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이러스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러스체는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바이러스의 유전체 집합을 의미한다. 2000년대 초반, 집단 샷건 시퀀싱 기술을 활용하여 해수, 토양, 대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바이러스체를 처음으로 분석했으며, RNA 바이러스체 연구도 시작되었다. 바이러스체 연구는 바이러스 유사 입자 분리, 군유전체학적 분석, 계산적 분석 방법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IMG/VR 시스템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바이러스의 다양성과 숙주-바이러스 관계를 밝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산 - 염기쌍
    염기쌍은 DNA나 RNA에서 아데닌(A)이 티민(T) 또는 우라실(U)과, 구아닌(G)이 사이토신(C)과 수소 결합으로 연결된 뉴클레오염기 쌍을 의미하며, DNA 이중 나선 구조 안정성과 유전 정보 복제 및 전사에 필수적이고, 유전자나 DNA 조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
  • 핵산 - RNA
    RNA는 DNA와 함께 생명체의 유전 물질을 구성하는 핵심 분자로서, DNA의 유전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 합성, 유전자 발현 조절, 촉매 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mRNA 백신 개발에 기여하였다.
  • 바이러스학 - 코로나19 백신
    코로나19 백신은 코로나19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었으나, 백신 접근성 불평등, 허위 정보, 법적 책임 문제 등 논란과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인한 효과 감소, 부작용 등의 문제도 존재한다.
  • 바이러스학 - 백신
    백신은 약화된 병원체나 일부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계를 활성화, 특정 질병에 대한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의약품으로 감염병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부작용 발생 가능성과 효과의 다양성, 백신 거부와 오해로 인한 접종률 저하 및 감염병 확산의 위험이 존재하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안전성과 효능이 향상되고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다.
바이러스체
기본 정보
바이러스체
바이러스체
정의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바이러스의 집합체
연구 분야미생물학, 분자생물학, 생태학
중요성생태계 기능, 진화, 인간 건강에 영향
구성 요소
바이러스 입자DNA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유전 물질바이러스 유전자
비코딩 영역
숙주세균
고세균
진핵생물
연구 방법
메타게노믹스전체 유전체 분석
바이러스 분리 및 배양특정 바이러스 분리
유전자 증폭PCR 등 이용
현미경 검사전자 현미경 등 이용
분포
환경해양
토양
동물
인간
기능
생태계미생물 군집 조절
영양소 순환
진화유전자 전달
인간 건강감염병
면역 체계 조절
응용 분야
의학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진단 기술 개발
생명 공학유전자 치료
환경 과학생물 정화

2. 역사

바이러스체는 현재 군유전체학 연구법으로 구분되는 집단 샷건 시퀀싱의 첫 번째 결과물이다.[5] 2000년대에 로워(Rohwer) 연구실은 해수,[5][6] 해양 침전물,[7] 성인과[8] 유아의 대변,[9] 흙,[10] 혈액으로부터[11] 바이러스체를 시퀀싱하였다. 이 연구팀은 이후 싱가포르 유전체기관(GIS, Genomic Institute of Singapore)와 협업하여 RNA 바이러스체도 처음으로 시퀀싱한다.[12] 현재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굉장히 다양하며, 그 다양성의 대부분은 아직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13]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코박테리아 파지 등 다양한 파지 개체의 서열을 분석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4]

2. 1. 바이러스체 연구의 시작

바이러스체는 현재 군유전체학 연구법으로 구분되는 집단 샷건 시퀀싱의 첫 번째 결과물이다.[5] 2000년대에 로워(Rohwer) 연구실은 해수,[5][6] 해양 침전물,[7] 성인과[8] 유아의 대변,[9] 흙,[10] 혈액으로부터[11] 바이러스체를 시퀀싱하였다. 이 연구팀은 이후 싱가포르 유전체기관(GIS, Genomic Institute of Singapore)와 협업하여 RNA 바이러스체도 처음으로 시퀀싱한다.[12] 현재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굉장히 다양하며, 그 다양성의 대부분은 아직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13]

2. 2. 로워(Rohwer) 연구실의 선구적 연구

군유전체학 연구법으로 구분되는 집단 샷건 시퀀싱의 첫 번째 결과물은 바이러스체이다.[5] 2000년대에 로워(Rohwer) 연구실은 해수,[5][6] 해양 침전물,[7] 성인과[8] 유아의 대변,[9] 흙,[10] 혈액으로부터[11] 바이러스체를 시퀀싱하였다. 이 연구팀은 이후 싱가포르 유전체기관(GIS, Genomic Institute of Singapore)와 협업하여 RNA 바이러스체도 처음으로 시퀀싱한다.[12] 현재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굉장히 다양하며, 그 다양성의 대부분은 아직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13]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코박테리아 파지 등 다양한 파지 개체의 서열을 분석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4]

2. 3. RNA 바이러스체 연구

군유전체학 연구법으로 구분되는 집단 샷건 시퀀싱의 첫 번째 결과물은 바이러스체이다.[5] 2000년대에 로워(Rohwer) 연구실은 해수,[5][6] 해양 침전물,[7] 성인과[8] 유아의 대변,[9] 흙,[10] 혈액으로부터[11] 바이러스체를 시퀀싱하였다. 이 연구팀은 이후 싱가포르 유전체기관(GIS, Genomic Institute of Singapore)와 협업하여 RNA 바이러스체도 처음으로 시퀀싱한다.[12] 현재 바이러스의 유전자는 굉장히 다양하며, 그 다양성의 대부분은 아직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13]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코박테리아 파지 등 다양한 파지 개체의 서열을 분석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4]

2. 4. 지속적인 연구 발전

바이러스체는 현재 군유전체학 연구법으로 구분되는 집단 샷건 시퀀싱의 첫 번째 결과물이다.[5] 2000년대에 로워(Rohwer) 연구실은 해수,[5][6] 해양 침전물,[7] 성인과[8] 유아의 대변,[9] 흙,[10] 혈액으로부터[11] 바이러스체를 시퀀싱하였다. 이 연구팀은 이후 싱가포르 유전체기관(GIS, Genomic Institute of Singapore)와 협업하여 RNA 바이러스체도 처음으로 시퀀싱한다.[12] 현재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굉장히 다양하며, 그 다양성의 대부분은 아직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13]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코박테리아 파지 등 다양한 파지 개체의 서열을 분석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4]

3. 연구 방법

바이러스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포로부터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여과, 원심분리법, 효소를 통한 부유 핵산 제거 등으로 이루어진다.[15] 군유전체학적 방법을 통해 이렇게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체들의 서열을 분석한다. 최근에는 계산적 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16]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로는 전세계의 해수로부터 150개의 시료 만들어 심층 서열 분석한 내용인 Global Ocean Viromes (GOV)가 있다.[17]

3. 1. 바이러스 유사입자 분리

바이러스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포로부터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여과, 원심분리법, 효소를 통한 부유 핵산 제거 등으로 이루어진다.[15] 군유전체학적 방법을 통해 이렇게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체들의 서열을 분석한다. 최근에는 계산적 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16]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로는 전세계의 해수로부터 150개의 시료 만들어 심층 서열 분석한 내용인 Global Ocean Viromes (GOV)가 있다.[17]

3. 1. 1. 분리 방법

바이러스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포로부터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여과, 원심분리법, 효소를 통한 부유 핵산 제거 등으로 이루어진다.[15] 군유전체학적 방법을 통해 이렇게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체들의 서열을 분석한다. 최근에는 계산적 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16]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로는 전세계의 해수로부터 150개의 시료 만들어 심층 서열 분석한 내용인 Global Ocean Viromes (GOV)가 있다.[17]

3. 2. 군유전체학적 분석

바이러스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포로부터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여과, 원심분리법, 효소를 통한 부유 핵산 제거 등으로 이루어진다.[15] 군유전체학적 방법을 통해 이렇게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체들의 서열을 분석한다. 최근에는 계산적 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16]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로는 전세계의 해수로부터 150개의 시료 만들어 심층 서열 분석한 내용인 Global Ocean Viromes (GOV)가 있다.[17]

3. 3. 계산적 분석 방법

바이러스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포로부터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여과, 원심분리법, 효소를 통한 부유 핵산 제거 등으로 이루어진다.[15] 이렇게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체들은 군유전체학적 방법을 통해 서열을 분석한다. 최근에는 계산적 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16]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로는 전세계의 해수로부터 150개의 시료를 만들어 심층 서열 분석한 내용인 Global Ocean Viromes (GOV)가 있다.[17]

3. 4. 주요 데이터베이스

바이러스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세포로부터 바이러스 유사입자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여과, 원심분리법, 효소를 통한 부유 핵산 제거 등으로 이루어진다.[15] 군유전체학적 방법을 통해 이렇게 분리된 바이러스의 유전체들의 서열을 분석한다. 최근에는 계산적 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16]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로는 전세계의 해수로부터 150개의 시료를 만들어 심층 서열 분석한 내용인 Global Ocean Viromes (GOV)가 있다.[17]

4. 군유전체학

군유전체로부터 파지의 염기서열과 대조를 통해 파지의 유전체를 구분할 수 있다.


전 세계 3,042개 장소에서 채취한 시료만 해도 5Tb가 넘는 양인데, 현재 이를 기반으로 바이러스의 분포, 계통학, 숙주 친화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8] 2016년 8월, 계산적 방법을 통해 12만 5천개가 넘는 DNA 바이러스체 조각으로부터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파지들보다 더 큰 파지를 검출하였다.[18]

크리스퍼-Cas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의 면역계는 이전에 자신을 감염시켰던 파지의 유전체 조각 "도서관(library)"를 프로토스페이서로 잡아둔다.[19] 실제로 미생물의 유전체에서 분리된 스페이서의 서열은 군유전체적 바이러스 콘티그(mVC)와 대조한 결과 4.4%가 바이러스군에서, 1.7%가 개체에서 비롯된 것(singleton)으로 밝혀졌다.[18]

바이러스의 tRNA 유전자가 숙주에서 기인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한 결과 7.6%가 숙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같은 연구에서 숙주-바이러스 관계로 추정되는 후보들 중 9,992개를 분석한 결과 7.7%의 mVC가 숙주와 일치함 역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숙주-바이러스 관계들이 밝혀졌으며, 이전에 연관된 어떤 바이러스도 알지 못했던 16개의 원핵생물들의 숙주관계가 새로이 알려졌다.[18]

사람의 구강에서 채취한 mVC상의 세 프로토스페이서가 서로 다른 세 의 CRISPR 스페이서와 유사하다.


또한 인간의 구강에서 채취한 바이러스들의 군유전체적 콘티그들을 분석한 결과 방선균이나 후벽균의 스페이서와 일치하는 프로토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사람에게 존재하는 바이러스들의 또다른 숙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18]

2017년 1월에는 가장 큰 공공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인 IMG/VR 시스템이 265,000개의 군유전체 및 개개 바이러스 서열을 저장하고 있음이 알려졌다.[20] 2018년 11월에는 IMG/VR v.2.0이 출현하면서 저장된 서열이 760,000개로 확대되었다.[21]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서열과 바이러스체의 서열을 비교 대조할 수 있다.

4. 1. 대규모 데이터 분석

전 세계 3,042개 장소에서 채취한 시료만 해도 5Tb가 넘는 양인데, 현재 이를 기반으로 바이러스의 분포, 계통학, 숙주 친화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8] 2016년 8월, 계산적 방법을 통해 12만 5천개가 넘는 DNA 바이러스체 조각으로부터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파지들보다 더 큰 파지를 검출하였다.[18]

크리스퍼-Cas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의 면역계는 이전에 자신을 감염시켰던 파지의 유전체 조각 "도서관(library)"를 프로토스페이서로 잡아둔다.[19] 미생물의 유전체에서 분리된 스페이서의 서열은 군유전체적 바이러스 콘티그(mVC)와 대조한 결과 4.4%가 바이러스군에서, 1.7%가 개체에서 비롯된 것(singleton)으로 밝혀졌다.[18]

바이러스의 tRNA 유전자가 숙주에서 기인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한 결과 7.6%가 숙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같은 연구에서 숙주-바이러스 관계로 추정되는 후보들 중 9,992개를 분석한 결과 7.7%의 mVC가 숙주와 일치함 역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숙주-바이러스 관계들이 밝혀졌으며, 이전에 연관된 어떤 바이러스도 알지 못했던 16개의 원핵생물들의 숙주관계가 새로이 알려졌다.[18]

인간의 구강에서 채취한 바이러스들의 군유전체적 콘티그들을 분석한 결과 방선균이나 후벽균의 스페이서와 일치하는 프로토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사람에게 존재하는 바이러스들의 또다른 숙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18]

2017년 1월에는 가장 큰 공공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인 IMG/VR 시스템이 265,000개의 군유전체 및 개개 바이러스 서열을 저장하고 있음이 알려졌다.[20] 2018년 11월에는 IMG/VR v.2.0이 출현하면서 저장된 서열이 760,000개로 확대되었다.[21]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서열과 바이러스체의 서열을 비교 대조할 수 있다.

4. 2. 새로운 파지 발견

전 세계 3,042개 장소에서 채취한 5Tb가 넘는 시료를 기반으로 바이러스의 분포, 계통학, 숙주 친화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8] 2016년 8월, 계산적 방법을 통해 12만 5천개가 넘는 DNA 바이러스체 조각으로부터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파지들보다 더 큰 파지를 검출하였다.[18]

크리스퍼-Cas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의 면역계는 이전에 자신을 감염시켰던 파지의 유전체 조각 "도서관(library)"를 프로토스페이서로 잡아둔다.[19] 미생물 유전체에서 분리된 스페이서 서열을 군유전체적 바이러스 콘티그(mVC)와 대조한 결과 4.4%가 바이러스군에서, 1.7%가 개체에서 비롯된 것(singleton)으로 밝혀졌다.[18]

바이러스의 tRNA 유전자가 숙주에서 기인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한 결과 7.6%가 숙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숙주-바이러스 관계로 추정되는 후보들 중 9,992개를 분석한 결과 7.7%의 mVC가 숙주와 일치함 역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숙주-바이러스 관계들이 밝혀졌으며, 이전에 연관된 어떤 바이러스도 알지 못했던 16개의 원핵생물들의 숙주관계가 새로이 알려졌다.[18]

인간의 구강에서 채취한 바이러스들의 군유전체적 콘티그들을 분석한 결과 방선균이나 후벽균의 스페이서와 일치하는 프로토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사람에게 존재하는 바이러스들의 또다른 숙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18]

2017년 1월에는 가장 큰 공공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인 IMG/VR 시스템이 265,000개의 군유전체 및 개개 바이러스 서열을 저장하고 있음이 알려졌다.[20] 2018년 11월에는 IMG/VR v.2.0이 출현하면서 저장된 서열이 760,000개로 확대되었다.[21]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서열과 바이러스체의 서열을 비교 대조할 수 있다.

4. 3. 크리스퍼(CRISPR)-Cas 시스템 활용



전 세계 3,042개 장소에서 채취한 시료만 해도 5Tb가 넘는 양인데, 현재 이를 기반으로 바이러스의 분포, 계통학, 숙주 친화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8] 2016년 8월, 계산적 방법을 통해 12만 5천개가 넘는 DNA 바이러스체 조각으로부터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파지들보다 더 큰 파지를 검출하였다.[18]

크리스퍼-Cas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의 면역계는 이전에 자신을 감염시켰던 파지의 유전체 조각 "도서관(library)"를 프로토스페이서로 잡아둔다.[19] 실제로 미생물의 유전체에서 분리된 스페이서의 서열은 군유전체적 바이러스 콘티그(mVC)와 대조한 결과 4.4%가 바이러스군에서, 1.7%가 개체에서 비롯된 것(singleton)으로 밝혀졌다.[18]

바이러스의 tRNA 유전자가 숙주에서 기인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한 결과 7.6%가 숙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같은 연구에서 숙주-바이러스 관계로 추정되는 후보들 중 9,992개를 분석한 결과 7.7%의 mVC가 숙주와 일치함 역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숙주-바이러스 관계들이 밝혀졌으며, 이전에 연관된 어떤 바이러스도 알지 못했던 16개의 원핵생물들의 숙주관계가 새로이 알려졌다.[18]

또한 인간의 구강에서 채취한 바이러스들의 군유전체적 콘티그들을 분석한 결과 방선균이나 후벽균의 스페이서와 일치하는 프로토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사람에게 존재하는 바이러스들의 또다른 숙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18]

2017년 1월에는 가장 큰 공공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인 IMG/VR 시스템이 265,000개의 군유전체 및 개개 바이러스 서열을 저장하고 있음이 알려졌다.[20] 2018년 11월에는 IMG/VR v.2.0이 출현하면서 저장된 서열이 760,000개로 확대되었다.[21]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서열과 바이러스체의 서열을 비교 대조할 수 있다.

4. 3. 1. 스페이서 서열 분석



전 세계 3,042개 장소에서 채취한 시료만 해도 5Tb가 넘는 양인데, 현재 이를 기반으로 바이러스의 분포, 계통학, 숙주 친화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8] 2016년 8월, 계산적 방법을 통해 12만 5천개가 넘는 DNA 바이러스체 조각으로부터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파지들보다 더 큰 파지를 검출하였다.[18]

크리스퍼-Cas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의 면역계는 이전에 자신을 감염시켰던 파지의 유전체 조각 "도서관(library)"를 프로토스페이서로 잡아둔다.[19] 실제로 미생물의 유전체에서 분리된 스페이서의 서열은 군유전체학적 바이러스 콘티그(mVC)와 대조한 결과 4.4%가 바이러스군에서, 1.7%가 개체에서 비롯된 것(singleton)으로 밝혀졌다.[18]

바이러스의 tRNA 유전자가 숙주에서 기인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한 결과 7.6%가 숙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같은 연구에서 숙주-바이러스 관계로 추정되는 후보들 중 9,992개를 분석한 결과 7.7%의 mVC가 숙주와 일치함 역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숙주-바이러스 관계들이 밝혀졌으며, 이전에 연관된 어떤 바이러스도 알지 못했던 16개의 원핵생물들의 숙주관계가 새로이 알려졌다.[18]

또한 인간의 구강에서 채취한 바이러스들의 군유전체적 콘티그들을 분석한 결과 방선균이나 후벽균의 스페이서와 일치하는 프로토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사람에게 존재하는 바이러스들의 또다른 숙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18]

2017년 1월에는 가장 큰 공공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인 IMG/VR 시스템이 265,000개의 군유전체 및 개개 바이러스 서열을 저장하고 있음이 알려졌다.[20] 2018년 11월에는 IMG/VR v.2.0이 출현하면서 저장된 서열이 760,000개로 확대되었다.[21]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서열과 바이러스체의 서열을 비교 대조할 수 있다.

4. 3. 2. 숙주-바이러스 관계 규명



전 세계 3,042개 장소에서 채취한 시료만 해도 5Tb가 넘는 양인데, 현재 이를 기반으로 바이러스의 분포, 계통학, 숙주 친화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8] 2016년 8월, 계산적 방법을 통해 12만 5천개가 넘는 DNA 바이러스체 조각으로부터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파지들보다 더 큰 파지를 검출하였다.[18]

크리스퍼-Cas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의 면역계는 이전에 자신을 감염시켰던 파지의 유전체 조각 "도서관(library)"를 프로토스페이서로 잡아둔다.[19] 실제로 미생물의 유전체에서 분리된 스페이서의 서열은 군유전체적 바이러스 콘티그(mVC)와 대조한 결과 4.4%가 바이러스군에서, 1.7%가 개체에서 비롯된 것(singleton)으로 밝혀졌다.[18]

바이러스의 tRNA 유전자가 숙주에서 기인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한 결과 7.6%가 숙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같은 연구에서 숙주-바이러스 관계로 추정되는 후보들 중 9,992개를 분석한 결과 7.7%의 mVC가 숙주와 일치함 역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숙주-바이러스 관계들이 밝혀졌으며, 이전에 연관된 어떤 바이러스도 알지 못했던 16개의 원핵생물들의 숙주관계가 새로이 알려졌다.[18]

또한 인간의 구강에서 채취한 바이러스들의 군유전체적 콘티그들을 분석한 결과 방선균이나 후벽균의 스페이서와 일치하는 프로토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사람에게 존재하는 바이러스들의 또다른 숙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18]

2017년 1월에는 가장 큰 공공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인 IMG/VR 시스템이 265,000개의 군유전체 및 개개 바이러스 서열을 저장하고 있음이 알려졌다.[20] 2018년 11월에는 IMG/VR v.2.0이 출현하면서 저장된 서열이 760,000개로 확대되었다.[21]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서열과 바이러스체의 서열을 비교 대조할 수 있다.

4. 4. 인간 바이러스체 연구

전 세계 3,042개 장소에서 채취한 5Tb가 넘는 시료를 기반으로 바이러스의 분포, 계통학, 숙주 친화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8] 2016년 8월, 계산적 방법을 통해 12만 5천개가 넘는 DNA 바이러스체 조각으로부터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파지들보다 더 큰 파지를 검출하였다.[18]

크리스퍼-Cas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의 면역계는 이전에 자신을 감염시켰던 파지의 유전체 조각 "도서관(library)"를 프로토스페이서로 잡아둔다.[19] 미생물 유전체에서 분리된 스페이서 서열을 군유전체적 바이러스 콘티그(mVC)와 대조한 결과 4.4%가 바이러스군에서, 1.7%가 개체에서 비롯된 것(singleton)으로 밝혀졌다.[18]

바이러스의 tRNA 유전자가 숙주에서 기인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한 결과 7.6%가 숙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숙주-바이러스 관계로 추정되는 후보들 중 9,992개를 분석한 결과 7.7%의 mVC가 숙주와 일치함이 알려졌다. 이를 통해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숙주-바이러스 관계들이 밝혀졌으며, 이전에 연관된 어떤 바이러스도 알지 못했던 16개의 원핵생물들의 숙주관계가 새로이 알려졌다.[18]

인간의 구강에서 채취한 바이러스들의 군유전체적 콘티그들을 분석한 결과 방선균이나 후벽균의 스페이서와 일치하는 프로토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사람에게 존재하는 바이러스들의 또다른 숙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18]

2017년 1월에는 가장 큰 공공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인 IMG/VR 시스템이 265,000개의 군유전체 및 개개 바이러스 서열을 저장하고 있음이 알려졌다.[20] 2018년 11월에는 IMG/VR v.2.0이 출현하면서 저장된 서열이 760,000개로 확대되었다.[21]

4. 5. IMG/VR 시스템

전 세계 3,042개 장소에서 채취한 시료만 해도 5Tb가 넘는 양인데, 이를 기반으로 바이러스의 분포, 계통학, 숙주 친화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8] 2016년 8월, 계산적 방법을 통해 12만 5천개가 넘는 DNA 바이러스체 조각으로부터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파지들보다 더 큰 파지를 검출하였다.[18]

크리스퍼-Cas로 대표되는 원핵생물의 면역계는 이전에 자신을 감염시켰던 파지의 유전체 조각 "도서관(library)"를 프로토스페이서로 잡아둔다.[19] 미생물의 유전체에서 분리된 스페이서의 서열은 군유전체적 바이러스 콘티그(mVC)와 대조한 결과 4.4%가 바이러스군에서, 1.7%가 개체에서 비롯된 것(singleton)으로 밝혀졌다.[18]

바이러스의 tRNA 유전자가 숙주에서 기인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한 결과 7.6%가 숙주에서 기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같은 연구에서 숙주-바이러스 관계로 추정되는 후보들 중 9,992개를 분석한 결과 7.7%의 mVC가 숙주와 일치함 역시 알려졌다. 이를 통해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숙주-바이러스 관계들이 밝혀졌으며, 이전에 연관된 어떤 바이러스도 알지 못했던 16개의 원핵생물들의 숙주관계가 새로이 알려졌다.[18]

또한 인간의 구강에서 채취한 바이러스들의 군유전체적 콘티그들을 분석한 결과 방선균이나 후벽균의 스페이서와 일치하는 프로토스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로써 사람에게 존재하는 바이러스들의 또다른 숙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18]

2017년 1월에는 가장 큰 공공 바이러스 데이터베이스인 IMG/VR 시스템이 265,000개의 군유전체 및 개개 바이러스 서열을 저장하고 있음이 알려졌다.[20] 2018년 11월에는 IMG/VR v.2.0이 출현하면서 저장된 서열이 760,000개로 확대되었다.[21]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서열과 바이러스체의 서열을 비교 대조할 수 있다.

참조

[1] 저널 Metagenomic analysis of lysogeny in Tampa Bay: implications for prophage gene expression. 2008-09-23
[2] 저널 Metagenomic analysis of the microbial community associated with the coral Porites astreoides. 2007-11
[3] 저널 Bacteriophage adhering to mucus provide a non-host-derived immunity. 2013-06-25
[4] 저널 Comparative metagenomics of microbial traits within oceanic viral communities. 2011-07
[5] 저널 Genomic analysis of uncultured marine viral communities. 2002-10-29
[6] 저널 The marine viromes of four oceanic regions. 2006-11
[7] 저널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a near-shore marine-sediment viral community. 2004-03-22
[8] 저널 Metagenomic analyses of an uncultured viral community from human feces. 2003-10
[9] 저널 Viral diversity and dynamics in an infant gut. 2008-06
[10] 저널 Metagenomic and small-subunit rRNA analyses reveal the genetic diversity of bacteria, archaea, fungi, and viruses in soil. 2007-11
[11] 저널 Method for discovering novel DNA viruses in blood using viral particle selection and shotgun sequencing. 2005-11
[12] 저널 RNA viral community in human feces: prevalence of plant pathogenic viruses. 2006-01
[13] 저널 Viral metagenomics. 2005-06
[14] 저널 Global phage diversity. 2003-04-18
[15] 저널 Laboratory procedures to generate viral metagenomes. 2009
[16] 저널 Nontargeted virus sequence discovery pipeline and virus clustering for metagenomic data https://escholarship[...] 2017-08
[17] 저널 Pole-to-pole ocean viromes null 2019-07
[18] 저널 Uncovering Earth's virome http://www.escholars[...] 2016-08
[19] 저널 Short motif sequences determine the targets of the prokaryotic CRISPR defence system http://dx.doi.org/10[...] 2009-03-01
[20] 저널 IMG/VR: a database of cultured and uncultured DNA Viruses and retroviruses 2017-01
[21] 저널 IMG/VR v.2.0: an integrated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for cultivated and environmental viral geno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