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츨라프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츨라프 3세는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2세의 아들이자, 헝가리의 국왕, 보헤미아의 국왕, 폴란드의 국왕이었다. 1289년 프라하에서 태어났으며, 1301년 헝가리 왕으로 선출되어 라슬로라는 이름으로 즉위했다. 교황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국내 분열로 인해 헝가리 왕위를 포기했으며, 1305년 보헤미아와 폴란드의 왕이 되었다. 1306년 폴란드 원정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죽음으로 프르셰미슬 왕조는 단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89년 출생 - 루이 10세
루이 10세는 프랑스와 나바라의 왕으로, 나바라 왕국을 상속받아 통치하다 프랑스 왕으로 재임하며 귀족과의 갈등, 플랑드르 문제, 왕실 수입 증대 개혁을 추진했고 농노제 폐지 칙령과 유대인 귀환 허용 칙령을 발표했으나 테니스 경기 후유증으로 사망 후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 헝가리의 쌍둥이 - 이슈트반 2세
이슈트반 2세는 1116년부터 1131년까지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으로, 즉위 초반 외교적 실패와 베네치아와의 전쟁을 겪었으며 동로마 제국을 침공하기도 했으나, 재위 기간 동안 대외 관계 안정화에 힘썼고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벨러 2세에게 왕위가 승계되었다. - 헝가리의 쌍둥이 - 마르톤 루아너
스페인 산타크루스데테네리페 출신의 마르톤 루아너는 킥복싱 선수 아버지와 핸드볼 선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태권도 선수로 활동하는 쌍둥이 자매 마르톤 비비어너를 두고 있다. - 1306년 사망 - 안향
안향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한국 최초의 주자학자로, 원나라에서 주자학을 들여와 고려에 전파하고 국자감을 정비하는 등 유생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개혁적인 정치 활동으로 사후 문묘에 배향되었다. - 1306년 사망 - 순화원비
고려 충선왕의 비인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딸이자 공원왕후의 언니이며 자녀는 없었고, 그녀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고려사》에 남아있지 않다.
바츨라프 3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벤체슬라우스 1세 (3세) |
체코어 | 바츨라프 3세 |
헝가리어 | 벤첼 |
폴란드어 | 바츠와프 |
크로아티아어 | 벤체슬라브 |
슬로바키아어 | 바츨라프 |
칭호 | |
헝가리 및 크로아티아 왕 | 샤를 1세에 의해 이의 제기됨 |
폴란드 왕 | 브와디스와프 1세에 의해 이의 제기됨 |
통치 기간 | |
헝가리 및 크로아티아 왕 | 1301년 8월 27일 – 1305년 10월 9일 |
보헤미아 왕 | 1305년 6월 21일 – 1306년 8월 4일 |
폴란드 왕 | 1305년 6월 21일 – 1306년 8월 4일 |
대관식 | |
헝가리 | 1301년 8월 27일, 세케슈페헤르바르 |
생애 | |
출생일 | 1289년 10월 6일 |
출생지 | 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
사망일 | 1306년 8월 4일 (16세) |
사망지 | 올로모우츠, 보헤미아 왕국 |
배우자 | 비올라 엘주비에타 치에신스카 (1305년 결혼) |
자녀 | 푸스티미에슈의 엘주비에타, 수녀원장 (사생아) |
왕가 | |
왕조 | 프르셰미슬 왕조 |
아버지 | 바츨라프 2세 |
어머니 | 구타 합스부르크 |
종교 |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계승 | |
헝가리 및 크로아티아 왕 | 언드라시 3세 (이전) / 오토 (이후) |
보헤미아 왕 | 바츨라프 2세 (이전) / 인드르지흐 (이후) |
폴란드 왕 | 바츨라프 (이전) / 브와디스와프 1세 (이후) |
2. 생애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2세와 합스부르크 가 출신의 유디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1301년 헝가리의 언드라시 3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아르파드 왕조가 단절되자, 바츨라프 3세는 아버지 바츨라프 2세의 외할머니가 러요시 4세의 공주였던 점을 이용하여 헝가리 왕으로 즉위했다. 1305년에 아버지 바츨라프 2세가 사망하자 보헤미아와 폴란드의 왕위를 계승했고, 헝가리 왕위는 오토에게 넘어갔다. 같은 해 테신 공작 미에슈코 1세의 딸 비올라와 결혼했다.[1]
16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한 바츨라프 3세는 방탕한 생활을 하였고, 젊은 체코 귀족들에게 많은 토지를 하사했다.[1] 1306년 폴란드 원정에 나서던 중 올로모우츠에서 암살당했다.[1] 바츨라프 3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프르셰미슬 왕조는 단절되었다.[1]
2. 1. 어린 시절 (1289년 ~ 1301년)
보헤미아의 바츨라프 2세와 그의 아내인 합스부르크의 유디트의 둘째 아들로, 1289년 10월 6일 프라하에서 태어났다. 그의 형은 그가 태어나기 전에 죽었기 때문에 부모 사이에서 유아기를 넘어 살아남은 유일한 아들이었다.1297년 6월 18일, 어머니 유디트가 사망했을 때 바츨라프는 아직 어린아이였다. 1298년 2월 12일, 그는 헝가리의 앤드루 3세의 외동딸인 헝가리의 엘리자베스와 약혼했다. 앤드루 3세는 헝가리의 토착 왕가인 아르파드 왕가의 마지막 남성 일원이었지만, 그의 통치는 만장일치로 인정받지 못했다.
2. 2.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 (1301년 ~ 1305년)
1301년 헝가리의 국왕이었던 언드라시 3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헝가리의 왕조였던 아르파드 왕조의 대가 끊기게 되었다.[1] 헝가리 의회는 1301년 5월 13일에 바츨라프 3세를 헝가리의 국왕으로 선출했다.[1]

헝가리의 언드라시 3세가 1301년 1월 14일에 사망하면서, 헝가리 최초의 왕가였던 아르파드 가문이 단절되었다. 바츨라프 3세는 아버지 바츨라프 2세의 외할머니 안나가 러요시 4세의 공주였던 점을 이용하여, 아버지에 의해 헝가리 왕으로 파견되어 즉위하게 되었다.[1]
크라쿠프 주교인 얀 무스카타는 보헤미아의 벤첼 2세의 고문이었으며, 그의 아들이자 동명의 아들인 바츨라프 3세를 헝가리 왕으로 선출해야 한다고 처음 제안했다. 젊은 벤첼은 헝가리의 벨러 4세의 증손자일 뿐만 아니라, 故 안드라스 3세의 딸의 약혼자이기도 했다. 벤첼 2세의 대리인에게 매수된 헝가리 영주와 고위 성직자 대다수는 젊은 벤첼에게 왕관을 바치기로 결정하고 보헤미아에 있는 그의 아버지에게 대표단을 보냈다.
벤첼 2세는 8월에 호도닌에서 헝가리 사절들을 만나 11살 된 아들의 이름으로 그들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벤첼 2세는 아들과 함께 세케슈페헤르바르로 가서 칼로차의 대주교인 요한 혼트-파즈마니가 8월 27일에 젊은 벤첼에게 헝가리 왕관을 씌워 왕으로 대관했다. 라슬로라는 이름을 사용한 벤첼은 헝가리에서 모든 헌장에 그 이름으로 서명했다.
벤첼 2세가 보헤미아로 돌아간 후, 얀 무스카타는 헝가리에서 젊은 왕의 주요 고문이 되었다. 대부분의 영주와 고위 성직자들은 벤첼-라슬로의 통치를 받아들였다. 헝가리 동료들과 대조적으로 크로아티아 영주들은 벤첼-라슬로를 합법적인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헝가리의 카롤로 1세에게 충성을 다했다.
그러나 헝가리는 그동안 강력한 영주, 즉 "과두 지배자"가 통치하는 12개의 지방으로 분열되었기 때문에 두 왕의 권위는 명목상에 불과했다. ''일루미네이티드 연대기''는 헝가리 영주들이 벤첼-라슬로와 카롤로 1세에게 모두 "성, 권력, 왕의 권위"를 부여하지 않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보헤미아의 벤첼 2세와 칼로차의 대주교 요한에게 보낸 편지에서 벤첼-라슬로가 성좌의 승인 없이 대관했다고 강조했다. 9월에 헝가리에 도착한 교황 사절 니콜로 보카시니는 헝가리 고위 성직자들과 협상을 시작하여 벤첼-라슬로를 포기하고 카롤로 1세를 지지하도록 설득했다.
벤첼-라슬로는 가장 강력한 영주들을 매수하기 위해 그들에게 대규모 영지와 고위직을 부여했다. 머튜 3세 차크는 1302년 2월에 니트라와 트렌친 주, 그리고 그에 딸린 왕실 성과 영지를 받았다. 이반 쾨쇠기는 1302년 4월 25일 전에 헝가리 팔라틴으로 임명되었다. 그 해 상반기에 많은 고위 성직자들(새로운 칼로차 대주교인 슈테판 2세 포함)이 벤첼-라슬로를 버렸고, 심지어 얀 무스카타도 헝가리를 떠났다.
1305년 부친이 사망하자 보헤미아와 폴란드의 왕위를 계승했다. 그 당시 헝가리 왕위는 포기하고, 대신 하바이에른 공작 오토 3세가 획득했다.[1]
아들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보헤미아의 벤첼 2세는 1304년 5월에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헝가리로 왔다. 그는 에스테르곰을 점령했지만, 지역 영주들과의 협상 결과 아들의 헝가리 내 지위가 극적으로 약화되었음을 확신했다. 이에 따라 그는 벤첼-라슬로를 보헤미아로 데려가기로 결정했다. 벤첼-라슬로는 헝가리를 포기하지 않고 8월에 보헤미아로 떠나기 전에 이반 쾨쇠기를 총독으로 임명했다. 그는 심지어 헝가리 왕관을 가지고 프라하로 갔다.

2. 3. 보헤미아와 폴란드의 왕 (1305년 ~ 1306년)
1305년 아버지 바츨라프 2세가 사망하면서 바츨라프 3세는 보헤미아와 폴란드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헝가리의 왕위는 바이에른 공작 오토에게 넘어갔다. 바츨라프 3세는 같은 해 테신 공작 미에슈코 1세의 딸 비올라와 결혼했다.[1]바츨라프 3세는 세 왕국을 모두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헝가리를 포기하고, 1305년 10월 9일 브르노에서 오토에게 헝가리의 성관을 넘겨주었다.[1] 그러나 폴란드에서의 그의 위치는 브와디스와프 1세가 계속해서 폴란드 왕위를 노리고 있었기 때문에 위태로웠다.[1]
16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한 바츨라프 3세는 방탕한 생활을 하였고, 젊은 체코 귀족들에게 많은 토지를 하사했다.[1] 1306년 초, 브와디스와프 1세가 크라쿠프를 점령하면서 폴란드에서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다.[1] 바츨라프 3세는 이에 대항하기 위해 동맹을 맺고자 1306년 7월 그다ńsk와 포모제를 브란덴부르크-슈텐달 변경백 발데마르와 브란덴부르크-잘츠베델 변경백 헤르만에게 봉토로 양도했다.[1]
바츨라프 3세는 폴란드 침공을 결정하고, 젊은 측근들을 해임한 뒤 매제인 케른텐의 헨리를 총독으로 임명했다.[1] 그러나 1306년 8월 4일, 폴란드 원정에 나서던 중 올로모우츠에서 암살당했다.[1] 그의 암살자는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1] 바츨라프 3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프르셰미슬 왕조는 단절되었다.[1]

2. 4. 암살과 왕조의 단절 (1306년)
1306년 폴란드 원정에 나섰으나 올로모우츠에서 암살당했다.[1] 바츨라프 3세는 후사 없이 사망하여 프르셰미슬 왕조는 막을 내리게 된다.[1]바츨라프 3세는 열여섯 살의 어린 나이에 방탕한 생활을 하였으며, 많은 토지를 하사받은 젊은 체코 귀족 들에게 둘러싸여 있었다. 1306년 초, 브와디스와프 1세가 크라쿠프를 점령하면서 폴란드에서 그의 입지는 더욱 약해졌다. 이에 대항하기 위해 바츨라프는 1306년 7월 그다ńsk과 포모제를 브란덴부르크-슈텐달 변경백 발데마르와 브란덴부르크-잘츠베델 변경백 헤르만에게 봉토로 양도했다.
바츨라프는 폴란드 침공을 결정하고 젊은 측근들을 해임했으며, 매제인 케른텐의 헨리를 총독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침공 직전인 1306년 8월 4일 올로모우츠에서 칼에 찔려 사망했고, 암살자는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 이로써 바츨라프는 프르셰미슬 왕조의 마지막 보헤미아 왕이 되었다.
이후 보헤미아 왕위는 인드르지흐 코루탄스키가, 폴란드 왕위는 피아스트 왕조 출신인 브와디스와프 1세가 승계받았다.[1] 1308년 헝가리에서는 앙주 왕가 출신인 카로이 1세가 헝가리의 국왕으로 즉위했다.[1]
3. 유산
1301년, 헝가리 최초의 왕가였던 아르파드 가문이 단절되자, 아버지 바츨라프 2세의 외할머니 안나가 러요시 4세의 공주였던 점을 이용하여, 아버지에 의해 헝가리 왕으로 파견되어 즉위하게 되었다. 1305년에 부친이 요절하자 보헤미아와 폴란드의 왕위를 계승했다. 그 당시 헝가리 왕위는 포기하고, 대신 하바이에른 공작오토 3세가 획득했다.
이듬해 1306년 폴란드 원정 도중, 올로모우츠에서 암살당했다. 향년 16세. 부친의 왕위를 계승한 해에 체신 공작미에슈코 1세의 딸 비올라 엘주비에타와 결혼했지만 자녀는 없었고, 바츨라프 3세의 죽음으로 프셰미슬 왕조는 단절되었다.
그 후 폴란드에서는 브와디스와프 1세가 즉위하여 피아스트 왕조가 부흥했다. 헝가리에서는 1307년에 카로이 1세가 오토 3세로부터 왕위를 빼앗아 앙주 왕조를 세웠다. 보헤미아에서는 여동생 안나의 남편 케이른텐 공작헨리 6세와 부친의 계비 리체자 엘주비에타와 결혼한 오스트리아 공작루돌프 3세 (바츨라프 3세의 외사촌)가 왕위를 다툰 후, 안나의 여동생 엘리슈카와 결혼한 룩셈부르크 가문의 요한이 왕위에 올랐다.
참조
[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3]
웹사이트
Wenceslas III king of Bohemia and Hungary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