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08년은 간지로는 무신년에 해당하며, 원나라 지대 원년, 일본 도쿠지 3년 또는 엔쿄 원년, 고려 충렬왕 34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충렬왕의 사망과 충선왕의 반원 정책, 잉글랜드 에드워드 2세와 프랑스 이자벨라의 결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08년 | |
---|---|
1308년 | |
연대 | |
1300년대 | 1300년대 |
세기 | |
13세기 | 13세기 |
14세기 | 14세기 |
연도별 | |
1308년 | 1308년 |
십진력 | |
연도 | 6240년 |
2. 연호
3. 기년
덕치 | 연경 |
---|---|
3년 | 10월 9일 - |
- * 황기 1968년
- 중국
원 |
---|
지대 원년 |
- 조선
고려 |
---|
충렬왕 34년 |
- * 단기 3641년
- 베트남
진朝 |
---|
흥륭 16년 |
- 불멸기원 : 1850년 - 1851년
- 이슬람력 : 707년 - 708년
- 유대력 : 5068년 - 5069년
4. 주요 사건
- 충렬왕이 세상을 떠나고, 충선왕이 왕위에 복귀하여 원나라에 반대하는 정책(2차 개혁)을 폈다.[1][2]
- 1월 25일 - 잉글랜드 왕국의 에드워드 2세가 프랑스 왕국 국왕 필리프 4세의 딸 이자벨라와 결혼하였다. 에드워드 2세는 피어스 개비스턴에게 지나친 권력을 주어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
- 2월 1일 - 브란덴부르크-잘츠베델 변경백 헤르만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요한 5세가 변경백이 되었다.
- 2월 25일 - 에드워드 2세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대관식을 치렀다.
- 3월 8일 - 포르투갈 왕국의 디니스 국왕이 포보아 드 바르징에 포르알(Foral)을 부여하였다.
- 3월 18일 -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의 안드레이와 레프 2세 형제가 루테니아의 공동 군주가 되었다.
- 4월 15일 - 아부 자얀 1세 사후 그의 동생 아부 함무 1세가 틀렘센 왕국의 새로운 통치자가 되었다.
- 5월 1일 - 신성 로마 제국의 알브레히트 1세가 암살당했다.
- 5월 23일 - 인버유리 전투에서 로버트 더 브루스가 이끄는 스코틀랜드군이 승리하였다.
- 6월 25일 - 피어스 개브스턴이 잉글랜드 의회에 의해 두 번째로 추방되었다.
- 6월 28일 - 클레멘트 5세 앞에서 54명의 템플 기사단원에 대한 재판이 열렸다.
- 7월 2일 – 델리 술탄국의 알라웃딘 할지가 시와나 공성전을 시작하였다.[8]
- 7월 28일 - 아부 타비트 아미르가 사망하고 아부 알라비 술레이만이 마리니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
- 8월 11일 - 클레멘스 5세가 요한 기사단에 가난한 자들의 십자군을 시작할 허가를 내렸다.
- 8월 12일 - 클레멘스 5세가 교황령 ''파치엔스 미세리코르디암''을 발표하고, 비엔 공의회 소집 교황령 ''레그난스 인 코엘리스''를 발표하였다.
- 8월 14일 - 네팔의 왕 아난타 말라가 사망하였다.[10]
- 8월 15일 - 요한 기사단이 로도스섬 정복을 완료하였다.[11]
- 8월 20일 - 베랑제 프레돌 장로가 시농 양피지를 작성하였다.[9]
- 9월 - 시와나 공성전이 델리군의 승리로 끝났다.[12]
- 10월 5일 - 아테네 공국의 기 2세 드 라 로슈가 사망하였다.
- 10월 20일 - 잉글랜드 의회가 에드워드 2세 치세의 네 번째 회기를 시작하였다.[14]
- 11월 10일 - 시탈 데바 왕자가 살해당했다.[15]
- 11월 13일 - 테우토 기사단이 그단스크를 점령하였다.[16]
- 11월 27일
- * 하인리히 7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되었다.[17]
- * 카로이 1세가 헝가리 왕국과 크로아티아의 왕으로 공식 선출되었다.[18]
- 12월 19일 - 알칼라 데 에나레스 조약이 체결되었다.[19]
- 12월 - 블라디슬라프 1세 엘보우 고 국왕이 얀 무스카타를 투옥하고, 크라쿠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였다.
- 여름 - 브랜더 고개 전투에서 로버트 브루스 국왕이 이끄는 스코틀랜드군이 승리하였다.[22][23]
- 뷰컨 약탈이 일어났다.
- 여름 – 말릭 카푸르가 이끄는 델리 군대가 세우나 왕조를 침략하였다.[24]
4. 1. 한국
충렬왕이 세상을 떠났다. 향년 73세였다.[1]충선왕이 왕위에 복귀하자마자 원나라에 반대하는 정책을 폈다.(2차 개혁)[2]
4. 2. 해외
- 1월 25일 - 잉글랜드 왕국의 에드워드 2세가 프랑스 왕국 국왕 필리프 4세의 딸인 13세의 이자벨라 공주와 결혼한다. 에드워드 2세는 자신의 총신인 피어스 개비스턴을 섭정으로 남겨두고 떠난다. 이자벨라는 비단, 벨벳 등으로 만들어진 드레스와 72개가 넘는 머리 장식을 소유하는 등 부를 과시했다. 에드워드 2세는 개비스턴에게 지나친 권력을 주어 귀족들의 반발을 샀고, 귀족들은 불로뉴 협정에 서명하며 반발했다.[1][2]
- 2월 1일 - 브란덴부르크-잘츠베델 변경백 헤르만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요한 5세가 변경백이 된다. 그는 오토 4세와 함께 브란덴부르크를 공동 통치했다.
- 2월 25일 - 에드워드 2세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대관식을 치른다. 피어스 개비스턴은 왕관을 드는 영광을 얻는다. 뒤이은 연회에서 에드워드 2세는 아내 이자벨라보다 개비스턴과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 프랑스에서 온 이자벨라의 가족들은 필리프 4세에게 에드워드 2세가 이자벨라보다 개비스턴을 더 총애한다고 보고한다. 에드워드 2세는 대관식에서 "왕국 공동체가 선택한 정당한 법과 관습을 준수하겠다"고 맹세한다.[3][4]
- 3월 8일 - 포르투갈 왕국의 디니스 국왕이 포보아 드 바르징에 포르알(Foral)을 부여하여 54개 가족에게 왕실 토지를 하사한다. 이들은 프라사 벨랴 주변에 포보아(Póvoa)라는 지방자치단체를 세운다.
- 3월 18일 -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의 안드레이와 레프 2세 형제가 아버지 유리 1세의 죽음으로 루테니아(현재 우크라이나와 폴란드의 일부)의 공동 군주가 된다.
- 4월 15일 - 아부 자얀 1세 술탄의 사후 그의 동생 아부 함무 1세가 틀렘센 왕국의 새로운 통치자가 된다.
- 5월 1일 - 신성 로마 제국의 알브레히트 1세가 스위스 빈디시에서 그의 조카 슈바벤의 요한에게 암살당한다. 두 사람은 전날 빈터투어의 연회에서 다툼을 벌였다.
- 5월 23일 - 인버유리 전투: 로버트 더 브루스 왕이 이끄는 스코틀랜드군이 존 코민이 이끄는 반대파 스코틀랜드군을 올드멜드럼에서 패퇴시킨다. 존은 잉글랜드 궁정으로 피신하고, 로버트는 코민 씨족과 관련된 농장, 주택, 요새를 불태우도록 명령한다.
- 6월 25일 - 피어스 개브스턴이 잉글랜드 의회에 의해 두 번째로 추방된다. 콘월 백작 상실에 대한 보상으로 개브스턴은 가스코뉴에서 연간 3,000마크의 가치가 있는 토지를 받고, 아일랜드 총독으로 임명된다.
- 6월 28일 - 1307년 10월 19일에 템플 기사단 138명이 이단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후, 클레멘트 5세 앞에서 증언하는 54명의 템플 기사단원에 대한 재판이 열리고, 대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혐의를 자백한다.
- 7월 2일 – 델리 술탄국의 술탄 알라웃딘 할지가 인도 델리에서 시와나 요새(현재 라자스탄 주)로 출발하여 9월에 완료되는 시와나 공성전을 시작한다.[8]
- 7월 28일 - 아부 타비트 아미르가 사망하고 그의 동생 아부 알라비 술레이만이 마리니드 왕조의 통치자가 된다.
- 8월 11일 - 클레멘스 5세가 요한 기사단에 가난한 자들의 십자군을 시작할 허가를 내린다.
- 8월 12일 - 클레멘스 5세가 교황령 ''파치엔스 미세리코르디암''을 발표하여 템플 기사단의 이단 혐의를 면제하고, 로마 가톨릭 교회가 기사단에 대한 향후 혐의를 담당할 것이라고 선언한다.[9] 같은 날, 그는 1311년 비엔 공의회 소집 교황령 ''레그난스 인 코엘리스''를 발표한다.
- 8월 14일 - 네팔의 왕 아난타 말라가 34년 통치 후 사망하여 히말라야 산맥 왕국은 5년간 군주 없이 남게 된다.[10]
- 8월 15일 - 요한 기사단이 4년 만에 로도스섬 정복을 완료한다.[11]
- 8월 20일 - 프랑스 추기경 베랑제 프레돌 장로가 템플 기사단 혐의에 대한 조사 결과를 요약한 시농 양피지를 작성한다.[9]
- 9월 - 시와나 공성전: 알라웃딘 할지 지휘하의 델리군이 두 달간의 공성전 끝에 시와나 요새를 함락시킨다.[12]
- 10월 5일 - 아테네 공국의 기 2세 드 라 로슈가 28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드 라 로슈 왕조가 막을 내린다. 그의 사촌인 발터 5세 드 브리엔이 계승한다.[13]
- 10월 20일 - 잉글랜드 의회가 에드워드 2세 치세의 네 번째 회기를 시작하여 웨스트민스터에서 회합한다.[14]
- 11월 10일 - 인도 시와나 요새 공격이 실패한 후, 시탈 데바 왕자가 칼로르로 도주하려다 매복에 걸려 살해당한다. 그의 머리는 전리품으로 델리 술탄 알라우딘에게 바쳐진다.[15]
- 11월 13일 - 테우토 기사단이 기습으로 그단스크를 점령한다. 헨리히 폰 플뢰츠케와 귄터 폰 슈바르츠부르크가 이끄는 브란덴부르크 기사 100명과 추종자 200명이 그단스크를 포위 공격했다. 엘보우 고 폴란드 국왕은 증원군을 보낼 수 없었다. 시민들은 테우토 기사단에게 군사적 도움을 요청했고, 기사단은 브란덴부르크군을 격퇴한 후 도시를 공격한다. 폴란드인과 독일인의 집이 불타고 파괴되었으며, 교회에 피난처를 찾은 사람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학살당했다. 1년 안에 테우토 기사단은 포메라니아 동부 전체를 점령하고 발트 해에서 세력을 강화한다.[16]
- 11월 27일
- * 룩셈부르크 백작 하인리히 7세가 프랑크푸르트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선출된다. 그의 형제 트리어 대주교 발두인의 지지로 대부분의 선제후들을 설득했다. 보헤미아의 헨리만이 그를 지지하지 않았다.[17]
- * 같은 날, 헝가리 귀족들은 20세의 찰스 로베르트 칼라브리아 공작을 헝가리 왕국과 크로아티아의 왕으로 공식적으로 선출한다. 카로이 1세가 되지만, 즉위 후에도 왕국 대부분 지역에서는 그의 통치가 명목상으로 남게 된다.[18]
- 12월 19일 - 알칼라 데 에나레스 조약: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4세와 아라곤의 하우메 2세가 산타 마리아 데 우에르타 수도원에서 동맹을 맺는다. 페르난도는 그라나다에 대해 육지와 바다를 통해 전쟁을 벌이는 데 하이메와 합류하기로 동의한다. 또한 그라나다의 6분의 1을 아라곤 왕국에 양보하고 알메리아 지방을 하이메에게 준다.[19]
- 12월 - 폴란드 왕국의 블라디슬라프 1세 엘보우 고 국왕이 크라쿠프 대주교 얀 무스카타를 투옥한다. 이에 폴란드와 독일 시민들이 크라쿠프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블라디슬라프는 무력으로 대응하여 반란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처형한다.
- 여름 - 브랜더 고개 전투: 로버트 브루스 국왕이 이끄는 스코틀랜드군이 존 코민 레드의 친척인 맥더걸 씨족을 물리쳤다. 로버트는 브랜더 고개를 우회하여 매복을 피하고, 제임스 더글러스 블랙을 파견하여 궁수 부대를 이끌고 고개 위쪽에 자리를 잡게 했다. 로버트는 맥더걸의 봉쇄선을 돌파하고 어웨 다리에서 그들을 패퇴시켰다. 맥더걸들은 어웨 강을 건너 던스타프네이지까지 추격당했다. 어가일 영주는 항복하고 로버트에게 충성을 맹세했다.[22][23]
- 뷰컨 약탈이 일어났다. 에드워드 브루스가 이끄는 스코틀랜드군이 인버유리에서의 승리 후 존 코민과 그의 지지자들의 땅을 황폐화시켰다. 로버트 브루스는 애버딘을 점령하고 갤러웨이를 정복하며 스코틀랜드 북부를 위협했다.
- 여름 – 말릭 카푸르가 이끄는 델리 군대가 세우나 왕조를 침략하여, 라마찬드라 왕을 공격한다. 라마찬드라는 평화를 청하고 델리의 종주권을 인정한다.[24]
5. 탄생
- 8월 12일 - 모리요시 친왕, 일본 귀족이자 왕족 (사망 1335년)
- 안드레아 오르카냐, 이탈리아 화가, 조각가, 건축가 (사망 1368년)
- 가스통 2세, 푸아 백작, 프랑스 귀족이자 기사 (푸아 가문) (사망 1343년)
- 부르고뉴의 조안 3세, 프랑스 귀족 여성이자 공주 (사망 1347년)
- 조국 공주 (보르지긴 진통), 고려의 왕비 (사망 1325년)
- 롱첸파, 티베트 불교 학자, 요기이자 작가 (사망 1364년)
- 3월 2일 - 잔느 3세, 부르고뉴 백작부인, 부르고뉴 공작 오드 4세의 왕비 (사망 1347년)
- 슈테판 우로시 4세 두샨,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제국의 네마니치 왕조의 군주 (사망 1355년)
- 왕몽, 원의 화가, 원말사대가의 한 사람 (사망 1385년)
- 도인지쓰요,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공경 (사망 1358년)
- 하인리히 2세,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사망 1320년)
- 볼레스와프 유리 2세, 할리치-볼리니아 왕국의 폴란드인 지배자 (사망 1340년)
- 고라 친왕,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황족 (사망 1335년)
- 유키 아사유,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무장, 유키씨의 제6대 당주 (사망 1336년)
- 류추 주사쿠,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임제종의 승려 (사망 1388년)
6. 사망
- 1월 30일 - 마가렛 드 티르 (1244년생)
- 2월 1일 - 헤르만 1세 (1275년생)
- 2월 12일 - 히로하시 카네나카 (1244년생)
- 3월 18일 - 유리 1세 (1252년/1257년생)
- 4월 5일 - 이반 쾨세기 (1245년생), 레이널드 드 그레이 (1240년생)
- 5월 1일 - 알브레히트 1세 (1255년생)
- 5월 22일 - 아마데우스 2세
- 7월 4일 - 에버하르트 1세
- 7월 28일 - 아부 타비트 아미르 (1284년생)
- 7월 30일 - 충렬왕 (1236년생)
- 8월 12일 - 에드먼드 스태퍼드
- 8월 18일 - 클라레 디 몬테팔코 (1268년생)
- 9월 4일 - 마르게리타 디 보르고냐 (1250년생)
- 9월 10일 - 고니조 천황 (1285년생)
- 10월 5일 - 기 드 라 로슈 (1280년생)
- 10월 10일 - 패트릭 4세 (1242년생)
- 11월 7일 - 타이라 무네코(平棟子)
- 11월 8일 - 요하네스 두스 스코투스 (1266년생)
- 12월 16일 - 쩐인종 (1257년생)
- 12월 21일 - 헤센의 헨리 1세 (1244년생)
참조
[1]
서적
Queen Isabella: She-Wolf of France, Queen of England
Pimlico Books
[2]
서적
She-Wolves: The Woman Who Ruled England Before Elizabeth
Faber and Faber
[3]
서적
King Edward II: His Life, his reign and its aftermath, 1284–1330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4]
서적
Edward II
Yale University Press
[5]
서적
Bannockburn 1314 – Robert Bruce's great victory
Osprey
[6]
서적
Thomas of Lancaster, 1307–1322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Piers Gaveston, Earl of Cornwall, 1307–1312: Politics and Patronage in the Reign of Edward II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8]
서적
History of the Khaljis (1290-1320)
The Indian Press
[9]
서적
The Templars: The Secret History Revealed
Arcade Publishing
[10]
서적
Medieval History of Nepal
Fondata Da Giuseppe Tucci
[11]
간행물
L'occupation de Rhodes par les Hospitaliers
Revue des études Byzantines
[12]
서적
The Delhi Sultanate: A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Franks in the Aegean, 1204–1500
Longman Publishing
[14]
서적
Edward II
Yale University Press
[15]
서적
History of the Khaljis (1290-1320)
The Indian Press
[16]
서적
History of Poland: The Piast Dynasty
[17]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Weidenfeld & Nicolson
[19]
서적
The Gibraltar Crusade: Castile and the Battle for the Strai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
서적
The History of the Mongol Conques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1]
서적
The Timetables of History
Simon & Schuster
[22]
서적
The Bruce
[23]
서적
Chronicles of the Scottish Nation
[24]
서적
The Age of Wrath: A History of the Delhi Sultanate
Pengui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