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버라 앤 스콧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버라 앤 스콧은 1948년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부문에서 우승한 최초의 캐나다 선수이다. 1928년 오타와에서 태어난 그녀는 1947년 유럽 선수권 대회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한 최초의 북미 선수로, 캐나다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 1948년 올림픽 금메달 획득 후 프로로 전향하여 다양한 쇼에서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승마 기수로 활동했다. 교육 및 자선 활동에도 기여했으며, 여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 올림픽 명예의 전당 헌액자 - 도널드 잭슨
도널드 잭슨은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1960년 동계 올림픽 동메달, 1962년 세계 선수권 우승, 그리고 국제 대회 최초로 트리플 러츠 점프를 성공시킨 역사적인 인물이며,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하다 1997년 캐나다 훈장을 받았다. - 캐나다 올림픽 명예의 전당 헌액자 - 낸시 그린 (스키 선수)
"타이거"라는 별명으로 불린 캐나다 알파인 스키 선수 낸시 그린은 1967년 알파인 스키 월드컵 우승, 196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과 은메달 획득 후 스포츠 행정가, 기업 홍보대사, 대학교 총장, 그리고 캐나다 상원 의원을 역임했다. - 1948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딕 버튼
딕 버튼은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올림픽 2회 금메달, 전미 선수권 7연패, 세계 선수권 5회 우승을 하였으며, 해설가 및 제작자로도 활동했다. - 1948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헤디 슐루네거
- 1948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딕 버튼
딕 버튼은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올림픽 2회 금메달, 전미 선수권 7연패, 세계 선수권 5회 우승을 하였으며, 해설가 및 제작자로도 활동했다. - 1948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존 닉스
존 닉스는 영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코치로, 195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코치로 활동하며 2000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바버라 앤 스콧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바버라 앤 스콧 |
출생일 | 1928년 5월 9일 |
출생지 | 온타리오주 오타와 |
사망일 | 2012년 9월 30일 |
사망지 | 플로리다주 아멜리아 아일랜드 펀안디나 비치, 나소 군 |
키 | 157cm |
배우자 | 토머스 반 다이크 킹 (1955년 결혼 – 2012년 사망) |
은퇴 | 1948년 |
훈장 | OC OOnt |
선수 정보 | |
코치 | 오토 골드 셸던 갤브레이스 |
별칭 | 캐나다의 연인 |
링크 | 2회전 루츠 점프 성공 |
명예의 전당 헌액 년도 | 1979년 |
메달 기록 | |
올림픽 | 1948 장크트모리츠 여자 싱글 금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1948 다보스 여자 싱글 금메달 1947 스톡홀름 여자 싱글 금메달 |
유럽 선수권 대회 | 1948 프라하 여자 싱글 금메달 1947 다보스 여자 싱글 금메달 |
북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 1947 오타와 여자 싱글 금메달 1945 뉴욕 여자 싱글 금메달 |
수상 | 루 마시 상 1945, 1947, 1948 캐나다 훈장 1991 |
국내 대회 | 캐나다 선수권 대회 금메달 4회, 은메달 2회 |
2. 생애 및 선수 경력
바버라 앤 스콧은 1928년 5월 9일 오타와에서 태어나 7살 때 스케이트를 시작했다.[1] 어린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 캐나다 주니어 및 시니어 선수권을 석권했으며, 1947년에는 북미 선수 최초로 유럽 선수권과 세계 선수권을 동시에 제패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1948년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부문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캐나다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올림픽 여자 싱글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이 우승으로 그녀는 '캐나다의 연인'으로 불리며 국민적인 영웅으로 떠올랐다.
올림픽 이후 1948년 여름 프로로 전향하여 5년간 북미와 유럽에서 아이스 쇼 스타로 활동했다. 1955년 톰 킹과 결혼 후 프로 스케이팅에서 은퇴하고, 이후 승마 선수, 교육자, 자선가로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그녀는 1988년 동계 올림픽과 2010년 동계 올림픽 성화 봉송에 참여하는 등 캐나다 스포츠계의 상징적인 인물로 오랫동안 존경받았다. 2012년 9월 30일, 플로리다주 아멜리아 아일랜드의 자택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2. 1.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바버라 앤 스콧은 1928년 5월 9일, 캐나다군 대령 클라이드 러더퍼드 스콧과 오타와 샌디 힐 출신인 메리(결혼 전 성씨: 퓨브스) 사이의 3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7살 때 오토 골드와 셸던 갤브레이스의 지도를 받으며 민토 스케이팅 클럽에서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했다.[1] 9살에는 하루 7시간의 훈련 시간을 확보하고자 정규 학교 대신 하루 2시간 30분의 개인 지도를 받았다.
10살에 '골드 피겨 테스트'를 통과한 최연소 스케이터가 되었고, 11살인 1940년에는 첫 캐나다 주니어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다. 1942년 13세에는 여자 선수 최초로 경기에서 2회전 러츠 점프를 성공시켰다. 15살에 캐나다 시니어 챔피언이 되었고, 1944년부터 1946년까지 캐나다 선수권 타이틀을 지켰다.
1945년과 1947년에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북미 선수권 대회에서 연속 우승했다. 1947년, 지역 사회의 재정 지원을 받아[1] 해외 대회에 참가하여 유럽 선수권과 세계 선수권을 모두 우승한 최초의 북미 선수가 되었다. 특히 유럽 선수권 우승은 캐나다 선수로서 유일한 기록으로 남아 있다. 이 성과로 스콧은 단번에 캐나다의 국민적 영웅으로 떠올랐으며, 1947년 캐나다 뉴메이커 오브 더 이어로 선정되었다. 오타와시는 그녀의 귀환을 환영하는 퍼레이드를 열고 노란색 뷰익 컨버터블(차량 번호판: ''47-U-1'')을 선물했지만, 스콧은 아마추어 자격을 유지하여 1948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기 위해 이를 반납해야 했다.

1948년 시즌에도 스콧은 유럽 선수권과 세계 선수권을 성공적으로 방어했고, 캐나다 선수권까지 다시 우승하며 한 해에 이 세 메이저 타이틀을 모두 석권한 최초의 북미 선수가 되었다. 또한 세계 선수권 2연패를 달성한 첫 선수이기도 했다.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릴 올림픽 개막을 일주일 앞둔 1948년 2월 2일에는 ''타임'' 표지를 장식했다.
1948년 동계 올림픽에서 스콧은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금메달을 획득하며, 이 종목에서 금메달을 딴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캐나다 선수로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올림픽 우승 후, 당시 총리였던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은 '전후의 암울함 속에서 캐나다인에게 용기를 주었다'는 내용의 축전을 보냈다. 스콧이 1948년 3월 9일 오타와로 돌아왔을 때, 1947년에 반납했던 자동차(이번에는 번호판 ''48-U-1''이 부착됨)를 다시 선물 받았고, 오타와시의 '명예 열쇠'도 수여받았다. 그녀는 당시 언론에서 '캐나다의 연인'(Canada's Sweetheart)으로 불렸으며, 1948년에는 그녀를 모델로 한 수집용 인형이 편지와 함께 출시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렸다. 피겨 스케이팅 역사가 엘린 케스텐바움에 따르면, 스콧은 피겨 스케이팅에 '세련됨, 화려함, 여성적인 섬세함'[2]을 더했으며, '표지 모델'[2] 같은 이미지로 많은 캐나다 소녀들에게 스케이터의 꿈을 심어주었다. 또한 단순히 배경 음악에 맞춰 연기하는 대신, 직접 안무를 짜고 음악을 해석하여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을 구성한 선구자 중 한 명이었다.[2]
2. 2. 전성기: 캐나다를 넘어 세계로
1947년, 스콧은 지역 사회의 재정 지원을 받아[1] 해외 무대에 도전했다. 그녀는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와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모두 우승한 최초의 북미 선수가 되었으며,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은 캐나다 선수로서는 유일한 기록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성과로 스콧은 1947년 캐나다 뉴메이커 오브 더 이어로 선정되었다. 1945년과 1947년에는 북미 선수권(격년 개최)에서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고향 오타와에서는 그녀를 위한 환영 퍼레이드가 열렸고, 노란색 뷰익 컨버터블 승용차(차량 번호판: ''47-U-1'')를 선물로 받았다. 하지만 1948년 동계 올림픽 출전을 위해 아마추어 선수 자격을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이 자동차 선물을 거절해야 했다.
1948년 시즌에도 스콧의 활약은 이어졌다. 그녀는 유럽 선수권과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방어했고, 캐나다 선수권까지 다시 우승하며 같은 해에 이 세 가지 대회를 모두 우승한 최초의 북미 선수가 되었다. 또한 연속으로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올림픽 개막을 일주일 앞둔 1948년 2월 2일에는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의 표지에 실렸다.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린 194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이자 유일한 캐나다 선수가 되었다. 올림픽 우승 후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총리는 "전후의 암울함 속에서 캐나다인에게 용기를 주었다"는 내용의 축하 전보를 보냈다.
올림픽 영웅이 되어 1948년 3월 9일 오타와로 돌아온 스콧은 1947년에 거절했던 자동차(이번에는 '48-U-1' 번호판을 달았다)를 다시 선물 받았고, 오타와시로부터 '도시의 열쇠'를 받았다. 당시 언론에서 흔히 '캐나다의 연인'이라고 불렸으며, 1948년에는 그녀를 기리는 수집용 인형(그녀의 편지와 함께)이 발행될 정도였다. 피겨 스케이팅 작가이자 역사가인 엘린 케스텐바움에 따르면, 스콧은 피겨 스케이팅에 '세련됨, 화려함, 여성적인 섬세함'[2]을 가져왔다. 그녀는 '표지 모델'[2]로 묘사되어 캐나다 소녀들에게 스케이터가 되도록 영감을 주었다. 그녀는 또한 배경 반주로 음악을 사용하는 대신 자신의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의 안무를 직접 짜고 음악을 해석한 최초의 스케이터 중 한 명이었다.[2]
2. 3. 194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
1948년 시즌 동안 스콧은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와 유럽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타이틀을 모두 성공적으로 방어했으며,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도 다시 우승했다. 이로써 그녀는 같은 해에 이 세 가지 주요 대회를 모두 석권한 최초의 북미 선수가 되었고, 세계 선수권 타이틀을 연속으로 보유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열릴 올림픽 데뷔를 일주일 앞둔 1948년 2월 2일에는 ''타임'' 잡지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1948년 동계 올림픽에서 스콧은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금메달을 획득하며 캐나다 선수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올림픽 여자 싱글 금메달리스트로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그녀의 올림픽 우승 소식에 당시 캐나다 총리였던 매켄지 킹은 "전후의 암울함 속에서 캐나다인에게 용기를 주었다"는 내용의 축하 전보를 보냈다.
1948년 3월 9일, 스콧이 오타와로 돌아왔을 때, 그녀는 1947년에 아마추어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 반납해야 했던 자동차(이번에는 번호판 ''48-U-1''이 달린)를 다시 선물 받았으며, 도시의 "열쇠"도 수여받았다. 당시 언론은 그녀를 "캐나다의 연인(Canada's Sweetheart)"이라고 불렀으며, 1948년에는 그녀를 모델로 한 수집용 인형이 편지와 함께 출시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렸다.
피겨 스케이팅 작가이자 역사가인 엘린 케스텐바움에 따르면, 스콧은 피겨 스케이팅에 "세련됨, 화려함, 여성적인 섬세함"[2]을 불어넣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표지 모델"[2]과 같은 이미지로 많은 캐나다 소녀들에게 스케이터의 꿈을 심어주었다. 또한, 단순히 배경 음악에 맞춰 연기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프리 스케이팅 프로그램 안무를 직접 짜고 음악을 해석한 최초의 스케이터 중 한 명이기도 했다.[2]
스콧은 1948년 여름, 올림픽 금메달 획득 이후 공식적으로 아마추어 자격을 포기하고 프로로 전향하여 북미와 유럽을 순회하며 다양한 아이스 쇼의 주역으로 활동했다.
2. 4. 프로 전향과 이후의 삶

1948년 올림픽 금메달 획득 이후, 스콧은 같은 해 여름 공식적으로 아마추어 자격을 포기하고 프로로 전향했다. 이후 5년 동안 북미와 유럽을 순회하며 다양한 아이스 쇼의 주연으로 활동했다. 초기 성공작 중 하나는 영국 런던의 해링게이 아레나에서 열린 톰 아놀드의 ''Rose Marie on Ice''였다. 또한 시카고에서 소냐 헤니의 아역 역할을 대신하여 "할리우드 아이스 리뷰"의 주연을 맡았으며, 이는 1952년 2월 4일자 ''라이프'' 표지 기사로 다뤄지기도 했다. 그러나 프로 스케이터로서의 고된 일정은 큰 부담이었고, 결국 25세의 나이에 프로 스케이팅에서 은퇴했다.
1955년, 27세의 스콧은 토론토의 로즈데일 장로교회에서 홍보 담당자이자 전 프로 농구 선수였던 톰 킹과 결혼했다. 부부는 일리노이주 시카고에 정착하여 잠시 미용실을 운영하기도 했으며, 스콧은 40대에 접어들어 뛰어난 말 조련사이자 승마 기수가 되었다. 이 시기 동안 그녀는 토론토에 ''국제 머천다이징 및 디자인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학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96년, 부부는 플로리다주 아멜리아 아일랜드로 이주하여 은퇴 생활을 시작했다.
은퇴 후에도 스콧은 스케이팅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남았다. 영화와 TV에 출연하고, 책을 출판했으며, 스케이팅 심판으로 활동했다. 또한 장애 아동을 돕기 위해 수입의 일정 비율을 기부하는 등 교육 및 자선 활동에도 힘썼으며,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1]
캐나다 스포츠의 아이콘으로서[3] 그녀의 올림픽 우승 40주년을 기념하여 1988년 동계 올림픽이 열린 캘거리를 앞두고 올림픽 성화 봉송 주자로 참여했다. 2009년 12월에는 2010년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다시 한번 올림픽 성화를 들고 의회 언덕과 캐나다 하원까지 봉송했다. 이후 2010년 2월 12일 밴쿠버에서 열린 개막식에서는 올림픽 국기를 운반하는 기수 중 한 명으로 등장했다. 2012년, 오타와시는 '바바라 앤 스콧 갤러리' 개관을 발표하며 그녀가 2011년에 시에 공식 기증한 사진, 챔피언십 메달, 올림픽 금메달 등을 전시하기로 했다.
스콧은 2012년 9월 30일, 플로리다주 아멜리아 아일랜드의 자택에서 8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 그녀의 부고에는 바바라 앤 스콧 킹이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4] 그녀를 기리기 위해 온타리오주 니핀의 파인크레스트 레크리에이션 센터 내 경기장에 그녀의 이름이 붙여졌다.[5][6]
2. 5. 사회 공헌 및 자선 활동
스콧은 선수 시절부터 캐나다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4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 획득 이후, 당시 매켄지 킹 총리는 "전후의 암울함 속에서 캐나다인에게 용기를 주었다"는 내용의 축하 전보를 보냈다. 그녀는 당시 언론에서 '캐나다의 연인'으로 불렸으며, 많은 캐나다 소녀들에게 피겨 스케이팅 선수가 되도록 영감을 주었다.[2]은퇴 후에도 스콧은 사회 공헌 활동을 이어갔다. 그녀는 장애 아동을 돕기 위해 자신의 수입 일부를 꾸준히 기부했으며, 이러한 교육 및 자선 활동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받기도 했다.[1]
캐나다 스포츠의 상징적인 인물로서[3] 여러 공적인 역할도 수행했다. 198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인 캘거리를 앞두고 올림픽 성화 봉송 주자로 참여했으며, 2009년 12월에는 2010년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다시 한번 올림픽 성화를 들고 의회 언덕과 캐나다 하원까지 봉송했다. 이후 밴쿠버에서 열린 개막식에서는 올림픽 국기를 운반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
2011년에는 오타와 시에 자신의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한 여러 기념품을 공식적으로 기증했다. 이를 바탕으로 오타와 시는 2012년 스콧의 사진, 수상 기록, 기증된 금메달 등을 전시하는 '바바라 앤 스콧 갤러리'를 개관했다.
3. 수상 및 서훈
스콧의 첫 번째 주요 영예는 1945년 캐나다 올해의 최고 운동 선수에게 수여되는 루 마쉬 트로피였으며, 이후 1947년과 1948년에도 이 상을 수상했다.
행사 | 1941 | 1942 | 1944 | 1945 | 1946 | 1947 | 1948 |
---|---|---|---|---|---|---|---|
동계 올림픽 | 1위 |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1위 | |||||
유럽 선수권 대회 | 1위[10] | 1위 | |||||
북미 선수권 대회 | 6위[11] | 1위 | 1위 | ||||
캐나다 선수권 대회 | 2위 | 2위 | 1위 | 1위 | 1위 | 1위 |
스콧은 1991년 캐나다 훈장 장교(OC)가 되었고, 2008년에는 스포츠와 자선 활동에 기여한 공로로 온타리오 훈장 회원(OOnt)이 되었다.[7]
그녀는 여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8]
- 1948년: 캐나다 올림픽 명예의 전당
- 1955년: 캐나다 스포츠 명예의 전당
- 1966년: 오타와 스포츠 명예의 전당
- 1979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
- 1991년: 스케이트 캐나다 명예의 전당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
- 1997년: 국제 여성 스포츠 명예의 전당
- 1997년: 온타리오 스포츠 명예의 전당
- 1998년: 캐나다 명예의 거리 (Canada's Walk of Fame)
토론토 컬리지 공원의 바바라 앤 스콧 아이스 트레일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4. 주요 경기 결과
행사 | 1941 | 1942 | 1944 | 1945 | 1946 | 1947 | 1948 |
---|---|---|---|---|---|---|---|
동계 올림픽 | 1위 | ||||||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 | 1위 | |||||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1위[10] | 1위 | |||||
북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6위[11] | 1위 | 1위 | ||||
캐나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 2위 | 2위 | 1위 | 1위 | 1위 | 1위 |
5. 출연 작품
바버라 앤 스콧은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서 얻은 명성을 바탕으로 여러 편의 영화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출연하였다. 주로 본인 역할로 등장하여 스케이팅 기술을 선보이거나, 자신의 삶과 경력을 다룬 다큐멘터리 등에 참여하였다.[12]
5. 1. 영화
연도 | 제목 | 역할 | 주제[12] |
---|---|---|---|
1947 | Johnny at the Fair (단편 영화) | 본인 | 한 소년이 부모와 헤어져 여정을 떠나며 유명 인사들을 만나는 내용 |
1948 | 피겨 스케이팅 예술 소개 (단편 영화) | 본인 | 바바라 앤 스콧이 그녀만의 독특한 피겨 스케이팅 스타일을 시연 |
1949 | Beauty and the Blade (단편 영화) | 본인 | 딕 버튼과 바바라 앤 스콧이 6가지 유형의 스케이팅 시연 |
1950 | 할리우드 아이스 카파데스 초연 (단편 영화) | 본인 | 많은 스케이팅 스타들이 함께 출연 |
1955 | 왓츠 마이 라인? (TV 시리즈) | 본인 | 미스터리 게스트로 출연 - 초 방영일: 1955년 4월 17일 |
1956 | 해피 뉴 이어 "선데이 스펙타큘러" (TV 영화) | 본인 | 바바라 앤 스콧과 딕 버튼의 아이스 발레 |
1984 | You've Come a Long Way, Ladies (TV 영화) | 본인 | 20세기에 여성들의 위대한 업적을 기록 |
1997 | Queen of the Blades: 바바라 앤 스콧의 삶과 시대 (TV 시리즈) | 본인 | 바바라 앤 스콧의 전기 - 초 방영일: 1997년 3월 12일 |
1999 | Reflections on Ice 개요 (TV 시리즈) | 본인 | 여성 피겨 스케이팅 다큐멘터리 |
5. 2. TV
연도 | 제목 | 역할 | 주제[12] |
---|---|---|---|
1947 | Johnny at the Fair (단편 영화) | 본인 | 한 소년이 부모와 헤어져 여정을 떠나며 유명 인사들을 만나는 내용 |
1948 | 피겨 스케이팅 예술 소개 (단편 영화) | 본인 | 바바라 앤 스콧이 그녀만의 독특한 피겨 스케이팅 스타일을 시연 |
1949 | Beauty and the Blade (단편 영화) | 본인 | 딕 버튼과 바바라 앤 스콧이 6가지 유형의 스케이팅 시연 |
1950 | 할리우드 아이스 카파데스 초연 (단편 영화) | 본인 | 많은 스케이팅 스타들이 함께 출연 |
1955 | 왓츠 마이 라인? (TV 시리즈) | 본인 | 미스터리 게스트로 출연 - 초 방영일: 1955년 4월 17일 |
1956 | 해피 뉴 이어 "선데이 스펙타큘러" (TV 영화) | 본인 | 바바라 앤 스콧과 딕 버튼의 아이스 발레 |
1984 | You've Come a Long Way, Ladies (TV 영화) | 본인 | 20세기에 여성들의 위대한 업적을 기록 |
1997 | Queen of the Blades: 바바라 앤 스콧의 삶과 시대 (TV 시리즈) | 본인 | 바바라 앤 스콧의 전기 - 초 방영일: 1997년 3월 12일 |
1999 | Reflections on Ice 개요 (TV 시리즈) | 본인 | 여성 피겨 스케이팅 다큐멘터리 |
6. 저서
- ''나와 함께 스케이트를'' (1952년, A. 레드만 출판)
- ''스케이트 입문'' (1953년, 마이클 커비 공저, 크노프 출판)
참조
[1]
뉴스
Canadian figure skating legend Barbara Ann Scott dies
https://www.thestar.[...]
CBC/Radio-Canada
2012-10-01
[2]
서적
Culture on Ice: Figure Skating and Cultural Meaning
Wesleyan Publishing Press
[3]
웹사이트
Barbara Ann Scott: Queen of the ice
https://www.cbc.ca/s[...]
CBC Sports
[4]
웹사이트
Barbara Ann Scott King
http://yourlifemomen[...]
2016-09-12
[5]
웹사이트
Pinecrest Recreation Centre
http://ottawa.ca/en/[...]
Ottawa
2014-02-18
[6]
웹사이트
Barbara Ann Scott Arena
http://www.arenamaps[...]
ArenaMaps.com
2014-02-18
[7]
웹사이트
Mrs. Barbara Ann Scott-King
https://www.gg.ca/en[...]
2023-11-09
[8]
웹사이트
Barbara Ann Scott
http://oshof.ca/inde[...]
2014-09-24
[9]
웹사이트
Revitalized College Park is the urban oasis downtown has been missing
https://dailyhive.co[...]
2019-07-11
[1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Figure Skating
Scarecrow Press
2011
[11]
웹사이트
Barbara Ann Scott, 1945 - Canada's Top Athletes - The Lou Marsh Legacy - Honouring Canada's Top Athletes
http://www.loumarsh.[...]
Loumarsh
2014-02-18
[12]
IMDb
[13]
뉴스
Canadian figure skating legend Barbara Ann Scott dies
http://www.cbc.ca/sp[...]
CBC sports
2012-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