, 바닷새, 펭귄 등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바다표범의 보호구역이자 남극크릴새우의 주요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혹독한 기후와 얼음으로 뒤덮인 지형 때문에 동물 외의 생물은 균류(자낭균류, 공생하는 지의류 포함)와 비관속식물(이끼류와 태류)로 제한된다. 빙하로 인해 식물이 제한적이지만 눈 조류가 발견된다. 니뢰이사에서는 다섯 종의 이끼, 여섯 종의 자낭균류(다섯 종의 지의류 포함) 및 스무 종의 조류가 기록되었다. 6종의 고유종 자낭균류가 있으며, 그중 3종은 지의류화되어 있다.

2009년 부베 섬 최북단인 발디비아 곶


부베 섬은 바닷새의 중요한 번식지이기 때문에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IBA(중요조류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78년~1979년에는 섬에 약 11만 7천 마리의 번식하는 펭귄이 있었는데, 마카로니펭귄이 대부분이었고, 그 외에도 소량의 턱끈펭귄아델리펭귄이 있었다. 1989년~1990년에는 이 수가 6만 2천 마리로 추정되었다. 남극슴새는 10만 마리로 펭귄이 아닌 새 중 가장 흔하다.

다른 번식 바닷새로는 케이프슴새, 남극슴새, 윌슨바다제비, 검은배바다제비, 남극도둑갈매기, 큰남극슴새, 눈썹바다제비, 가는부리슴새, 남극제비갈매기가 있다. 섬에서 발견될 수 있는 비번식 조류는 황제펭귄, 알바트로스, 검은눈썹알바트로스, 캠벨알바트로스, 대서양노랑코알바트로스, 검은알바트로스, 회색머리알바트로스, 북방큰슴새, 남극슴새, 푸른슴새, 부드러운깃털슴새, 커겔렌슴새, 흰머리슴새, 요정슴새, 흰턱슴새, 큰슴새, 흰배슴새, 남극도둑갈매기, 검은도둑갈매기가 있다.

섬에 서식하는 유일한 조류가 아닌 척추동물은 핀니페드인 물개이며, 특히 섬에서 번식하는 남방코끼리물범과 남극털갈매기가 있다. 1998년~1999년 니뢰이사에는 코끼리물범 새끼 88마리와 털갈매기 새끼 1만 3천 마리가 있었다. 남방긴수염고래, 혹등고래, 긴수염고래, 남방긴수염고래, 모래시계돌고래, 범고래는 주변 해역에서 목격된다.[33][34][35]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사우스오크니 제도, 사우스셰틀랜드 제도와 함께 스코샤해 제도의 툰드라 생태지역으로 분류된다. 혹독한 기후와 빙하로 뒤덮인 지형, 그리고 격렬한 폭풍우 지대 때문에 식생은 이끼류(선태류와 지의류)에 국한되며, 나무는 자라지 않는다.

섬의 연안에는 고래류, 물개·바다사자류(기각류), 펭귄류, 해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수염고래류에는 남방혹등고래밍크고래, 참고래 등이 있고, 이빨고래류에는 남방긴수염돌고래와 회색돌고래, 범고래 등이 있으며, 기각류에는 남극물개, 크릴먹이물범, 남극털갈매기 등이 있다. 펭귄류에는 턱끈펭귄, 마카로니펭귄, 아델리펭귄 등이 있으며, 해조류에는 남극도둑갈매기, 회색머리알바트로스, 흰관절새, 검은눈썹알바트로스, 남극슴새 등이 있다.

1971년에 발령된 왕국령에 의해 섬 전체가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7. 관련 사건

1955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호위함 SAS 트란스발(SAS Transvaal)이 부베섬을 방문했다.[2] 1964년 영국 해군 함정 HMS 프로텍터(HMS Protector, A146)가 섬을 방문했을 때, 앨런 크로포드(Alan Crawford) 중령이 이끄는 측량팀은 니뢰이사에서 버려진 구명정을 발견했다. 이 구명정은 수년간 미스터리로 남았다가, 후에 소련의 과학 정찰선에 속한 것으로 밝혀졌다.[4]
1971년 12월 17일, 섬 전체와 영해는 자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1978년 과학 탐사 당시 지하 온도가 섭씨 25도로 측정되었다.

1980년대 중반, 부베섬은 노르웨이 국제선박등록부의 위치로 고려되었으나, 결국 노르웨이 베르겐에 등록부가 설립되었다.
2007년, 부베섬은 대서양 중앙 해령의 초국가적 지명으로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추가되었다.[6]

2000년대에 들어 부베섬 주변 해역의 크릴 어업이 활발해졌으며, 이에 대한 지속 가능성 논란이 있다.[7][8] 2009년 노르웨이는 대륙붕의 외곽 한계를 섬 주변 200해리(약 370km) 너머로 확장하기 위해 유엔 대륙붕 한계위원회(UN Commission on the Limits of the Continental Shelf)에 신청했다.[9]

2012년, 탐험선 한세 익스플로러(Hanse Explorer)호가 부베섬을 방문하여 섬 최고봉 등반을 시도했다.

부베섬에는 아마추어 무선 호출 부호 접두사 3Y0가 할당되어 있으며, 여러 차례 아마추어 무선 DX 원정이 실시되었다.[10] 2023년에는 3Y0J DX 원정이 진행되었으나, 기상 악화로 조기 중단되었다.[11][12]

7. 1. 벨라 사건

1979년 9월 22일, 부베섬과 프린스에드워드 제도 사이 해상 또는 상공에서 벨라 사건이 발생했다. 미국의 벨라 호텔 위성 6911이 설명할 수 없는 이중섬광을 감지했다. 이 관측은 유성 또는 계측 오류로 해석되었지만, 대부분의 독립적인 평가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이스라엘이 공동으로 실시한 비공개 핵실험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8. 문화

부베섬은 사람이 살지 않아 발달된 문화가 없다.

8. 1. 픽션

2004년 영화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의 배경으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위성 이미지에서 초점을 맞춘 장면에서는 섬이 실제보다 수천 킬로미터 남서쪽에 위치한 페트로프 제1섬 근처에, 실제보다 훨씬 큰 면적으로 표시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Thompson Island http://www.volcano.s[...] Smithsonian Institution 2012-05-08
[2] 논문 South African expedition to Bouvetøya, 1955 1956-09-01
[3] 웹사이트 Bouvet http://www.birdlife.[...] 2012-05-11
[4] 서적 Tristan da Cunha and the Roaring Forties Charles Skilton Ltd
[5] 문서 Transactions of the Oceanographical Institute
[6] 웹사이트 Islands of Jan Mayen and Bouvet as parts of a serial transnational nomination of the Mid-Atlantic Ridge system https://whc.unesco.o[...] UNESCO 2012-05-09
[7] 뉴스 Satsar på krill – eit nytt oljeeventyr http://nrk.no/okonom[...] 2008-03-02
[8] 뉴스 Norge tek maten frå kvalen http://www.nrk.no/ny[...] 2007-11-05
[9] 웹사이트 The Law applicable to the Continental Shelf and in the Exclusive Economic Zone http://folk.uio.no/g[...] University of Oslo 2012-05-09
[10] 웹사이트 International Call Sign Series http://www.arrl.org/[...]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Amateur Radio 2021-10-01
[11] 웹사이트 Bouvet Island DXpedition is On the Air! https://www.arrl.org[...]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Amateur Radio 2023-02-15
[12] 웹사이트 [QRT] 3Y0J – Bouvet Island https://www.dx-world[...] DX-World.net 2023-02-15
[13] 웹사이트 M 6.2 – Bouvet Island region https://earthquake.u[...]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7-08-28
[14] 웹사이트 Norsk feltstasjon tatt av naturkreftene ved Antarktis https://web.archive.[...]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0-07-20
[15] 서적 The World Factbook 2016-17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6-08-18
[16] 뉴스 Ny "ekstremstasjon" på Bouvetøya http://www.nrk.no/no[...] 2014-02-07
[17] 웹사이트 Bouvetøya https://www.nrk.no/n[...] 2014-02-07
[18] 웹사이트 Bouvet 2021-02-05
[19] 웹사이트 Antarctic Convergence http://geonames.usg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2012-05-10
[20] 웹사이트 The Antarctic convergence http://www.grida.no/[...]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GRID-Arendal 2012-02-25
[21] 웹사이트 Volcanology Highlights https://web.archive.[...] Global Volcanism Program
[22] 웹사이트 Kapp Circoncision http://stadnamn.npol[...]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2-05-11
[23] 웹사이트 Kapp Valdivia http://stadnamn.npol[...]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2-05-11
[24] 웹사이트 Store-Kari https://archive.toda[...]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2-05-11
[25] 웹사이트 Kapp Lollo http://stadnamn.npol[...]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2-05-11
[26] 웹사이트 Svartstranda http://stadnamn.npol[...]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2-05-11
[27] 웹사이트 Vogtkysten http://stadnamn.npol[...]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2-05-11
[28] 웹사이트 Sjøelefantstranda http://stadnamn.npol[...]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2-05-11
[29] 웹사이트 Norvegiaodden http://stadnamn.npol[...]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2-05-11
[30] 웹사이트 Bennskjæra http://stadnamn.npol[...] Norwegian Polar Institute 2012-05-11
[31] 웹사이트 Lykke Peak http://geonames.usg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2012-05-12
[32] 웹사이트 Mosby Peak http://geonames.usgs[...] Geographic Names Information System 2012-05-12
[33]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Connectivity of Southern Right Whales (Eubalaena australis) Found in the Brazil and Chile–Peru Wintering Grounds and the South Georgia (Islas Georgias del Sur) Feeding Ground https://doi.org/10.1[...] 2020-05-20
[34] 웹사이트 Whales https://litografa.wi[...]
[35] 웹사이트 The Bouvet Island Atlantic Odyssey https://www.nhm.uio.[...] 2021-08-23
[36] 웹사이트 Polar Affairs Department https://web.archive.[...] Norwegi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11-08-29
[37] 웹사이트 Country classifications in migration statistics – present situation and proposals for a Eurostat standard http://www.unece.org[...] United Nations Statistical Commission and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1998-03-01
[38] 웹사이트 Delegation Record for .BV https://web.archive.[...]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2009-11-13
[39] 웹사이트 The .bv and .sj top level domains https://web.archive.[...] Norid 2010-08-03
[40] 웹사이트 EEZ Waters of Bouvet Isl. (Norway) http://www.seaaround[...]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41] 웹사이트 Norwegian Interests and Policy in the Antarctic https://www.regjerin[...] Norweg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5-06-12
[42] 웹사이트 A Guard of Honour for Sir Nils Olav – the most famous king penguin in the world https://www.edintatt[...]
[43] 문서 드론닝 모드 랜드에는 일본의 쇼와기지 등 몇몇 나라의 남극 관측의 영구 기지가 있다.
[44] 뉴스 Space Pictures This Week: Cigar Galaxy, Speedy Star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4-02-28
[45] 웹사이트 Bouvet Island http://eosweb.larc.n[...]
[46] 서적 세계 飛び地 大全 社会評論社
[47] 뉴스 Ny "ekstremstasjon" på Bouvetøya http://www.nrk.no/no[...] 2014-02-07
[48] 웹사이트 Norway will tell their story this August https://www.edinburg[...] Edinburgh City Festivals
[49] 웹사이트 アマ無線、世界1万局と交信 栗原・菅原さんがアワード・総務大臣表彰受賞 https://kahoku.news/[...] 2022-09-19
[50] 웹사이트 これが絶海の孤島 3Yブーベ島だ! http://www.wac2.net/[...]
[51] 웹사이트 BOUVET ISLAND http://www.climate-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