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01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01년은 간지 신축년이며, 일본에서는 쇼안 3년, 중국 원나라 대덕 5년, 고려 충렬왕 27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고후시미 천황의 양위와 고니조 천황의 즉위, 핼리 혜성 관측, 헝가리 아르파드 왕조의 멸망, 잉글랜드 에드워드 2세의 웨일스 공 칭호 수여 등이 있었다. 이 해에는 헝가리 왕위 계승 분쟁, 몽골의 미얀마 침공,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섭정 교체 등 여러 사건이 발생했다. 주요 인물로는 헝가리의 안드라스 3세, 호조 아키토키 등이 사망했으며, 헨리 퍼시, 모리쿠니 친왕, 오토 1세 등이 태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301년

2. 연호

3. 기년

항목내용
간지신축
성종 7년
고려충렬왕 복위 3년
영종 9년
일본정안 3년
황기1961년
대덕 5년
고려충렬왕 27년
단기3634년
흥륭 9년
불멸기원1843년 - 1844년
이슬람력700년 - 701년
유대력5061년 - 5062년


4. 사건


  • 1월 14일 - 헝가리아르파드 왕조가 안드라스 3세 국왕의 사망으로 종말을 맞이한다. 이로 인해 보헤미아의 벤체슬라우스 3세, 바이에른의 오토 3세, 나폴리의 카롤 1세 사이에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2]
  • 1월 25일 - 제2차 몽골의 미얀마 침공: 테무르 칸의 군대가 미인사이 왕국 수도 미인사이를 포위 공격했다.
  • 2월 7일 - 카나본의 에드워드 16세 왕자가 최초의 웨일스 공이 되었으며, 웨일스의 왕실 토지를 부여받았다.
  • 2월 28일 - 제2차 몽골의 미얀마 침공: 미인사이 포위 5주차에 몽골 침략자들이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지만, 미얀마 방어군은 12일 동안 방어를 계속했고, 휴전으로 이어졌다.
  • 3월 12일 - 제2차 몽골의 미얀마 침공: 7주간의 교착 상태 끝에 몽골군과 미얀마는 휴전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 4월 8일 - 제2차 몽골의 미얀마 침공: 미얀생 왕국을 다스리는 세 명의 바간 형제는 몽골 지도자 테무르 칸에게 금 800태얼 (30kg)과 은 2200태얼 (83kg)을 지불하기로 합의한다.[2]
  • 4월 10일 - 모나코 공국에서 라니에 1세가 제노바 공화국 군대의 포위 공격으로 도주했다.
  • 7월 5일 -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1세는 스코틀랜드 왕국으로의 여섯 번째 원정을 시작한다.[3]
  • 7월 10일 - 알라웃딘 할지 휘하의 인도군이 란탐보르 요새를 점령한다. 공성전 중 장군 누스라트 칸 잘레사리는 만자니크 돌에 맞아 사망한다.[4]
  • 8월 5일 - 에드워드 1세 국왕이 지휘하는 잉글랜드군은 글래스고에 도착한다.[3]
  • 9월 2일 - 카에르나본의 에드워드 왕자와 링컨 백작 헨리 드 레이시가 지휘하는 잉글랜드군은 캐릭에 있는 턴베리 성을 점령했다.[3]
  • 10월 5일 - 호조 모로토키가 일본 가마쿠라 막부의 10대 섭정이 된다.
  • 10월 6일 - 아부 누마이 1세가 퇴위하고, 그의 두 아들인 루마이타와 후마이다가 계승한다.
  • 오스만 1세는 비잔틴 비티니아 깊숙이 공격하기 위한 군사 원정을 촉구한다. 이 원정 동안, 오스만군은 이네괼과 예니셰히르 마을을 점령한다.

4. 1. 헝가리 왕국


  • 5월 13일 – 봄에 앙주 공작 샤를이 러슬로 3세의 뒤를 이어 헝가리 국왕이 되려 하였으나, 헝가리 의회는 샤를이 세케슈페헤르바르에서 국왕으로 선포되지 않았고 성 이슈트반 왕관을 받지 못했기에 그의 대관식을 무효로 선언하였다.[2]
  • 6월 22일 – 1303년에 교황 베네딕토 11세가 되는 니콜라 보카시니는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개인 대표로 임명되어 로마 가톨릭 사도 사절로서 헝가리에서 임무를 시작한다.[2]

4. 2. 동아시아

4. 3. 서유럽

4. 4. 기타 지역


  • 1월 25일 – 제2차 몽골의 미얀마 침공: 중국의 청종 황제이기도 한 몽골 지도자 테무르 칸의 군대가 미얀마 중부의 미인사이 왕국 수도인 미인사이로 진격하여 도시를 포위하기 시작했고, 침공 지도자들이 철수 대가를 지불받기 전까지 거의 3개월 동안 지속되었다.
  • 2월 28일 – 제2차 몽골의 미얀마 침공: 미인사이 포위 5주차에 성과가 없자 몽골 침략자들이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지만, 미얀마 방어군은 12일 동안 방어를 계속했고, 휴전으로 이어졌다.
  • 3월 12일 – 제2차 몽골의 미얀마 침공: 7주간의 교착 상태 끝에 몽골군과 미얀마는 휴전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 4월 8일 – 버마에 대한 2차 몽골 침공: 미얀생 왕국을 다스리는 세 명의 바간 형제 (아싱카야, 야자싱얀, 티하투)는 몽골 지도자 테무르 칸과 그의 장교들에게 침공을 종료하고 몽골로 돌아가는 대가로 금 800태얼 (30kg)과 은 2200태얼 (83kg)을 지불하기로 합의한다.[2]
  • 4월 10일 – 모나코 공국에서 그리말디 가문의 첫 통치자인 라니에 1세가 제노바 공화국 군대의 포위 공격으로 도주해야 했다. 제노바의 통치는 1331년 9월 12일까지 30년 이상 지속된다.
  • 10월 6일 – (사파르 2일 701 AH) 아부 누마이 1세, 메카 토후국의 아랍 통치자가 퇴위하고, 그의 두 아들인 루마이타와 후마이다가 계승한다. 아부 누마이는 이틀 뒤 69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 12월 6일 – 스페인에서 카스티야의 페르디난드 4세가 16세가 되어 카스티야 왕국레온 왕국국왕으로 즉위할 수 있는 성년으로 선포된다. 페르디난드 4세는 9세의 나이에 어머니 마리아 데 몰리나의 섭정 하에 형식적인 군주가 되었다.
  • 봄 – 오스만 1세 술탄은 비잔틴 비티니아 깊숙이 공격하기 위한 군사 원정을 촉구한다. 이 원정 동안, 오스만군은 이네괼과 예니셰히르 마을을 점령한다. 예니셰히르는 오스만이 행정부와 개인 가구를 그 성벽 안으로 옮기면서 수도로 변모할 것이다. 연말까지, 오스만군은 주요 비잔틴 도시인 니케아를 봉쇄하기 시작한다.
  • 11월 - 사쓰마국 코시키 섬 앞바다에 200척의 이국 선박이 나타나, 그 중 1척으로부터 습격을 받음.
  • 카이두, 몽골오고타이 가문의 왕족 (* 생년 미상)
  • 가짜 마거릿, 스코틀랜드 여왕, 노르웨이 공주 마거릿의 찬탈자 (* 1260년)
  • 레프 다니일로비치, 벨스 공 , 페레미슐 공, 할리치 공,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의 제4대 공 (* 1228년)

5. 탄생

6. 사망


  • 1월 14일 - 안드라스 3세 ("베네치아의 안드라스"), 헝가리 국왕 (1265년 출생)[1]
  • 2월 19일 - 피에트로 게라, 이탈리아 성직자, 대주교, 총대주교
  • 2월 20일 - 아스카이 가유, 일본 귀족이자 시인 (1241년 출생)
  • 3월 21일 - 기욤 드 샹방, 스위스 귀족이자 주교
  • 5월 7일 - 호조 아키토키, 일본 군 지도자이자 시인 (1248년 출생)
  • 8월 22일 - 자코모 비안코니, 이탈리아 사제이자 학자 (1220년 출생)
  • 9월 3일 - 알베르토 1세, 이탈리아 귀족이자 최고 치안 판사[16]
  • 11월 19일 - 요한 3세, 폴란드 사제, 주교, 외교관
  • 카이두, 몽골오고타이 가문의 왕족
  • 블라스코 1세 ("블라스 더 엘더"), 아라곤 귀족이자 군대 지휘관[17]
  • "거짓 마가렛", 노르웨이 귀족이자 사칭자 (1260년 출생)[18]
  • 레프 다닐로비치, 벨스 공, 페레미슐 공, 할리치 공,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의 제4대 공 (1228년 출생)

참조

[1]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 서적 History of Burma: A.D. 1300–1400 Burma Research Society
[3] 서적 The Plantagenets: History of a Dynasty Bloomsbury Publishing
[4]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800–1700 Orient Longman
[5] 서적 La frontera amb l'Islam en el segle XIV cristians i sarraïns al país Valencia Institució Milà i Fontanals
[6]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Weidenfeld & Nicolson
[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Women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Gale 1999-10-08
[9] 서적 Fourteenth Century England VI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10] 서적 Magna Carta Ancestry: A Study in Colonial and Medieval Families, 2nd Edition, 2011 https://books.google[...] Douglas Richardson
[11] 서적 History of Russia: Russian society, 1389-1425 https://books.google[...]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12] 서적 The Last Vikings: The Epic Story of the Great Norse Voyagers https://books.google[...] I.B.Tauris 2014-11-30
[13]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Stan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Ni Zan https://www.comuseum[...] 2022-12-24
[15] 서적 Allgemeine Encyclopädie der Wissenschaften und Künste in alphabetischer Folge von genannten Schriftstellern: Zweite Section H - N ; Hirudo - Höklyn Brockhaus
[16] 서적 La Divina Commedia (The Divine Comedy) : Purgatorio: La Divina Commedia (The Divine Comedy) : Purgatorio a Translation into English in Iambic Pentameter, Terza Rima Form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1-06-07
[17] 백과사전 Alagona, Blasco, il Vecchio http://www.treccani.[...]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18] 간행물 The Scottish Historical Review Edinburgh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